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자유치방식에 의한 교육시설 사업에 관한 연구 : 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정승원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경제 수준이 향상될수록 국민의 교육·복지·문화서비스에 대한 요구 수준은 날로 높아진다. 이러한 분야에 양질의 시설을 확충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는 일은 복지를 기반으로 지식정보화 사회의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관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 정부의 재정여건 상 국민요구에 부응한 시설투자가 적절한 시기에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5년 1월에 개정된 민간투자법에서 대상사업의 범위가 학교시설·노인요양시설·문화시설 등의 교육 및 복지관련 9개 생활기반시설을 포함하는 44개시설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제도는 경제적 인프라시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프라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영국, 일본, 호주와 같은 선진국에서도 민자유치사업(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대상시설 중 학교시설이 가장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어느 나라에나 교육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국가 인프라로서 시설노후화와 시설확충에 대한 재정적 수요가 크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학생 수와 규모의 증가 등 외형적 팽창에 비해 21세기의 변화하는 상황에 적합한 교육 및 연구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의 주된 원인은 대학이 자체적으로 시설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방식이라 할 수 있는 민자유치사업 방식은 지식기반 사회를 창출하는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 즉 시설재원확보 및 운영의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시설에 대한 민자유치사업의 경험이나 사례가 적어 실질적인 사업참여에 앞서 민자유치사업과 학교에 대한 이해와 사전검토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자유치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시설 즉 대학 기숙사 사업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사례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사례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은 다른 부문도 많이 있겠지만 참여자 관점의 차이나 사업구조 상의 문제 등의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금리 및 Cash Flow 등을 포함하는 금융문제 그리고 관리비 정산, 수요부족, 감가상각 등을 포함하는 운영에 대한 문제점으로 요약하였고 민자유치방식을 활용한 대학기숙사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민자유치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연구했지만 위 사업 방식이 갖고 있는 장점에 비교한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점이므로 앞으로 제도적인 보완을 통하여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간다면 사회기반시설의 조기 확충에 적합한 사업방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ecessity level fort education, welfare and cultural service of the nation is getting higher day by day throughout the world. Expanding good quality faciliti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this field is a key point in improving the growth potential of knowledge/information literacy society. However, considering the financial condition of our current government, there is not enough investment on facilities to meet our nation's expectations in an appropriate time. In the private investment law that was revised on Jan. 2005, the range of project has been expanded up to 44 facilities including 9 life infrastructure facilities related to education and welfare such as education facilities, the aged convalescence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etc. Among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ngland, Japan and Australia, education facility is the most actively enforced project. As the most fundamental national infrastructure for education in any countries, this is due to high financial demand on facility senescent and expansion. As for our country, compared to the external inflation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size, the education and research facilitie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meet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21st century. The main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lack of a system to secure our own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organized framework to support this system. However,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hich can be called the new method should perform a big role in improving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that is, securing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efficiency of operation. However, as the experience or precedent is less in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for education facilities, understanding and advancing investigation on education is very much needed before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this project can begin. So in this research, to stud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r college dormitory project mainly by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e sought future plan through studying precedents. The first problem that comes up by studying precedents is the difference in participants view or business structure, financial problem including cash flow and operational problem including administration costs, insufficient demand, depreciation. Although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s of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these are problems that can be solved compared to the advantages of the above project method. If we deal with these problems through institutional supplement, this method will surely become a suitable project method in early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이 언어병리학 전공 대학원생의 음성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이영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주관적 음성평가는 숙련된 평가자의 훈련된 귀만 있으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 중 GRBAS 척도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평가자나 평가환경에 따라 그 결과가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음성평가 방법의 지각훈련을 통해, 평가자 간 또는 평가자 내 신뢰도를 높이는 데 유용한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음성 샘플은 모음/ㅏ, ㅔ, ㅣ, ㅗ, ㅜ/의 연속 발성과 문단 읽기로 구성되었으며, 정상 청력을 가진 음성 언어장애전문가와 언어병리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 30명이 참가하였다. 음성 언어장애전문가가 60개의 샘플들을 GRBAS 척도의 중증도에 따라 분류한 뒤, 40개는 평가용(30개의 이상음성과 10개의 정상음성), 20개는 훈련용으로 사용하였다. 훈련 전 기준선 측정을 위해 대학원생들에게 GRBAS 척도로 평가를 하게 한 후, 20개의 훈련용 음성샘플을 이용하여 한 주에 1시간씩 2주간 음성평가 훈련을 실시한 다음, 처음 들려주었던 40개의 음성샘플로 GRBAS 척도를 재평가하게 하여 훈련 전후를 비교하였다. 훈련기간 동안 GRBAS 척도의 각 정의 및 특징을 설명하고, 음성샘플을 들려준 후 실시한 GRBAS 척도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주었다. 