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료적 관점에서의 청소년 미술교육

        이선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학교미술교육에서 청소년들이 직접적으로 느끼고 대처해야 할 그들 자신의 문화적, 개인적 문제들과 심리적 외상의 문제를 미술의 치료적 특성을 통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여 오늘날 미술교육의 미흡한 점을 개선 시키고자 하였다. 미술은 인간의 많은 부분을 반영하는 표현 방법 중 하나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고, 자신과 관련 된 시대의 사건이나 사실을 전달하기도 한다. 또한 미술이 가지는 표현성은 언어나 문자로 표현하기에 한계가 있는 감정이나 생각, 느낌을 전달하기에 적절한 방법이기도 하다. 따라서 미술은 자신의 정서를 정화하고 이해하게 하며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술의 창조적인 활동이 인간의 정서와 자아성장에 특히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현대사회에 많은 분야에서 그 영향력이 증대 되고 있으며 사회로부터 요구되는 방향으로 교육이 발전 되었으므로 앞으로의 미술교육도 변화의 시점이 있다고 본다. 청소년들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심리적 갈등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학교교육 또한 그들에게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자기표현의 배출구와 다양한 정서적 순화방법을 모르고 많은 문제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그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들의 인생의 전환기에 있어 학교 교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학교 교육을 통해 삶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인 미술활동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단절된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 스스로 치유력을 가지고 올바르고 안전한 자기표현의 배출구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서론에서는 미술활동에 내재된 치료적 특성을 활용한 미술교육이 연구목적을 제시하고 청소년의 미술교육에서 학생의 심리적 정서순화를 위한 미술치료의 적용을 연구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청소년기의 개념과 특성 등을 통해 그들의 문제행동의 원인을 이해하고 청소년기에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미술치료의 정의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의 치료적 영향과 청소년을 위한 치료적 미술교육의 효과성을 연구하고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결론에서는 치료적 미술교육 방안으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성과 앞으로의 교육에서 실현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청소년 심리학과 미술교육, 학교에서의 미술치료활용 방안 연구 등의 선행 논문과 관련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본 내용을 연구하고 미술교과 과정 내에 치료적 교육 방안을 통한 학습자의 정서안정과 효과적인 학습방안에 근접하고자 한다.

      • 체육교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

        도현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world has en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of the 21st century. Education is also changing rapidly according to the changed social atmosphere. The trend of education was shifted from emphasis on acquisition of knowledge to problem solving or creation u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ented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hat focuses on competence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individuals who can cope with future changes. While proposing competencies for each subject, it allowed learners to develop competencies in all subjects. The author studied a dance sports program based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a dance sports program based on competencies shown in the expression domain of physical education for each grade. The purpose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s for each sporting event through program design and to increase the value of dance sports programs at education sites. In the introduction, previous studies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were explored to reveal that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based programs utilizing certain sporting events. Also, the necessity of dance sports programs based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was explained. In Chapter 2, competenc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nd competence-oriented education curriculum were understood. After finding out about 6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each were examined to find and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in subjects. In Chapter 3, dance sports program design for each grade was planned out by selecting cha cha cha and rumba among dance sports to propose the procedure and details of program design.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summary steps, comprised of 10 sessions for each grade. The program to be developed by the author was presen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Chapter 4. The program for grades 1 through 3 was described in detail, along with the teaching theme and objective for each grade and session. Lastly in Chapter 5, the details and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to draw a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demonstrate the dance sports program and expect an outcome from the dance sports program of this study based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However,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attempting the design of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important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utilizing certain sporting events. This can help increase th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verse sporting events and programs. A follow-up study will be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program and verify the value of education, hopefully discussing any other aspects which not dealt with in this study. 우리는 급변하는 21세기 사회에서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였다. 전반적으로 변화한 사회적 분위기에 맞춰 교육의 변화도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지식의 습득을 강조하던 교육에서 지식과 정보를 토대로 문제해결 또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교육의 흐름으로 변화시켰다. 이에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래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의 · 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한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제시하였고, 교과별 역량을 함께 제시하면서 학습자가 모든 교과를 통해 다양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체육과의 역량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체육과의 표현영역에 제시되어있는 댄스스포츠를 토대로 체육과 역량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학년별로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체육과의 종목별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교육현장에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가치를 높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는 체육과 역량을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특정 종목을 활용한 역량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미흡한 상황임을 밝혔다. 그리고 체육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역량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대 핵심역량에 대해 알아보고, 교과에서 다양한 역량을 찾아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교육부가 제시한 체육과의 역량과 각각의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절차 및 내용에 대해 제시하고자 댄스스포츠 종목 중 차차차와 룸바를 선정하여 학년별 프로그램 설계를 계획하였다. 프로그램을 도입, 전개, 정리 단계로 나누어 학년당 총 10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4장에서 연구의 결과로 제시하였다.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었으며, 학년별 및 차시별 학습지도 주제와 목표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체육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연 및 이를 통한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교육에서 중요과제로 제시된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체육과 역량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설계와 특정 종목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설계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포츠 종목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로그램을 통한 체육과의 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후속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연 및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가치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측면에 대해 풍성한 논의 및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포항시 일반계 고교의 국악교육 실태조사

