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일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가족 관계 비교분석연구 -부모와 그 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김유경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이 단순한 오락을 위한 볼거리가 아니라 사회의 변화와 흐름,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을 반영하는 대중 매체로 바라본다. 다시 말해서, 애니메이션은 사실적인 현실 묘사와 창조된 비현실이 혼합된 필름의 공간을 뛰어넘어서 인간과 사회를 해석하는 매체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통찰적 시각과 해석을 보여주고 있는 사회적 산물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가족 관계, 그 중에서 부모와 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자녀의 자아 정체성 형성과 사회화 과정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부모와 자녀 관계에 있어 전체적으로 어머니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강조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자녀의 입장과 요구에 따라서 가족 구성원 간의 소외와 갈등, 협력의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긍정적으로 묘사된 가족 관계는 가족 구성원들의 신뢰에 기초한 유대감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다. 대화 부재와 위계적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는 가족 관계는 상호불신과 저항으로 해체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열린 대화와 쌍방적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는 가족 관계는 상호신뢰와 사랑으로 결속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차이도 보인다. 일본 애니메이션이 가족 관계를 개인의 근원적이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저항과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하는데 반해, 한국 애니메이션은 혈연적이고 희망과 사랑의 공간으로 인식된다는 점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은 변화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급속히 해체되는 혈연적 가족 관계를 비혈연적인 공동체적 가족 관계로 대체하려는 반면, 한국 애니메이션은 부모와 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가족 관계를 이상적인 가족 모델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한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의 가족 관계에 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은 요인이 고려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일본 애니메이션과 대중 문화는 오타쿠와 매니아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개인의 개성보다는 집단의 규범을 강조하는 사회 속에서 가족, 학교, 국가가 제약하고 요구하는 가치관과 규범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상적 공간에서 해소하는 존재들이다. 특히, 현대의 대중 매체가 제공하는 환상 속에서 살기를 원하는 오타쿠들은 대중 문화의 중심적인 소비자이며 가상 세계에 친숙한 수용자인 대신에, 현실 세계의 타인과의 교제를 두려워하거나 거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오타쿠의 기호를 간파한 일본 대중 문화 산업이 이들의 구미에 맞는 상품을 공급하여 산업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오타쿠는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대중 문화 산업을 지탱하는 고정적인 소비자로서 대중 문화 산업의 원동력이다. 한국 애니메이션과 대중 문화에서 살펴보면, 한국 애니메이션은 오타쿠, 매니아만의 애니메이션이 아닌 대중들이 볼 수 있는 작품을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애니메이션은 일본이나 미국 애니메이션이 가진 기술적인 노하우와 서사적 완성도가 가진 오랜 성장과 발전에 비해 짧은 성장 추세에서 어떠한 특정한 대상을 소비자의 중심으로 설정하기보다는 전 연령을 아우르는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작품을 제작하려는 특성이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애니메이션의 내용에서 가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유는 일반 대중을 만족시킬 수 있고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 질 수 있는 것, 여기에 일본 애니메이션과는 다른 차별적인 애니메이션을 위해서 한국적 정서를 반영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도 대중 문화에 열광하는 매니아나 팬들은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이 사회의 제도와 규범을 불신하고 이에 저항하거나 도피하는 의미에서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대중 문화를 소비한다는 점은 일정 정도 이해가 가능하지만 그 점이 전부라고 보여지는 오타쿠와 성격이 같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들이 대중 문화를 소비하는 것은 여가 문화를 바탕으로 한 문화 생활, 취미 생활의 한 부분이 볼 수 있는 것이다. 물질적 풍요와 생활의 여유 속에 양육되어 온 현대의 젊은 세대들은 자기류의 소비 성향과 가치에 따라 스스로 좋아하는 문화에 심취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의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대중 문화의 소비자들은 일본의 오타쿠와는 그 출생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이다. 위와 같은 내용들을 살펴볼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단순히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거나 환상과 낭만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과 서로 상호 교류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갖는 매체이며, 동시에 현대 사회의 특성과 문제점을 해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산물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가족 관계는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가족 관계의 변화와 문제점을 지적하고 애니메이션 내에서 가족 구성원을 존중하고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수평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서 바람직한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형성하려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애니메이션은 감상하는 일반 대중의 의식과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재해석하여 이들이 추구하는 가족 관계와 그를 통한 새로운 사회적 관계 형성을 제시하려는 특성을 보인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s a family component expressed in the Animations This study chooses two Japanese animations <Neon Genesis Evangelion>, <Spirited Away> and two Korean animations <Oseam>, <White Heart Baeg-Gu> as a text for comparative analysis. In the Japanese animations,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ponents dissolves due to the deficiency of confidence and trustship which is mainly resulted from the absence of dialogue between family members. Unlike Japa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he Korean animations is generally symbolized as Hope and Liveliness which is ascribed to the presence of confidence and trustship between family members. If this thesis taken,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is explained that the producers in Japan speak too much for the place of the children(otaku) on the assumption that they are direct consumers of the animation. on the other hand, the Korea producers moderately take the place of the parents into consideration with the reason that they are indirect consumers of the animation as well.