평가자 내 신뢰도를 위해서 대상자의 15%에 해당하는 4명의 대학원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각 훈련 전과 훈련 후 평가용 음성을 재평가하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평가자내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훈련 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재분석하였다. GRBAS 척도를 이용한 청지각적 평가훈련은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의 평가자 내와 평가자 간에 높은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훈련 전-후 평가자 간 신뢰도(r)는 모음에서 훈련 전.504에서 훈련 후 .806, 문단은 훈련 전 .352에서 훈련 후 .768로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훈련 전-후 평가자 내 신뢰도도 모음에서 G는 .514에서 .729, R은 .476에서 .706, B는 .489에서 .721, A는 .532에서 .735, S는 .487에서 .714로, 문단에서 G는 .471에서 .832, R은 .477에서 .799, B는 .524에서 .785, A는 .425에서 .743, S는 .520에서 .829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음성은 다차원적이기 때문에, 일관성과 신뢰성이 있는 청지각적 음성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언어장애전문가가 되기 위해 준비 중인 언어병리학 전공 대학원생이나 임상을 막 시작하려고 하는 초보 언어장애전문가의 경우, 음성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보다 일관되며 신뢰성 있는 음성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지각적 음성평가 훈련을 통한 음성평가의 신뢰도 향상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음성평가를 위한 표준적이고 일관성 있으며, 신뢰성 있는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됨을 밝히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ceptual training on the reliability of voice quality evaluation for graduate students in speech pathology program. Sixty voice samples were selected from a database by two qualified SLPs. Samples included 40 test stimuli and 20 training stimuli of both sustained vowels and connected speech. Thirty graduate students in speech pathology program were trained for two weeks. For training, after th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the definitions of rating dimensions and perceptually evaluated 20 training stimuli with GRBAS scale. Then, they were given feedback in their rating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y evaluated voice quality in 30 dysphonic voice and 10 normal voices, using GRBAS scale. Intra-rater reliability was calculated from the randomly selected 15% samples throughout the testing block. Matched paired two-sample t-test was then calcula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aining reliability values. Inter-rater reliability was calcula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After the training, intra-rater reliability and inter-reli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lso, pre- and post-train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ual rating to evaluate voice quality is a subjective method, which needs sufficient training. Therefore, the use of perceptual anchors and perceptual training program for reliable perceptual rating should be developed.

      •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정은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an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six cas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including three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nd another three overse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s and detail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tudy then conducted a surve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 total of 38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37(97.4%) responded that they had no writte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investigator presented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collectional development policies,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examining six cases of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in both domestic and abroad, and analyzing the survey from 38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Such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epresenting the general status and; 2) internal factor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Reflecting both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factors,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by identifying seven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when developing the policy: prefaces, collection selection, collection gathering, budget, collection maintenance, mutual cooperation and intellectual freedom, and revision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even elements were, then, further classified as required, selective, and additional,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cademic libraries at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with no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be able to apply the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presented in the study and utilize it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ose libraries that already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also be able to make use of the model when revising.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방안과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사례로 각 3개관 총 6개관을 대상으로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 및 세부사항을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8문항으로 나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38개의 신학대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7개관이 성문화된 장서개발정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을 일반 현황인 외적 환경요인과 장서개발정책의 구성내용 면에서의 내적 요인으로 나눠 제시하였다. 장서개발정책 수립 요인을 기초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였다. 내용은 서문, 장서의 선정, 장서의 수집, 예산, 장서의 유지 및 관리, 상호협력과 지적자유, 장서개발정책 개정의 7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구별하여 필수․선택․추가 등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은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요인과 모형을 준용하여 장서개발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미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된 신학대학교도서관의 경우에는 보다 이상적인 방향으로 개정을 도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기상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Sign language based on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prospects.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139 dissertations were unearthed using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year 1983, when the dissertation on Korean Sign Language was first published, is Kim Seung Kook's doctoral dissertation. Since then, a total of 139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of which 122 (87.8%) have master's papers and 17 (12.2%) have doctoral dissertations. Second, looking at the studies in detail by chronological trends, ① 1st Period (1983-2001): From 1983 to 2001, a total of 20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cluding 17 master's thesi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② 2nd Period (2002-2015): A total of 88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by 2015 with 77 master's and 11 doctoral dissert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Department in the master's courses of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2002. ③ 3rd Period (2016-2019):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in 2016, 31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including 28 master's dissertation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Third, based on the research topics, “Sign Language" dissertati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46 dissertations(36 master's and 10 Ph.D.'s), followed by “Sign Language Interpretion" (38 dissertations), “Engineering Research" (36 dissertations), “Others" (15 dissertations), and "Sign Language Education" (4 dissertations). In addition, by research method, 50 literature review (36.0%), 34 engineering research (24.7%), 31 survey research (22.3%), and 24 qualitative research (17.3%). Fourthly, a total of 56 Graduate schools published their dissertations, and the one that published the most dissertations was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the first to set up graduate schools. A total of 28 dissertations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27 and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1 were published,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Welfare at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Next, 15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the Daegu University, which included 10 from the special education category (6 master's and 4 doctoral dissertations), and 5 from the social welfare category (4 master's and 1 doctoral dissertations). In addition, 9 dissertations (7 masters, 2 doctoral doctors) were published at Kangnam University,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Dankook University. 