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양 일부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BMI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김가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안양 지역 소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643명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조사하여 신장과 체중, 식습관 및 생활습관과 BMI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향후 아동기 학생들의 균형 잡힌 영양섭취를 유도하고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만들기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643명중 남학생 324명(50.4%), 여학생 319명(49.6%)이었으며, 학년에 따라 4학년 186명(28.9%), 5학년 201명(31.3%), 6학년 256명(39.8%)이었다. BMI 분포는 정상체중이 523명(81.3%)으로 가장 많았으며, 저체중 33명(5.1%), 과체중 62명(9.6%), 비만 25명(3.9%)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BMI에서 정상체중 학생들 중 83.6%가 하루 3번 식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체중(9.1%)에서 과체중(6.5%), 비만(16.0%)으로 갈수록 하루 4번 이상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규칙적인 식사습관이 과체중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BMI에 따른 주당 식사 횟수를 조사한 결과 BMI가 낮을수록 아침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였다(p<0.05). 아침 결식 이유의 주된 이유는 저체중 학생의 60%가 ‘식욕이 없어서’, 정상체중과 과체중, 비만 학생에서는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주된 이유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저녁 식사 시기는 BMI와 관계없이 모두 저녁 7-8시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간식 섭취 시간 또한 BMI와 관계없이 점식식사 이후-저녁식사 이전이 가장 많았다. 1회 식사 소요 시간에 대해 저체중(42.4%)은 20분 이상 걸리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정상체중(31.7%)은 15-20분미만, 과체중(43.5%)과 비만(36.0%)은 10-15분이 가장 많았다(p<0.05). 1회 식사량에 대한 조사에서는 비만(20.0%)에서 ‘배불러도 더 먹음’의 빈도가 저체중(3.0%), 정상체중(2.5%), 과체중(3.2%)에 비해 매우 많았다(p<0.05). 1회 식사에 관한 식습관 조사에서 식품 골고루 섭취 정도는 모두 보통으로 BMI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식사 중 물 섭취량은 모든 조사대상에서 1컵 이상 마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식사 시 다른 행동 유무는 BMI가 높을수록 식사 중 다른 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외식 횟수에 대한 결과에서 BMI가 높을수록 외식 횟수가 많았고, 주당 간식횟수는 BMI와 관계없이 비슷한 횟수로 조사되었다. 주당 야식 섭취 횟수는 저체중이 가장 야식을 많이 먹고, 과체중이 가장 야식을 적게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BMI에 따라 선호하는 식품군은 저체중은 과일류가 가장 많았고, 그 이외의 그룹에서는 고기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BMI에 따른 각 식품별(밥 이외의 탄수화물, 육류, 생선 및 해조류, 채소류, 과일, 우유 및 유제품, 인스턴트식품, 패스트푸드) 주간 섭취 횟수를 조사해 보았을 때, BMI에 관계없이 학생들의 각 식품 주간 섭취 횟수는 비슷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상자의 생활습관을 조사해 본 결과, 첫 번째 운동 횟수에 대한 결과로 비만 학생에서 운동 횟수가 다른 그룹에 비해 적었고,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체중과 과체중 운동시간은 전체적으로 1시간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하루 총 걷는 시간과 BMI와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등하교 방법은 모든 학생에서 도보 이용이 가장 많았다. 여가활동 시간은 BMI가 증가할수록 여가시간이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루 총 물 섭취량은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모두 1L가 가장 많았으며, 하루 음료 섭취량에 대한 조사 결과는 모두 하루에 물보다 다른 음료를 더 많이 먹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BMI에 따른 일일 수면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2007년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남·여학생 모두 평균 이상의 신장과 체중으로 나타났으며, 식습관과 생활습관조사 결과 몇몇 문항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나타났다.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정규 영양교육 시간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생들 눈높이에 맞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이나 생활양식에 따라 실질적인 영양프로그램도 꾸준히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항공사 유튜브 채널속성이 시청몰입 및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김가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모바일 네트워크와 미디어의 발달로 이제는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대중을 향해 방송을 만들고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접근이 편리한 유튜브는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누구든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고 원하는 정보를 쉽게 검색해서 얻을 수 있는 유튜브는 개인을 넘어서 대다수의 기업, 방송사, 정치인, 유명인들까지 대중과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중요한 자리매김을 하였다. 더욱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팬데믹(Pandemic)이후 유튜브의 성장은 더욱 가속화 되면서 마케팅의 도구로도 큰 경쟁력을 갖게 되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자사 채널을 만들어 구독자수를 늘리고, 기업의 이미지에 맞는 참신하고 독특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홍보 및 마케팅을 하고 있다. 국내 항공사들 또한 유튜브 경쟁 속에서 각 항공사만의 차별화 된 유튜브 채널 구성 및 콘텐츠로 고객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및 콘텐츠와 관련된 연구들은 현재까지 뷰티, 패션, 광고, 스포츠, 관광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국내 대부분의 항공사들이 유튜브 공식채널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항공사를 대상으로 한 유튜브 채널속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공사 유튜브 채널속성이 시청몰입과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하고, 항공사 유튜브 채널속성과 지속시청의도 사이에 시청몰입이 매개효과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튜브 채널속성과 시청몰입 간의 영향관계에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향후 항공사들의 유튜브 채널 활용 전략과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항공사 유튜브 채널을 방문하여 영상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다양한 연령대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의 설문은 2022년 3월 1일부터 2022년 3월 14일까지 국내 리서치전문 업체 ‘엠브레인’에 의뢰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400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과 결측이 있는 설문지 30부를 제외한 370부의 표본만을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항공사 유튜브 채널속성 중 최신 정보의 품질과 채널 인기도는 시청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성은 시청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튜브 채널속성과 시청몰입의 영향관계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최신 정보의 품질과의 관계에서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고, 전문성 및 채널인기도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항공사 