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듣기 평가 대화 지문의 화행 분석 : Searle(1976)의 화행 이론을 근거로

        김하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Celce-Murcia, Dornyei와 Thurrell(1995)은 언어적, 사회언어학적, 담화적, 책략적 능력 외에 화행과 화행 세트를 수행하고 이해함으로써 의사소통 의도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행동적 능력(actional competence) 또한 의사소통 능력의 한 요소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언어 평가 도구는 언어적, 사회언어학적, 책략적 능력뿐만 아니라 행동적 능력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 수학에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도달 정도를 측정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시험의 매 검사지에는 동일한 수준의 어휘가 사용되고, 언어 형태와 담화 구성의 복잡성이 동일한 수준이 되도록 통제되고 있다. 하지만 이 시험의 행동적 능력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해 이 시험의 검사지에서 사용되는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간접 화행의 비율이 어느 정도 동일한지에 관해서는 연구된 것이 거의 없다. 더군다나, 최근 3년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은 문항 유형 면과 난이도 면에서 큰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듣기 평가 대화 지문에서의 화행의 양상에 변화를 초래하였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그뿐 아니라, 문항 유형에 따른 화행 유형과 직간접 화행이 다르게 분포 양상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유형의 문항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화용적 이해 능력이 실제로도 적절하게 측정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듣기 평가 문항이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간접 화행의 분포 양상이라는 측면에서 동질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와 문항 유형의 대조적인 특징에 따라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간접 화행의 분포 양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Searle(1976)에 의해 이루어진 발화 수반 행위 유형 분류와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의 구분을 기반으로 하여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의 3개 학년간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의 대화 지문에서의 화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 시기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듣기 평가 대화 지문에서의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의 분포 양상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이에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의 분포 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두 시험 사이의 난이도의 차이가 화행 분포 상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으로 여겨진다. 또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듣기 평가 문항의 유형에 따라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의 분포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 중본 연구에서 선정한 4개의 유형의 문항들로 한정하였을 때, 문항의 유형에 따라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본고사와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 평가 영어 영역 듣기 평가 지문에서 화행 유형의 분포와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의 분포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 평가 대화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는 매 검사지에 사용되는 화행 유형과 직간접 화행이 가급적 동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조적인 특징을 가진 문항에 따라서는 이들이 다르게 분포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 학교 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중생의 정서지능이 수업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중생의 정서지능이 수업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하는 5개 중학교 중 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1∼3학년 여중생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절차는 설문지를 통한 자기평가 기입법을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AMOS ver 23.0 Program과 SPSS ver. 23.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또한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중생의 정서지능이 수업몰입,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중생의 정서지능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감정이입은 수업몰입의 하위요인인 자기 목적적 경험, 수업과정에의 통합, 도전과 통제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사고촉진은 수업몰입의 하위요인인 수업내용에 몰두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중생의 정서지능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사고촉진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학교 스포츠클럽 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중생의 정서지능이 수업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스포츠클럽 지도자들은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 학생들의 무용활동 수준에 맞는 난이도를 조절해 주고, 학생들의 수업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서 수업의 내용과 절차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수업의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주기적인 상담 및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정서적 및 심리적인 문제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학교생활은 물론 무용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서 그들의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행복감을 찾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지능과 수업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이론들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논의하였으며,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선거관리위원회의 정보공개 업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하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주주의에서 선거는 국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며 국정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여 민주주의의 발전을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정치 사회적 갈등은 선거 과정에 대한 분쟁으로 이어지며 선거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선거관리를 보장하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과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 중에서 선거관리위원회의 설명책임성을 뒷받침하는 정보공개 업무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정보공개 업무 현황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과 정보공개제도의 의의와 중요성을 정리하였으며 정보공개제도와 기록관리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선거관리위원회의 정보공개 업무를 분석하기 전에 국외 사례로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의 국가기관 또는 연방기관인 선거관리위원회의 정보공개 지원 업무를 분석하였다. 국내 선거관리위원회의 정보공개 업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선거관리위원회 정보공개 운영실태 데이터를 2004년에서 2020년까지 살펴보고 중앙행정기관과 비교하여 운영현황 및 추이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선거관리위원회 정보공개 업무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정보공개 담당자 인식조사를 하였다. 선거관리위원회 정보공개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부록1에서 제시된 인터뷰 코딩체계를 바탕으로 정보공개 업무 담당자의 부서와 업무비중, 정보공개 결정, 정보공개 업무 지원요구, 기록관리 인식에 대한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인터뷰 분석결과 선거관리위원회의 정보공개 업무 개선방안으로 정보 공개 업무 측면과 인식개선으로 정리하여 제안하였다. 먼저 정보공개 업무 측면에서는 정치자금에 대한 상시열람을 제안하였다. 