6 universities have published 3 or 4 dissertations, and a total of 46 universities have less than three dissertation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s were as follows by dividing it into “Sign Languag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Sign Language Education". A total of 46 dissertations (36 master's and 10 Ph.D.) were published in the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and 10 dissertations (7 master's and 3 Ph.D.) in the 1st Period and 28 dissertations (22 masters and 6 Ph.D.) in the 2nd Period,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Ph.D.) in the 3rd Period. A total of 38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were published (34 masters and 4 Ph.D.), the 1st Period, two Master's dissertations, the 2nd Period, 26 dissertations (23 masters and 3 Ph.D.) and in the 3rd Period, 10 dissertations (9 masters and 1 Ph.D.) were published. A total of 4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 the study on “Sign Language Education". Among these, 2 dissertations were related to the 'Textbook', 1 study on the survey and the other on the improvement plan, and 1 related to the curriculum. The most recent dissertation was published in 2017, which is the least developed among other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Based on the above trend analysis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rawn as follows : First is the diversity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and themes.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areas and themes and the increasing trend will lead to more active sign language research. Secon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in the research category as a sub-area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research area of Korean Sign Language will be more activated. Third, the research methods of Sign Language research need to be extended to a more creative and linguistic approa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formed the basic data which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Sign Language and foreca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not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detail based on a sophisticated research analysis framework.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First, a more in-depth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dissertations and data is needed. Second, the result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study produced by the dissert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Database' to make it easier to utilize. Third, we should actively train the Deaf researchers who use the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본 연구는 한국수어 관련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수어연구의 연대별 특성을 규명하고, 향후 연구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수어 관련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139편의 학위논문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 관련 논문이 처음 발표된 연도는 1983년이며, 이는 김승국의 박사학위 논문이다. 그 이후 현재까지 총 139편의 학위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 중 석사논문이 122편(87.8%), 박사 논문이 17편(12.2%)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대별로 연구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① 제1기(1983-2001): 1983년부터 2001년까지 석사논문 17편, 박사논문 3편 등 총 20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② 제2기(2002-2015): 2002년 대학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 수화통역학과가 설립된 이후부터 2015년까지 석사논문 77편, 박사논문 11편으로 총 8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③ 제3기(2016-현재): 2016년 「한국수화언어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3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중 석사논문이 28편, 박사논문이 3편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별로 살펴본 결과로는 ‘수화언어’ 관련 논문이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수어통역’(38편), ‘공학적 연구’(36편), ‘기타’(15편), ‘수어교육’(4편) 순이었다. 아울러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 50편(36.0%), 공학연구 34편(24.4%), 조사연구 31편(22.3%), 질적연구 24편(17.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총 56개 대학에서 학위논문이 나왔는데, 제일 많은 논문을 산출한 대학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수어 관련 석사과정을 설치한 나사렛대학교였다.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국제수화통역학과를 중심으로 총 28편의 논문(국제수화통역학과 17편, 재활학과 1편)이 나왔다. 그 다음으로 대구대학교에서 15편의 논문 중 특수교육 계열에서 10편(석사 6편, 박사 4편), 사회복지 계열에서 5편(석사 4편, 박사 1편)이었다. 그 외 강남대학교에서 9편(석사 7편, 박사 2편), 단국대학교에서 8편의 논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3∼4개의 논문을 발표한 대학은 6개이며, 3개 미만의 논문이 나온 대학은 총 46개이다. 다섯째, 한국수어 연구를 ‘수화언어’, ‘수어통역’, ‘수어교육’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화언어’와 관련한 논문은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기간 동안 10편(석사 7편, 박사 3편), 제2기 28편(석사 22편, 박사 6편), 제3기 8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통역’과 관련한 논문은 총 38편(석사 34편, 박사 4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때는 석사논문 2편, 제2기 26편(석사 23편, 박사 3편), 제3기 10편(석사 9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총 4편의 석사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중 교재와 관련한 논문이 2편이며,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편, 교육과정과 관련한 논문이 1편이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논문이 2017년이며, 다른 한국수어 연구 분야 중에서는 가장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동향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분야와 주제의 다양성이다. 연구 영역과 주제가 다양하고 점점 증가 추세로 향후 수어연구는 더욱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둘째, 장애인복지와 특수교육의 하위 영역으로서의 연구범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가 점차 수어학 영역이 구축되어져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한국수어만의 연구영역이 보다 더 확고해질 것이다. 셋째, 수어연구를 수행하는 연구방법이 보다 더 창의적이며 언어학적인 접근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데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형성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정교한 연구 분석틀을 토대로 세밀하게 연구 동향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그럼에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 연구의 동향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끝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자료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내용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학위 논문으로 산출된 한국수어 연구의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한다.

