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을 중심으로 살펴본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수퍼비전 체험연구

        황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1711

        Art therapists help clients explore, express, understand, and integrate their own inner self by providing clients with a new way of self-expression called art. Through the art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experiences provided by art therapists, clients discover their own shadows and new sides, and experience the total Self through the process of internal integration. Art therapists have expertise in the field of art therapy, and they serve as models for clients as beings who have experienced the integrated Self a priori. It is important for art therapists to receive continuous training and supervision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aturity, which is an ethical obligation and an essential process. This is also connected with the need to deal with art at the center of art therapy supervision. Art therapists deal with art, the core of art therapy, in art therapy supervision, art therapy sessions are checked and art therapy education are provided, and supervisors serve as role models for art therapists. In the existing art therapy supervision, client art was mainly dealt with, but recently, art therapist's art and supervisor's art are also dealt with in the art-based supervision. This study aims to vividly describe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who dealt with art in the art therapy supervision, and to explor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In this study, 12 art therapists with master's degrees or higher majored in art therapy were interviewed. The study participants had the shortest career of 4 years and 4 months and the longest career was 15 years and 3 months. All of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art therapy supervision in both degree courses and post-graduate degrees, and experienced both individual supervision and group supervision. In some cases, the supervision fee were fully supported by the project project or affiliated institution, or up to 200,000 won was paid in some case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all study participants at least twice in a 1:1 interview method from June 2019 to May 2021. Art works of study participants were also collected as research data and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interviewed data and art work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with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8 essential themes and 26 sub-themes were discovered. The following are the 8 essential themes:〈Images become evidence of the scene, and supervision is enriched〉,〈Images add depth to the understanding of me and the client〉,〈Conceptualizing the case with art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treatment〉,〈Sorry for not being able to deal with art enough in supervision〉,〈Learning art in art therapy and growing into an expert〉,〈Experience being a client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art〉,〈Art helps establish an identity as an art therapist〉,〈Supervisor's attitude toward art affects me and supervi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rt therapy supervision, art enriches the supervision and allows art therapists to look at art as it is, without the preconceived notions or prejudices of art therapists. Supervision is more efficient when art therapists share image pictures or original art work in supervision. Secon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rt therapists can obtain a new perspective on art through the experience of dealing with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and that it is helped in conceptualizing the client's case. Third, art therapists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art through experience of dealing with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and art therapists gradually acquire professionalism by checking their personal self-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as an art therapist. Fourth, when art therapists deal with art in group art therapy supervision, they receive positive and negative stimuli at the same time. Fifth, with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ists, there are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and handling of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st aspect of art therapy supervision affects art therapists' handling of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Last, art therapists are greatly influenced by supervisors in handling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to the academic field and field of art therap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art therapists' experience of art therapy supervision is valuable as a study focusing on the core of art therapy. In particular, in this study, it tried to understand how art is treated in the art therapy supervision and how it means to art therapists in detail and depth by presenting art covered by art therapy supervision in clear and detailed operational definitions. This would be useful for art therapy trainees and field art therapists to understand the art therapy supervision. Second, it is meaningful to art therapy supervisors that it provided material to understand how art therapists are experiencing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By examining the vivid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in this study by art therapy supervisors, it is possible to examine what art therapy supervision is expected by art therapists, and it will be helpful in discussing the direction of art therapy supervision with art therapists in the field. Third, it is meaningful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art therapy supervision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art therapists and managing their professionalism. Last, this study helps supervisors and supervisees in other area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rt therapy supervision. And by applying art to the supervision of their area,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examine the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possibilities of supervi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upervis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duration of each supervision, and the recent experiences of supervision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when recruiting for the study. Second, when recruiting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re was a limit to recruiting art therapists who are currently under constant art therapy supervision. The researcher's follow-up research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hat art therapist's art therapy supervision experience study and art therapist's art-based supervision experience study are separately studied. Second, it is proposed a quantitative study on the extent to which dealing with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is effectiv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art therapists and growing as experts. Third, it is proposed a stud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art-based supervision and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education analysis using art. Fourth, it is proposed a follow-up study on the concept of art in art therapy supervision. Last, it is proposed a follow-up study on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dealing with art in peer-supervision and self-supervision. Keywords: art therapist, art therapy supervision, art, hermeneutic phenomenology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에게 미술이라는 새로운 자기표현의 방식을 제공하여 내담자가 자기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표현하고 이해하고 통합하도록 돕는다. 미술치료사가 제공하는 미술과 치료적 관계 경험을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그림자와 새로운 면을 발견하며 내적인 통합을 이루는 과정을 통하여 전체로서의 자기(total Self)의 경험을 하게 된다.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 영역의 전문성을 갖추고 통합된 자기(Self)를 선험적으로 경험한 존재로 내담자에게 모델이 되어준다.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전문성 발달과 성숙을 위해 지속적인 훈련과 수퍼비전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윤리적 의무이며 필수적 과정이다. 미술치료에서 미술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미술 재료, 미술 작업 과정, 미술 작품 모두에는 내담자의 의식적·무의식적인 영역이 상징적으로 외현화되어 표현된다. 이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이 그 중심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것과도 연결된다.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치료의 핵심이 미술을 다루며 치료 회기에 대한 점검, 미술치료 교육이 이루어지고 수퍼바이저는 미술치료사에게 역할 모델이 되어주기도 한다. 기존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는 내담자 미술을 중심으로 다루어왔으나, 최근에는 미술 기반 수퍼비전이라는 용어로 미술치료사의 미술, 수퍼바이저의 미술도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함께 다루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룬 미술치료사의 체험을 생생하게 기술하고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서 미술치료를 전공한 석사학위 이상의 미술치료사 1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경력은 가장 짧게는 4년 4개월이었고 가장 긴 경력은 15년 3개월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학위과정에서 수퍼비전, 학위 취득 후에 수퍼비전, 개인 수퍼비전, 집단 수퍼비전을 경험하였다. 수퍼비전 비용은 프로젝트 사업이나 소속기관에서 전액 지원을 받거나 최대 20만원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었다. 연구 자료는 2019년 6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모든 연구 참여자들을 최소 2회씩 1:1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의 미술 작품도 연구 자료로 수집되어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본질적 주제 8개와 하위주제 26개가 도출되었다. 다음은 분석을 통해 얻게 된 8개의 본질적 주제이다.〈이미지는 현장의 증거가 되어 수퍼비전이 풍성해짐〉,〈이미지는 나와 내담자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해줌〉, 〈미술로 사례 개념화를 하며 치료의 방향을 잡아감〉,〈수퍼비전에서 충분히 미술을 다루지 못해 아쉬움〉,〈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을 배우며 전문가로 성장함〉,〈미술을 다루는 과정에서 내담자 됨의 경험을 함〉,〈미술은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함〉,〈수퍼바이저의 미술에 대한 태도는 나와 수퍼비전에 영향을 줌〉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은 수퍼비전을 풍성하게 해주고 미술치료사의 선입견이나 편견 없이 있는 그대로의 미술을 살펴볼 수 있다. 미술치료사가 수퍼비전에서 이미지 사진이나 작품의 원본을 공유할 때 더 효율적인 수퍼비전이 가능하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루는 경험을 통해 미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고 내담자의 사례 개념화에 도움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루는 경험을 통해 미술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고, 미술치료사가 개인적인 자기에 대한 이해와 미술치료사로서의 발달을 점검하며 점차 전문성을 갖추어간다. 넷째, 미술치료사가 집단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룰 때는 긍정적 자극과 부정적 자극을 동시에 받는다. 다섯째, 미술치료사의 발달에 따라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에 대한 이해와 다루는 내용에도 변화가 생긴다. 여섯째,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비용적 측면이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루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미술치료사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루는 데 수퍼바이저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가 미술치료의 학문 영역과 현장에 기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루는 경험이 미술치료사에게 어떠한 경험이며 그것이 가지는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경험 중에서도 미술이라는 미술치료에서의 핵심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로서 그 가치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다루는 미술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정리함으로써 미술을 명료하고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어떤 방식으로 다루고 있고 미술이 미술치료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 미술을 깊이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는 미술치료 훈련생, 현장의 미술치료사에게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미술치료 수퍼바이저에게는 미술치료사들이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담긴 미술치료사들의 생생한 체험들을 미술치료 수퍼바이저가 살펴봄으로써 미술치료사들이 기대하는 미술치료 수퍼비전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현장의 미술치료사들과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방향성을 논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미술치료사들의 역량 강화와 전문성 관리를 위한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도록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다른 영역의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로 하여금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자기 영역의 수퍼비전에 미술을 적용함으로써 수퍼비전의 다양화와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수퍼비전 횟수와 1회당 수퍼비전 소요 시간, 최근 수퍼비전의 경험 등에 대한 내용을 연구 모집 시에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참여자를 모집할 때는 현재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꾸준히 받고있는 미술치료사를 모집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연구자의 후속 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미술을 다루는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수퍼비전 체험연구와 미술치료사의 미술 기반 수퍼비전 체험 연구가 각각 나뉘어 연구되길 제안한다. 둘째,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을 다루는 것이 미술치료사의 정체성 확립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양적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미술 기반 수퍼비전과 미술을 활용한 미술치료 교육분석의 경험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연구를 제안한다. 넷째,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에 관한 개념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다섯째, 피어 수퍼비전(peer-supervision)과 셀프 수퍼비전(self-supervision)에서 미술을 다루는 미술치료사의 경험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주요어: 미술치료사, 미술치료 수퍼비전, 미술, 해석학적 현상학