유튜브 채널이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최신정보를 제공한다고 지각하는 이용자이면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높게 지각할수록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 셋째, 항공사 유튜브 채널속성 중 최신 정보의 품질, 전문성, 채널 인기도는 모두 지속시청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항공사 유튜브 채널의 콘텐츠가 최신 정보의 품질일수록, 정보 제공자가 전문성이 있으며 유튜브 채널이 인기가 많을수록 지속시청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튜브 채널속성에서 최신 정보의 품질 및 채널 인기도는 지속시청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청몰입을 증가시켜 지속시청의도를 제고하는 간접효과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문성은 시청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전문성과 지속시청의도 사이에서 시청몰입이 매개역할을 하지 못했지만, 전문성이 지속시청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접적으로 지속시청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유튜브를 활용한 기업 마케팅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선행연구가 미비했던 항공사 유튜브 채널의 영향력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항공업계에서는 항공사 유튜브 채널의 속성을 이해하고 소비자가 유튜브 콘텐츠에 몰입하고 지속적으로 시청 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만큼 신뢰성 있는 고품질의 최신정보를 제공하고, 정보제공자는 유튜브 시청자에게 친근하고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mobile networks and media has enabled anyone to create for the public and watch broadcasts anytime and anywhere. Of them, YouTube, which is the most used and accessible by consumers, has had a strong influence worldwide. YouTube, in which anyone can freely create content and easily search for and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has established an important position as a communication tool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most corporations, broadcasters, politicians, and celebrities. Moreover, as the growth of YouTube has accelerat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it has gained great competitiveness as a marketing tool. Most companies create channels under their names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scribers, produce novel and unique content that fits the company's image, and engage in publicity and marketing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Airlines are also producing differentiated YouTube channels and content for each airline in the face of competition for customer marketing. Studies related to YouTube channels and content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s of beauty, fashion, advertising, sports, and tourism so far. On the other hand, although all airlines have opened and operated official YouTube channels, research on YouTube channel operations targeting airlines has rarely been conducted y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airline YouTube channel attributes on view flow and continuous view intention and investigate whether view flow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airline YouTube channel attributes and continuous view intention. In addition, by verifying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parasocial-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ube channel attributes and view flow,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airlines' YouTube channel utilization strategies and competitiveness. To this e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of various ages who had visited and watched the airline's YouTube channel as the subject, and the questionnaire was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online survey was commissioned to Embrain, a researcher, from March 1, 2022, to March 14, 2022. Of the 400 gathered questionnaires, only 370 were selected as valid, excluding 30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and miss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attributes of the airline's YouTube channel, reliable, high-quality, up-to-date information and channel popula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iew flow.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s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iew flow.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ube channel attributes and view flow,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able and high-quality and up-to-date information, and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professionalism and channel popularity. In other words, users who perceive that the airline's YouTube channel provides reliable, high-quality and up-to-date information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arasocial interaction, the greater the impact on view flow. Third, among the attributes of airline YouTube channels, reliable, high-quality, up-to-date information, professionalism, and channel popularity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view inten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reliable, high-quality and up-to-date information on the airline's YouTube channel content, the more professional and popular the channel, the higher the continuous view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airline's YouTube channel, which was lacking in previous research, at a time when corporate marketing through YouTube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viation industry should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airline YouTube channels and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content that allows consumers to view flow themselves in YouTube content and watch it continuously. In addition, as much as information is delivered through the YouTube channel, reliable, high-quality and up-to-dat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should strive to approach more friendly and comfortable like a friend.