      • 예비목회자의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의식 비교연구

        김현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그 동안 현재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식 조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앞으로 목회를 시작할 신학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의식을 조사한 연구는 전무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이러한 동기에서 본 연구는 신학대학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한국교회는 총체적인 침체와 위기 속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교회가 그간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보다는 교회의 양적 성장에만 너무 치우친 결과라고 보아진다. 이제 한국 교회가 다시 지역 사회와 융화할 수 있는 방법은 교회사회복지를 활성화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이론 연구와 설문 조사를 병행하여 한국 교회의 사회 복지를 점검하고 더 나아가 미래 한국 교회를 이끌어 나갈 신학 대학원생들의 사회복지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크게 일곱 단계로 나누어서 첫째, 교회사회복지의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교회사회복지의 필요성, 셋째, 교회사회복지의 기능, 넷째, 교회사회복지의 역할, 다섯째, 각교단별 교회사회복지 사업과, 각 신학대학원의 현황, 여섯째, 교회사회복지의 발전의 저해요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목회자들의 사회복지 의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4개의 신학대학원을 중심으로 각 교단별 50명씩 200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그 중에서 171부가 회수되었다. 자료처리는 coding한 후 전산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 . 10.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의식면에서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적극적인 수용을 시사했다. 이것은 현대 목회에서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강한 욕구를 예비 목회자들도 피부로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회사회복지사업에 대한 반응에서도 교회 사회복지의 활성화가 곧 교회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성서적 이념과도 부합된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교단과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이 한국사회복지에 얼마만큼 기여했느냐는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고 응답해 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교회의 기여도에서는 부정적 응답을 보여주었다. 셋째,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책임 및 예산에 대해서는 교회사회복지의 발전을 위해 전문사회복지사의 도입을 강하게 요구하였고 사회복지 예산으로는 전체 예산의 10%- 15% 정도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소속 교회의 교회사회복지사업(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실직자복지, 여성복지, 기타 등)의 실시여부와 운영실태에 대해서, 이 부분은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후진성을 그대로 드러내 주는 대목이어서 대부분은 단순한 물질후원이나 방문이 고작이었고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전 조사하거나 해결하려는 노력이 거의 없었다. 다섯째, 교회사회복지 발전의 방향에 대한 의식의 질문에서도 교과목을 통한 사회복지 마인드습득과 재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였고 교회사회복지학과 및 사회복지대학원의 설치에 대한 질문에도 모든 응답자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각 교단별 혹은 교회간 연합활동이나 연구개발에 대해서도 꼭 필요한 과제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즉 한국교회 사회복지와 신학대원생의 사회복지 의식전환을 위해서는 첫째, 기존 목회자뿐만 아니라 예비목회자들을 대상으로 복지의식 재고와 사회복지사업 참여·확대를 위한 교육, 훈련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고 학교커리큘럼의 적극적인 변화가 요구되며, 둘째는 교회사회복지 사업의 전문화와 체계화를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사회복지 목회학과의 신설과 사회목사 제도의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각 교단의 활동과 개 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을 적극 홍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보완이 시급하다.

      • 사회복지전공 선택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학원을 중심으로

        임문정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사회복지직은 그 자체로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적합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전문직은 아니며, 이러한 전문직에 필요한 전문성은 전문교육을 통해서 내면화되기 때문에 사회복지의 전문교육은 학생들의 학과 선택동기를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사람들의 선택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바람직한 진로지도와 상담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발달과정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대학생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특성, 그리고 사회복지전공 선택동기의 중요성과 동기이론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경기도내에 있는 사회복지학과 또는 사회사업학과가 있는 대학의 대학원 3개의 대학원생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조사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조사에 대한 분석은 첫째, 전체 조사결과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통하여 일반적 사항과 영역별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사회복지학부를 전공한 사람과 타학부를 전공한 사람, 자원봉사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 실무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을 t-test로 영역별, 항목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복지의 가치관이 일치하고 사회복지전문직과 유사한 관심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타주의적 성향이 강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기여의 욕구가 무엇보다도 강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격획득과 직업선택의 용이성도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조사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73%가 가족기능의 장애와 관련된 문제(물질장애, 성학대, 폭력 등)들을 경험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국의 조사결과와는 다르게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의 경우 개인적 경험과 환경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와 같은 경험은 거의 없었으며, 심각한 사고나 질병을 경험하거나 만성적인 질병을 지닌 가족구성원을 가지고 있는 조사대상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복지전공선택에 있어서의 종교의 영향에 대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종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이 종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학부전공자와 타전공자, 자원봉사경험자와 무경험자, 실무경험자와 무경험자에 대한 교차분석의 경우, 학부전공자와 타전공자는 선택동기에서 개인적 경험과 환경에서, 만족도에서는 적성과 전문성, 학문의 분위기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자원봉사경험자와 무경험자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무경험자와 무경험자의 경우가 세 경우 중 가장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유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사회복지전공 선택에 영향을 주는 동기에 대한 조사결과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하고자하는 동기는 어느 한 부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복합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또 한가지 생각해 보아야할 것은 이러한 조사대상자들의 응답이 어떤 성향이나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단순히 감상적이었다거나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가치있는 사람임을 확인하고자 하는 무의식적인 욕구에 의한 것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연구과제와 제언점은 사회복지전문성에 대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은 학부에서는 일반사회복지사(generalist)교육에 초점을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대학원중심의 효율적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원 학생의 개개인의 전문성 지도와 상담, 그리고 직업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실제 교육과정에서 실천모형을 정형화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social worker is peculiar vocation in it self. It is not a profession anyone can perform and which is suitable for anybody. The profes sional education of social welfare should be given as a basis of selective motives of students, because the speciality for profes sion is int ernalized through profes sion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desirable occupation guide and consultation by investigating selective motives and satisfaction extent of students who selected social welfare as maj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 graduate students from three graduate schools which had Social Welfare Department or Social Work Department located in Kyungi Province.