        장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경상북도 포항시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조사를 통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포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0개교의 음악교사 10명, 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의 관심도 조사에서 교사는 80%, 학생은 12.9%로 국악교육에 관한 관심도가 교사는 높으나 학생은 저조하여, 국악교육에 대한 학생의 관심도 증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알았다. 둘째, 음악교사들의 국악 연수 실태 현황의 조사 결과로 최근 5년간 국악 연수를 2회 이하로 받은 음악교사는 80%로 나타났고, 그 중 20%의 교사는 국악 연수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국악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은 국악 연수가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를 ‘연수의 지속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음악교사들이 국악 연수에서 희망하는 교육내용으로는 ‘실기 및 이론 영역’이 90%였다. 셋째, 국악수업 실태의 조사결과로 30%의 교사들이 음악수업 중 국악수업의 비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수업 중 교과서의 내용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은 90%였으며, 60%의 교사들은 국악교육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현황이 확인되었다. 그 이유로는 50%의 교사들이 ‘교육환경의 미비’, 20%의 교사들이 ‘학교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교육과정’때문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국악지도에 어려움이 있는 영역으로는 ‘기악 영역’이 44.4%, ‘가창 영역’ 및 ‘창작 영역’이 각각 22.2%로, 이러한 영역을 지도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70%의 교사들이 ‘실기능력 및 이론적 지식 부족’으로 답변하였고, 30%의 교사들은 ‘교재 및 교구, 교육환경 미비’로 인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국악교육 만족도로는 긍정적인 응답이 30.3%로 저조하였다. 넷째, 국악교육 환경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로 90%의 학교에서는 별도의 국악실이 부재한 점과 국악교육을 위한 자료 및 국악기가 부족한 점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을 지적하였다.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국악기로는 타악기를 가장 많이 구비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관악기인 단소였다. 이외에 가야금 및 대금이 극소수의 학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포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의 국악교육 실태조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결여, 학생들의 무관심, 교육시설의 부재로 인한 열악한 교육화경 등을 쟁점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사들의 국악 연수 활성화,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흥미유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교의 교육시설 구비 등이 제안점이 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argeting general high schools in Pohang, Gyeongsangbukdo. For thi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0 music teachers and 287 students of 10 general schools in Pohang,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on each question of the survey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on the collected data.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spect of research on th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80% of teachers displayed interest while 12.9% of students displayed interest, accordingly, teachers displayed high interest and students displayed low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determined a plan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required.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music teachers’ participat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80% of music teachers received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less than twice within the recent 5 years, and 20% of them responded no experienc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responded the reason of no efficienc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lack of continuity of training’. 90% of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at the music teachers required was ‘practice and theory’. Thir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30%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propor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mong the music class was low. 90% of teachers progresses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based on the textbook, and 60%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felt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the reason, 50% of teachers responded ‘insu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20% of teachers responded ‘due to the curriculum that does not consider the situation of school’. In respect of the area where teachers felt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instrumental music’ appeared 44.4%, ‘singing area’ and ‘creative area’ appeared respectively 22.2%, and 70% of teachers responded the reason of difficulty in teaching such areas as ‘insufficient practical ability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30% of teachers responded,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tudents’ response satisfaction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displayed 30.3% in positive response, relatively low. Four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ointed out, such as absence of separate Korean traditional music room in school and insufficient materials an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90% of schools. Among the instruments owned by schools, percussion appeared most frequently, next, danso, wind instrument. Besides, only a few schools owned Gayageum and Daegeum. In conclus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general high schools in Pohang, the issues such as teachers’ insufficient professionalism, indifference of students, and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absence of educational facility were determined, and this research suggested activ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for teacher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o caus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epar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school to settle such problems.

