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情緖知能과 關聯變因들의 因果分析

        김태은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정서지능과 많은 정의적 특성 변인들 가운데 가정자아개념·사회자아개념·계속동기·내적귀인성향·자기조절효능감만을 연구변인으로 선정하고, 성별 및 종교 유·무 집단별로 연구의 인과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변인들의 수준별 정서지능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변인들과 정서지능간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이 변인들 간의 상관을 검증하고, 이 변인들이 정서지능을 예측하는 정도와 정서지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정서지능 관련변인들의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학습자들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이나 그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중·고등학교에서 임의로 표집한 1,124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도구는 「정서지능척도」 (김태은·김용래, 2003), 「자아개념척도」 (김용래, 1995), 「학교학습동기척도」 (김용래, 2000b), 「귀인성향척도」 (김용래,1995) 및 「자기효능감척도」 (김아영,1997)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변인들의 '개념모형'과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관련변인들의 정서지능에 대한 직·간접효과를 밝히고자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0 Version으로 연구변인들의 차이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정서지능 관련변인들의 정서지능에 대한 직·간접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인과모형을 중심으로 행로분석(pass analysis)을 하였다. 모든 가설은 의미수준 p<.05에서 t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및 내적귀인성향 수준별 자기조절효능감과 정서지능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고, 자기조절효능감 수준별 정서지능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가설 2]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성별 및 종교 유·무 집단별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자기조절효능감 및 정서지능 간에는 의미 있는 정적상관이 있다. [가설 3]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성별 및 종교 유·무 집단별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은 정서지능을 의미 있게 예측한다. [가설 4]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성별 및 종교 유·무 집단별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은 정서지능에 의미 있는 효과가 있다. [가설 5]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성별 및 종교 유·무 집단별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및 내적귀인성향은 정서지능에 의미 있는 직·간접효과가 있다. 위의 가설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모두 정서지능도 의미 있게 높다. 따라서 중등학교에서는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을 향상시켜 그들의 정서지능을 긍정적으로 개발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차이검증 결과에서 연구변인들 수준별 정서지능은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전체, 성별 및 종교의 유·무 집단별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정서 지능에 대한 예측력 및 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가능하다. 둘째, 중·고등학교 집단별(대상전체, 성별, 종교 유·무별)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자기조절효능감 및 정서지능 간에는 모두 의미 있는 정적상관이고,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은 높다. 따라서 중등학교에서는 학습자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과 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은 대상전체, 남학생들 및 종교를 가진 학습자들의 정서지능을 의미 있게 예측하지만, 여학생들의 '내적귀인성향'은 그들의 정서지능에 대한 예측력이 없으며, 종교가 없는 학습자들의 '계속동기'와 '내적귀인성향'도 그들의 정서지능에 대한 의미 있는 예측력이 없다. 넷째,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내적귀인성향 및 자기조절효능감은 그들의 정서지능에 대해 모두 의미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남학생 집단이나 종교를 가진 학습자들의 경우에도 각각 그들의 정서지능에 대해 모두 의미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여학생들의 정서지능에 대해 효과가 있는 변인은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및 자기조절효능감이고, 종교가 없는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및 자기조절효능감이 그들의 정서지능에 대해 효과가 있다. 다섯째, 중·고등학교 대상전체, 남학생 및 종교를 가진 학습자들의 가정자아개념, 사회자아개념, 계속동기 및 내적귀인성향은 그들의 정서지능에 대해 의미 있는 직접효과가 있으며, 자기조절효능감을 매개로 한 의미 있는 간접효과도 있다. 그러나 여학생들의 '내적귀인성향'과 종교가 없는 학습자들의 '계속동기' 및 '내적귀인성향'은 각각 그들의 정서지능에 대한 의미 있는 직·간접효과가 없다. 이러한 사실은 중등학교 여학생들과 종교가 없는 학습자들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이다. 따라서 중등학교에서는 여학생들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내적귀인성향' 개발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며, 또한 종교가 없는 학습자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서 '계속동기'와 '내적귀인성향'을 긍정적으로 높여주고, 가정과 학교 및 사회에서는 그들에게 종교생활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by the level of learners' affective characteristic variables(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the correlations among research variables, and the combined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 terms of research variables in Korean secondary school learners. Hypotheses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regulated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b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on emotional intelligence by the level of self-regulated efficacy in secondary school learners in Korea. [Hypothesis 2] There will b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regulated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by the total subject, sex, and religious/nonreligious learners in secondary school respectively in Korea. [Hypothesis 3] The secondary school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will significantly predict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by the total subject, sex, and religious/nonreligious learners respectively in Korea. [Hypothesis 4] There will be significant influences on emotional intelligence by secondary school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by the total subject, sex, religious/nonreligious learners respectively in Korea. [Hypothesis 5] There will b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by secondary school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by the total subject, sex, religious/nonreligious learners respectively in Korea. Methods 1. Subjec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by voluntary sampling were 1,124 male and female in secondary school learners from Seoul and other provinces. 2. Instruments: For this study used instruments to measure research variables wer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Self-concept scale」,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Attribution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set up 'concept model', 'model in related concepts', and 'causal relation model' 3. Data 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ss analysis through SPSS/WIN 11.0 Version program, and hypotheses and all statistical values were tested by t-test or F-test in significant level p<.05. Results The results of hypotheses verifi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condary school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So that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hould be concerned about enhancing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improvement their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econdary school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regulated efficacy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by total subject, sex, religious learners and nonreligious learners in Korea. Higher is the secondary