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irst, I analyzed general matters and items by field. Second, I analyzed social welfare majors vs the oth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oluntary support and vs students who had not and student s who were experience in business vs student s who were not by item and by field. As a result , the subject s majored in social welfare had their value system in harmony with value system of social welfare. They were interested in fields similar to social welfare profession and had strong altruistic tendency. First of all, they had strong desire for social service. They were influenced on the fact that it was easy to obtain certification as a social worker and to choose their profession.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made by foreign countries, 73% students of social welfare majors had experienced the problems related to dysfunctional families, sexual abuse, violence etc.). Indifferent to foreign investigation, graduate students majored in social welfare of Korea had very few experiences of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abuse as a result of personal experience and surroundings. There were few subjects who had serious wounded and painful members or chronic invalid in their family.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welfare majors and the oth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voluntary support and students who had not, and students who were experience in business and students who were not. As a result of motives of selecting social welfare, they were complicated not a part. However, we cannot conclude that the response of the subjects were professional and had some tendency. There can be a sentimental thinking or unconscious desire for confirming valuable person by themselves.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suggest some action. Since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speciality has to focus on the education of generalist in college, we should guide speciality of graduate students each in per son and consult them and study speciality of occupations, and inquire actually to standardize practical model for graduate school-centered efficient education.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수급권 보장을 위한 부양능력미약제도 개선방안 연구

        이혜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damental problem of system of marginal ability to support which invades the rights to social security ensured by constitution under uncertain assumption that the virtual sustenance cost will cut the wage of beneficiary and provide the payment, and to seek for friendly improvement measure for benefit guarantee.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study. The details of each system were apprehended utilizing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by Gilbert and Terrell. Especially, in order to analyzed the problem in enforcement of policy in priority, the study focused on delivery system. Also, the study reviewed administrative litigation verdict relevant to system of marginal ability to support to understand the legal issue regarding the system enforcement. As for the analysis result, the fundamental element causing the problem in enforcing the system was due to ambiguous regulation specified in Verse C(Da), Item 4, Paragraph 1 of Article 5.6 of enforcement ordinance. Ordinance without certain clarity has internal deficiency, which cause polysemous interpretation, and make "maintenance payment", the requirement, recognized as simple premise or subject of recommendation. This has led to weakened obligation of enforcement requirement and reduced its legal binding force and effectiveness. Also, due to vague description in Verse C(Da) enabled arbitrary enforcement of administrative office, which can cause possible fairness problem. Next, there was no confirmation procedure to formally apprehend the payment. The irresponsible adminstration enforcement setting the unpaid sustenance cost as the "actual" income of beneficiary without checking the objective support condition is utilizing the sustenance cost as simple automatic cut in wage, which is the worst weakness of the system. Also, sustenance cost that is excessively high without considering the support condition pauses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prepared a system improvement measure to overcome reviewed problems. First, the study proposed "revised version" of Verse C(Da), the unclear ordinance regulation as legal foundation. Specifically, the study elaborated vague description of Verse C and cleared administrative foundation which reflects sustenance cost as income. Second, the study established new regulation for sustenance cost payment, and specifically proposed confirmation and follow-up process after the payment. Third, the study proposed a downward regulation of sustenance cost payment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ustenance cost support and to accord with private support liability relationship. Also, the study proposed institutional countermeasure regarding the concerned group demanding sustenance cost and graded sustenance payment rate that can be posed as problem in fairness. This study implies an institutional countermeasure to realize the guarantee for right of receiving national basic livelihood pay by system of marginal ability to support. In order to realize harmonious "coexistence" of