      •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 체험 연구

        박승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research is about the understanding on lived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It examined their experience details 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For the study, it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 participants's experience and furth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deeply through analysis and description in the language given by the participants as Art Therapy Master's Course Student, to derive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 mens who belong to domestic master's course in Art therapy from local professional and special graduate schools. From July to November 2012,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hrough which necessary data were collecte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written down under the participants' content. Each of the interview took about 1 to 2 hours, and 1-3 interviews were given to each participant. When it was judged that data were saturated, no more interview was performed. All the recored data were copied as the participants described, and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nalyzed into main ten compositions, <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 < To understand the human being >, < Fascinated by Art Therapy >, < The Art Therapy as the combination of Art and Psychotherapy >, < Decision to attend the Art Therapy Master’s Program >, < Deeply understand both Art and Psychotherapy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s Program >, < Facing the difficulties as the early trainees >, < Explorationand Recognition of self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 < Personal Growth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 < Realization of the need of continuous studying of this learning > and 30 other subdivi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ur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students had their interest in Art Therapy for their own stability of their life and to have self-healing power. They experienced the power of Art Therapy, the safe way of knowing and understand about self through freely expressing and finding their unconscious. Those experiences led them to apply to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to learn professionally. Second, they get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having both Artistic experience and the basic psychological knowledge to become an Art Therapist. The ones who do not have enough artistic experience, they need to broaden their experience to help the clients to give therapeutic experience through art and to give them appropriate materials. Moreover, they need to study enough psychological theory to have basic understands of human being. Third, through having many opportunities of finding and exploring about their unknown self, they get to have fear of recognizing self and experience the difficulties as the early trainees. Through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having the progress of self-awareness. It is important because the process of self-awareness can be connected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The process of exploring includes realizing and treating their sufferings,understand oneself as a person and accept who they are. Fourth, to understand and accept about self become the healing and the growth of one person and that makes their life meaningful. As an Art Therapy Master student, they get to have a chance to know about self and this life experience influence on their real life. They may have flexible thought about others and it may useful to help them. Therefore, they may help someone else’s growth through their own growth. The whole process of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facilitated the students to grow mentally and intellectually. Moreover, it taught them how to understand themselves, the world and the human being. Through their growth and stimulation that they gained from the Art Therapy Master Program, they became not only satisfied with themselves but also gained the wisdom of help the suffering for their inner growth. This research gives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Art Therapy Master Program. It would be helpful for the Art Therapist to have the optimal adaptation and accept their identity clearly. Furthermore, thi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of the Art Therapy for their growth as an Art Therapis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에서 그들의 경험이 어떠한 의미와 본질을 지녔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들로부터 주어진 언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체험의 의미구조를 도출해냄으로써,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의 체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국내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 1학기~4학기 과정 중에 있는 미술치료 석사 과정생 10명으로 그들이 속한 미술치료대학원은 전문대학원 1곳, 특수대학원 3곳이다. 2012년 7월부터 11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참여자의 동의하에 메모와 녹음을 병행하였다.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1회에 1~2시간 정도로 참여자 별로 1~3회씩 만나 면담이 진행되었다.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르는 시점에 종료되었으며, 녹음된 모든 면담 자료는 참여자가 표현한 기술을 그대로 필사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근거로 하여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 경험을 분석한 결과, <삶의 의미와 행복에 대해 찾고자 함>, <인간에 대해 이해하고자 함>, <미술치료에 매료됨> ,<미술과 심리치료과 합쳐진 미술치료> ,<미술치료 대학원 진학 결심> ,<미술치료 석사과정에서 미술과 심리치료 두 학문을 동시에 연마해야 함> ,<초기 실습자로서의 어려움 직면> ,<미술치료 석사과정을 통한 자기 탐색과 자기 인식>, <미술치료 석사과정을 통한 성장> ,<학문에 대한 지속적인 습득의 필요성을 느낌>의 10개 구성요소 아래 30개의 하위 구성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생들은 자신의 삶의 안정을 위한 노력과 자기 치유의 방법으로 미술치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자신에 대해 표현할 수 있게 하며, 무의식에 대한 통찰을 통해 자기 이해에 도움을 주는 미술치료의 힘을 경험하고, 미술치료에 대해 더 전문적으로 배우고자 미술치료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훈련받는 석사학위과정에서 미술적 경험과 심리학이란 학문적 기반의 양 측면이 고루 갖추어져야함을 알게 된다. 미술 경험이 익숙하지 않은 자들은 치료적 의미에서의 미술 작업을 돕고, 보다 적절한 매체를 제공하기 위해서 미술적 경험을 풍부히 가져야 한다. 또한, 인간의 이해를 위한 심리학 및 치료와 관련한 이론을 충분히 학습하고 숙지하여, 심리학적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에서 자신의 여러 모습에 대해 발견하고 탐색하는 기회들을 많이 갖게 되면서, 자기 인식에 대한 두려움과, 초기 실습자로서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동안 수업, 임상 실습, 타인과의 관계적 부분 등의 자신의 삶속에서 이루어지는 자기 인식 과정은 내담자와의 치료관계와 연결되어, 치료사로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자기 탐색의 과정은 고통스런 문제들을 훈습하고, 다양한 성격적 측면의 통합을 추구하며, 이해와 수용으로 나아간다. 넷째,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는 것은 치유와 성장 요인이 되었으며, 자신의 삶을 의미있고 가치있게 하였다. 자신에 대한 이해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 자신의 삶에서의 실제적 변화 및 적용 뿐만 아니라, 확장된 관점과 유연한 사고를 형성하게 하여 타인에 대해 이해하고, 도울 수 있도록 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자신의 성장을 통해, 누군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도울 수 있게 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교육과정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의 정신적, 지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자신과 세상, 인간에 대해 이해하고 알아가는 배움을 얻게 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은 교육과정을 통해 성장과 배움을 촉진받아, 자기 삶의 만족을 충족할 뿐 아닌, 고통받는 사람을 치유하고, 그들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석사학위 과정에 대해 이해하며, 최적의 적응을 돕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나아가 그들의 성장을 돕는 미술치료학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리라 여겨진다.