      • 모-녀 미술치료를 통한 이란성 쌍둥이 자녀의 분리 : 개별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가희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에 대한 분리-개별화 문제를 안고 있는 이란성 쌍둥이 자녀의 모-녀 미술치료 경험을 탐색하여, 자녀가 모-녀 미술치료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경험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 현장에서 이란성 쌍둥이 자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자녀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의미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어머니에 대한 분리-개별화 문제를 안고 있는 만 8세 이란성 쌍둥이 자녀와 그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약 4개월 동안 모-녀 미술치료를 시행하여 진행되었다. 자녀는 어머니의 과보호적이고 통제적인 양육태도로 인해 어머니에 대한 집착, 의존, 분리불안을 보였고, 심한 죄책감과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보였다. 미술치료는 자녀를 대상으로 개별 미술치료 4회기를 진행한 후, 자녀의 어머니가 치료에 함께 참여하는 모-녀 미술치료의 형태로 실시되었다. 연구 절차는 모녀의 고유한 경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탐구 방법에 따라 ‘현장에 들어가기’,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현장 텍스트로부터 연구 텍스트로’,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의 과정을 따랐다. 어머니에 대한 분리-개별화 문제를 안고 있는 자녀의 모-녀 미술치료 경험이야기에서는 참여자 자녀의 문제 발생 원인을 알아보는〔우리가 걸어온 길〕과 모-녀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 자녀가 자기표현을 연습하며 모녀의 갈등이 조금씩 풀어지는 과정인〔길을 찾는 여정〕을 이야기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형성한 어머니에 대한 분리-개별화 문제를 안고 있는 자녀의 모-녀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에서는 참여자 어머니의 통제적이고 강압적이던 양육태도에 변화를 나타낸 〔기다려주기〕와 참여자 자녀가 내면에 억압되었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며, 어머니로부터 독립을 시작하는 〔우정, 자신의 길을 걷다〕, 모-녀 미술치료롤 통해 참여자 모녀가 서로를 이해하게 되어 모녀관계를 회복하고, 대인관계에도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는 〔우정이네 가정에 변화가 찾아오다〕를 이야기 하였다. 이러한 경험과 의미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드러내 주었다. 첫째, 모-녀 미술치료 과정은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는 모녀가 자기표현을 할 수 있게 해주었다. 둘째, 참여자 어머니는 모-녀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통제적 양육태도를 알아차리고 되돌아볼 수 있는 성찰의 기회를 가졌다. 어머니의 알아차림은 양육태도의 변화를 일으켰고, 이는 자녀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분리-개별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는 참여자 모녀 관계에 변화를 일으켰다. 참여자 자녀와 어머니는 모-녀 미술치료 장에서 많은 의미가 담긴 대화를 하고, 자신의 내면세계에 들어가 자신의 이야기를 다시 되짚어 보고, 또 내면과 이야기 하고, 다시 이야기를 살려내는 것을 반복하였다. 모-녀 미술치료가 아니었다면 모르고 지나쳤을 많은 의미가 내러티브의 장에서 무한적으로 드러났고, 이러한 반복에 참여자 모녀 관계 변화가 찾아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of mother and child of twin children with IEPs, to find out what children experience in maternal attachment and separation.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art therapy field is to explore a meaningful way to help children's growth and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fraternal twin conne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four months from November 2018 to March 2019, with a mother’s art therapy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8 year old fraternal twins who have a separate from mother. Children showed attachment, dependence, and separation anxiety due to mother's overprotective and controlled rearing attitude and showed severe guilt and difficulty in peer relationship. Art Therap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maternity art therapy where children's mothers participated in therapy after conducting four sessions of individual art therapy for their children. The research procedure is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mother and daughter's unique experience as they are, 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and organizing research text. Separation of mother and The child's art therapy experience story of the child who has the problem of individualization, the participant child practice the expression of self through the [way we walked] and maternity art therapy And the story of the struggle of mother and daughter to be solved gradually. In the sense of experience of mother and child art therapy of children with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problem formed on the basis of this, in the sense of experience of participant mothers, And to start independence from the mother [friendship, walk on her own path] through maternity art therapy rolls, participants and mothers understand each other and restore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s, and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 have talked about a change in friendship family. These experiences and meanings reveal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maternity art therapy course allowed mother and daughter who suppressed her feelings to express herself. Second, the participant's mother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er regulated parenting attitude through maternity art therapy and to look back. Mothers' perceptions led to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which positively affected children's expression. Third, the narrative inquiry about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changed the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 Participant children and mothers repeated the conversation with many meanings in the maternity art therapy center, to go back to their own inner world, to retell their stories, to talk inside, to resume the story again. Unless it was art therapy for mother and child, many meanings were passed unintentionally in the field of narrative.