public and private support for the poor,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pensionable right must be review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aterial livelihood guarantee based on basic law is human rights guarantee, the inviolable territory. To realize the livelihood guarantee, the essential contradiction must be revised, and not simply stop at "stopgap measure" taming the standard of support obligation. In conclusion, the basic law must actively realize the guarantee of "right to live as a man" by solving fundamental flaw of obligation of support depending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support, not the objective support condi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실체를 확인할 수 없는 가상소득인 부양비로 인하여 수급권자의 급여를 삭감하고, 부양비가 지급될 것이라는 불확실한 가정(假定)에 의해 헌법상 보장된 사회보장수급권을 침해하는 부양능력미약제도의 본질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급권 보장에 친화적인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길버트와 테렐이 제시한 산물분석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제도 구성내용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집행상의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전달체계의 측면에 주력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부양능력미약제도와 관련하여 제기된 행정소송 판결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며 제도운용과 관련된 법적 쟁점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부양능력미약제도의 운용상의 문제를 유발하는 근본적인 요인은 법적근거 조항인 시행령 제5조의6 제1항 제4호 다목의 모호한 법문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정수준의 명확성을 확보하지 못한 시행령 규정은 내적결함으로써, 다의적인 해석을 유발하고 필수 충족요건인 ‘부양비 지급’을 단순 전제 내지는 권고사항으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에 행위요건의 의무성을 희석시켜 법적 구속력과 법적 실효성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목의 모호한 법문으로 인하여 행정청의 자의적 집행이 가능해져 형평의 차원에서도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부양비 지급여부를 공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절차가 없다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객관적 부양실태에 대한 심사를 생략한 채 미지급된 부양비를 수급자의 ‘실제’소득으로 책정하는 무책임한 행정작용은 부양비를 단순히 자동적 급여삭감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므로 동제도의 가장 큰 취약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민법상 사적부양의무관계의 특성 및 차이, 부양정도를 숙고하지 않고 지나치게 높게 책정된 부양비 수준 역시 문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검토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법적근거인 시행령 규정의 불명확한 다목의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정안 내에서 모호한 다목의 법 문언을 확실히 다듬고 부양비를 소득으로 반영하는 행정상의 근거를 명확히 하였다. 둘째, 부양비 지급여부에 대한 심사규정을 신설하고, 부양비 지급의 확인 및 후속절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민법상 사적부양의무관계에 부합하고, 부양비 지원의 실현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부양비부과율의 하향조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형평의 차원에서 문제로 제기될 수 있는 차등적인 부양비부과율, 더 완화된 부양비를 적용받아야 할 배려집단에 대한 제도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부양능력미약제도가 수급권 보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책을 시사하고 있다. 빈곤자에 대한 공‧사적 부양주체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해서는 수급권의 가치와 중요성이 재조명되어야 한다. 기초법에 의한 물질적 생계보장의 이념적 바탕은 불가침의 영역인 인권보장이다. 입법목적인 최저생활보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단순 완화 조치하는 ‘미봉책’에 그치는 것이 아닌 근본적 모순점을 시정해야 한다. 이에 기초법은 객관적 부양실태가 아닌 잠재적 부양가능성에 의존하는 부양의무자제도의 본질적 결함을 해소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보장을 적극적으로 실현해야 할 것이다.

      • 법정지상권에 관한 연구 : 부동산문제와 관련하여

        조영순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법정지상권에 관하여 고찰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동산은 특히 토지의 자연적 특성인 부증성으로 인하여 모든 수요를 전부 충족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타인의 토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토지위에 건물 등 정착물을 설치하였다면 여러 가지 사정으로 건물 등을 철거해야 되는 위험을 초래한다. 법정지상권은 그 위험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당연히 성립하는 제도이다. 이 같은 법정지상권이 갖는 문제가 부동산과 관련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부동산실무경험자 등 여러 경로를 밟아 각종문헌·선행논문·참고논문 등을 수집하였고, 학설과 판례 등은 강남대학교 도서관 · 국회도서관 · 법원도서관 · 중앙도서관 등에서 탐색하여 연구의 기반으로 하였다. 특히 지도교수님의 수십 여 차례에 걸친 지도는 이 논문의 충실정도를 한층 높이었다. 본 연구의 초점은 부동산거래에서 법정지상권과 관련한 부동산문제가 “건물을 보호하기 위함이므로 궁극적인 목적은 토지와 건물의 일체를 이루는데 있다.” 후일 많은 분들이 본 논문의 내용이나 결론에서 문제해결의 방법이라고 생각되는 점을 발견한다면 연구자는 더 바랄게 없겠다. 나아가 법정지상권과 관련한 제 문제가 복잡한 만큼 계속 연구하여 되도록 간단히 해결되는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의 물결로 성장하였고, 공업화되면서 지금의 정보화시대에 정착하여 생명과학 등 또 다른 세계로의 진입을 꿈꾸며 행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UN통일매매법’ ‘UNIDROIT의 상사계약의 원칙’ 등 국제적인 사법 통일의 움직임이 있는 이때, 특히 사법적·공법적 제한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법정지상권제도는 이미 일부가 개정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 법률분쟁에 있어서 자유롭지 못하다. 신중을 기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우리국민들이 지닌 토지에 대한 강한 집념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깊은 정책적 배려가 기대된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타인의 토지를 사용함으로써 종종 발생하는 법정지상권에 관한 문제를 고려함에 있다. 특히 건물의 보호를 위한 폭넓은 부동산학적 시각에서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첫째, 부동산은 인간을 위하여 사용하도록 주신 선물이다. 둘째, 토지에 건물 등 상당하는 정착물을 부착하는 일에 신중을 기한다. 셋째, 부동산이 지나치게 사적임을 강조하지 않도록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이로써 법정지상권에 관련한 부동산문제를 넓은 의미의 관점으로 함축하여 본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legal surface rights, find out the issues to present the resolution plan. real estate cannot satisfy the dem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in locational immobility, a natural characteristics of land. Therefore, in using the lad of someone else, if an improvement is established on the land, such as building, it may have the risk of removing the building on several situations. The legal surface rights is a system established under the provisions of law to protect building from such a risk. As above, for the study of how the issues of legal surface rights influence in relation to real estate, various documents, advance thesis, reference thesis and others are gathered through several routes including the practitioners in real estate works, and searched the theories and case studies in the library of Kang-nam University,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ies at courts, and central library. In particular, the several tens of instructions from the advising professor has heightened the substantiality of this thesis so much more. The focus on this study is that the issues relating to legal surface rights in real estate transactions is to 'protect the