      •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유혜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의 어머니들이 미술치료 활동을 통해 경험한 다양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자폐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생각해 보고자 함에 있다. 또한 미술치료사들에게는 자폐아 어머니에 대한 전반적 이해자료를 제공하여 자폐아 치료에 있어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소아·청소년 정신과에서 자폐증으로 진단 받은 경기도 지역 특수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자폐아의 어머니 5명이다. 2003년 7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회기당 60분정도로 총 10회기의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인간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고 또한 인간 경험의 기본적인 구조이며, 총체적인 질(Holistic Quality)을 가지고 있는(Connelly & Clandinin, 1990)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따라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면담과 현장관찰, 참여자의 미술치료활동 작품, 현장일기, 참여자의 일기, 참여자에게 받은 이메일로 이루어졌고, ‘이야기하기’(telling)와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를 통해 참여자의 경험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인 5명의 특수학교 재학중인 자폐아의 어머니들이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진술한 경험이야기를 각 어머니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1.'A' 미술치료활동 경험 : ‘A' 는 1남 1녀를 두고 있으며, 그녀의 장남은 공격적인 성향이 있고, 식탐이 유난히 많은 자폐아이다. 자폐증 아들을 양육하는 데 있어 남편이 매우 지지적이고 협조적이며 그녀의 딸 역시 오빠와 스스럼없이 잘 어울린다. <나만을 위해 준비된 재료들을 마음껏 사용하며 샘솟는 자신감><그림 속에서 고스란히 묻어 나오는 이중적인 나의 모습이 혼란스러움><못난 감자 같지만 따져보면 잘 하는 것도 많은 아들이 소중함><나의 도움이 오히려 아이에게 불편감을 줄 수 도 있다는 생각이 듬><자폐아 오빠를 둔 딸이 늘 마음에 쓰임><‘유난히 지랄 맞은 놈 엄마’가 아닌 나 자체로 인정받는 시간이 소중함><나 자신을 쌓아가고 싶은 의욕이 솟아남><성질 더러운 내 자식 시설에서 매맞아 죽을까봐 먼저 죽지도 못함><내 마음의 그릇을 키워주는 특별한 아이><힘든 시간 함께 해 온 남편에 대한 고마움을 작품 속에 표현함> 2.'B'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B'는 남편과의 사이에 외동아들을 두고 있으며 매사에 적극적인 성격이다. 그녀와 아들 모두 신체적으로 매우 허약한 편으로 특히 아들의 작은 변화에도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며 신체화 경향성이 높은 편이다. 아들의 장애진단에 대한 충격으로 1년간 정신과에서 우울증 치료를 받은 경력이 있다. <캄캄한 고민상자를 스스로 깨고 나온 내 자신이 기특함><가슴깊이 꾹 눌러놨던 얘기를 봇물 터지듯 쏟아내는 후련함><자기 안에 갇힌 아이를 세상 밖으로 섞어주어야 하는 책임감><잃어버린 나를 찾는 시간은 누구에게도 뺏기고 싶지 않음><마음의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 같은 시간으로 머리가 맑아짐><‘톡톡’ 치는 상동행동이 사춘기 들어 심해져 내 신경도 날카로워짐><변화를 못 견디는 아이와 치루는 전쟁이 진절 넌더리 남><오로지 아이만 신경 쓰느라 삶에 찌든 내 모습이 안쓰러움><나 없으면 오갈 데도 없는 아들 걱정에 이민까지 고려함><아이를 통해 더불어 사는 법을 알게 됨> 3.'C'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C'는 말수가 매우 적으며 소극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아들의 자폐증 진단 이후 외부세계와 단절감을 많이 느낀다. 그녀의 남편은 아들의 장애를 수용하는 데 아직까지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녀의 딸 역시 엄마의 관심이 오빠에게 집중되는 것에 대해 분노감정을 느끼며 반항적인 태도를 보인다. <아이와 나 둘만 외계인이 된 듯한 단절감에 서러움><나와 같은 처지에 있는 다른 엄마들의 작품에 관심이 생김><‘일요일은 오뚜기 카레.레.레...’, 점점 심해지는 아들의 광고 따라하기로 속 터지게 답답함><이제서 불만을 터트리기 시작하는 딸의 반응이 당혹스러움><아들을 ‘바붕이’ 라고 부르는 남편에 대한 서운함><미술작품 속에서 처음 대면하는 내 모습이 낯설고 어색함><무뎌진 감정들이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조금씩 되살아 남><중학생이 되는 것 조차 상상 안 되는 불투명한 아들의 미래> 4.'D'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D'는 큰 사업체를 운영하는 남편과의 사이에 2남을 두고 있다. 그녀는 자폐아인 막내아들과 매우 밀착되어 있으며 허용 적인 양육태도를 보인다. <‘우리는 한 몸’, 죽을 때도 데려가야 되는 아이를 생각하니 서글픔><사춘기에 시작된 경기발작으로 심장이 덜컥 내려앉음><자폐아들을 중심으로 가족이 융화되고 서로 위해줌><내가 가진 고통의 무게로 다른 사람의 아픔을 이해하게 됨><나에게 방패막이가 되어주는 아들><그림을 그리면서 이야기가 술~술 풀려 나오는 편안함><혼자 지지고 볶던 마음이 그림에서 딱 드러나는 게 신기함><감추고 싶은 모습이 그림 속에서 들춰지는 것이 두려움> 5.'E'의 미술치료활동 경험 :‘E'는 남편과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본 연구 참여자들 중 유일하게 자폐증 딸을 둔 어머니이며 시댁과 친정모두 엘리트층이며 그녀 역시 법대 출신으로 지적인 이미지의 소유자이다. <그림 속에서 되살아나는 딸에 대한 뭉클함><마냥 두 살배기 같은 딸의 장래를 생각하면 덜컥 겁이남><제법 처녀티가 나는 아이의 몸이 부담스러움><일거수 일투족 쫓아다녀야 되는 아이 덕에 시댁 일에 면죄부 받음><온전히 나를 위해 준비된 주인공 역할에 몰입하는 즐거움><아이의 장애로 인해 세상을 여러 방향에서 보게됨><내가 만든 작품처럼 뚱딴지같은 딸도 꼭 필요한 존재임><손으로 꼬물꼬물 만들면서 몰랐던 내 모습과 만나는 신기함> 이들 5명의 연구참여자인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재구성 해볼 수 있다. 첫째, 미래에 대한 암담한 심정을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표출시킨다. 둘째, 미술치료활동을 통해 자녀의 심신 발달의 불균형으로 인해 겪는 심적 고통을 토로하는 계기가 된다. 셋째, 미술치료활동시간만큼은 아이에게 벗어나 자신에게 집중 하는 자유로움을 경험한다. 넷째, 그림 속에서 아이로 인한 긍정적인 부분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를 통해 특수학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폐아 어머니의 미술치료활동 경험에 관한 최종적 결론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내려볼 수 있다. 첫째, 미술치료활동은 자녀의 장애로 인한 기쁨과 고통을 아이의 입장, 나의 입장, 타자의 입장에서 통합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둘째, 미술치료활동은 자폐아의 양육과 진로에 대해 어머니 스스로 솔직한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셋째, 미술치료활동 시간만큼은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시간이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초등학생 자폐아를 둔 어머니들로서 자녀가 성인이 되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염려스러운 감정을 표현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실제로 성인 자폐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자폐증 아들을 둔 어머니의 경험에 편중되어 있다. 자폐증 딸을 둔 어머니들만의 특수한 경험에 초점을 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자폐아 어머니의 경험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자폐아 가정의 사회경제적 계층을 고려하여 경험을 심도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장애아의 교육, 치료에 있어 개인의 부담이 큰 한국의 사회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계층의 어머니들에 대한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 특수반 어머니와 특수학교 어머니의 경험의 상이성에 의해 특수학교 어머니로 대상을 한정했다. 일반아 속에서의 차별대우, 보조교사제도에 대한 관심 등 일반학교 특수반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nature of various experiences that mothers with an autistic elementary schoolchild attending special school had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identify factors to consider in art therapy for autistic children's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art therapists with materials for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autistic children's mothers so that they may have a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mothers in treating autistic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mothers with 6th-grade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gi-do area, who had been found to have autism by medical specialists in children/juvenile psychiatry. Individual art therapy was conducted upon the subjects from July to October 2003, once a week and a total of 10 times, and 60 minutes at each time. Data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were focused on the subjects' human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Connelly & Clandinin, 1990), which is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and holistic quality of human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ield observation, the participants' art works, field diaries, the participants' diaries and emails received from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author understoo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deriv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rough 'telling' and 'retelling.' This study analyzed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as told by the five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1. Mother ‘A'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A' has a son and a daughter. Her elder son is an aggressive and gluttonous autistic child. In raising the son, her husband is very supportive and cooperative and her daughter also plays well with her brother. <Confidence welling up when freely using materials prepared only for me><Feeling confused by my other side entirely disclosed by paintings><Treasuring my son who is good in many things although looking like a ugly potato><Sometimes thinking that my help would rather inconvenience my son><Always concerning over my daughter who has an autistic brother><Feeling I am precious when I am treated as I am rather than as a mother of 'an exceptionally insane boy'><Desire to develop myself><Impossible to die earlier than the son, worrying if my bad-tempered son may be beaten to death at a facility><My son a special boy who is broadening my mind><Expressing my appreciation in my works for my husband's being with me throughout hard time> 2. Mother ‘B'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B' has an only son between her and her husband, and she is positive in all matters. Both she and her son are physically weak and, particularly reacting very sensitively to minor changes in her son, she shows a high tendency of somatization. Shocked at the diagnosis of her son's mental disorder, she had been treated of depression at psychiatry for a year. <Admiring myself who broke away the dark box of agony><Feeling free as if pouring out stories I have suppressed in my deep heart><Feeling responsible for leading the child confined in himself out to the world><Hating to be deprived of time for me to look for the lost self><Getting clear through time like a filter that strains out dregs in my heart><Getting mores sensitive to my kid's stereotypic behavior of tapping 'tick tick' that has gotten worse as he turned reach puberty><Getting truly tired of war with the son who cannot endure change><Feeling sorry for myself who is worn out with the child><Considering immigration out of worry about the son who will be thrown away without me><Learning how to live with others through the child> 3. Mother ‘C'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C' is a very taciturn and passive woman, feeling alienated from the outside world since her son was found to be autistic. Her husband still has difficulties in accepting his son's disability. Her daughter also feels angry and takes a defiant attitude as the mother's attention is concentrated on the brother. <Getting sorrowful as I and my son look like aliens separated from the world><Getting interested in other mothers' works><Feeling choky when seeing my son desperately copying commercial message 'On Sunday Ottugi Curry..ry..ry...'> <Being perplexed with the response of the daughter who begins to complain><Feeling sorry for my husband who calls the son 'a fool'><Feeling Strange and awkward to myself I see first in my paintings><Getting more sensible through art therapy activities><My son's unimaginable dark future>. 4. Mother ‘D'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D' has two sons between her and her husband who is running a large-sized business. She adheres to her autistic younger son and raises him permissively. <Thinking 'We are one body', regretting having to die together><Being shocked when the son began fits of convulsion in his puberty><Feeling bound in love among family members through the autistic son><Now understanding others' pains through my own unbearable pain><My son a shield for me><Feeling comfortable when drawing as if a story is coming out fluently><Amazing that my picture reveals my irritated inner mind as it is><Fearing if my real self, which I want to hide, may be disclosed> 5. Mother ‘E's experiences in art therapy activities: : Mother 'E' has a son and a daughter between her and her husband. She is the only mother who has an autistic daughter. Both her family and her husband's family are elite class and she is an intelligent woman who graduated from a law school. <Getting filled with emotion when seeing my daughter reviving in my paintings><Being struck with awe when thinking the future of my daughter looking like only two year old><Feeling burdened when seeing my child's body growing as a girl><Being exempted from chores at my husband's house thanks to the daughter who needs help in her every move><Bing joyful to be absorbed in playing a heroine who is prepared solely for me><Looking at the world in many aspects because of the daughter's disability><Thinking there should be dull ones like my daughter as in my works><Loving to meet myself who I have not know before while making something by hand> This study restructured into four points the meanings of experiences of art therapy activities of the five mothers who had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school. First, They express their heavy heart for their children's dark future through fine art therapy activities. Second, Art therapy activities give them opportunities of pouring out mental pains from their children's un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body and the mind. Third, They feel freedom during art therapy activities as they turn their attention from their children to themselves. Fourth, In paintings, they find positive sides with regard to their children. Based on these meanings, art therapy activities experienced by mothers who have autistic children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are finally concluded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activities give opportunities for having an integrated view of delights and pains caused by the child's disability from the child's position, from my position and from others' position. Second, Art therapy activities give mothers opportunities for talking frankly about their autistic children's growth and future course. Third, Art therapy activities give mothers time solely for themselves. Based on the conclusions, the author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xpressed their anxiety and worry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as mothers of autistic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utistic an adult son or daughter. Second, this study was mainly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n autistic son. If the peculiar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an autistic daughter are studied in depth,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will be understood more broadly. Thi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considering the social and financial conditions of their families. Considering that a personal burden is heavy in educating and treating disabled children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Fourth, this study was limited to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special elementary schools because of the heterogeneity of special classes in ordinary schools and special schools.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special classes at ordinary schools concerning discriminative treatment among ordinary children, interest in assistant teacher system, etc.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연구