school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higher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 secondary school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but female learn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couldn't predict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nonreligious learners' continuing motivation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couldn't predict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Forth, all secondary school learners, male learners, and religious learners' famil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continuing motiv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regulated efficacy influenced significantly directly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but also influenced significantly indirectly by self-regulated efficacy as mediator. But female learn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nonreligious learners's continuing motivation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were not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 회화에 있어 同視的시각의 조형성 연구 : 多視點의 평면환경을 중심으로

        김태은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눈에 의한 시각체계와 이를 바탕으로 전개된 시각예술, 특히 동 시적 시각의 사고를 바탕으로 전개된 회화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영상 분야를 포함, 멀티미디어 분야가 지니고 있는 동시성의 관계를 회화의 조형성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 졌다. 이러한 주제는 회화의 평면성과 함께 시간과 공간의 여러 가지 접근 방식에 의해 연구되어져 왔다. 회화의 존재방식이라 할 수 있는 평면의 미학은 인간의 시각체계를 통해 생산되어 지고 발전하고 있으며 역으로 우리의 시각체계의 흐름에 있어 변화의 주체 가 되기도 한다. 동시적 시각의 회화 연구는 단일 시점의 공간체계에 대한 '대안적 시각체계'로서 시간과 공간의 함수관계 속에서 연구되어져 왔는데 본 논문도 이러한 시도의 한 맥락으로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15세기 르네상스 원근법 이래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온 시각(視覺)은 세상 을 보는 매개체로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오감(五感)중에서 가장 그 중요도를 더해가고 있다. 현대의 시각체계는 과거 원근법과 비교하여 매우 확장된 영역에까지 와 있다. 그 배후에는 사진기술에 뒤이은 영화의 발전, 비디오, TV 의 전자매체로의 이행, 그리고 지금도 계속 연구되고 있는 디지털의 가상공간이 존재한다. 이 모든 것은 눈에 대한 시각적 장치들이며 인간은 단순한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이 시각적 장치들에 의존하여 시야(視夜)의 범위를 물질세계에서 비 물질세계로까지 확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매체의 변화에 따른 회화와 시각의 문제를 동시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자의 회화작품에 있어 조형적 배경을 형성하고 있는 동시적 사고의 전개와 그 표현 방법의 실험들을 중심으로 회화평면의 정지공간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공간과 시점과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입체주의(cubism)와 미래주의(futurism)를 예로서 비(非) 원근법적 시각체계를 분석하고 그들의 기본적 시각체계와 표현에 있어 공통 적인 장치로서 영화의 원리를 연관지어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영화와 회화의 동시적 조형성과 그 성격을 비교하는 것은 동시적 사고를 연구하는 데 있어 회화의 평면조건과 영화의 평면조건의 근본적 차이점을 구분 짖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매체로의 연구에 앞서 먼저 일차적 시각 체계로서 인간의 눈에 대한 시각현상에 대해 생리학적 접근을 통해 알아보고 회화의 평면성과 시각의 관계에 따라 발생된 원근법과 비(非)원근법을 살펴봄으로서 동시적 사고의 필연성을 추측해 본다. 그리고 입체주의의 동시적 시각에 따른 동시적 공간구성과 미래주의의 움직임에 대한 동시적 시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동시적 시각의 매체확장에 대한 연결고리로서 회화의 꼴라쥬(collage)와 영화 몽타쥬(montage)를 비교한다. 그럼으로 회화로부터 파생된 영상 매체들 간의 기술적이며 조형적 근원의 존재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매체간 동시적 사고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접근 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몇 가지 심리학적 이론을 근거로 동시적 사고를 함에 있어 본능적이며 충동적인 본질로도 확대 시켜 연관지으려 한다. 또한 회화에 있어 동시적 시각의 매체 확장에 따른 동시적 징후를 살펴봄으로써 시각예술에 있어서 시각체계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e identity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in the field of multi-media, including the visual image in the future, by studying the visual system by eyes and the developed visual arts based on the visual system, in particular, by studying the pictures which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thought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These kinds of subjects have been studied through the various approaches of the time and the space, together with the plane characteristic of paintings. The aesthetic of plane which can be said as the method of being for paintings has been created and developed, and on the contrary it becomes the main body of changes on the flow of our visual system. The study on the pictures of the simultaneous view point has been studied with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time and the space, as an 'alternative visual system' for the space system of the single point of view. Basically, this study has been made in connection with those trials so far. The view point, which has been the center of public attention since the Renaissance perspective in the 15th century, is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out of the five senses of a human being as a medium to see the world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modern visual system is pretty advanced comparing to the perspective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 followed by movie technology and the transition of video and TV to the electronic media, as well as the developing cyber space, etc are existing at the back of the advancement. All of these are visual appliances for the eyes and, accordingly, the ranges of vision of human beings are leaping forward even to the non-material world from the material world, relying on these visual appliances, not seeing the world with simple eyes. This study intends to handle the problem of painting and visual sens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based on the simultaneous methods from this standpoint.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on-perspective visual system, beginning with the cubism and the futurism, and then review the basic visual system and common appliances by connecting with, and through the principle of movies.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speculate the inevitability of the simultaneous thoughts by reviewing the visual phenomenon for the human eyes as a primary visual system through the physiological approaches and analyzing the perspective and non-perspective as a result of the plane delineation of pictures. And I am going to compare the collage of pictures with the montage of movies as a connection ring to the media expansion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as well as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ultaneous spac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of the cubism and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for the movement of the futurism.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the basic existences between the technical screen media derived from pictures, paving the way toward approaching the study of the identity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connect the impulsive nature to the simultaneous thoughts, based on a couple of psychological theories. Finally, I will review the prospects of the visual system on the visual arts by examining the simultaneous symptoms in accordance with the media expansion of the simultaneous visual sensation on the pictures.