buildings', and it is to make the unity of land and building in one. Later, if may people would discover the point that is thought of as a way of problem resolution from the contents or conclusion of this thesis, this writer would be most happy. Furthermore, the pertinent problems are complicated in relation to the legal surface rights, however, it would be expected to make concrete plan to simply resolve with the continuing studies. After 1970s, Korea has made growth in radical industrialization, and in settling for the informatization era, it is marched to enter into the other world including the bio-science and others. In worldwide fashion, there has been the movement in international judicial unification in ‘UN Uniform Transaction Act’, ‘Principle of Trading Contract under UNIDROIT’ and others, and in particular, the legal surface rights system of Korea with the judicial and public limitation is not so free on the concrete legal disputes. It is believed to require amendment with the serious consideration. In particular, the will and intent on land is expected for profound policy consideration of many people to grow together with the strong.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a look at the broad view on real estate to protect the buildings in relation to the issue on legal surface rights that arises in using the land of others. This researcher emphasizes first, real estate is the present for human to use. Second, i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in attaching improvements on land, such as buildings. Third, there is a policy requirement not to emphasize real estate as not overly private property. Therefore, this thesis is completed by implicating the real estate issues related to the legal surface rights in broad point of view.

      • 가출청소년의 가출생활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명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다양한 가치관과 생활 방식의 출현으로 변화의 폭이 넒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은 학교폭력, 비행, 일탈행동 등의 청소년문제를 일으키며 이러한 청소년문제에 자주 언급되는 것이 청소년 가출이다. 이것은 청소년의 가출행위 그 자체가 심각한 정신병리적인 문제는 아니지만 청소년 문제의 중요한 전제조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출이 청소년 문제로 비화됨을 예방하여 그들이 긍정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출 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직접적인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위해 가출청소년들이 가출 후의 생활에 적응해 가는 과정과 그 적응 유형들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2004년 7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서울·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중 가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가출 중인 청소년 9명을 대상으로 가출청소년의 가출 전·후 삶을 알 수 있는 생애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설명하면 가출청소년들은 가출동기와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의 부적응 요인이 가족의 불화와 친구문제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가출 후 경제적·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자존감, 가족들의 비지지적 태도, 학업유지 희망, 가출의 긍정적인 측면, 친구 선호도, 엄마의 작용과 가족의 지지 속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주위의 도움 요청, 아르바이트 경험, 친구와 어울리기, 귀가결정 유보, 무절제한 생활 등을 하면서 가출생활에 적응해가고 있었다. 이러한 가출청소년의 가출생활 적응과정은 기대단계 →인식단계 →대응단계의 ‘과정단계모형’을 이루고 있었다. 이는 연구대상자 모두에게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가출생활적응과정 유형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가출생활 적응 과정을 분석한 결과 스스로 자립하고자 하는 자립추구형과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 현실안주형, 그리고 타인에게 의지하며 생활하는 의존형의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의 분석을 통하여 유형별 사회복지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립추구형은 혼자의 힘으로 살아보려는 의지가 있으며 이를 실행에 옮기며 살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타인의 도움을 원하지도 않으며 미래의 계획이 확실하게 서 있어서 계획성 있게 살아가며, 가출 후에 친구나 아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게 되어도 그 도움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생활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형에게는 그들이 원하거나 그들의 적성에 맞는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기술 습득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들의 문제나 욕구를 들어주고 해결해줄 수 있는 지지자를 연결해주어야 한다. 둘째, 현실안주형은 가출 후의 생활을 하면서 확실한 의지가 있는 것도 아니고, 주변인들에게 의지하여 도움만 받으려고도 하지 않았다. 다만 현재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에 맞춰가면서 살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입은 직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 답사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의존형은 가출 후 친구나 아는 언니, 형 등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생활을 하며 생활비가 떨어졌을 경우 비행을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형은 개인적 만족감을 갖게 함으로써 주체로서의 자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가출청소년들을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그들의 개인적 특성 및 가출 생활 적응 유형을 파악하여 그에 적합한 개별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When adolescents fail to adjust themselves to a socio-cultural environment that is highly changeable due to the emergence of various values and lifestyles, they cause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misconduct and deviating acts - one of juvenile problems mentioned frequently is youth runaway. Although adolescents' runaway itself is not a serious psychopathological problem, it can be an important precondition for other serious juvenile problems.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find direct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thods necessary for adolescents who are runaways in order to prevent this behavior developing into juvenile problems and instead to grow to positive social memb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runaway adolescents' adjustment to life after runaway and the types of adjustment. In this study, the present researcher both interviewed 9 adolescents who were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in July and August 2004 who had the experience of runaway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Runaway adolescents were influenced by runaway motives, parents' rearing attitude, maladjustment to school, family's discord and problems with friends, finally they experienced financi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addition, they adjusted themselves to runway life through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asking help to surrounding people, part time working, associating with friends, delaying the decision to