        김지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미술치료 장면에서 만나게 되는 내담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아동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다. 아동이 속한 환경인 부모, 형제, 친구, 교사 등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부모는 아동에게 일차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대상으로서 아동의 문제 행동의 완화와 소거를 위해서는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에 대한 개입도 필요하다. 그러나 부모는 아동과 달리 성인으로, 미술치료사는 부모상담에서 아동 내담자와는 다른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 실제로 미술치료사의 아동 미술치료 체험 연구에서 치료사들은 부모요인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기도 하고, 부모를 아동과의 치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는 아동 미술치료 과정에서 조력자로써 기능하며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부모가 조력자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치료사와 부모와의 관계가 중요하다. 기관중심 현장은 미술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접하기 쉬운 실습현장이기도 하다. 또한, 기관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연령은 아동으로 대부분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현장에서는 부모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과정에 있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현장에서 내담 아동의 보호자인 부모와의 상담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현장에서의 부모상담과 관련한 기초적인 실습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에 대한 체험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 중, 인간의 의식이 지향하는 현상 자체에 집중하고 그것을 기술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단계는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를 밟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 5곳의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으로, 석사 3학기생 4명, 4학기생 2명, 5학기생 3명 그리고 석사 수료 후 6개월 이내 2명으로 총 11명이다. 이들은 복지관, 지역아동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발달센터, 심리치료기관 등에서 아동 미술치료 회기 후반에 10분 내외로 내담아동의 부모와 상담을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6년 5월부터 2016년 11월에 걸쳐 11명의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아동 미술치료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반성적 사고를 통해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10개의 대주제와 2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준비없이 맞이하게 된 부모상담으로 인해 두려움과 막막함에 휩싸임>, <아동을 맡길 수 있는 믿음이 가는 미술치료사가 되고자 애씀>, <부모상담을 통해 아동과 관련된 연결고리를 찾아감>, <부모의 무심한 태도로 인해 부모와의 만남이 답답하게 느껴짐>, <부모상담에서는 무엇보다 라포형성이 중요함을 깨달음>, <부모상담에서 백 마디 말보다도 아동의 그림이 유용하게 느껴짐>, <아동을 위한 치료여정에 부모가 함께 할 수 있도록 이끔>, <그럴 수밖에 없었던 부모의 상황이 이해되고, 노력하는 부모의 모습에 감사함을 느낌>, <부모상담에 관한 실제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낌>, <부모상담의 시작은 어려웠지만 한 단계 성장한 것 같아 뿌듯함> 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의 의미와 본질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서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부모상담을 하게 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부모와의 만남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아동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기대와 요구를 파악하여 부모와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는다. 둘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아동 미술치료 회기에서 수행하는 부모상담에 대해 불안감과 걱정이 많았으며 부모상담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셋째, 아동 미술치료와 부모상담을 병행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아동의 미술작업을 통해 부모가 자녀를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써 미술치료의 효과를 체감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체험에 대해 생생한 자료를 제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들이 기관중심 아동 미술치료 실습 회기에서 수행한 부모상담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이다.