      •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김가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Method of Novel Education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 Ga-Hee Kim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Department of Education Daej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goal of this article i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athy and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novel education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 In this context, empathy is interpreted as the concept that enables interaction with an ‘enemy’ whose values and behavioral patterns are different from a subject. Previous studies neglected this concept; thus, if not careful, it is easy to mistake ‘empathy’ for mental activity that occurs only within the range of the subject’s understanding. Hence, this study stems from such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will focus on ‘empathy’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the ‘enemy.’ Meanwhile, Korean academia in recent years has been criticizing the uninformative education style that is competitive and interested in ranking; however,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of 2015 disproves this phenomenon. In this study, special attention was drawn to ‘empathy’ in order to “shape humans to be human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Examining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empathy’ developed allows to explain the series of process of being moved by the aesthetic structure of novel text itself and to understand various human representations in literature education, especially in novel education. The “empathetic conversation,” which has been derived based on the concept of empathy, is perceiving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based on the ability to imagine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feeling, and eventually expressing other-oriented emotions. Thus, empathy is an ‘internal’ mental activity to recognize and feel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while empathetic conversation can be seen as an ‘external’ spoken activity that expresses such emotions to others. This study explored the novel education method 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between ‘empathetic conversat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a novel while ‘discovering, understanding, and expanding the object of empathy’ by establishing ‘character, text, and author’ as the target of empathy in novel reading.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how to apply nove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empathy and also examined what can be achieved via this method by applying this novel education method to <Snowy Road> by Lee Chung-jun. The expected effects of the novel education method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s are as follows: learners can increase their imagination, expand their outlook on the world, and master empathetic expressions; and process-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realized. 국문초록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김 가 희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본고는 공감의 개념을 정리하고,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공감은 주체와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이 다른 ‘적’과의 소통까지도 가능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아 자칫 잘못하면 주체가 이해 가능한 범주 안에서만 이뤄지는 정신적 활동을 ‘공감’이라고 오인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고, 본고에서 사용하는 ‘공감’은 ‘적’과의 소통이 가능한 개념임에 중점을 둘 것이다. 한편, 최근의 교육계는 천편일률적이고 줄 세우기식의 경쟁적 교육 방식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본고는 교육의 궁극적 목표, “인간을 인간답게 형성”하기 위하여 ‘공감’에 주목하였다. ‘공감’은 그 개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문학교육, 특히나 소설교육에 있어서 소설 텍스트 그 자체의 미학적 구조의 아름다움에 감동받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며, 소설 속 다양한 인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러한 공감의 개념을 바탕으로 도출한 ‘공감적 대화’의 개념은 타인의 상황과 그 감정을 상상할 수 있는 상상력을 기반으로, 스스로 그 상황과 기분을 인지하며 타자 지향의 감정을 느끼고, 이를 표현하는 것까지를 말한다. 즉, 공감이 타자의 상황과 감정을 인지하고 이 감정을 느끼는 일종의 ‘내재적’ 정신활동이라고 한다면, 공감적 대화는 이를 타자에게 표현하는 일종의 ‘외재적’ 발화활동이라고 본 것이다. 이러한 ‘공감적 대화’와 소설 감상 사이의 유사성을 밝히고, 소설 읽기에서의 공감의 대상을 인물, 텍스트, 작가로 설정하여 ‘공감 대상의 발견․이해․확장’의 공감의 과정을 통한 소설 교육 방안을 탐색하였다. 또한 이 같은 소설 교육 방안을 이청준의 <눈길>에 대입하여 공감의 과정을 통한 소설 교육 방안의 적용 과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의 기대 효과로는 학습자의 상상력 신장, 학습자의 세계관 확장, 학습자의 공감적 표현 방식 터득, 과정 중심의 교수․학습 구현이 있다