      • 애니메이션이 아동미술표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연구

        김민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Making an absoute effect on children's life, cartoons and animations are types of visual communication that have often emerged in artistic expression naturally gearing with the characteristcs of the psychological and expressional development in childhood. For children in the stage of formation of their egos, the ability to perceive realities is developed from social experience in external environments. Accordingly, with regard to children, researches on the relation between cartoon animations and art education are essential, and this study is a part of such efforts. The contents and procedure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s, definitions and characterristics of cartoons cartoons and animations are described based on various materials. Secondly, the effects of cartoons and animations on art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 influential factor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from the social viewpoint and emotional viewpoint. Thirdly, for further objective study and assessment, the effects of cartoons animations are divided into positive ones and negative ones. In addition, aplan to utilize the positive effects as a material for art education for children is suggested. Fourthly, a questionnaire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collected data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validity of the present research. As we see in theoretical deliberations and surveys of diverse literature produced by previous researches, cartoons and anim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children. They are developed into natural forms of expression appearing in the pictures of the children. We expect that, if cartoons and animations are introduced in the course of art education and children have chances to watch them, they would widen the children's view and understanding of mass media as well as promte their visual sense to reinterpret and reproduce visual symbols in screen media. 애니메이션이 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견해와 부정적인 견해가 공존한다. 자아 형성기의 아동들이 현실 지각능력은 외부환경에 의한 사회적 학습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이는 현대 사회 생활 속에 일부가 되어버린 TV나 비디오, 컴퓨터등 영상매체가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애니메이션은 아동들의 행동양식 및 정서의식을 지배하는 단계까지 발전해왔다. 그러나 환경의 영향 속에서 성장하는 아동들이 그들의 생활과 밀접한 애니메이션의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한 것임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과 아동미술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이론적인 고찰과 설문지 조사를 통한 연구로써 애니메이션의 교육적인 순기능과 역기능을 살려 본 후 보다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측면에서 아동미술교육 자료로서 활용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관련 참고 자료 및 설문지를 통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니메이션 교육이 아동들에게 흥미와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마련해준다는 사실을 알아보고, 아동들에게 그림에 대한 미술 표현의 동기화와 흥미를 갖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무엇보다 애니메이션에 대한 현실적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설문조사에서 알 수 있듯이 아동들에게 있어 애니메이션이란 생활 속의 일부분이며 거의 절대적이고 또한 미술학습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크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을 결코 간과하거나 부정적인 선입견으로 도외시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아동들의 정서 및 창의력과 표현 발달과정에서의 필요한 도구로의 사회적인 인정과 함께 보다 긍정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은 단순한 형태, 간단한 스토리, 귀여운 캐릭터의 영향으로 그리기에 부담을 가지지 않았고, 이러한 매체에 대한 친숙함으로 수업동참의 강한 동기를 부여하여 그려봄으로써 아동들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만화작가의 기분을 느껴보는 대리만족감도 주었다. 만화. 애니메이션의 기발한 장면과 즐거운 스토리는 아동들의 정서함양과 창의력 신장에 크게 효과적이라는 것이 아동들이 그림에서 보였다. 둘째, 애니메이션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 때문에 자녀의 애니메이션교육을 통한 미술교육으로의 자연스러운 연결이나 발전 등을 오히려 막을 수도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렇지만 학부모가 애니메이션이 미술교육에 도움이 되고 자녀의 정서적 형성이나 표현의 다양성 등에 기여한다고 생각하고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이 많기 때문에 자녀에게 애니메이션의 올바른 시청과 좋은 애니메이션의 선택, 관람 등을 통해 자녀교육의 한 부분은 담당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들에게 절대적인 신뢰를 받고 있는 부모님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교사들의 조언으로서 애니메이션에 대한 밝은 이미지제고와 아동 스스로의 선별 시청을 할 수 있는 자아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에 대한 긍정적적인 효과를 유발시키고 교육적인 학습의욕을 고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애니메이션의 교육활용에 대한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요구된다. 미술교육에서는 아동들이 보다 쉬운 이해와 미술학습에의 창의력 및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미술교육자로서 한 단계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애니메이션의 제작자들 및 산업계 종사자들이 과학적인 검증 없이 이루어지는 양적인 팽창을 추구한다면 결과적으로 상업주의에 휘말려 소중한 문화, 사회, 경제적인 매체를 값싼 소비문화로 전락시키므로, 교육적인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책임 있고 사회적이며 의식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애니메이션 교육을 통해 아동의 미술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들에게 미술표현의 흥미와 즐거움을 증진시켰다. 지적, 정서적 지식과 교훈을 주며 현실 지각 능력 발달은 물론, 미술교육에서의 구조와 기능, 색채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가정과 교육계 및 정부차원에서도 아낌없는 투자와 연구개발이 지속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단계이다.

      • 도시형 농촌전원학교 교육활동경험이 고등학교 진학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배현숙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Qualitative study on influence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in urban type rural school on decision to go on to high school Bae Hyun Suk Major in counselling psychology a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Academic advisor Lee Yoon Jo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at experiences middle school students in transformative environment have through various education activities of urban type rural schools which are easy to access as they are close to large cities, and what influences the education experiences have on decision to go on to high schools. In this study, urban type rural schools mean nature friendl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myun in terms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re close to cities in terms of transportation, and have beautiful landscape. They also mean the schools which make efforts to overcome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hools and attempt new education with their own educational ideology and original operation method within the public educational framework. As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24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G in Dalseong-gu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interviewed from March, 2017 to February, 2018 in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by forming a certain theme for 4~8 participants. Depending on high schools to be attended, a total of 12 rounds were conducted as each rounds were conducted for group A(ordinary high schools), group B(special purpose high schools), group C (autonomous high schools), and group D(specialized high schools). In addition, as for the interview form, semi-open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prepared basic questions and necessary questions were additionally asked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ed analysis process. After the interview for group A was finish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group A, the interview for group B was conducted. The word-for-word record of the interview was repeatedly read to extract the concept of the minimum meaning unit and to induce categorization of the extracted concepts with common traits. The induced concepts and categorization were examined, common contents were confirmed and categorized again repeatedly. After the 1st analysis, when the 1st analysis results were examined, if problems to be resolved again are found or there are parts where concepts or categorization need to be revised, through the 2nd analysis modification was made, and the work of dividing concepts and categorization was conducted. In the 