선거관리위원회 담당자들은 선거기간 전후 정보공개 청구 건수가 폭증하는 경우가 있어 업무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공개 청구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정치자금의 선제적인 정보공개를 위한 정치자금법 개정이 필요하며 개정 이후에 홈페이지를 통한 열람 기능과 검색기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정보공개 업무에 투입되기 전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대부분의 정보공개 담당자들은 정보공개 업무 이후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개/비공개 결정은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지식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정치사회적 갈등 문제로 정보공개 업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정보공개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인식개선 측면서에서는 국민들에게 정보목록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정보목록은 국민들이 정보공개 청구를 하기 이전에 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정보공개 담당자들은 국민들이 정보목록을 잘 알지 못하며 정보목록의 활용도가 낮다고 보았다. 따라서 정보공개 청구 전 정보목록을 확인하는 절차를 추가하고 정보목록에 대한 검색 기능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선거관리위원회 정보공개 담당자들은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관내에서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보공개의 기반이 되는 기록이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주기적인 기록관리 관련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연구는 정치사회적 갈등으로 인해 선거과정의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며 선거관리위원회의 정보공개가 중요해지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공개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여 업무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정보공개 업무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democracy, elections reflect the needs of the people and allow them to participate directly and indirectly in state affairs, making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 important means. However,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lead to disputes over the election process, and controversy over the election process and results is also raised. Therefore, the role of the Election Commission in ensuring election management is important. The Election Commission has been striving to secure public confidence in the election process. Among them, attention is paid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 work of the Election Com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disclosure work of the Election Commission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summarized the role of the Election Commiss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record management. Before analyzing the Election Commission's information disclosure work, it analyze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upport work of the Election Commission, which is a state agency or federal agency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In order to analyze the information disclosure work of the Election Commission in Korea, data on the information disclosure operation status of the Election Commission were examined from 2004 to 2020, and the operation status and trend were investigated compared to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Nex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nformation disclosure work of the Election Commiss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personne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formation disclosure officials of the Election Commission and based on the interview coding system presented in Appendix 1, the weight of work, information disclosure decision, information disclosure support request, and record management recognition were divide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the Election Commission's plan to improve information disclosure work was summarized and proposed in terms of information disclosure work and awareness improvement. First, in terms of information disclosure work, regular access to political funds was proposed. Election Commission officials said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 number of reques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before and after the election period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handle business. To this end, it was suggested that a revision of the Political Fund Act for preemptive information disclosure of political funds, which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reques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is required, and after the revision, a viewing function and a search function through the website are required. Next,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is necessary before being put into the information disclosure work. Most information disclosure managers were found to be receiving training after information disclosure work. Since non-disclosure decisions are sensitive issues, knowledge to make reasonable judgments is needed.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disclosure work is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 problem, education to efficiently handle information disclosure work should be supported. In terms of awareness improvement,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mote the information list to the public. The information list can be helped by checking the information held by the institution before the public makes a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However, information disclosure officials saw that the public did not know the information list well and that the use of the information list was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a procedure for checking the information list before requesting information disclosure and to enable a search function for the information list.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 awareness of record management.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disclosure officials of the Election Commission had low awareness of record management. This seems to be because there is no recognition of record management within the instit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record management so that records that are the basis for information disclosure can be systematically manag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eriodic record management-related education. This study noted that controversy over the election process is being raised due to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and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the Election Commission is becoming important. To this e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interviews with information disclosure official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work and prepared improvement measures for efficient information disclosure work.