      • 미술치료학 석사과정생의 수퍼비전 체험연구

        임은영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supervision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the supervision for art therapy master's course to be an expert for art therap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er has been accepted the qualitative research as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by Max van Man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students in Art therapy mater's course graduated from Art schools who have experiences of supervision in, at least, three semesters.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by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from March to November 2012. These interviews to obtain the saturated material from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1-3 times each. The interviews have been recorded with their agreements and written as verbatim. Additionally, journals, reports and art works of the participants have been collected to reach the essential themes. The supervision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as a coursework are organized into 9 essential themes as confusion after attending the supervision without preparations, step-by-step adaptation and change, exploring the help of supervision, experience of specific and complex relationship of supervision, finding new aspect of art, economical and time benefits of supervision, assessments as the coursework, preparations for independence as an expert of art therapist and study the whole course of the master's cours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in Art therapy experience chaotic, anxiety and tension when taking the first supervision in the graduate school. These emotional problems of the students have been continued from the first term to the final term. And the forms of emotion kept changed. In the beginning, they have confused by supervision system, had difficulties by adaptation troubles and experienced the separation anxiety by termination of supervision when graduated. The students, at the final term, have accepted the supervision as a training to be art therapists not as a coursework to report and be coached and experienced the self growth to the therapist. And they have tended to have the desires of self-reliance. Second, the art therapy students majored in Art have had difficulties to accept supervision because of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major in Art. However, knowledge and experience of major in Art could have been a big help. For example, They are quiet in the nature about understanding their clients’ art works and expressing self images. However, they have had difficulties to make a presentation for case formulation by logical thinking and linguistic change. It is the reason why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envy the peers in psychology. The participants also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of peers who don't have major in Art to treat the art while in session. Third,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ambivalent feeling to their professor as a supervisor and classmates. They have recognized their professor as identify object as art therapist, supporter, person not all-knowing and unfamiliar supervisor to guide themselves. Also they have recognized the classmates as friends, partners, supporters, mirror to certify self growth, persons to make similar mistake and competitors. After all, the complex feeling leads a chance to think about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relationship. Forth, the participants understood art therapy and clients through the art therapy supervision, examined the attitude and imagined the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ist. Those steps have been achieved by self awareness to take the supervision. Finally, the students in Art therapy have tendency to assess the supervision as a student and understand the strength. They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upervision unified other courses and wanted to improve the next supervision by reflection of their opinion. They think supervision is very helpful because the course has no additional cost and is progressed in the same time when taking practi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of construction of education system for the art therapy and supply the topics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을 전공하고 미술치료학 석사과정에 입문한 학생들이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교과목으로 수강하는 수퍼비전 경험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글쓰기 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미술치료학 석사과정에 있는 학생들로, 최소한 2학기 이상 수퍼비전 교과를 수강한 경험이 있다.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3월부터 2012년 11월까지이며, 참여자에 따라 1~3회, 자료가 포화되는 시점까지 면담하였다. 면담 내용은 참여자 동의하에 녹음하여 축어록으로 풀었고, 추가적으로 참여자들의 글쓰기와 미술작업 등을 수집하여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미술치료 석사과정의 수퍼비전 교과경험에서 본 연구는 총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갑자기 수퍼비전을 접하여 혼란스러움’, ‘학기가 올라가면서 차근차근 적응하고 변화함’, ‘수퍼비전이 주는 도움에 대해 탐색함’, ‘수퍼비전 교과목만의 독특하고 복잡한 관계를 경험함’, ‘이미 익숙한 미술을 다른 시각에서 보게 됨’, ‘대학원의 수퍼비전은 비용적․시기적으로 이득임’, ‘과목을 평가함’, ‘치료사로서 독립할 준비를 함’, ‘대학원 과정 전체를 통째로 학습함’. 도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은 대학원과정에서 처음으로 수퍼비전을 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혼란과 불안, 긴장을 경험한다. 이런 정서적 어려움은 수퍼비전 첫 학기부터 마지막 학기까지 지속되며 그 감정의 형태가 변화된다. 초기에는 익숙하지 않은 지도방식에 혼란스럽고, 적응될 줄 기대했던 어려움이 지속되어 힘들고, 졸업으로 인해 수퍼비전의 종결에 맞이하며 분리불안을 경험했다. 석사과정생들은 마지막 학기가 돼서야 수퍼비전을 보고하고 지도받는 과정이 아닌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훈련방법으로 생각하게 되고, 치료사로서의 자기 성장을 경험하며 수퍼비전에 의존하기보다 독립하려는 욕구를 느낀다. 둘째,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은 미술이라는 학문적 배경으로 인해 수퍼비전에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지만 동시에 도움을 받기도 한다. 이들은 직관적으로 사고하고 사고내용을 이미지화하는 우뇌적 사고에 익숙하여 미술을 치료수단으로 적절히 활용하고, 내담자 작업을 이해하며, 자신을 표현하는 것에 편한 점 등에서 이점을 지닌다. 그러나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이를 언어화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나타내어 사례를 개념화하고 발표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심리학을 전공한 동료를 부러워하기도 한다. 그러나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동료들이 세션 중에 미술을 적용하기 어려워한다는 것을 관찰하면서 거꾸로 자신의 배경전공에 감사하게 된다. 셋째, 석사과정의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학생들은 수퍼바이저인 교수와 동료들에게 양가감정을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의 지도교수를 미술치료 전문가라는 동일시 대상, 격려해주는 지지자, 모든 걸 알지 못하는 한 사람, 그리고 자신을 지도하고 평가하는 상위의 어려운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동료들에게는 친구이면서 동반자, 지지자, 자기성장을 인식하게 하는 거울 같은 존재, 초보자로서 비슷한 실수를 하는 위안 대상 또한 동일한 기준에서 평가받는 경쟁자로 생각되는 등의 갈등도 나타냈다. 이들이 동일한 대상에게서 경험하는 복잡한 감정은 관계의 어려움과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가 된다. 넷째, 미술치료학 석사과정생들은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통해 미술치료와 내담자에 대해 이해하고, 미술치료사로서 자신의 태도를 점검하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성장을 꿈꾼다. 이러한 목적은 수퍼비전을 받으면서 지속적인 자기인식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다섯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은 수퍼비전에 대해 학생으로서 평가하고 그 장점들을 알게 된다. 또한 수퍼비전 경험을 다른 교과목과 통합하여 이해하고 자신들의 의견이 다음 수퍼비전에 반영되길 원한다. 그리고 대학원에서의 수퍼비전이 교과과정에 포함되므로 추가비용이 들지 않고, 시기적으로 실습과 동시에 이뤄지므로 이득이 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미술치료사로 훈련하는 주된 방식으로써 수퍼비전의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국내 상황에 맞춰 단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식이 무엇인지 논의하고 그 체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체험 연구

        한경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51711

        The graduate programs in art therapy are offered without any undergraduate programs. By combining fine arts and psychological therapy, art therapy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psychological therapeutic studies by using art as a medium to treat patients. Upon examination of the art therapy curriculum in the graduate program, there are more classes focusing on the theoretical approaches to art therapy and few classes focusing on the practical approaches to art therapy, which is directly linked to the actual practice of art therapy. This study attempts to deal with the experience of art-making in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which best reflects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among the latter approaches. Among the curriculums offered in graduate program in Art Therapy,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is the one that gives practical experience of 'art' to students;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those courses; Creative Art Therapy, Art Therapy for Art Therapists, Art Therapy Techniques, Techniques and Use of Media, Use of Art in Group Therapy. Although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deals with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and taking an important par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therapists, relatively few courses are being offered in Korea compared to courses that take a theoretical approach.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 current curriculum for art therapy does not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tually create and experience art. The experience of art-making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is an important and meaningful experience for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s it exposes the uniqueness of the discipline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the implications of the art-making experiences for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and raise awareness for the significance of art-making experience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data. By apply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dures as described above using 11 steps, which consist of focusing on the nature of experience, exploring it as it is experienced, reflect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and writing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discussions, pictures and journals. In-depth discussions were conducted from August 2013 to April 2014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15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heir 2nd - 5th semester of art therapy program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ag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he participants derived 12 broad subjects and 31 sub-topics through analysis of in-depth discussions, pictures, journals and other materials. The 12 broad subjects are as follows; <Anticipation of taking art-making class as Art Therapy student>, <Hesitation to express oneself in Art-making class as it causes fear and anxiety>, <Being upset and sad when deep emotions were revealed despite the attempts to hide it>, <Being free from hardships through direct confrontation of the ‘inner self'>, <Keeping camaraderie with fellow Art Therapy students by supporting and guiding each other>, <The experience of art media and techniques constantly creates a link to the actual work field>, <Finding ways to connect with the patients and the meanings of their work as a trainee of Art Therapy>, <Excitement of enhancing one’s theoretical knowledge of art-making based on actual personal experience>, <Continuous exposure to art-making experience is fundamental for one’s development as professional art therapist as well for personal growth>, <Regrets and frustrations from not sharing one’s work and addressing the related emotions in-depth>, <Discovering and seeking for skills necessary for art therapy students>. In the stage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inputs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including statements, images and writings associated with imag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ing art-making classes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for art therap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thre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the art-making experience enables art therapy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mselves by expressing and navigating suppressed or unresolved feelings and take a different perspective in life. In the process, the uniqueness of art therapy can be appreciated where it actually allows internal communication sand internal changes through 'art' in the course of the art therapy. Second, the art-making experience causes students to realize that one’s personal growth is interconnec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iscover and pursu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ir own through self-analysis and voluntary art-making. Third, the art-making experienc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art media and techniques, the process of art-making. By integrating theoretical knowledge with actual concepts, students can actually practice these practical findings during on-site training, as well as overcome any difficulties in the future and continue developing their expertise.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the study of art therapy in the following ways. By providing basic data to furth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rt-making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art-making experience and further raises awareness of its signific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 number of alternatives in the context of limited art-making classes offered in the art therapy curriculum, as well as suggestions to substitute art-making classes with expert group discussions, colloquiums and graduate-level workshops. Lastly,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미술치료학 전공은 학부 과정 없이 대학원 과정부터 개설되었다. 미술학과 심리치료학이 융합된 미술치료학은 미술을 매개로 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심리치료학과 구분되므로, ‘미술’에서 고유성과 특수성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미술치료학 전공의 석사학위과정에 설치된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미술치료학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술작업에 대한 실제적 접근과 실습 현장을 직접 연계할 수 있는 교과목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후자에 해당하는 부분 중에서도 미술치료학의 특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체험을 다루고자 한다.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에 설치된 교과과정에서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은 ‘미술’을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교과목이다. 창의적 미술치료 세미나 또는 창의적 미술치료, 미술치료사를 위한 미술치료, 미술치료기법 연구, 미술치료매체 연구 또는 미술매체 연구, 집단미술치료 등이 대표적이다.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이 학문의 고유성을 다루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전문성 발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접근을 하는 교과목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소수가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실제적 미술작업 경험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현 교과과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 하여금 미술치료학의 고유성을 경험하게 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경험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피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경험이 어떠한지 그 체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고, 심층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작업 경험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있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 순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심층면담 자료와 이미지, 이미지와 관련된 글 등에서 수집되었다. 그 중 심층면담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 2학기에서 5학기 재학 중인 석사학위과정생 15명을 대상으로, 2013년 8월부터 2014년 4월 사이의 기간 동안 이루어졌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단계에서 참여자들의 심층면담 및 그림, 저널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12가지 대주제와 31가지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서 미술작업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 <수업에서 다루는 미술작업은 두려움과 불안함을 일으켜 표현을 망설이게 함>, <감정을 애써 참았지만 가슴이 뭉치는 아픔과 표현하지 못한 후회스러움>, <필사적으로 가리려 했던 찢겨진 마음이 들추어져 속상하고 울컥함>, <‘내면의 나’를 명확하게 보고 힘겨움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짐>, <동료는 서로 지지하고 비춰주며 끝까지 함께 가는 미술치료 동지로 남음>, <미술매체와 기법의 경험은 실습 현장과 끊임없이 연결고리를 만듦>, <실습생으로서 내담자와 그들의 작업에 담긴 의미와 만나는 길을 찾음>, <실제적 경험이 다리가 되어 이론적 지식이 더욱 풍성해지는 짜릿함과 뿌듯함>, <지속적인 미술작업 경험은 개인적인 변화와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밑거름이 됨>, <내 작업을 충분히 나누고 올라온 감정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아쉬움과 답답함>,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서 필요한 것들을 발견하고 스스로 찾고자 함> 이상이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단계에서는 15명의 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과 그들이 제공한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와 관련된 글을 바탕으로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의 체험이라고 규정지을 수 있다. 첫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 하여금 억압하고 있거나 미해결된 감정을 표현하고 탐색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전과는 다른 삶의 자세를 갖게 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전공생은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이 가진 인간 내면과의 소통 및 내적 변화의 추동이라는 치료적 특성을 체험함으로써 미술치료학에서 ‘미술’이 지닌 특수성을 인식하게 된다. 둘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에게 개인적 성장과 실습생으로서의 자기 각성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체험을 통해 전공생은 개인적·전문가적 성장을 위한 자기분석이나 자발적인 미술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방안을 찾게 된다. 셋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매체와 기법, 미술작업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론적 지식과 개념을 통합한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생은 실습 현장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배움을 습득하고, 실습생이 가질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며 더 나아가 전문성을 함양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전공에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 경험에 관한 심층적 이해를 돕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치료학 전공에서의 미술작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 중요성을 알린다. 또한 수강과목 개설 현황의 제한성을 감안해 볼 때,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의 미술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여 전문가 집단이나 학회 또는 대학원 차원에서의 워크샵 등의 다양한 형태로 미술작업이 다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자평하였다.