      • 정상성인의 허리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경사계와 고니어미터 측정 방법 사이의 상관관계

        김가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평가는 정보를 수집하고 대상자의 장애 정도를 분석하여 치료 목표설정 및 치료 프로그램에 도움을 준다.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측정 방법은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측정하며 신체의 움직임을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고니어미터(Goniometer)는 환자를 평가할 때 가장 보편적이며 다재다능한 도구로 휴대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허리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점이 명확하지 않다. 경사계(Inclinometer)는 버블경사계로 중력에 영향을 받는 경사계 본체 속에 들어있는 액체를 통해 관절가동범위를 평가하며, 신뢰도가 높은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뢰성이 높은 경사계와 고니어미터를 적용하여 허리뼈 관절가동범위의 측정각도를 비교해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고니어미터의 허리 관절가동범위 측정 기준점(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총 50명으로 하여 동일한 집단설계에서 교차계획법 디자인(Cross over design)을 하였다. 측정동작의 피로효과(Fatigue effect)와 순서효과(Order effect)를 방지하기 위해 제비뽑기를 시행하였고 경사계와 고니어미터 두 가지 측정도구로 무작위화(Randomization)하여 측정한 후 5분 후 교차하여 다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두 가지 정도구의 허리굽힘(Flexion), 폄(Extension) 관절가동범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급간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fients, ICC)를 실시하였다. 기준점(축)은 등뼈 12번(Spinous process of 12st thoracic vertebra, T12)과 엉치뼈 2번(Spinous process of 2nd sacral vertebra, S2)에 두고 경사계는 등 쪽에서, 고니어미터는 신체의 측면에서 굽힘과 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경사 계와 고니어미터를 이용해 허리굽힘을 했을 때 두 측정도구의 측정값 사이에 강한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ICC2,1=0.97), 허리폄을 했을 때 두 측정도구의 측정값 사이에 강한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ICC2,1=0.99). 따라서 고니어미터를 이용하여 허리굽힘과 폄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할 때 중심축을 S2에서 평행하게 그은 선과 겨드랑이의 수직선과 마주하는 곳으로 설정하여 측정할 것을 제안한다. Patient assessments that aid in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of the degree of disability are both useful tools for determining an effective treatment, setting treatment goals, and establishing a treatment program. Range of motion(ROM) can be measured in patients with movement dysfunction by active or passive techniques,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for diagnosing physical movement disorders and creating appropriate treatment plans. A goniometer is the most universal and multi-use tool for assessing patients in these situations, and is widely used owing to its portability and low cost. However, there are no clear reference points for measuring lumbar ROM. In this study, a bubble inclinometer was used, which is a highly reliable inclinometer that measures ROM through the movement of fluid found inside the main unit of the inclinometer affected by gra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sured angles of lumbar ROM using a highly reliable inclinometer and a goniometer, to determine whether a correlation can be found between the measured values, as well as to find a reference point(axis) for measurements of lumbar ROM using a goniometer.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50 participants and a crossover design was applied to same group design. Random lot drawing was used to prevent fatigue and order effects in the measured motions. After measurement with one of the two measurement tools(inclinometer or goniometer) by randomization, the measurement was repeated after 5 minutes with the opposite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5.0.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hil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ICCs) were used for determination of correlation between ROM for lumbar flexion and lumbar extension measured using two different tools. The reference points(axis) were set as the spinous process of the 12th thoracic vertebra(T12) and spinous process of the 2nd sacral vertebra(S2). Lumbar flexion and extension were measured from the back when using an inclinometer and from the side of the body when using a goniometer. The results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lumbar flexion measurements (ICC2,1=0.97) and lumbar extension measurement (ICC2,1=0.99) using an inclinometer and a goniometer. This suggest that a central axis should be set to the intersecting point between the line drawn parallel to S2 and the line drawn perpendicular to the axillar using a goniometer to measure ROM of lumbar flexion and extension