3rd analysis, changes about areas were made and categorization was confirmed. While the 3rd analysis results are examined again, the number of meaning data was check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checking th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inal examination proc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G were induced from six categories such as 1) self-discovery, 2) competence improvement, 3) career search, 4) whole-person change, 5) self-directed learning, 6) close relationship building. The factors that thes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affect were categorized largely into two such as 1) personal factor, 2) social factor. The conclusions earned from the factors which provided thes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in the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s in the urban type rural schools, not from the text books study of simply memorizing knowledge, but directly experiencing through various activities other than text books study, students naturally had positive experiences of self-discovery, competence improvement, career search, whole-person change, self-directed learning, and close relationship building. Second, as for the influences that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s of urban type rural schools have on the decision about high schools, students initially had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time, increased academic load, and insufficient ability to utilize time, but changed in a positive way and grew further. In the process, they came to learn by themselves, and think deeply, and they determined high schools among ordinary high schools,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utonomous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hey want to go as they grew further through whole-person changes. In summary. urban type rural schools' nature friendly school environment and the differentiated and unique educational activity experience from other schools, which allow students to grow with balanced knowledge and sensibility with the goal of making students to have cultural ability, maximized desire for exploration, and creative courage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provided students with positive influences. Not academic performance, but personal factors such as interest, ability, value development as well as influences from schools and regional community made students to determine which high school they would go in a self-directed way. 국문 초록 도시형농촌전원학교교육활동경험이고등학교 진학의사결정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질적연구 배 현 숙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이 윤 주 본 연구는 전환기적 환경에 놓여 있는 중학생들이 대도시와 인접해 교통이 편리한 도시형 농촌 농촌전원학교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이 학교교육활동경험들을 통해 고등학교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시형 농촌전원학교라 함은 행정구역상 면지역에 위치하며 교통여건상 도시와 가까운 농촌학교로 자연 경관이 아름다운 자연 친화적인 학교로, 공교육 틀 안에서 교육이념 및 운영 방식의 독창성을 가지고 기존의 학교교육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며 새로운 교육을 시도하는 학교를 말한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소재 G중학교 3학년 24명을 연구 대상자로 2017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방법으로 특정한 목적의 주제를 4명~8명의 참여자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진학 예정 고등학교 유형별로 A그룹(일반고), B그룹(특목고), C그룹(자율고), D그룹(특성화고) 각 3회씩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또한 인터뷰 형식은 반개방형으로 진행하여 미리 준비한 기본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필요한 질문을 추가로 제시하여 인터뷰를 이끌어가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미리 계획된 분석과정을 따라 이루어졌다. A그룹 인터뷰가 끝난 후 A그룹 분석결과를 기초로 B그룹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의 축어록을 반복해서 읽으며 최소한의 의미 자료 단위인 개념을 추출하고, 추출한 개념 중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갖는 것끼리 묶어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개념과 범주에 대해 검토하고 공통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재분류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1차 분석 후, 1차 분석 결과를 검토하면서 다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견되거나 개념 및 범주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2차 분석을 통해 수정하였고, 개념과 법주에 대한 영역을 나누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졌다. 3차 분석에서 영역에 대한 수정과 개념, 범주에 대한 확정을 하였다. 3차 분석 결과를 다시 검토하면서 의미자료 수를 체크하였고, 이를 대조하고 점검하는 작업을 하면서 최종 검토과정을 거치며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 G중학교 학생들의 교육활동 경험의 특징은 1) 자아발견, 2) 역량개발, 3) 진로탐색, 4) 전인적 변화, 5) 주도적 학습, 6) 친밀한 관계형성의 여섯 가지 범주에서 도출되었다. 이러한 교육활동 경험이 고등학교 진학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크게 1) 개인적 요인, 2) 사회적 요인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특징과 영향을 준 요인들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에서 단순히 지식을 암기해서 외우는 방식의 교과공부가 아닌, 교과 공부 외에 다양한 활동을 통해 스스로 부딪혀보고, 직접 경험하는 과정의 연속선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생들은 자아발견, 역량개발, 진로탐색, 전인적 변화, 주도적 학습, 친밀한 관계형성의 긍정적인 경험들을 하였다. 둘째,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이 고등학교 진학결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여유부족, 늘어난 학습량과 부족한 시간활용능력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게 되었다. 그 속에서 많은 것을 체득하고 깊게 생각할 줄 알게 되면서 한 뼘 더 성장하게 되어 전인적 변화를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반고, 특목고, 자율고, 특성화고등학교로 진학을 결정했다. 이를 종합해 보면, 도시형 농촌전원학교의 자연친화적인 학교환경과 학생들이 미래 사회를 대비해 문화적 역량과 탐구의욕을 극대화하여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용기 있는 학생을 교육목표로 삼아, 지성과 감성이 균형 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타학교와 차별화 된 특색 있는 교육활동경험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단순히 성적으로 고등학교를 결정하지 않고 흥미, 능력, 가치의 발달과 같인 개인요인 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역사회 등의 영향을 받아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찾아 고등학교 진학결정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고등학교 관악부 운영실태 조사연구 :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2009년)

        조혜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새로운 변화와 변혁의 시대인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고등학교 관악 교육은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관악부를 운영하는 고등학교에서는 관악 연습실 및 합주실 미확충, 재정적 지원 부족, 학부모 및 학교 관리자의 필요인식 결여, 체계적인 지도방법 및 연구 미비 등으로 고등학교 관악부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관악부의 운영 실태, 관악부 지도교사의 현황, 관악부원의 활동 실태 등을 조사 ‧ 분석하여 개선 방안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함이다. 경상북도지역 고등학교 관악부의 운영 실태와 지도교사 설문 조사 결과는 인문계열 보다는 실업계열의 학교에서 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주로 교내 외의 각종 행사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관악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도 관악부을 맡아 지도되고 있는 실정이고, 학교예산만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악기 구입 및 강사 초빙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설문 조사 결과 본인 희망에 의해 관악부 가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음대 진학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음악을 좋아하고 취미생활을 하고자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악부 활동이 성적하락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나 여가 활용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관악대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악부 활동을 통해 올바른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관악부원 모집 및 연주활동에 적극 협조 할 수 있는 학교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일반학과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융통성 있게 관악부 연습시간을 확보하여 체계적인 교육지도와 지도방법 연구를 통하여 양질의 관악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 기업 ‧ 동창회 ‧ 후원회 등 유기적인 경제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충분한 예산확보를 하여 교육환경 개선에 힘써야 한다. 넷째, 다양한 연주 기회를 제공하여 관악부원의 성취감을 갖게 하고, 학부모와 일반교사에게 관악부의 입지를 높이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문화예술발전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고등학교 교육이 대학입시위주의 학업분위기로 과열되어감에 따라 예능과목의 교육은 부가적 과목으로 치부되어 가고 있는 실정에서 턱없이 부족한 음악 수업 시수 편제에서 모든 음악적 효과를 거두는 것은 불가능하다. 