      •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연구

        신희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Art therapy was created by blending art and psychotherapy and it is a psychotherapy using medium of art. In art therapy, art makes a unique identity and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istinguishes art therapy from other psychotherapy. And art that is referred in art therap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art which is referred in art college in a way that it is a tool for psychotherapy even though the term of art is the same in the notation. However, art used in art therapy is mixed with art as art due to the fact that art having a long history compared to art therapy and the notation of ‘art’ are being shared. The academic identity of art therapy is based on the subdivided study in psychotherapy as a social science field. As a result, art in art therapy is treated as an image language connected to the inside and it is important in terms of a tool for psychotherapy. In the case of student majoring art therap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is speciality of art that is dealt with in art therapy because it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When acquiring a bachelor of arts, they will the identity of an artist and once they enter a master’s degree course in art therapy major, they will experience fus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art concept in art therapy. This is difficult at the beginning of the master's degree course when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major field. This difficulty gradually disappears a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art therapy major increases with master’s degree courses and they grow as art therapists. During the training for the growth of the art therapy student, experiencing own artistic expression leads to the empirical understanding of art in art therapy,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nd inspiring self-awareness. When these art works are done within the curriculum, it becomes more meaningful as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training with structure and system. Studies (Han, 2015; Deaver, 2012; Orkibi, 2012)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rtwork as part of the training of professionalism in master's degree programs in art therapy and dealing with these experiences have been made.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Han, 2015; Deaver, 2012; Orkibi, 2012) about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of master's degree course in art therapy, the experience of art work performed within the curriculum is meaningful to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s an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academic approach to art that is handled in the Art Therapeutics major and to become a major in art therapy.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earches dealing with the experiences of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Kang, 2016; Kim, 2011; Ahn, 2009), the difficulty with the concept of art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experience early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comes from the experience of dealing with art before entering graduate school.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art work experience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earn is a different experience from the master's degree student in art therapy who does not have experience of bachelor's degree in art prior to graduate school.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basic data dealing with what kind of experience students are mak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art work performed within the course of art therapy major by considering the experience of acquiring a bachelor of arts. Therefore, the need for this study is in dealing wit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as a practical and important training in art therapy master course by considering art experience in the bachelor progra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hat meaning art work experience in the course brings to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kind of experiences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have while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and what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and based on these, provide basic data for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to understand art work experience in the class. Therefore,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perform art work in the course?’. For this,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here the essence of experience is explored by 11-step study procedure was appli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4 enrolled students and one attending student from the third semester to the sixth semester who hav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 in the curriculum during the master’s degree course of art therapy after acquiring a bachelor of art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done through at least one to three of in-depth interviews for 7 months from May 2016 to November 2016. Through this study, in the art work experience that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perform art work in the course, 8 essential topics and 24 sub-topics were derived and main themes are as follows. <Expectations and burdens of art work in arts therapy major courses>, <Feeling the limit to do art work according to the frame of the subject>, <Handling art media is familiar as habit, but it is strange and novel that it is treated as an inner expression of art work>, <The presence of professors and colleagues is a great power for art work>,<Understanding art in art therapeutics through experience in art work within the curriculum>, <Recognizing me growing, recognizing and accepting what I was>, <The existing framework of art at school has been broken down and expanded>,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within the curriculum extends beyond the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the study based on this essential theme is as follows. First,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escape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formed in bachelor of arts throug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in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a new perspective on art in art therapy. Second,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would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the art that is discussed in art therapy throug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art works in the curriculum. Third,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who acquired the bachelor of arts would deepen understanding of art therapy major so that it becomes a first step to have a clearer identity as a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미술치료는 미술과 심리치료를 융합하여 만들어졌고 미술이라는 매체를 활용하는 심리치료이다. 미술치료에서 미술은 독특한 정체성을 갖도록 하며 미술치료를 다른 심리치료와 구분 짓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리고 미술치료에서 다루는 미술은 미술이란 용어의 표기는 같아도 심리치료를 위한 도구라는 점에서 예술대학에서 다루는 미술과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미술치료보다 그 역사가 오랜 예술과‘미술’이라는 표기가 공유됨으로 인해 미술치료에서 다루는 미술은 예술로서의 미술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사회과학 분야로 심리치료에서 세분화된 학문에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미술치료학에서 미술은 내면과 연결되는 이미지 언어로서 다루어지며, 심리치료를 위한 도구라는 측면에서 중요시 된다. 미술치료학 전공자의 경우 미술치료 전문가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미술치료에서 다루는 미술의 이와 같은 특수성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술학사를 취득하게 되면 예술가의 정체성을 가지게 되는데,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 진학하게 되면 미술치료에서의 새로운 미술 개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전공 영역에 적응하는 석사학위과정 초반에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이 같은 어려움은 석사학위과정을 거치면서 미술치료학 전공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해소되고, 미술치료사로 성장해나가게 된다. 미술치료학 전공생의 성장을 위한 훈련 중 자신의 미술표현을 해보는 경험은 미술치료학에서 미술을 경험적으로 이해하고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며 자기각성을 고취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이러한 미술작업이 교과목 내에서 이루어질 때 구조와 체계를 가진 전문적 훈련의 체험으로서 더욱 의미를 지닐 수 있게 된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서 전문성을 갖추는 훈련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미술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체험을 다룬 연구들(한경아, 2015; Deaver, 2012; Orkibi, 2012)이 수행된 바 있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다룬 선행연구(한경아, 2015; Deaver, 2012; Orkibi, 2012)들에 따르면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교과목 내에서 수행하는 미술작업 체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에서 다루어지는 미술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이해하고 미술치료 전공자가 되어가는 체험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한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체험을 다룬 연구들(강한나, 2016; 김현미, 2011; 안성원, 2009)에 따르면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석사학위과정의 초반에 경험하는 미술의 개념에 대한 어려움은 대학원 진학 이전에 미술을 다룬 경험에서 비롯된다. 다시 말해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수행하는 미술작업 체험은 대학원 진학 이전에 미술학사 경험을 갖지 않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과는 다른 체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술치료학 전공의 교과목 내에서 수행되어지는 미술작업 체험을 통해 전공생들이 어떤 체험을 하는지에 대해서 미술학사를 취득한 경험을 고려하여 다룬 연구의 수행과 기초자료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은 학부 전공에서의 미술경험을 고려하여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서 실제적이고 중요한 훈련으로서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다루고자 한다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에게 교과목 내에서 수행하는 미술작업 체험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면서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1단계의 연구절차에 따라 체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학사를 취득한 후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에 진학하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3학기에서 6학기의 재학생 14명과 수료생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 간 최소 1회에서 최대 3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에서 본질적 주제 8개와 하위 주제 24개를 도출하였으며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학 전공 교과목 내에서 하는 미술작업에 대한 기대와 부담을 함께 가짐>, <교과목이라는 틀에서 내키는 대로 미술작업을 하기에는 한계를 느낌>, <미술매체를 다루는 것은 습관처럼 익숙하지만, 미술작업이 내면의 표현으로서 다루어지는 것은 낯설고 새로움>, <교수님과 동료들의 존재는 미술작업을 하는 데 큰 힘이 됨>,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한 경험을 통해 미술치료학에서의 미술을 이해함>, <성장하는 나를 인식하며, 과거의 나를 인정하고 받아들임>, <미술에 대해 학부에서 지녔던 기존의 틀이 허물어지고 확장됨>,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한 경험이 교과목 바깥으로 확장됨> 이러한 본질적 주제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통해 미술학사에서 형성한 미적인 관점을 탈피하여 미술치료학에서의 미술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확립한다. 둘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을 수행하는 체험을 통해 미술치료학에서 다루는 미술의 특수성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셋째, 미술학사를 취득한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은 교과목 내에서 수행한 미술작업 체험을 통해 미술치료학 전공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하며, 이는 미술치료학 전공자로서 보다 명료한 정체성을 갖는 단초가 된다.