      •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공간접근성 영향요인 분석

        김가희 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지역간 공간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서비스 유형별 공간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사회서비스는 현금급여와 다르게 서비스 형태로 전달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사회서비스의 배치와 할당에 있어 접근성의 중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은 여타 지자체 보조사업과 달리 지역내 제공기관 배치에 있어 엄격한 규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리적 장애와 관련된 공간접근성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공간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진행한 점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분야의 새로운 시도이자 의미 있는 출발이 될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전국단위 이용자, 제공기관, 제공인력을 대상으로 기관방문서비스와 재가방문서비스의 공간접근성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다. 둘째, 공간접근성 연구에 있어 GIS를 이용한 공간접근성 분석과 Geoda를 이용한 공간회귀분석을 함께 적용하여 다차원적 분석을 진행한 선제적 연구이다. 셋째,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지역별 공간접근성 영향요인 분석에 있어 공간자기상관성을 통제한 공간회귀분석의 적용이 필요함을 검증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서비스 제공 범위가 광역으로 확대 되어야 할 필요성과 그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서비스 전달체계에 있어 지역내 제공기관이 부족하거나 이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비도시의 경우 전달체계가 재가서비스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할 필요성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2014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전수 자료를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나 이용자의 약 10%, 제공인력의 약 30%가 주소 자료의 부정확성으로 최종 분석에 활용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때문에 향후 정밀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통일된 기준에 따른 자료 수집과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료의 손실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세심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 둘째, 공간회귀분석에 최종적으로 5,050개 동단위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으나 독립변수 선정에 있어 명확한 한계를 갖는다. 사회보장정보원과 지자체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가 제한되어 있고, 제공된 자료들도 5,050개 동단위로 세분화 되어 있지 않아 독립변수 구성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에는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범위 내에서 폭넓고 세분화된 정보가 구축되고 제공 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이용자와 제공인력의 공간접근성을 이용자 접근성이라는 같은 선상에서 해석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명쾌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기관방문서비스와 재가방문서비스의 공간접근성을 나누어 분석 한 것은 분명 두 사업의 서비스 전달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서비스 전달방식에 따른 근거기반의 공간접근성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가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nger is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 of human emotions, but in modern society, adolescent are force to suppress their anger rather than manage it. adolescent didn't have chance to learn how to recognize their anger and deal with it efficiently, thereby many adolescent are experiencing problems such as violence, depression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 on of the perceived parent's rearing types and perfectionism on adolescent's anger expression. The subject were 42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anger expression methods, the anger-control was the lowest. Thus, diverse experience were essentially to be provided to equip students with capability of controlling and positively expressing daily angers, for the students had little experience in positive expressions of the anger. Second, the perfectionism was thought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anger-out and anger-in rather than parent's rearing type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anger-out and anger-in wa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refore, social workers should encourage individuals to increase and maintain self-oriented perfectionistic aspects (achievement motivation) and decreas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tic aspects (need for other's accepta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rd,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perceived parent's rearing types and adolescent's anger expression. Thus, the parenting education is to be executed to teach methods of receptive rearing and to enable positive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the program for students is to be executed to teach them the methods of positively recognizing the parenting activities. The result have the great significance to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r adolescent in this era, because it will be a basis data will help the programs for adolescent in positive way. 