      • 중학생의 표현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기술과 마음챙김의 관계

        김태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표현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과 마음챙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안산시에 소재한 중학교 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으며, 이 중 342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3.0 Vers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기술과 마음챙김의 차이에서 성별, 학년, 친한 친구 수, 한 달 용돈, 일기, 스트레스 해소, 참여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표현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사회적 기술과 마음챙김의 차이에서 참여기간, 참여횟수, 참여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중학생의 사회적 기술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은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탈중심주의, 자기통제, 현재자각, 주의집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공감능력은 탈중심주의에, 자기통제는 탈중심주의, 현재자각, 주의집중에, 주장성은 비판단적수용, 주의집중, 탈중심주의, 현재자각에, 협동성은 비판단적 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표현활동 참여유무에 따른 사회적 기술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은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탈중심주의, 자기통제, 현재자각, 주의집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표현활동에 참여한 집단에서 공감능력은 탈중심주의에, 자기통제는 탈중심주의, 현재자각, 주의집중에, 주장성은 비판단적 수용, 주의집중, 탈중심주의에, 협동성은 주의집중에 영향을 미쳤다. 표현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서 자기통제는 탈중심주의, 주의집중, 현재자각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표현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사회적 기술이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탈중심주의, 현재자각, 주의집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참여횟수는 탈중심주의, 현재자각, 주의집중에, 참여기간은 주의집중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and mindful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en they participate in expression activities. 37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ngnam-si, Yongin-si and Ansan-si,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nd 34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questionnaires frequenc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of SPSS version 23.0 program was applied.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number of close friends, allowance, diary, relieving stress and participation activity showed meaningful statistic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nd mindfulness disparity. Seco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expression activities such as duration, frequency and time also revealed meaningful statistic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nd mindfulness disparity. Third, social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ed sub-factors of mindfulness decentralization such as self-control, current awareness and concentration. Specifically, Empathy power affected decentralization. Self-control was associated with decentralization, current awareness and concentration. Also assertiveness affected the criticism acceptance, concentration, decentralization and current awareness. Forth,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expressive activities showed meaningful effect on sub-factors of mindfulness such as decentralization, self-control, current awareness and concentration. Specifically, in the participation group, empathy power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entralization. Also self-control was associated with decentralization, current awareness, and concentration. Assertiveness affected criticism acceptance, attention, decentralization and current awareness. Cooperation ability influenced concentration. In the non-participation group, self-control revealed relevant effect on the decentralization, current awareness and concentration. Fifth,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expression activities showed meaningful effect on sub-factors of mindfulness such as decentralization, current awareness and concentration. Specifically, Participation frequency was related to decentralization, current awareness and concentration. Duration of participation revealed relevant effect on concentration.

      • 高麗時代 梅甁 연구

        김태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려시대 매병은 현대에 지니는 높은 문화적 위상과 가치에 더하여 학술적으로도 한국도자사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나, 근본적 자료의 한계를 비롯한 여러 이유로 근래까지도 그 연구 성과가 미미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 이제껏 축적된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매병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최근의 연구 성과와 자료를 토대로 고려시대 매병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용어 및 용례의 문제·국내외 고고학적 출토상황·기형 및 문양 분석·기원문제·편년 등을 폭넓게 살피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매병에 관한 고려시대 문헌기록은 매우 한정적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풍부한 중국측 자료를 통하여, 매병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와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매병은 중세 동아시아에서 유행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에서 조선 초까지, 중국에서는 遼·宋 이후 淸代에도 계속해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지칭하는 용어나 활용하는 예가 다양하였다. 