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이지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직접효과가 있는가? 둘째,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성에 직접효과가 있는가?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간접효과가 있는가? 넷째, 진로장벽은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간접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경북, 부산에 소재한 4년제 사립 D대학교, 4년제 사립 K 대학교, 4년제 사립 H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630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94명의 자료가 최종결과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제외한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에 직접효과가 있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진로장벽을 높게 인식하는 경우 진로적응성이 낮아지지만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실패에도 낙관적인 태도를 갖는 우연대처기술을 가짐으로써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제외한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가 있다. 진로선택과정에서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일수록 진로설정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직업환경에 적응하기 어렵고, 이러한 위기에 대해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융통성있게 대처하는 우연대처기술을 가지는 경우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진로장벽과 우연대처기술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 과정에서 진로장벽은 진로적응성을 악화시키는 위험요인, 우연대처기술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부적영향을 완화시키는 보호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장벽과 우연대처기술을 순차적으로 거쳐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기질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취약하여 진로장벽을 위협적으로 지각하더라도 낙관성, 호기심, 위험감수와 같은 우연대처기술을 향상시킨다면 진로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진로장벽과 우연대처기술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특수성으로 인한 것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직접적인 취업경험이 있는가를 확인한 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특성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예측변인을 확인하였다. 이는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직업세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대학생을 상담할 경우, 내·외적 진로장벽에 대한 과도한 지각을 낮추고, 위기를 기회로 인식하여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우연대처기술을 훈련시킴으로써 진로적응력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가희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자기자비,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지역 대학교의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측정하기 위해서 Freeston 등(1994)이 개발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를 사용하였다. 자기자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SCS, 김경의, 2008)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은 통합적 한국판 우울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전겸구, 20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가, 자기자비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높을수록 모호한 상황에서 부정적으로 반응하게 되어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기자비 수준이 낮아져 부정적인 상황이나 정서에 과잉 동일시되고, 자신을 비난하고 평가적으로 대하는 경향이 높아짐으로써 간접적으로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influenc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depression. For this purpose, it collected data from 236 students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o measure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developed by Freeston et al(1994) was used. To measure self-compassion, a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SCS, KyeongEui Kim, 2008), and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KyumKu Chun,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of self-compassion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influenc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depression.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 more negatively people come to react to an ambiguous situation, which directly affects depression and lowers the level of self-compassion, so they are more inclined to over-identify themselves with a negative situation or emotion; blame themselves; and treat themselves in an evaluative way, which has an indirect negative influence on their depression.   Lastly, this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above results.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

        신수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불안, 정서인식명확성, 자기개념명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북, 전북, 경북 지역의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600명(남 234명, 여 3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불안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자기개념명확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인식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개념명확성은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인식명확성과 불안, 자기개념명확성과 불안은 각각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은 불안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그렇지 않았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 역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조절효과는 남녀 모두에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변인임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에서의 개입에 있어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수준에 따라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개념명확성에 대한 개입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고 및 후속 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and to verify moderated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it,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00 university students(234 men and 366 women) in Seoul, Gyeonggi, Chungbuk, Jeonbuk, Gyeongbuk. For the measuring tool,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short typ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rait meta mood scale, self concept clarity scale were used and was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reliability and correlation of each scale was analyzed and analysis methods used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moder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positive relations with anxiety. At the same time,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negative relations with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emotional clarity had a positive relations with self-concept clarit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had a negative relations with anxiety. Second,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suggested that emotional clarity moderated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moderated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Third,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suggested that self- concept clarity moderated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demonstrated to both genders. This study was demonstrated role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as a moderator again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leading anxiety, which implies that intervention to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self-concept clarity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intolerance of uncertainty level in counselling session. Based on that,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ards :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emotional clarity, self-concept clarity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과 걱정의 관계

        서해란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과 걱정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531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 걱정에 관한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 연구가설에 따라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이 걱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변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간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과도하고 통제 불가능한 걱정을 다루기 위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다루는 개입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인 문제해결 지향과 관련된 심리적 속성들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worry. Participants who were 531 undergraduate students in Chungbuk, were administered IUS(Intolerance Uncertainty Scale), INCOM(Iowa-Netherlands Comparison Orientation Measure, NPO(SPSI-R: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PSWQ(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The correlation analysis, AMOS, Sobel test for this date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ry. Second, social comparison,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association between intolerance uncertainty and worr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 통제양식의 매개효과