return home, intemperate life, etc. in self-esteem, family's unsupportive attitude, hope to continue studies, positive aspects of runaway, preference for friends, mother's action and family's support. The process of runaway adolescents' adjustment to runaway life formed 'a stage model' composed of 'expectation stage' → 'recognition stage' → 'reaction stage'. These stages were observed in all the subjects but the degree of each sta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djustment to runaway lif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runaway adolescents' types of adjustment to runaway life, there were three types of runaway adolescents, namely a self-reliant type who tries to support himself, a self-content type who does not mind the future and a dependent type who relies on others. This study propose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each type of runaway adolescents. First, adolescents of self-reliant type had the will to live by their own strength and put this will into practice. Moreover, they did not want others' help and lived an organized life under well-established future plan. Even if they had to be helped by friends or acquaintances after runaway they were not entirely dependent on the help but made efforts to life by the own strength. For this type of adolescents, programs to acquire skills may be executed so that they can learn technologies fit for their aptitude. In addition, they need to be linked to supporters who may listen to their problems and desires and help them properly based on the problems and desires. Second, adolescents of self-content type did not have a firm will to lead their life after runaway and at the same time were reluctant to be helped by surrounding people. They lived in accordance with their current situation. For this type of adolescents, social welfare intervention should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jobs and should help them to find their own possibility through cultural field trips. Third, adolescents of dependent type lived fully depending on their friends, seniors, etc. after runaway and when they were in need of money they solved it by committing misconduct. For this type of adolescents, opportunities for volunteer service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y may find personal satisfaction and recognize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their life. As stated above in order to give substantial and effective help to runaway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type of adjustment to runaway life and to provide corresponding adequate social welfare services.

      • 한국수어교원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류연나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research has its aim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the KSL Teacher Training and to define its beginning problems to seek for improvement measur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I use three different methods. First, I analyze the training course of Colleges,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offer the KSL Teacher Training. Second, I conduct a study on students who attended the KSL Teacher Training. Third, I conducted a depth interview with three lecturers of the KSL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of the above three approach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institutions which run the KSL Teacher Training do this relatively quite well. Second, the students who attend the KSL Teacher Training have mostly a positive perception concerning the subject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lecturer of the training. Third, the interview with the lecturers shows that there are too few competent lecturers and that the lecturers have difficulties preparing their lecture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Sign Language and experience of the students are very diverse. Furthermore the lecturers have to teach things which haven't been confirmed on research results yet. These problems can be seen as problems which arise because the KSL Teacher Training is still very much in its infancy. Based on the above points I would like to make five proposals. First, the lectures of the KSL Teacher Training must be evaluated. Second,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who acquire KSL as a second language there must be lectures about deaf culture. Third, the subject "Practice of KSL Education" needs an urgent all-over reexamination. Fourth, the problems the lecturers are facing must be thoroughly monitored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of the lecturers. Fifth, to make sure that the KSL Teacher Training is professional and implemented systematic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teaching materials. 본 연구는 한국수어교원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상황과 교육과정의 실제를 분석하여 시행 초기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첫째, 2018년도에 한국수어교원 양성과정을 운영하였던 학부 및 대학원과 양성기관의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참여하였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셋째,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맡았던 교수 및 강사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한국수어교원 양성 기관에서는 비교적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학습자들은 교과목, 학습경험, 교수 및 강사 등에 대하여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수자 개별 심층면담 결과 교수자가 겪는 어려움으로 자질과 능력을 갖춘 우수 교사 부족, 학습자마다 수어 지식 및 경험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어려움, 연구되지 않은 내용을 교육해야 하는 어려움 등과 같은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시행 초기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섯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수어교육 양성 과정의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해야 한다. 둘째, 제2언어로서 수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고려하여 농문화가 담겨진 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교과목 중 ‘한국수어교육실습’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시급하게 요청된다. 넷째, 교수자가 느끼는 한국수어교원 양성 교육과정 시행 초기의 문제점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실제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수어교원 교육과정을 체계적이며 전문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표준화된 교재 개발을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