매병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용어로는 尊·樽·酒經·酒京·京甁·韓甁·?·罍·儀甁·梅甁이 확인된다. 매병의 쓰임에 대해서는 문헌기록과 매병에 나타나는 명문자료, 현전하는 회화자료를 통해, 술 또는 물을 담는 甁으로 皇室·官·軍에서 貯藏用·貢納用·下賜用으로 사용하거나, 상층계급에서 하층계급까지 副葬用·儀禮用·祭祀用 器物로 사용하였고 일부에서는 花甁·觀賞用 器物로도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매병은 사용된 역사가 길었기 때문이기도 했으나 동시대에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다양한 쓰임 때문에 각각의 경우마다 같은 기종임에도 불구하고 부르는 용어가 다양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梅甁’은 특히 이른 시기의 기록에서는 문인들의 시 등에서 주로 나타난 용어로, 그 용도가 꽃을 꽂거나 방안의 감상물로서 기능하고 있는 기물을 지칭하였다. ‘樽’이나 ‘儀甁’의 경우 주로 왕실용으로 사용하는 기물을 지칭하였으며 특히 의례와 제사용으로 사용된 기물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나머지 ‘經’의 경우는 그 외에 일상의 술을 담는 기물이나 관군 등에 납품되는 기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보편적으로 사용된 용어로 생각된다. 이렇듯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 매병은 그 상황과 위상에 맞게 불렸으며, 명말청초 혹은 늦어도 『萬壽盛典初集』이 간행된 시기에는 ‘매병’이라는 용어가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시대 매병은 편년유물이 거의 없고 유적 출토량도 적어, 시대별·지역별 제작양상과 변천과정을 고찰하기 어려운 반면 상대적으로 전세품이 많고 그 형태와 장식이 다양하다. 최근의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출토품을 살펴보면 매병은 고려중기 생산유적에서부터 확인되고 있으며 강진·부안·해남 등의 주요 청자 요장 외에 경기·충청지역에서도 제작되었다. 또한 墳墓·寺刹·官衙·祭祀 유적 등 다양한 성격의 고려시대 소비유적과 해저유적, 해외유적에서 출토되었다. 다음으로 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전세품을 포함하여 고려시대 매병의 형태와 장식을 고찰하였다. 형태는 구연·견부·저부·기측선 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면 반구형 혹은 수평형 구연을 가지며 둥글게 떨어진 어깨에서 최대로 벌어지고 저부까지 사선으로 좁아지는 Ⅰ유형, 반구연 구연을 가지며 팽만하고 벌어진 어깨에서 둥근 곡선을 그리며 좁아지다가 휘면서 저부로 그대로 떨어지거나 밖으로 벌어지는 Ⅱ유형, 대부분 나팔형 구연을 가지며 어깨가 둥글고 기측면이 강한 곡선을 그리며 밖으로 외반하는 Ⅲ유형으로 나뉜다. 세 유형은 다시 세장함과 팽만함의 정도, 견부와 동체 중하부의 형태, 기측면 곡선 형태 등 세부형식을 기준으로 세분된다. 매병 장식의 경우 음각·양각·철화·상감·철채 등 대부분의 기법이 적용되었고 시문된 문양이 다양하다. 그러나 장식기법별로 중심문양 소재가 제한적이고, 기면 위에 배치되는 방식과 세부표현, 보조문양의 종류, 시문수법은 한정되며 시기별, 지역별 경향이 존재한다. 음각과 철화기법으로는 주로 당초형과 절지형의 식물문양이 시문되었다. 상감매병은 제작양상이 복잡하여 기형이나 중심문양만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대신에 발달된 보조문양의 경우 종류와 구성에 일정한 패턴이 있어 분류 기준으로 적합하다. 상감매병에 시문된 보조문양의 종류로 견부는 여의두문·연판문, 저부는 뇌문·연판문이 대표적이다. 보조문양은 시대와 요장에 따라 종류와 조합 및 세부표현에서 차이가 있다. 고려말에는 주문양과 보조문양이 시문된다기보다는, 병의 기면이 횡으로 3단 이상 구획되어 파어문·연지문 등의 다양한 문양이 저부에 넓게 시문되어 이전과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고려시대 매병은 처음 제작되기 시작하는 12세기경부터 그 전통이 계속 발전·확산되는 13세기까지의 Ⅰ기와, 고려후기 청자 전반에 나타나는 변화와 원대영향으로 인하여 새로운 형식의 형태와 문양이 등장하는 14세기경 이후의 Ⅱ기로 크게 구분이 가능하다. 간송미술관 소장 국보 68호 <靑瓷象嵌雲鶴紋梅甁>로 대표되는 고려시대 매병은 고려청자 혹은 더 확장되어 한국을 대표하는 유물로써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와 높은 위상 지니게 된 고려시대 매병은, 그러나 ‘한국적인’ 혹은 ‘고려적인’ 美라는 고정된 정의와 ‘세계최고’ 혹은 ‘세계유일’이라는 우리 스스로의 제한적 시각으로 인하여 다각적 시각에 의한 학문적 접근이 어려웠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고려만의 독창성과 더불어 중세 동아시아의 매병에 대한 애호와 유행이라는 큰 흐름 안에서 동시대성과 보수성이라는 상반된 성격을 지닌 고려시대 매병을 바라보는 시각이 넓혀지기를 기대한다. The Goryeo Maebyeong has the cultural high status in present day and the academic important value in Korean Art History. However, because the primary data and archeological excavation were limited in the past, the studies of Maebyeong had not done actively. Recently, while accumulating various data, the several noticeable studies of Maebyeong have done by scholars. This thesis is to study of the terms, the uses, the origins, the influence with China and Japan, the archeological excavation circumstances, the analysis of forms and patterns, the form classification and the chronicle of the Maebyeong in Goryeo dynasty period comprehensively and multidimensionally. Firstly, because Maebyeong has been used for many ways such as the liquor bottle, the ceremony vessel or the flower vase in East Asia for a long time, there are many terms to name it such as ‘Gyung(經)’, ‘June(尊)’ and ‘Maebyeong(梅甁)’. For example, Maebyeong has been used as the flower vase by literary men, and in their poetry or books, they called Maebyeong as‘Maebyeong(梅甁)’. As a result, ‘Maebyeong(梅甁)’is the aesthetic term especially using by literary men. Secondly, the Goryeo Maebyeong was the one example of the new products made in mid Goryeo influenced by Chinese Ru klin(汝窯), Ding klin(定窯), Jingdezhen klin(景德鎭窯), Cizhou klin(磁州窯) and etc. Third, the Goryeo Maebyeong were made not large amount in very different sizes and shapes, but the patterns were limited. It means that the Goryeo Maebyeong were conservatively produced for restrictive use. The Goryeo Maebyeong which can be represented with the National Treasure No. 68; <Maebyeong with inlaid Clouds and Cranes design>, the collection of the Gansong Museum of Art,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not only the Goryeo Celadon but also Korean Fine Art. The Goryeo Maebyeong which has acquired cultural and Art Historical renown and importance in present day, however, only has the fixed definition as the ‘Korean’ or ‘Goryeo’ beauty, and the limited recognition as ‘the best’ or‘the only one’in the world result from the modernistic and nationalistic point of view. Through this study, the diversity of the Goryeo Maebyeong and the point of bigger view in the Maebyeong's popularity in medieval times East Asia can be added.