        김희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worry, and identify the role of modes of control as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For the purpose, the sample of 545 adults(218 men and 327 wom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Shapiro Control Inventory(SCI), and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PSWQ).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aron and Kenny(1986) model was used to verify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worry has shown positive correl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ositive assertive mode has shown negative correlation while with negative yielding mode has shown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positive yielding, negative assertive mode. (2) Positive assertive mode, positive yielding mode and worry has shown nega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yielding mode and worry has shown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worry and negative assertive mode. (3) Among modes of control, positive assertive mode and negative yielding mode mediated path from intolerance of uncertainty to worry.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worry and modes of control as the coping strategy in problematic situation and has found out that positive assertive and negative yielding modes are useful coping strategy to people having anxiety problem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통제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원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걱정증상 질문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통제양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545명(남자 218명, 여자32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제양식의 매개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매개변인인 통제양식 중 긍정주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수용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긍정수용, 부정주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변인인 긍정주장과 긍정수용은 종속변인인 걱정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부정수용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지만, 부정주장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양식 중 긍정주장과 부정수용은 각각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걱정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과의 관계에서 통제양식의 역할을 확인한 연구로, 걱정과 문제 상황에서의 대처방식인 통제양식과의 관계를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그 결과 불안문제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상담에서 긍정적 주장양식의 사용과 부정적 수용양식의 불용과 같은 대처방식을 사용하도록 돕는 것이 유용함이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황혜인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국 문 초 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황혜인 동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김희경)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남학생 123명과 여학생 200명 등 총 323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측정도구는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표준화한 불안척도, 김순희(2010)가 번안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단축형, 김아영(1997)이 수정한 자기효능감 척도였다.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효능감, 불안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았으며, 불안 수준은 높았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자기효능감, 불안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낮고 불안은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불안이 낮았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과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불안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기르는 것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을 특정 지역의 대학생들로 했다는 점에서 일반화하기 어렵다.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후속연구에서는 타 지역 대학생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불안장애 환자 군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불안장애로 진단된 임상표본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대학생 3, 4학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하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미치는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번 조사는 전 지역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설문지에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미결정, 자기자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이 포함된다. SPSS 27과 AMOS 27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음은 결과를 요약한 것입니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미결정, 자기자비, 부정적 평가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서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indeci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ird and fourth-grade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all region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includes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indecision,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 and AMOS 27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indecision,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self-compa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Fourth,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초기 성인기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검증

        장경아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Intolertance of Uncertainty; IU)과 그 하위요인들(전망적 IU와 억제적 IU)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수용이 그 경로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 대학원, 회사 각 1곳과 3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20세에서 40세까지의 일반인구(남자 170명, 여자 141명)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주관적 안녕감, 자기수용을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하위요인들은 주관적 안녕감과 자기수용 각각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자기수용과 주관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수용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수용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두 하위요인 중 억제적 IU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전망적 IU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intolerance of uncertainty(IU) on early adulthood and its sub-factors(prospective IU, inhibitory IU) ha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o verify whether self-acceptance moderates that path.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intolerance of uncertainty,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acceptance was measured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argeting the general population from age 20 to 40(170 males, 141 females) from one of each university, graduate school, and company, and 3 online communiti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cluding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acceptance, and self-accept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acceptance moderated the effect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on subjective well-being. Third, out of the two sub factor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 effect inhibitory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on subjective well-being was moderated by self-acceptance. However, the effect of prospective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subjective well-being was not modera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need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김태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불안, 자기개념 명확성,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29세의 사회 초기의 성인 남녀 395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사회불안 척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 인지적 유연성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불안, 자기개념 명확성, 인지적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인지적 유연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자기개념 명확성과 인지적 유연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자기개념 명확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으로 인한 사회불안의 수준을 완화시키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anxiety,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an uncertainty tolerance scale, a social anxiety scale, a self-concept clarity scale, and a cognitive flexibility scale was conducted targeting 398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18-29 residing nationwide in the early stages of society. The collected data was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AMOS 22.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anxiety,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Second, self-concept clar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Third, cognitive flexibil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Lastly, it was found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sequentially doubl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social anxiety, and reveals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can act as a variable to alleviate the level of social anxiety due to intolerance of uncertaint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