      •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과과정 체험연구

        조민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미술치료는 미술활동을 매개체로 하여 개인의 내면적 심리상태를 북돋으며 건강한 정서를 드러나게 함으로써 건전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미술치료를 행하는 미술치료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은 평생이 걸리는 과정으로 미술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훈련 과정을 통해 교육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Wadeson, 2008). 다양한 동기와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가장 먼저 거치게 되는 것은 교과과정을 통한 교육이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교과과정의 이수는 미술치료사의 자질과 능력을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전문가로서 성장할 수 있게 된다(박진형, 2001). 따라서 교과과정은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적인 단계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석사학위 과정생이 교과과정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이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설치되 있는 미술치료학 전공의 교과과정에 대한 조사현황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를 통해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개설된 교과목의 종류와 교과목 명에 대해서는 알 수 있으나 이들 교과과정을 직접 수강하는 미술치료학 전공생들의 경험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들이 교과과정을 이수하면서 미술치료사로 역량을 키워나는 과정을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입시 준비생들에게는 이와 관련된 정보가 궁금하고 필요하지만 이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므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의 교과과정에 대한 경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미술치료학을 전공하기 위해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입시 준비생들에게 교과과정 경험에 대한 정보는 대학원과 자신에게 적합한 전공 선택을 결정짓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대학원 진학을 위한 학업 준비도를 갖추는데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의 교과과정 체험은 어떠하며,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자는 대학원 석사학위 과정에서 미술치료학 전공자가 교과과정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며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험의 본성으로 돌아가 경험의 의미를 겪은 대로 탐구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에 따라서 연구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학을 전공하고 있는 총 12명이다. 이들은 대학원 석사학위 과정에서 다루어진 교과과정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자로 석사학위 과정이 4학기 또는 5학기인 대학원에서 교과과정 이수의 마지막 학기가 4학기인 8명과 5학기인 1명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석사학위과정에서의 교과과정을 수료한지 7개월 이내 인 수료생 3명으로, 총 12명이다. 2016년 7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5개월간 심층인터뷰가 이루어졌으며 최소 1회에서 최대 2회까지 자료를 수집을 하였다.. 수집한 인터뷰 자료들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본질적 주제 8개와 하위주제 20개가 도출 되었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의 교과과정에 대한 체험에 관한 11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대학원에 입학한 후 무엇을 어떻게 배울지 떠올려 보며 기대함>, <미술치료를 배우면서 여러 가지 의문을 가짐>, <궁금증과 의문을 지속적으로 고민하며 알아나감>, <동기들과 교수님과의 함께하는 배움으로 더 깊이 이해 할 수 있게 됨>, <이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미술치료의 힘을 몸소 느끼게 됨>,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고 있음을 느끼게 됨>, <대학원에 와서 미술치료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 됨>, <아직은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더 성장하기 위해 한걸음씩 나아감> 이와 연관되어 있는 하위주제는 20개가 도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생들은 다양한 교과목을 수강하며 이론, 실습, 미술작업 등 여러 가지 배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 안에서 자신의 궁금증, 미술치료만이 지니고 있는 힘을 경험하며, 이러한 기회들이 축적이 되면서 점차 미술치료사로 성장해나가고 자신감을 쌓아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 둘째, 수업을 같이 듣는 동기들과 가르침을 주는 교수님과의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로 하여금 깊이 있는 미술치료를 배워가도록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석사학위 과정에서 다뤄진 교과과정은 졸업 후 초보 미술치료사로 성장해 가는데 있어 기본기를 갖추도록 이끌며 앞으로 지속적인 배움을 통해 꾸준히 채워가야 한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교과과정 체험을 심층적으로 다룸으로써 미술치료학 전공생뿐만 아니라 입시준비생들에게 대학원 입학 전 교과과정 경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Body Psychotherapy에서 Body-Mind Centering을 통한 몸과 마음의 연결과 변화에 관한 체험연구 : 아동심리치료사의 자기훈련 프로그램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모색