      •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김태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의 교육은 서열위주의 교육에서 다양성을 인정하는 진화된 교육이 되어가는 과도기에 위치해있다. 다양한 교육 대상들을 위한 연구와 그에 알맞은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경계선 지능이란 표준화 지능검사를 통해 지능지수가 IQ 70∼85 사이에 속하는 것을 뜻한다. 2016년 국회 본회의에서 ‘느린 학습자’라고 불리는 경계선 지능 청소년을 위한 지원 법안이 통과되었다. 여태까지 모호했던 경계선 지능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고 이들만을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구조화가 필요하다. 경계선 지능 청소년은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자신의 신체를 왜곡되게 받아들이며, 낮은 인지능력과 자존감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다. 다른 청소년들에 비해 올바른 또래관계를 만드는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는 기회를 많이 접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의 연속은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사회성 문제점을 더욱 악화시키게 한다.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의사소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경계선 지능 청소년에게 무용 활동은 신체적 자신감을 키워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하고 협동학습을 통해 또래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이해와 특성, 사회성의 개념 및 이해와 청소년기 사회성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무용교육이 가지는 목표와 가치를 이해하고 청소년 무용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및 내용의 사례를 알아보았다. 또한 경계선 지능 청소년에게 무용교육이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개발된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은 교수체제개발 모형인 ADDIE모형의 분석-설계-개발단계를 거쳐 구성되었다. 본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자율성·이해성·준법성·협동성을 유교윤리의 중심 덕목인 인(仁)·의(義)·예(禮)·지(智)와 결합하여 4개의 단원으로 구성하였다. Ⅰ단원 <인(仁) - 내 몸의 주인은 ‘나’>에서는 자신의 신체를 관찰하고 인식하여 주체적으로 표현하고 절제해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신체를 통한 자기주도적인 참여를 경험하여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Ⅱ단원 <의(義) - 너와 내가 만든 ‘우리’>에서는 타인과의 신체 접촉 및 움직임 표현과 소도구 활용으로 자신의 신체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하고 또래와 친밀감을 형성하여 이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Ⅲ단원 <예(禮) - 우리 속의 ‘사회’>에서는 외국과 한국의 민속무용을 배우고 정해진 스텝, 대형 등의 규칙이 있는 무용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함께 춤을 추는 공동체적 경험을 통하여 서로 소통하고 배려하는 능력을 키우고 정해진 규칙과 관계 속에서 가져야 할 법도와 책임감을 갖게 하여 준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Ⅳ단원 <지(智) - 함께 만드는 ‘예술’>에서는 구성원 전체가 작품을 함께 구성하고 시연 및 발표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또래와의 소통 및 문제해결을 경험하고 함께 세운 목표를 달성하는 성취감을 느낌으로써 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10차시의 교육활동계획안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차시별 구성은 도입부, 전개1, 전개2, 마무리로 진행된다. 도입부에서는 출석체크 및 수업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설명과 비전공자인 경계선 지능 청소년 학습자들의 무용 활동으로 인한 부상 및 근육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몸 깨우기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전개 1에서는 수업의 동기유발을 위한 주제를 탐색하고 간단한 움직임을 한다. 다음 전개 2에서는 본격적으로 움직임을 표현하는 단계로 협동학습 위주의 무용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마무리단계에서는 자유롭게 수업에 대해 토론하고 무용일지에 회고를 작성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은 향후 실제 경계선 지능 청소년을 위한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수정 및 실증적인 효과의 검증을 기대하며, 무용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 고려의 지방통치구조로 본 전근대 국가의 성립원리

        김태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반도의 전 영역에 미치는 전근대 국가는 신라, 후삼국을 거쳐 고려가 건국되면서 그 기본구조가 갖추어 졌다. 그리고 그 이후로 줄곧 국가의 영토성과 단일한 정치적 중심을 가진 국가적 통합이 지속되어 왔다. 이 고려 이래의 전근대 국가는 서구 중세가 독립된 정치단위들로 나누어져 대립하던 것과는 달리 줄곧 국가의 기본구조를 유지하면서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해왔으며, 점차 집권화의 정도를 높여갔다. 국지적인 자원동원능력을 배경으로 한 지역 세력들의 분권화 성향은 상존하였지만, 이러한 경향이 서구와 같이 독자적인 세력화와 영토분할로까지 나아가지 않았다. 한국의 전근대 사회구성의 특성은 전근대 국가의 존재와 지속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이 전근대 국가에 대해 본격적으로 주목하고 이론화 하려는 노력을 충분히 해오지 못했다. 역사학 연구는 이론적 반성이 부족한 채, 개별 사건사, 정치사, 제도사 연구에 머물러 있거나 총체적인 사회구성의 성격 규명을 시도한 사회경제사 연구는 서구의 경험에 바탕한 이론적 도식을 무비판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한국 전근대 사회의 특성인 전근대 국가의 존재에 제대로 주목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려 이래로 일정한 영토성과 국가적 통합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존재해 온 전근대 국가를 설명하고 이론화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고려 국가의 성립원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교통, 통신 등 하부구조의 미발달로 국가식 통합성의 유지에 근본적인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을 고려 이래의 전근대 국가가 어떻게 국가의 영토적 경계와 중앙정부의 지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갈 수 있었는지를 밝히려고 하였다. 