입시위주교육의 양적 확대가 속 빈 강정처럼 부풀려지고 있지만 이는 교육의 올바른 길이 아님을 인식하고, 음악인의 한 사람으로서 고등학교 관악부 활성화로 인해 교육의 본질적 가치달성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나아갈 수 있으리라 본다. As the twenty-first century, a time of new change and revolution comes, wind musical education in high school aims at developing musical potentials and creativity of students, letting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music,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leading them to become a whole person. However, high schools that are operating wind instrument music clubs are hampering revitalization of their wind instrument music clubs due to failure to expand practice rooms and concert rooms,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lack of awareness of parents and school manager, inadequacy of systematic guidance methods and research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planning ways for improvement and efficient oper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advising teachers, activities of the club members in high school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in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the surveys of advising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clubs were mostly revitalized in the industrial classes rather than humanity classes and they were mainly operated for various internal events in the schools. Teachers who did not major wind instrument were guiding the club, and the clubs were mostly run by school budgets so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purchasing instruments and inviting instructors. As a result of surveying students, it was found that many students joined the club voluntarily and most of them played music as a hobby and not for entering college of music. Students' activities in the club did not affect their grades but there were some opinions pointing out that students had little leisure time. Based on the these, efficient operating methods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in high school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orm schools' atmosphere in a way that they can actively co-operate with the clubs to invite the club members and music playing activities by planting awareness that desirable educational effects can be obtained through activities in wind instrument music club. Second, quality wind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studying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instruction methods by procuring flexible practicing tim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affect daily classes. Third, educational environment must be improved by procuring sufficient budget through establishment of organic economic support system such as local community, corporations, alumni association, aid association and etc. Fourth, by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music playing opportunities the club members should have a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ir activities, parents and other school teachers will have more awareness of the club and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cultural and art development of the school and local community. As high school education is over heated with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 education of art subjects is becoming supplementary subjects. In such context, the number of music classes is decreasing and it is impossible to achieve every musical effects. Qual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 toward entrance examination is growing like a balloon but we need to be aware that this is not a desirable way of education. As a musician, I believe that revitalization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in high schools will take us one step closer to the essence of education.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 연계성 변천 연구

        채윤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의 변천을 국가 수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방법, 평가로 분석하여 알아보고,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교육목표 연계성의 변천은 어떠한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교육내용 연계성의 변천은 어떠한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교수 · 학습방법 연계성의 변천은 어떠한가? 4.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평가의 연계성 변천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목표 면에서 1차 ~ 5차까지의 유치원과 2차 ~ 6차까지의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비연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6차 유치원과 7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2007년 개정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연계를 이루고 있다. 둘째, 교육 내용의 면에서는 생물, 물리, 지구과학 분야로 나누어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1차 ~ 2차 유치원과 2차 ~ 3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비연계를 나타냈고, 3차 ~ 4차 유치원과 4차 ~ 5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연계를 나타냈다. 5차 ~ 6차 유치원과 6차 ~ 7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비연계를 나타냈으며, 2007년 개정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부분적 연계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수ㆍ학습 방법 면을 살펴보면 교수ㆍ학습 방법이 처음 나온 시기가 5차 유치원과 6차 초등학교 1학년이기 때문에 이 시기부터 비교하였다. 5차 ~ 2007년 개정 유치원과 6차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평가 면을 살펴보면 교수ㆍ학습과 마찬가지로 5차 유치원과 6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 제시되고 있다. 5차 ~ 2007년 개정 유치원과 6차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tinuity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he pedagogical methods; and evaluation. This study includes a survey of the existing literature with a view to finding possible ways in which the continuity of the curriculum may be enhanced. To this end, this study has formula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has the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2. How has the content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3. How has the pedagogical method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4. How has the evalua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continuity in terms of objective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Fif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from the Second Curriculum to the Six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However, the Six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the Seven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as well as the Reformed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from the year of 2007 maintain some continuity. Second, the curricula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in terms of content, under the categories of biology, physics, and earth science. While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the Second and Third Curricula for first graders did not show any continuity from one another,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the Fourth and Fifth Curricula for preschoolers showed continuity. While the Fifth and Sixth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a for first graders did not have continuity, the 2007 Reformed Curricula for both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retained continuity at least in some parts. Third, because pedagogical methods were officially addressed only beginning with the Fif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the Six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only the curricula from this period on were compared. The curricula for preschoolers, from the Fif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and the curricula for first graders, from the Six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maintained continuity in terms of pedagogical methods. Fourth, as in the case of pedagogical methods, evaluation was officially addressed only beginning with the Fif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the Six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and hence, only the curricula from this period on were compared. The curricula for preschoolers, from the Fif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and the curricula for first graders, from the Six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maintained continuity in terms of evaluation.