      • 생각수학노트쓰기활동이 학습부진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흥미.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유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athematics thinking-notebook writing Activity and Mathematics Attitudes of mathematics underachieved students. The performances of three students were under 60% on the distinction exam. Before thinking-notebook writing procedures,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learning styles and mathematical attitudes were investigated through mathematical attitude test. After 20th thinking-notebook writing Activity, follow-up survey and mathematical attitude test were conducted. In conclusion, the mathematics thinking-notebook writing Activity helps the underachievers to improve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nd effective learning attitude. The effect will have a further positive influence in improving the student' achievement levels and mathematical thinking faculties.

      • 청각처리장애 위험군 아동의 언어적 청각처리 특징에 관한 연구

        김유경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APD(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PD)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으며, 현재는 이들의 존재를 부정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APD 아동은 청각처리의 문제로 인해 구어 및 문어, 주의력, 학습 등에 어려움을 수반할 수 있으며, 이는 APD와 언어장애, 읽기장애, ADHD, 학습장애의 감별진단을 위해 다학문적 평가를 요구한다. APD 위험군 아동의 언어적 청각처리 평가는 아동의 청각처리 문제에 대해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기능적인 청각처리 문제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진단과 중재 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중추청각 검사를 받지 못하는 어린 APD 위험군 아동의 청각처리 문제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선별과정에서도 요구된다. 그러나 현 국내 실정상 APD 아동은 진단이 불가능하며,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이 또한 부족하여 APD 아동의 진단과 재활이 지체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APD 위험군 아동의 언어적 청각처리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청각처리에 문제를 가질 위험률이 높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언어문제에 따른 APD 위험군 아동의 언어적 청각처리 특징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평가 시 고려사항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6세에서 11세의 언어문제가 있는 APD 위험군 아동 19명, 언어문제가 없는 APD 위험군 아동 13명, 일반 아동 46명을 연구대상으로 6~8세와 9~11세 연령범위에 따라 세 집단 간 언어적 청각처리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언어적 청각정각처리의 특징은 청각신호의 수용, 청각신호의 유지, 청각신호의 조작, 청각신호의 통합 영역별로 개발한 하위검사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PD 위험군 아동의 청각신호의 수용을 평가하기 위해 단어변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언어문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APD 위험군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66%의 APD 위험군 아동이 통제집단의 -2SD 분포에 포함되어 많은 APD 위험군 아동이 청각변별에 명백한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세 집단이 다른 경향이 나타나 집단과 연령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둘째, APD 위험군 아동의 청각신호의 유지를 평가하기 위해 순차적 단어 따라말하기와 문장 따라말하기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APD 위험군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순차적 단어 따라말하기에서는 약 41%의 APD 위험군 아동이, 문장 따라말하기에서는 약 69%의 APD 위험군 아동이 통제집단의 -2SD 분포에 포함되어 많은 APD 위험군 아동이 청각기억, 청각순서화에 명백한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과 집단 간 상호작용은 없었으며,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APD 위험 군 간의 차이는 문장 따라말하기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APD 위험군 아동의 청각신호의 조작을 평가하기 위해 음소탈락과 음소합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언어문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APD 위험군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두 APD 위험군 모두 9~11세 연령집단에서만 70% 이상의 아동이 통제집단의 -2SD 분포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많은 9~11세 APD 위험군 아동이 청각분절, 청각합성, 청각분석에 명백한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과 집단 간 상호작용은 없었으며,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APD 위험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APD 위험군 아동의 청각신호의 통합을 평가하기 위해 의미적 관련 단어 찾기, 복문이해, 지시따르기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언어문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APD 위험군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모든 하위검사에서 적어도 70% 이상의 APD 위험군 아동이 통제집단의 -2SD 분포에 포함되어 많은 APD 위험군 아동이 청각통합, 청각연합에 명백한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미적 관련 단어 찾기 검사에서는 연령과 집단 간 상호작용은 없었으며,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APD 위험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복문이해와 지시따르기 검사에서는 연령의 증가에 따른 세 집단이 다른 경향이 나타나 집단과 연령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많은 APD 위험군 아동들이 청각변별, 청각기억, 청각순서화, 청각분절, 청각합성, 청각분석, 청각통합, 청각연합과 같은 언어적 청각처리에 명백한 어려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들의 APD 위험률이 높음을 주장할 수 있다. 그리고 APD 위험군 아동의 언어적 청각처리는 하위 기술에 따라 발달정도와 언어문제의 영향력이 다르며, 높은 수준의 언어적 청각처리 기술일수록 언어처리 문제가 반영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 청각처리의 평가 시 하위검사에 따라 연령, 각 하위 기술들 간의 관련성, 언어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평가함으로써 APD 위험군 아동의 청각처리의 문제를 더욱 민감하게 예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PD(auditory processing disorder: APD) have been discussed by many researchers for the last decades, and many studies have been accomplished as much as their existence can not be denied. APD children can be accompanied by the difficultie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ttention, learning etc. because of auditory processing problem, and it requires multidisciplinary assessment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APD and language disorder, reading disorder, ADHD and learning disorder.