한반도에 존재했던 전근대 국가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입장으로는 사회를 다양하게 조직되는 권력 관계들의 얽힘으로 보고, 국가도 사회적 관계를 만드는 하나의 방식으로 본 Mann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였다. Mann의 관점은 기존의 국가이론이 근대 이후에 서구에서 등장한 국가의 모습을 다른 지역이나 이전의 시기에 투영하는 한계를 벗어날 수 있게 해주며, 전근대의 사회적 관계가 조직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특정 시공간에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국가의 모습에 주목하여 이론화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Mann이 그리고 있는 전근대 국가의 모습은 하부구조의 미비로 끊임없이 봉건화의 과정을 되풀이하는 불안정한 형태로서 한반도의 지속적인 국가의 존재를 설명하는데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본 논문은 전근대 국가의 성립 기반과 유형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관료제의 기능적 속성에 주목한 Eisenstadt의 연구와 문서의 작성이라는 하부구조적 능력과 국가권력과의 관계를 언급한 Giddens의 인구를 Mann의 국가론에 보충함으로써, 문서행정을 매개로 지배층간의 국가적 통합이 지속되는 구조가 형성되었다는 고려 국가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한반도의 초기국가들이 정복과 전쟁을 통해 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고려 이후 집권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지방통치구조(군현제, 본관제, 토성분정)의 성립을 통해 문서행정체제가 어떻게 지역 지배층간의 국가적 통합을 매개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고려 지방통치구조 성립의 두 기반은 8c 이래 지역 세력들 간의 관계에 질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문서 행정체계와 신라말 후삼국기를 통해 성장한 지역세력이다. 고려는 군사적인 통합과 국가적 제도를 형성해 가는 과정에서 8c 신라 이래 이미 마련되었던 지방 문서행정의 기능을 지역 지배층들에게 수행케 하는 한편, 그에 해당하는 특권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지배층들이 국가적으로 통합할 수 있었다. 후 삼국기의 지방세력은 지역의 관리자이자 문서행정의 담당자인 향리층으로 변모되어 갔으며, 이들에게는 중앙의 관직에 진출할 특권이 주어졌다. 각기 시행의 구체적 목표와 시기는 다르지만, 고려 국초 이래 시행되었던 본관제, 토성분정, 사심관, 기인제도, 과거제, 지방교육기관 설치 등은 지역 지배층들을 중앙의 정치조직과 연결시켜 국가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였다. 이러한 장치들이 사회 조직의 기본원리인 씨족적 질서와 깊은 연관을 가지면서 사회적 관계를 제도화해나가는 가운데, 문서 관리능력을 바탕으로 중앙의 정치조직과 관직이라는 국가적 특권을 둘러싸고 지역 세력들이 성씨집단을 단위로 경쟁하는 구조가 성립하였다. 결국 사회적 신분과 특권을 재생산하는 방식이 국가의 제도를 매개로 하게 됨으로써 지역 세력들간의 경쟁이 국가적 테두리 내에 머물고 결과적으로 지역별 지배층들의 국가적 통합이 지속되는 구조가 되었다. Two centralized pre-modern states had continued to exist in Korea since Koryo Dynasty was founded in 918. Ever since then, territoriality and political centrality of the state had been maintained in Korea until the downfall of Chosen Dynasty by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10. Such existence of centralized states in Korea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history of Western Europe in which decentralization and localization was the predominant aspects of the Middle Age. State's territoriality and centrality had never been broken in Korea although there had been appeared decentralizing tendency of local power actors. However, fact-oriented historical studies on Korea has not payed enough attentions to the existence of this pre-modern state. Studies on socio-economic history also overlooked the existence of pre-modern state because they tried to adopt theoretical frames based on the Western experiences. This study argues that understanding the formative principles of pre-modern state is critical in explaining Korean history. It has been assumed that pre-modern societies had fundamental limits to maintain state integration because infra-structures such a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were not fully developed. This study tries to explain how the Korean pre-modern state had been able to maintain a single state system in spite of the given infra-structural limits. This study adopts basic theoretical perspectives on state and pre-modem societies from Micael Mann to notice and explain various pre-modern states in pre-modern societies. Mann's perspectives on the state make us to overcome ahistorical and Western-biased tendencies in current studies that extrapolate the experiences of modern states originated from Western societies into the historical past. However, Mann's explanation also partially shows a biased view to Western historical experiences. This limit is supplemented by Eisenstadt's work on 'historical bureaucracy' and Giddens' study on 'the formation of pre-modern state' related with literacy and development of records. Then I build up a hypothesis arguing that integration of locally based upper-classes into center state apparatus were able to keep up the territory-wide missive administration. I try to prove this hypothesis by examining the formation of local governance system in early Koryo era. Local governance system in Koryo Dynasty were based on two principles developed in Korean history. They are the missive administration started in Unified Shilla from the 8th century and local politics in which clan heads had played leading roles which fostered during the interim period between the Unified Shilla and the Koryo (ie, Husamguk). The center government of Koryo Dynasty allowed local clan leaders to take charge of local governance as the missive administrators and gave them privileges to represent local interests at center. As a result, upper-classes in local communities had changed into civil officers of the center and integrated into the central ruling-class. While these state policies and institutionalisation had the effect to organize social relations based on lineage system, the structure at the top emerged to form an political arena where different lineages of upper classes from different regions compete one another to secure privileges of the central state. Thus, social status and privileges were re-produced through the positions in the central state, and therefore the center could have maintained integration among local ruling classes and could continue to exist.