        임정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아동심리치료사가 치료자로서의 기본적 자질과 인격을 갖춰 나가기 위한 다양한 자기 훈련을 해나감에 있어서, 특히 몸을 기본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의 체험을 통한 그 활용 가능성과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Body Psychotherapy에서 Body-Mind Centering의 의미를 지향하는 여러 프로그램을 통한 몸과 마음의 변화 과정과 의미들을 고찰했으며 그러한 탐색을 위해 개개인의 현상 경험에 근거한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시켜 나갔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Body Psychotherapy에서 Body-Mind Centering의 의미를 지향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의 체험을 통해 몸과 마음의 연결과 변화에 관한 경험이 어떤 것이며 그러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그러한 경험들이 아동심리치료사의 자기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한 지에 대한 모색도 포함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서울과 경기 소재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및 보건환경대학원에서 아동 심리치료, 무용/동작 심리치료, 공연예술치료 전공생 8명으로, 연구자는 이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개인 기록(일기, 편지글 등)에서 나타난 체험 과정을 기본 자료로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자의 분석 및 해석 작업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대주제 6개로 나타났고, 관련 하위주제는 다음과 같다. 대주제 : <소외되었던 내 몸과 마음> <비로소 들여다보게 된 내 몸과 마음> <내 삶의 주인이 내가 아니었음을 발견> <나를 중심으로 새롭게 시작되는 나와의 만남> <내 몸을 받아들임으로부터 시작되는 변형의 기운> <달라진 세상> 하위 주제: <소외되었던 내 몸과 마음> 1) 무시되었던 내 몸 = 늘 아파하고 있었던 내 몸 = 전혀 듣지 못하고 알지 못했던 내 몸의 소리들 = 좋은 기억과 느낌만으로 받아들여질 수는 없었던 성 2) 벗어나기 힘들었던 감정의 고리들 = 눌리고 답답했던 마음의 굴레들 = 수수께끼처럼 얽혀 있던 가족에 대한 감정들 <비로소 들여다보게 된 내 몸과 마음> 1) 사랑해주고 싶은 나의 몸 = 내 몸에 진심으로 사과하고 감사하고 싶음 = 내 몸의 소리를 듣기 시작함 2) 몸과 마음은 하나다! = 늘 하나였던 내 몸과 마음 = 몸에서 우러나기 시작한 표현의 힘 = 지금 이 순간을 살고 싶음 = 살아나는 사랑과 화해의 기운 <내 삶의 주인이 내가 아니었음을 발견> 1) 바깥으로 향해져있던 내 삶의 잣대 = 끊임없는 비교와 채찍질의 연속 = 타인을 통해 보여지는 나 2) 닫혀져 있던 관계 <나를 중심으로 새롭게 시작되는 나와의 만남> 1) 세상을 향해 굳게 발디디고 섬 = 단단한 발 내디딤의 시작 2) 내 속의 나와 만나는 시간 = 나로 향하는 집중의 즐거움 = 깊은 곳에서 우러 나오는 표현의 욕구 3) 열려지는 관계 = 나의 변화의 시작으로 움직여가는 관계의 힘 <내 몸을 받아들임으로부터 시작되는 변형의 기운> 1) 내 몸과 움직임에서 나오는 신비한 힘 = 몸이 시작이다! = 언어와 몸을 하나로 모아내고픔 <달라진 세상> 1) 멈추지 않는 새로운 체험의 시간들 = 치유적 체험의 순간 = 새롭게 계속되는 체험의 과정들 = 내 안의 무의식에 대한 관심이 생겨남 2) 내 안에서 생겨나는 살아감의 힘 = 더욱 깊고 넓게 보이는 세상 이러한 주제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신의 몸 속에, 마음 깊은 곳에 지속되어 오고 있던 기억들, 감정들, 경험들을 부정하고 억압하고 외면하기도 했던 시간들을 서서히 받아들여 가면서 내게 일어났던 사실과 상황들을 새로운 눈으로 다시 바라 보며 내 존재가 살아 나가는데 필요한 과정이었음을 인식해가게 되었다. 이 과정 속에서 몸과 마음의 연결을 체험하면서 이 둘이 별개의 분리된 실체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어느 한 영역이 또 다른 영역을 빌어 그 실체를 드러내게 되는 불가분의 통합체임을 보게 되었다. 둘째, 모든 체험의 과정은 나로부터 출발하고 다시 나로 돌아오는 과정의 연속이었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좀더 깊게 타인을 만나고 교류하는 지점들도 거치게 되었다. 객관적으로 나를 들여다보고 자각해가는 과정과 내 안의 중심을 잡고 발 디딜 수 있는 내면의 힘이 중요했다. 셋째, 진정한 치유를 위해서는 마음과 영혼과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몸의 치유가 그 토대가 되어야 한다. 한 개인의 치유 체험은 새롭게 계속되었고 또한 춤과 움직임 속에서의 황홀경 체험도 좀더 깊은 단계에 대한 관심과 집중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심리치료사가 치료자로서의 기본적 자질과 인격을 갖춰 나가기 위한 다양한 자기 훈련을 해나감에 있어서, 몸을 기본으로 한 프로그램들의 체험이 자기 훈련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연구참여자들중 다수가 아동심리치료 전공자는 아니었지만 그들의 경험을 통해 나타난 점진적인 몸과 마음의 변화 과정은 아동심리치료사들에게서도 직접적으로 충분히 그 의미와 유용성이 살아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둘째, 아동 대상의 심리치료는 성인 대상의 심리치료보다 언어적 제한점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치료기법들을 적용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특히 아동을 위한 Body Psychotherapy에 초점을 맞춰 통칭적으로 아동의 몸에 대한 관심을 그 출발점으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본으로 성인들의 체험의 의미과 그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아동심리치료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 선정에 제한점을 갖고 있다. 연구의 타당성을 위해서도 연구참여자 선정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후 연구에서는 좀더 많은 아동심리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몸중심 체험 수련 과정을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그러한 과정이 실제적인 자기 훈련에 얼마나 많은 의미를 담게 되었는지를 좀더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도구로서 Body-Mind Centering의 의미를 담은 프로그램들이 주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참여하여 체험했던 프로그램들이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연구 도구로서 선정될 때, 그 도구가 일반적, 객관적으로 얼마만큼 타당화되어 있는 지에 대한 정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그러한 지속적 작업을 통해 Body Psychotherapy분야의 점진적 향상과 발전 또한 모색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possibility and meaning of experience of program, especially based on the body when the child psychotherapist does various self-training to have basic quality and personality as a therapist. To do this, we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of body and mind and the meaning through many programs which are oriented to the meaning of Body-Mind Centering in Body Psychotherapy, and we proceed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based on individual phenomenal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what the connection between body and mind and experience of changes is, and what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is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crete program that is oriented to the meaning of Body-Mind Centering in Body Psychotherapy And also, groping about whether such experiences can be utilized as a self-training program for child psychotherapist will be included. The participants are in graduate school of professional therapy technology and graduate school of public haelth and environment studies which i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and they are totally 8 and majoring in child psychotherapy, Dance/Movement psychotherapy or Performance and Art therap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process of experiences appeared in interview and personal records(Diaries, Letters, etc.) as a basic data. Based on thi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done step by step. There were six of main subjects after analysis, and the related sub-subjects are as follows; Main Objects : <My body and mind that have been shunned> <My body and mind that I saw for the first time> <Finding that the master of my life was not me> <Encountering myself that is centering around me and starting newly> <The power of change that is starting from accepting my body> <The changed world> Sub-Subjects: <My body and mind that has been shunned> 1) My body that has been ignored = My body that has been always sick = Voice of my body that I never have heard and known = Sex that has not been always able to be accepted with good memory and feeling 2) Rings of feeling that has been difficult for me to escape from = suppressed and stuffy restriction of mind = Feeling about my family that has been entangled like a puzzle <My body and mind that I saw for the first time> 1) My body that I want to love = Would like to apologize and express thanks to my body sincerely = Getting to hear the voice of my body 2) Body and mind are one ! = My body and mind that have always been one = The power of expression getting to rise from the body = Wanting to live this moment = The power of love and reconciliation that are getting revived <Finding that the master of my life has not been me> 1) the standard of my life that has been toward outside = Continuous comparison and whipping = Me who is seen through other person's eye 2) Relationship that has been closed <Encountering myself that is centering around me and starting newly> 1) Setting foot on tightly toward the world = Starting to set foot on 2) Time to encounter myself in me = Pleasure of concentration on me = Desire of expression rising from deep point 3) Relationship that is getting to be opened = Power of relationship that moves me into the start of change <The power of change that is starting from accepting my body> 1) mysterious power coming from my body and motions = Body is the start ! = Wanting to combine language and body <The changed world> 1) Time of new experiences that doesn't stop = Moment of healing experience = Processes of experiences that continues to be new = Getting to be interested in unconsciousness inside me 2) Power of living that rises inside me = The world that is seen more widely The result from analysis of this subjects are as follows ; Firstly, people accepted the time for denying and suppressing and ignoring the memories, feelings and experiences that have been sustained at the deep point inside himself/herself. They took a look again affairs and situations that occurred to themselves and recognized that those were necessary for their existence to live with. Experiencing the connection of body and mind in this process, people saw these two things were not separate but inseparably integrated thing that one side exposed its existence by borrowing the other side. Secondly, every process of experience was continuous process that started from me and went back to me. People encountered other persons more deeply and went through exchanging point in such process. The process of seeing and recognizing themselves objectively and the inside power to set foot on with centering of their mind were important. Thirdly, Curing body that can never be separate from mind and sprit should be a base frame for the genuine freedom. A person's experience of curing continued newly and experience of ecstasy in dance and motion enabled interest in and concentration on much deeper step.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s from su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that experience of program based on the body can be used for self-training when the child psychotherapist did various self-training to have basic quality and personality as a therapist. Many of the participants, of course, didn't major in child psycholtherapy, but the gradual changing process of body and mind appeared through their experiences can be meaningful and useful for child psychological therapist directly and fully. Secondly, psychotherapy of which objects are children applies more various therapy techniques than adults due to linguistic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we regarded the interest in the body of children as a starting point focusing on Body Psychotherapy for children. Through investigating the meaning and process of experience of adults based on such critical mind, we could forecast whether the meaning and process of experience of adults could be applied to fields of child psychotherapy. Thirdly,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in choosing the participants. We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participants for propriety of research. In the future, we have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experience of body-oriented training more vividly and concretely and we need to research more deeply on how much meaning that kind of process includes in the substantial self-training. Fourthly, this research importantly treated the programs that have the meaning of Body-Mind Centering as a research tool. The program that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and experienced commonly were main things, in the future research, we need to verify how much proper those kinds of tools are generally and objectively when they are chosen as a research tool. The gradual enhancement and development of Body Psychotherapy industry can be groped for through such continuou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