      • 체육 수업모형에 따른 영재 중등학생의 리더십 차이

        박정운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영재를 발굴하고 교육하는 영재학교와 특수목적 고등학교에서 지적 수준을 높이는 것에는 한국 사회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정작 지적 수준에 적합한 리더의 자질을 계발하고 증진시키는 것에는 충분한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실이다. 특히 체육 교과과정이 이러한 영재들에게 현대 사회에 요구되고 있는 리더의 자질을 교육하는 것에 일조하는지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이 연구는 다수의 국내 중등학교 체육 교과과정에서 활용되는 직접교수모형, 협동학습모형, 스포츠교육모형들을 활용한 체육 수업이 영재교육 중등학생들의 리더십에 끼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A 광역지자체 소재 영재교육 중등학교의 1, 2학년 116명을 대상으로 2학기 체육수업 전후의 리더십을 MLQ form6S를 활용하여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영재 교육 중등학교에서 실시중인 체육 교과과정은 학생들의 리더십의 증진에 도움이 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세 가지 체육교육 모형 간에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의 리더를 교육하고자 하는 영재교육 중등교육에 적합한 체육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 George Bernard Shaw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인식 : Mrs. Warren's Profession, Pygmalion, Saint Joan을 중심으로

        김미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George Bernard Shaw, a representative dramatist in the history of modern English literature, tries to abolish the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in English society. In 1884, he joined the British Fabian Society which was working for the gradual improvement of the harsh conditions for the lower class. As a Fabian socialist, Shaw asserted the equality of every one's rights, especially women's rights. Realizing that women were not treated or given the same rights as men, he was much concerned about the need for the discussion for the improvement of women's circumstances. To emancipate women from Victorian society, first of all, Shaw thought women's typical thinking about their conditions should be changed. Second, he believed that women's education was a precondition to becoming a professional, in which they could gain social and economic independence from men. In his plays, Shaw created realistic and independent women named the New Woman, different from the womanly women in Victorian society who had been the ideal of the period. He propagandized fo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wanted the contemporary people to be aware of the absurdities of the society and to take part in reforming the situation of the underprivileged.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circumstances of Victorian women and the ways in which Shaw's New Women realize the contradictions of society and become independent human beings through education and their occupation. Mrs. Warren in Mrs. Warren's profession earns her living by running a brothel and makes a fortune from it, so she becomes the target of social criticism. She refuses to be bound by a Victorian way of life, keeping her unemotional attitude toward life. Vivie in Mrs. Warren's profession is the perfect and ideal New Woman. She awakens to the social contradictions and her ignorance of real life through her mother. She is so well-educated a woman that she can have a job for her autonomous life and reject an ordinary way of life that Victorian society forces upon women. In Mrs. Warren's profession, Shaw implies that women's independence from that Victorian society, which was organized by men, can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and their career. Eliza in Pygmalion is a heroine entirely different from the Victorian society type of women rebelling against conventional environment. Like the Greek myth sculptor Pygmalion, Eliza is transfigured by Higgins into a duchess. She has a self-realization about social phenomena and progresses towards self-awareness as a human being. In Pygmalion, Shaw stress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hich was his lifelong interest. In this play, Shaw claims that if women are given equal opportunities, they will be able to display their abilities as well as men. Joan in Saint Joan achieves her own complete existence through her Life Force. Although she is uneducated, Joan is wise and independent enough to rebel against the old establishment of the medieval times with her Life Force. The end of Joan is not a simple death but a sacrifice for more creative evolution. In Saint Joan, Shaw suggests that women have a higher purpose for the society of mankind and therefore can play a key role in establishing an advanced world and can be the heroine in the history. In conclusion, Shaw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men's education and occupation which can lead to the liberation of women from all traditional customs and absurdities. Showing the process by which women become self-aware of their actual situation, he asserts the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his plays. 