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evaluation to children at APD risk is required essentially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the point that it can give the added informations to children's auditory processing problem and can review functional auditory processing problem. Also, in order to expect exactly auditory processing problem of children at APD risk who did not have central auditory test, it is required in the screening process. But, it is impossible to diagnose APD children according to the real situation within the country, and the diagnosis and the rehabilitation to APD children are delayed as the related specialists' recognition is deficient.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at they have high possibility that they can have problem in auditory processing, as reviewing children at APD risk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features, and find out the considered items in assessment, as reviewing the difference in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features according to language problem of children at APD risk. For this, 19 children having language problem at children at APD risk, 13 children having no language problem at children at APD risk and 46 control children, between 6 and 11 years old, are targeted, and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features between three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age range, 6~8 and 9~11 years old.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features were evaluated with the subtest developed according to the each area of auditory signal reception, auditory signal memory, auditory signal manipulation, and auditory signal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word discrimination test evaluate auditory signal reception of children at APD risk, all APD risk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low score comparing to control group regardless of language problem existing or not. And, it was confirmed that many children at APD risk group have clear difficulty in auditory discrimination, as 66% of APD risk group are included in -2SD distribution of control group. As three groups showed different trends according to age gr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age happened. Secondly, as a result of word sequences repetition and sentence repetition tests to evaluate auditory signal memory of children at APD risk group, all APD risk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low score comparing to control group. And, in case of word sequences repetition, about 41% of APD risk group, in case of sentence repetition, 69% of APD risk group are included in -2SD distribution of control group. So,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at APD risk group have clear difficulty in auditory memory and auditory sequencing.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age, a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g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But, as a result of post hoc test, the difference between APD risk groups happened only in sentence repetition. Thirdly, as a result of phonemic deletion and phonemic blending tests to evaluate auditory signal manipulation of children at APD risk group, all APD risk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low score comparing to control group regardless of language problem existing or not. But, only in case of 9~11 age, more than 70% of all two APD risk groups are included in -2SD distribution. So, it was confirmed that many children at APD risk group in 9~11 age have clear difficulty in auditory segmentation, auditory blending, and auditory analysis.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age, a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g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But, as a result of post hoc test, the difference between APD risk groups did not happen. Fourthly, as a result of semantic relationship word finding, complex sentence, and following direction tests to evaluate auditory signal integration of children at APD risk group, all APD risk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low score comparing to control group regardless of language problem existing or not. And, it was confirmed that many children at APD risk group have clear difficulty in auditory association, as at least more than 70% of APD risk group are included in -2SD distribution of control group. In case of semantic relationship word finding tes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age, a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g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But, as a result of post hoc test, the difference between APD risk groups did not happen. But, in case of complex sentence and following direction, as three groups showed different trends according to age gr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age happened.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analyzed that many children at APD risk group have clear difficulty in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such as auditory discrimination, auditory memory, auditory sequencing, auditory segmentation, auditory blending, auditory analysis, auditory association and auditory cohesion. And it can be insisted that their APD risk rate be high. Also, it can be analyzed that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of children at APD risk group have the different growing degree and language problem's influence according to the lower skill, and linguistic processing problem can be reflected as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skill becomes higher level.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linguistic auditory processing problems of children at APD risk group can be expected more sensitively, as being evaluated considering age, relationship between lower grade skills, and linguistic factor.