분노는 인간 감정의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지만 현대사회의 청소년들은 그들의 분노를 잘 다루기보다는 분노를 억압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분노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법을 배울 경험이 없었던 많은 청소년들은 분노를 폭력, 우울증, 반사회화와 같은 부정적인 모습으로 표현하게 된다. 또한, 청소년의 분노와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있어 청소년의 긍정적인 분노표현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분노와 상관관계가 있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이 분노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 3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각 1곳의 중등학교를 선정하여 현재 학교를 다니고 있는 청소년 421명으로부터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함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청소년은 분노조절 수준이 가장 낮게 조사 되었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분노는 그 자체가 나쁜 감정이 아닌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일반적인 감정 중에 하나라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분노는 표현하는 방식이 중요하고, 긍정적인 조절이 필요함을 인식시켜 분노가 발생했을 때 자신의 분노를 억압·표출 하는 대신 조절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본 연구결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노표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청소년의 부정적인 분노표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녀를 가진 부모에게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가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부모와 자녀가 서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모님과 자녀가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부모가 인식하는 양육태도 수준과 자녀가 인식하는 양육태도 수준을 비교해 보면서 부모와 자녀가 느끼는 양육태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서로를 이해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한다면 청소년의 긍정적인 분노표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이 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지향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분노표현의 하위수준인 분노억압과 분노표출 수준도 높아짐이 밝혀졌다. 즉, 사회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자신의 분노를 억압하고 표출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분노표현을 방법을 교육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년들의 분노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해소시키거나, 분노의 귀인 점을 다른 방향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으나 이 전의 연구들에서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높은 개인은 목표 달성에 실패해 분노를 경험하더라도 적응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했다. 이렇게 청소년의 완벽주의의 귀인 점을 사회가 아닌 자신에게 돌릴 수 있게 한다면 완벽주의의 적응적인 면으로 인해 분노가 발생하였을 때 적응적으로 분노를 표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바람직한 부모양육태도 교육의 필요성과 청소년 완벽주의의 긍정적인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청소년의 바람직한 분노표현 훈련의 필요성을 인식시켜 청소년 분노표현 프로그램을 만드는 근거를 제시한다.

      • 추억의 회화이미지 표현을 위한 점묘법과 임파스토기법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가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추억의 회화이미지 표현을 위한 점묘법과 임파스토기법에 관한 연구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학과 서양화 김 가 희 지도교수 김 승 호 본 연구는 점묘표현과 임파스토기법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통하여 소중한 사람들과에 추억을 표현하는데 의의를 두고 본인 연구작품을 제작하였다. 추억은 우리에게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좋은 기억으로 우리 삶에 살아가는 힘이 된다. 살아가면서 의미있는 경험들이 기억되면 좋은 추억이 쌓이게 되고 우리에게 힘이 된다. 사람들마다 추억을 자극하는 매개체는 다르겠지만, 이를 통해 환기된 추억들은 우리들에게 대체적으로 따스함과 안락함, 행복함과 같이 긍정적인 감정들을 전해줄 수 있다. 그곳에서의 강렬한 추억등을 모두 합쳐서 이미지와 색으로 표현해 대상의 특징을 그려놓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추억(몽상)의 순간을 더욱더 특별하게 표현하고자 점묘법과 임파스토기법의 두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구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점묘법 표현은 본 연구작의 기본구성원이 되는 점의 사용을 통하여 이미지의 묘사와 색(色)을 표현하는 방법중의 하나이다. 점과 색의표현은 본 연구자의 표현기법의 기본적 요소여서 그 성격과 표현방법에 대하여 비교적 상세히 서술하였다. 이러한 점묘표현은 느낌,질감,흐름,및 움직임 등의 잠재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수없이 많은 점(點)으로 반복과 반복을 거듭하면서 그 특성과 가능성에 대한 기법연구를 하였다. 작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점은 대단한 예술적 신호적 체계라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점으로 메시지를 만들어 가기까지는 예술가의 노력들과 고된 작업의 시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런 과정들을 볼 때 점묘법의 값어치는 더욱 상승되고 세월의 한계를 넘어서 점묘법이 계속 활용될 수 있는 있다. 때문에 이런한 과정을 알고 만나게되는 점묘법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의 가치는 더욱 높아 질수 있다. 이러한 점은 임파스토 기법도 마찬가지이다. 본인 작품에서는 포인트를 주거나 조금 더 부각되었으면 하는 장면에 임파스토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현기법이 특징으로 나타날 수 있는 내용으로 숨겨진 강렬한 에너지 를 표현하였다. 이 에너지를 캔버스 위에 아크릴.유화칼라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이 작품들은 앞으로도 계속 연구될 것이며 본 연구자작품의 제작과 연구의 방향을 설명하겠다. 주요어 : 점묘표현, 임파스토기법, 색채, 추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