극작 활동을 통해 사회에 만연해 있는 부조리와 부패를 개선하고 보다 나은 삶을 제시하고자 했던 쇼는 시대와 사회에 관련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독창적인 사실주의 극을 확립시켰다. 사회구성원 모두가 평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쇼는 그의 작품을 통해 소외되고 힘들게 살아가는 약자들의 상황을 개선하려고 노력했다. 극작활동을 통해 사회에 만연된 부조리와 타락을 개선하고, 인류의 보다 나은 삶을 제시하고자 했던 쇼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었던 문제는 인류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쇼에게 있어서 그 시대의 인습과 사회제도는 인간의 참된 삶과 사회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여겨졌다. 당시 영국 사회는 과학의 발달로 인한 산업 혁명과 이전의 신념과 가치체계를 와해시키는 여러 가지 진보적인 사상들로 인하여 경제적, 사회적, 정신적인 면에서 일대 혼란기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들이 초래하는 다양한 모순들과 부차적인 문제점들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의식으로 새 환경에 적응하도록 촉구하면서 커다란 고통과 억압을 주었다. 특히 여성들에게는 남성들에게 받아온 불평등에서 벗어나야 하는 부담과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적응이라는 고통이 가중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들은 지식에 접근할 기회를 박탈당했으며 법적, 경제적으로 그들을 무력하게 만드는 결혼이라는 제도에 의해 예속의 상태가 더욱 강화되었다. 그들은 육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불리한 위치에 처해있었고, 시민으로서의 여성은 기본권의 일부가 법에 의해 보장되어 있지 않았다. 또 경제적, 정치적으로 활동력 있는 사회인으로서 여성은 선택의 자유와 조건의 평등을 누리지 못했다. 그리하여 쇼는 여성의 편에서 그들을 옹호하고 지지하는데 앞장섰으며, 그의 극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여성의 억압된 능력과 우월성을 보여주었고 이에 따른 온갖 비난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빅토리아 사회가 여성들에게 강요한 ‘여성다움’이라는 환상과 당시의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한 여성의 무지가 여성들이 그들의 상황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는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는 여성들이 교육을 통해 스스로의 존재의 가치와 위대성을 인식하고 올바른 자아를 찾아가기를 원했다. 그러나 여성들은 자신의 예속 상태를 인식하고 그것의 부당함을 깨닫기에는 너무 무지하였다. 그리하여 쇼는 다른 페미니스트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우선 교육을 통해서 여성이 자신들에게 강요된 부당한 현실을 자각하길 원한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여성이 가정이나 사회에서 그들의 당연한 권리와 지위를 주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전문적인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는 여성에게 삶에 대한 강한 의지가 잠재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그것을 살릴 수 있는 동등한 기회가 주어진다면 여성은 남성보다 더 우수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할 뿐만 아니라, 타고난 재능을 전문적인 직업에서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창조해낸 여성인물들은 인습적이고 전제적인 빅토리아 사회와 남성들을 거부하고 이에 저항하는 이성적, 현실적, 반낭만적인 신여성이다. 그의 신여성은 교육을 통해 현실을 직시하는 통찰력과 경제적인 자립능력을 지녔으며, 이를 통해 남성에게 의존하지 않는 독자적인 삶을 추구한다. 여성의 삶에의 강한 의지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자신의 삶을 개척할 뿐만 아니라 우주적인 방향으로 나아가 사회 발전과 인류 사회의 진보의 주역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이 ‘생명력’ 그 자체가 되어 역사적 영웅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신의 경지인 초인도 될 수 있게 한다. 본고에서는 쇼의 이러한 창조적인 인식에서 구현된 여러 작품 가운데서 『워렌 부인의 직업』,『피그말리온』,『성녀 조운』을 살펴보았다. 『워렌 부인의 직업』에서는 워렌 부인이라는 파격적인 여성인물이 경제적인 성공으로 독자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그녀의 딸 비비가 고등 교육으로 베일에 가려진 어머니의 직업의 폭로를 통해 사회의 모순을 깨닫고 내적 성장을 하며 독립을 성취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비비의 자아인식은 곧 정신적, 경제적 독립을 의미하며 이로 인하여 그녀는 기존사회의 인습과 부조리에 반항하여 독신을 선언하고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 나간다. 『피그말리온』에서는 일라이자가 언어 교육을 통하여 잠재된 자아를 인식하고 부당한 현실을 깨달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빈민가의 무지한 여성이 교육으로 계몽되어 자신의 독립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교육까지 실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진 진보된 모습으로 표출된다. 『피그말리온』에서 쇼는 빈민가의 꽃 파는 소녀가 교육을 통해 상류사회로 편입되는 과정을 의식의 변화와 함께 보여줌으로써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들이 여성의 교육, 전문적인 직업, 그리고 경제적 자립이라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빅토리아 시대의 인습과 부조리에 저항한 ‘여성답지 않은 여성’의 모습을 구현한 것이라면, 『성녀 조운』의 조운을 통해서는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 역사적 영웅인 완전한 신여성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작품인 『성녀 조운』에서 사회개혁가로 쇼는 여성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더욱 더 심화시켰고, 활력과 지력을 모두 갖춘 완전한 존재인 조운을 통해 개인적 측면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와 인류구원의 측면으로 확장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쇼가 창조해 낸 주인공들은 자신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좀 더 나은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완전한 자아의 모습을 가지게 된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이러한 모습들을 살피면서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무한한 생명력과 의지를 우리가 현재 처해있는 시대상에 맞추어 수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불어 우리에게 이러한 발전된 미래상을 제시해 준 쇼의 통찰력과 예지력은 그가 위대한 극작가임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게 한다.