      • 미술교과에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김태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애니메이션이나 광고, 영화 포스터와 같은 익숙한 소재를 미술교과에 도입하는 일은, 청소년들에게 친숙한 대상으로서 미술을 바라보고 즐기게 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시점에 미술교과의 애니메이션 교육 역시 기존의 내용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교과과정이나 교육환경,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중적인 영상 매체로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애니메이션을 손쉽게 창작하고 향유할 수 있는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중학교를 대상으로 개발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지도방법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애니메이션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교육과정상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교육의 필요성은 첫째, 자기표현을 통한 긍정적 자아형성, 둘째, 창의적 표현력과 조형 능력을 신장, 셋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간적 지능의 발달 등에 이유가 있다. 교육과정상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 지도 실태에 대해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학교 현장에서의 애니메이션 교육은 지도 및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학생은 애니메이션 수업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를 통해 미술수업에서의 애니메이션 교육은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애니메이션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도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적용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애니메이션 요소인 캐릭터, 배경, 시나리오를 이용한 다양한 기법의 애니메이션 만들기이다. 효과적인 애니메이션 교육을 위한 지도방법에는 모둠학습과 토의법 등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애니메이션에 대한 개념과 기법, 표현의 다양성에 대해 인지하고 적극적인 참여와 지속적인 내적 동기가 유발되었다고 평가된다. 제 4장에서는 3장을 토대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애니메이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창의적인 사고와 더불어, 시각적 사고력이 발달되었으며, 애니메이션 수업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를 증진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교육현장에서는 애니메이션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교육이 올바르게 실시되고 활발히 이루어 지기위한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애니메이션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인 태도와 전문성 확보를 위한 기초적 지식의 습득이 되어야 한다. 둘째, 애니메이션 교육과정 내용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셋째, 애니메이션 교육 환경의 보완이 이루어 져야 한다. 애니메이션 교육은 학생들에게 애니메이션에 대한 개념과 창의적 표현능력을 습득하게 하고, 더 나아가 시각적 사고력의 성장을 돕는다. 그러므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연구와 활성화를 위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할 것이다. Human beings put in steady efforts through occupations in order to manage blissful lives, and contribute to the social development as productive members of the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allow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preparing and establishing directions in new life, enjoy productive lives, the goals and tasks of our education should be assisting them to recognize and search for occupations that fit their aptitude and ability, and develop abilities to make the right choice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opportunities of searching for directions and preparing for workforce entrance with prop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work and rational decision, by seeking career education plan through art education with high school students as the target. Hence, chapter 2 acknowledged the important of occupation inform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understood the concept of occupation information and examined the status of art related occupations. Based on this, the necessity of occupation exploration in art education was observed, and its meaning was contemplated for understanding of career education and effective care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Chapter 3 researched and analyzed art related occupation exploration methods and utilization.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bjects, analysis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and the process of occupation exploration lessons was organized. Also, occupation exploration methods were proposed through 'occupation information handbook production and utilization', 'occupation information related internet sites' and 'success cases of careerman' and analyzed by implementing methods that utilized such methods. Occupation information handbook collected and organized art related occupations and provided them to students, proposing methods to utilize them, and occupation information related internet sites analyzed each site's characteristics and proposed education programs that utilized them. Lastly, occupation exploration methods through success cases of careerman proposed a method of obtaining and searching for occupation information through careerman interviews. Chapter 4, based on the researches of chapter 3, acknowledged educational effects of art related occupation explor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care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studied revitalization methods of care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to improve such limitations. However, despite such educational effects, both career education and occupation exploration in art education are inadequate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Therefore, revitalization methods of career education that include art related occupation exploration were proposed in following ways. First, active behavior and understanding of career education are required in the education field. Education curriculums including instructors and students must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and the realization of diverse and broad future exploration through such education. Second, utilization methods and trust of occupation information must be secured, and instructors who deal with occupation information must also confirm occupation information on a regular basis and lead students accordingly. Third, art education must be revitalized through subject specialization. Justification of art education is very clear, so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must be improved and diverse education services must be provided. Art related occupation exploration gives students opportunity of self exploration with sufficient time, and cultivates positive and active behaviors of students by assisting them to discard vagueness and anxiety towards the future.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can be improved through art related occupation, and positive effects can be given to the necessity and popularity of art education. Therefore, multilateral career education methods must be vitalized and continuous researches must be conducted.

      • 폴리이미드 필름상의 NiCr 박막의 접착력에 미치는 RF 플라즈마 처리의 영향

        김태은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t specifications of metallic deposition on polymer films are adhesive strength and reliability. To enhance the adhesive strength and reliability,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studied, such as corona discharge, ion-beam treatment, plasma treatment, etc. In this study, the RF plasma treatment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strength and reliability. Moreover, it is expected to find out easier distinguishable method of adhesion reliability by measuring chromatic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factor to enhance adhesive strength is RF power density. It was also found that Ar gas flow should be optimiz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good adhesion reliability is caused by the good adhesive strength. The oxygen gas incorporation has to be minimized during processing. The measurement of chromaticity was found to be an easier method to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bad adhesion reliability. However, it was problematic in judging of poor adhesion reliability caused by damaged surface due to excess pre-treatment.