      • 혼합물 성분 공정변수 실험설계에 대한 연구

        김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혼합물 실험에서 관심이 있는 반응변수는 혼합물 성분들의 비율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공정 조건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공정변수는 혼합물의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공정변수의 수준 값이 달라지면 혼합물의 배합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효율적인 혼합물 성분-공정변수 실험설계는 교적모형으로써 결합 모형인 혼합물 성분-공정변수의 모형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혼합물 성분-공정변수실험에서 두개의 모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모형의 결합모형으로는 특별 3차 혼합물 모형과 2차의 공정변수 모형을 고려하고, 교적모형에서 4차 교호작용효과의 항까지 포함하는 모형이다. 두 번째 모형의 결합모형으로는 특별 3차 혼합물 모형과 2차의 공정변수 모형을 고려하고, 교적모형에서 공정변수의 순수 2차 효과와 혼합물 성분의 이차 효과들 간의 교호작용인 4차 교호작용효과항만을 포함하는 모형이다. 그리고 제안된 결합 모형에 대해 D-최적기준, G-최적기준, I-최적기준, A-최적기준의 효율들에 강건한 실험설계를 찾는다. 다음으로 제안된 모형의 회귀계수의 추정에 효율적인 강건한 실험설계를 구하는 것이다. FDS(Fraction of Design Space) 그림을 통해 혼합물 성분들의 수인 q=3, 공정변수들의 수인 p=2인 경우와 혼합물 성분들의 수인 q=3, 공정변수들의 수인 p=3인 경우에 대해 추천된 실험설계들의 예측력을 평가하여 좋은 실험설계를 찾는다. In many mixture experiments, interested response depends not only on the proportions of the components in the mixture, but also on the condition of the process variables. In a experiment, process variables are not mixture components but if the levels of the process variables change, they could affect the blending properties of the mixture ingredients. Efficient designs for the mixture components process variables experiments depend on the mixture components process variables model which is called a combined model as product model. In this thesis we propose two models for mixture components process variables experiments. First model we are considering is the model which includes product terms up to quartic order interactions between special cubic effect of the mixture effects and quadratic effect of the process variables from the product model. Second model we are considering is the model which includes product terms up to quartic order interactions between quadratic effect of the mixture effects and pure quadratic effect of the process variables from the product model. And we propose a method for finding robust designs with respect to D-, G-, I-, and A-optimality for the proposed combined models. And then, we find efficient and robust designs for estimat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for the proposed model. We find the prediction capability of those recommended designs in the case of three components and two process variables, three components and three process variables to be good by checking FDS(Fraction of Design Space) plots.

      • 세계를 품은 소리풍경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 <거울>, <향수> 이미지와 사운드 분석

        김유경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Andrei Arsen’evich Tarkovskii : 1932-1986) 영화 미학에 접근하는 중요한 출발 지점은 시간이다. 타르코프스키 영화에서 시간은 인간과 세계가 존재를 드러내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독창적인 미학적 양식으로 나타난다. 이미지로 구현된 시간은 카메라에 포착되는 모든 것의 움직임과 그것을 포착하는 카메라의 움직임에 의해 개별 쇼트 안에 특유의 리듬을 새겨 넣는다. 또한 그의 영화 안에서 시간은 인간의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삶뿐만이 아니라 예술, 그리고 세계를 구성하는 모든 존재들이 각각 시간의 결정체로 포착된다. 타르코프스키 영화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이 ‘시간’과 시간을 구성하는 개별적 결정체들을 분석하는 이미지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타르코프스키 영화를 이미지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것은 이 감독이 말하는 예술의 본질이 되어야 하는 삶의 진실 중 하나가 결여된 세계를 보는 것이다. 그의 영화에서 사운드는 이미지와 독립적으로 자기 세계를 구축하면서도 하나의 유기체처럼 조직되어 있다. 음성과 음악의 표현에서도 뛰어난 성취를 보이지만 특히 음향은 그의 영화 전체를 관통하며 반복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타르코프스키 영화에서 사운드, 특히 음향의 표현양식이 이미지와 어떤 관계 맺음을 통해 나타나고 미학적 효과를 완성해내는지를 추적해 보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 감독이 영화를 구성하는 여러 질료 중, 그의 예술이 나아갈 수 있는 바탕이 되었던 러시아의 풍경과 소리풍경이 개인적 체험과 소통하고 구체화되는 지점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7편의 장편영화 중 작가의 자전적 체험이 예술적 바탕을 이뤘던 두 작품 <거울 The Mirror>(1974)과 <향수 Nostalghia>(1983)를 주요한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영화 사운드의 역사에서 음향의 미학적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기와 그 대표적인 사례를 미셸 시옹의 저작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타르코프스키 영화 음향의 변별점을 모색했으며, 그 음향을 대표하는 소음을 조직하는 관점은 소음을 예술의 중요한 가치로 발견한 구체음악(La Musuque concrete)과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개념에서 그 의미를 찾았다. 본론에서는 ‘풍경’과 ‘소리풍경’에 대한 영화 이론가들의 접근으로 방향을 넓혀, 타르코프스키 영화 전편에서 풍경과 소리풍경이 조직되는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타르코프스키 영화 음향의 미학적 가치를 논의해 보고, 나아가 <거울>과 <향수>에 집중해 풍경과 소리풍경의 관점에서 타르코프스키 영화 음향의 중요한 성취에 접근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