      • 로웬펠드의 미술교육사상이 한국의 미술교육에 미친 영향 : 중등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신지영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Currently, Korean art education is affected by Lowenfeld's creativity-centered art education but we need to make a proper use of his thought in accordance with our social changes and create more effective methodology.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Lowenfeld's art education ideology and methodology and investigating the effect of his thought on Korean secondary art education based on the changing history of Korean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criticized the problem of his thought and methodology in terms of the reality of Korean art education centered on the educational course revised in 2007.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at seeking a new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art education. Lowenfeld's creativity-centered art education has always appeared on Korean art education purpose and continuously affected Korean art education since its introduction to Korea. His education is mainly focused on upbringing creativity through free self-expression and puts importance on expression process. And it points out children's total and harmonious growth by improving their aesthetic conception and developing creativity through art activity in phases since children's art expression is developing by degrees as well. Lowenfeld has stressed that more attention and efforts are necessary to provide meaningful art experiences for students in a secondary art education. Especially, creative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adolescent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m standing in the middle of our culture. Lowenfeld's creativity-centered, expression-emphasized, teacher's role-centered and course-stressed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on Korean art education curriculum after a proper modification. But it seem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verted a teacher into a student as the subject of art education, put importance on creativity and developed art education through many academic studi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has sought a new direction of Korean art education for further development. First,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is as important as expression. Second, recognition on creativity should be correctly conceptualized. Third, evaluation-centered art education and evaluation method should be improved. Fourth,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preparation for a culture age. Fifth, art education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learner's real life. Sixth, the education should be diversified in many scopes. Seventh, traditional art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Eighth, art education revision i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rapid change of this age. Lowenfeld's purpose, creativity improvement, has been steadily recommended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course of Korean art education, other areas such as aesthetic experience, appreciation, understanding and criticism are added and teacher's role is emphasized. However, just like shown in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various methods and systematic and scientific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preceded for crea- tive and voluntary nourishment of personality. Moreover, a new purpose method of art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complying with the digital network age. 현재 한국 미술교육은 로웬펠드의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사상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그의 사상을 적절히 이용해야 하며 더욱 효과적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로웬펠드의 미술교육사상 및 방법론을 분석해 보고 한국 중등미술교육에 미친 영향을 한국의 미술교육과정 변천을 토대로 알아보고 특히 현행 2007년 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 미술교육의 실태에 대한 그의 사상과 방법론의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한국 미술교육이 더욱 발전 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 하고자 했다. 로웬펠드의 창조주의 미술교육은 한국에 도입한 이후 꾸준히 한국의 미술교육 목표에 등장하며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로웬펠드의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은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통한 창의성의 육성에 의의를 두고 표현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그리고 어린이의 미술표현은 일정한 단계를 거쳐 발달하는데 각 단계에 맞는 미술활동을 통하여 창의성을 개발하고 미적인식을 향상시켜 어린이의 전체적이고 조화로운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중등미술교육에 있어서도 로웬펠드는 의미 있는 미술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청소년을 위한 의미 있는 창의적 미술프로그램은 문화 속에 위치한 청소년의 본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미적 발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로웬펠드가 창의성에 중점을 두어 미술교육의 표현만을 강조한 점과 교사의 역할을 동기 부여로 제한한 점,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 등은 한국의 미술 교육과정에서 수정, 보완되어 적용하여야 할 점이다. 하지만 미술교육의 주체를 학생으로 전환시키고 창의성을 중시하며 미술교육을 학문적으로 연구하여 발전시킨 데는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술교육 연구의 발달을 도모하고자 앞으로 한국 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표현 못지않게 감상과 이해도 중요하다. 둘째,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올바르게 개념화해야 한다. 셋째, 평가위주의 미술교육이 개선되고 평가방법에 있어서도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문화의 시대에 대비하는 미술교육이 이루어 져야 한다. 다섯째, 미술을 학습자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시켜 교육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미술영역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일곱째, 전통미술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여덟째, 급속한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미술교육 개정이 필요하다. 한국의 미술교육과정의 변천에 있어 항상 로웬펠드의 창의성 신장이라는 목표는 제시되어 왔다. 특히 한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성 함양을 위해 미적체험과 감상, 이해, 비평과 같은 영역을 추가하고 교사의 역할도 강조하였다. 그러나 미술 교육의 목표에서 나타난 대로 창의적이고 자발적인 인격 육성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방법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미술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져야 하며,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도래에 따라 새 교육과정의 목표 및 방법론도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