      • 자금세탁방지 관련 법률의 문제점과 실효성 강화 방안

        김태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금세탁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자금의 위법한 출처를 숨겨 적법한 것처럼 위장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국내법적으로는 “불법재산의 취득·처분사실을 가장하거나 그 재산을 은닉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자금세탁방지제도는 국내·국제적으로 이루어지는 불법자금의 세탁을 적발·예방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로서 사법제도, 금융제도, 국제협력을 연계하는 종합관리시스템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인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 on Money Laundering,1989년 출범)에는 가입하지 못하였으나, 1995년 6월 벨기에에서 출범한 Egment Group과 아시아국가들의 자금세탁협력기구인 APG(Asia-Pacific Group on Money Laundering,1995년 출범)에는 가입하여 활동 중이다. 자금세탁방지 관련 법률은 범죄수익규제법과 특정금융거래보고법, 마약류특례법이 있다. 범죄수익규제법과 마약류특례법은 특정범죄수익과 관련된 본범들과 관련자들의 구체적 자금세탁행위에 대한 처벌내용을 규정하고 있고, 특정금융거래보고법은 위 불법재산 또는 자금세탁행위와 관련된 본범들과 관련자들의 금융거래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금융정보분석기구 설치 등 특별기구설립과 관련된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다. 자금세탁방지 관련 법률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혐의거래보고제도(STR:Suspicious Transaction Report)가 개인의 금융프라이버시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과, 둘째, 혐의거래보고제도를 2,000만원 이상의 금융거래로 한정해야 하는 가 셋째, 법률로서 자료제공요청이나 계좌추적을 허용하는 것은 문제가 없는가 하는 점들이 있고, 실효성 강화 방안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는 점으로는 첫째, 고액현금거래보고(CTR; Currency Activity Reporting)제도를 도입하여야 하는 점, 둘째, 고객주의의무(CDD; Customer Due Diligence)를 강화하여 2,000만원 이상의 지급·영수시에는 금융기관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주소와 연락처를 알리도록 의무화하고, 셋째, 금융정보분석원(FIU; Financial Intelligence Unit)의 계좌추적권을 국내거래에 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있고 넷째, 모든 조세포탈범에 대하여도 혐의거래보고 대상에 포함해야 되며 다섯째, 정치자금에 대한 통보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만 하는 특례를 폐지하여 검찰 경찰 등에도 통보하게 함이 타당하다. Es bezeichnet generell die Geldwasche als die Tathandlung, die illegales Verkommen des Vermogens als legal verkleidet, und sie darstellt auf koreanisches Recht als “die Tathandlung, um illegale Erhaltung oder Verfugung des Vermogens zu verkleiden oder das Vermogens zu Verbergen” Der Verhinderungssystem gegen Geldwasche bedeutet den synthetischen Kontrollesystem, der in Verbindung mit Justizszsystem, Finanzsystem und internationaler Mitwirkung stellt, um die national oder international verkommende Geldwasche zu finden und zu verhindern. Obwohl Sudkorea sich an reprasentativer internationler Organisation fur Verhinderung der Geldwasche -FATF(Financial Action Task Force on Money Laundering, in 1989 aufgestellt) nicht beteilgen konnte, betatigt sich zur Zeit als ein Mitglied von ‘APG(Asia-Pacific Group on Money Laundering)’, das als Mitwirkungsorganisation gegen Geldwasche durch Asienstaaten in 1995 aufgestellt wird, und ‘Egmont Group’, das in 6. 1995 in Belgien aufgestellt wird. Als auf die Geldwascheverhinderung beziehende Gesetze gibt es ‘Gesetz zu die Kontrolle des Tathandlungsgewinn’, ‘Gesetz zum Bericht der bestimmten Finanzhandel’ und ‘spezialgesetz zur Betaubungsmittel’ in Sudkorea. ‘Gesetz zu die Kontrolle des Tathandlungsgewinn’ und ‘spezialgesetz zur Betaubungsmittel’ schreiben vor, was fur eine Geldwasche bestraft wird usw. ‘Gesetz zum Bericht der bestimmten Finanzhandel’ hat das als den Kern, dass die Organisation zur Analyse der Finanzinformationen aufzustellen mussen, um die Informationen der auf die Geldwasche Beziehende zu versammeln und zu analysieren. Die Probleme auf die Geldwasche beziehende Gesetze sind wie folgend: erstens, ob der ‘STR(Suspicious Transaction Report)’-System das individuelle Privatrecht verletzt? Zweitens, ob der STR-System zur Finanzhandel mehr als 20,000,000 Won einschranken muss? Drittens, ob es moglich ist, mit dem Gesetz das Verlangen der Datensvorlage oder die Kontoverfolgung zu erlauben? Fur praktische Wirkung mussen die Folgende verbesseren: erstens, den ‘CTR(Currency Activity Reporting)’-System muss man einfuhren. Zweitens, das ‘CDD(Customer Due Diligence)’ muss man verstarken, sodass bei der Aufgebung oder Empfang der Betrage von mehr als 20,000,000 Won es verpflichtet werden muss, dem Finanzorgan die Informationen wir Name, Addresse, Einwohneranmeldungsnummer usw zu berichten. Drittens, es braucht, die Kontoverfolgungsgewalt von ‘FIU(Financial Intelligence Unit)’ zur nationalen Finanzhandel zu verbreiten. Viertens, der Gegenstand von STR-System muss alle Steuerhinterziehungsdelikte enthalten. Funftens, die Ausnahmeregelung, den Bericht des politischen Fonds nur der Hauptwahlkommsion machen zu konnen, muss aufgehoben werden, und es braucht den Bericht an der Staatanwaltschaft oder der Poliz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