      • 인터랙티브 아트 키트 연구 : 'TenD Kit'를 중심으로

        김하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in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all fields including art are changing rapidly, and digital technologies are introduced to produce more possibilities and creative outcomes. With this trends, interest in computing thinking has increased, and with the necessary of coding education and cording syndrome, the types and forms of interactive kits that can interact with users have been diversified and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Most interactive art kits can be applied and utilized in a variety of ways using appropriate idea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the kit in a wide range for the people who is not familiar with coding. For this reason, although the coding education using the interactive art kit is actively performed, most of beginners regard the process of learning the coding as rote and repressiv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n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tool that can draw curiosity and interest from learners. In this study, I developed an interactive art kit ‘TenD Kit’ which users can recognize the process of learning as a play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rather than an education, and, ahead of development, I investigated and analyzed advance cases of cording education kit, interactive kit. Although the each interactive kit's user manual included, there is a limit in usage and application range of the kit for the group of people who do not have knowledge of coding because of absence of teaching tool and textbook.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necessit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s. ‘TenD Kit’ is the development of a kit element combination, not the development of kit elements. It consists of interactive kits, Makey Makey, Leap Motion, and coding program processing. Through the mixture of interactive kit technology and art, it shows usability in various ways and it is designed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all users to create interactive art much easily. In addition, Two educational programs were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3 to 6 producing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utilizing ‘TenD Kit’ and they were applied as interactive arts for brand promotion. Not only investigated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but conducted an expert evaluation for the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as educators and an user evaluation for the group who tried interactive ki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new form of media helps their applied art get them interested because of intuitive and immediate feedback. Second, it has advantage of various application as each user utilizes different art work. However, there were not appropriate instructions on how to use each kit in conjunction, and on how to modify the code if there is a need to modify it to suit the outcome of the wor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how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kit to develop the interactive kit ‘TenD Kit’ freely an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enD Kit’ is utilized to improve accessibility to create interactive art easily and comfortably to various users, and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process of coding education as a play through high quality of class including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to learners and educator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utilize it properly such as recognizing the concept of cording naturally. 현대 과학 기술의 급진적 발달에 따라 예술을 포함한 모든 분야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분야별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더 다양한 가능성과 창의적 결과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컴퓨팅적 사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정에 코딩(coding) 교육이 의무화되면서 코딩 열풍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키트(Interactive Kit)의 종류와 형태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터랙티브 아트 키트(Interactive Art Kit)의 경우 적절한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응용 및 활용은 가능하지만, 그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키트를 다양한 범위로 활용하기 어려웠고, 접근성도 떨어지는 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랙티브 아트 키트를 활용한 코딩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학습자는 코딩을 접하는 과정이 다소 주입적인 교육으로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학습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끌어낼 수 있는 응용 교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사례 또한 드물다. 본 연구자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코딩을 접하는 과정을 교육이라기보다 놀이로 인식해 자발적 참여가 가능한 인터랙티브 아트 키트 ‘TenD(Touch end/and Draw) Kit’를 개발하였다. 키트 개발을 위해 먼저 현재 개발된 코딩 교육 키트인 인터랙티브 키트와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개발된 인터랙티브 키트에 사용 설명서는 포함되어있지만, 교재 및 교안의 부재로 코딩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해당 키트를 사용하기에는 활용 및 응용 범위에 제한이 있었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점이 단점이었다. ‘TenD Kit’는 키트 요소의 새로운 기술개발이 아닌 키트와 키트간의 요소를 조합하여 개발한 것으로, 기존 인터랙티브 키트인 마키 마키(Makey Makey), 립 모션(Leap Motion)을 코딩 프로그램인 프로세싱(Processing)으로 조합한 결과물이다. 인터랙티브 키트 기술과 아트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모든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인터랙티브 아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TenD Kit’를 활용한 교안 및 교재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2번의 인터랙티브 아트를 이용한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브랜드 프로모션을 위한 인터랙티브 아트로 응용되었다.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 사후 평가 및 만족도 조사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을 같이 진행한 교육 강사와 인터랙티브 키트로 활용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한 표현을 통해 본인의 작품이 응용되어 직관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흥미가 유발되고, 사용자마다 다른 아트워크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각 키트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서의 부재, 원하는 작품의 결과에 맞게 코드 수정이 필요할 경우 코드 수정의 제한성에 대한 설명서 부재의 단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키트인 ‘TenD Kit’를 개발하는 데 있어 사용자가 키트를 활용해 자유롭고 다양한 활용 및 응용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TenD Kit’를 활용해 다양한 사용자에게 쉽고 편하게 인터랙티브 아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와 교육 강사에게 교재와 교안을 제공함으로써 코딩 교육 과정이 놀이로 인식될 수 있도록 수업하여 코딩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인식하는 등 적절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투광형 박막 PV 모듈이 적용된 창호형 BIPV 시스템의 에너지성능에 관한 연구

        김하영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the installation ratio of PV system among renewable energy systems is increasing in Korea due to the mandatory zero energy building regulation. Installation of BIPV system, which serves as the building envelope and generates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is increasing due to the limited land area. However, residential and office buildings, which account for 80% of domestic buildings, have a high window-to-window ratio, so the area in which wall type BIPV systems can be installed is limited. In this study, a window type BIPV system with thin-film PV module applied for the purpose of visibility is investigated and developed. Unlike conventional window systems where general glass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the window type BIPV system which is applied in the form of GtoG type laminated glass PV module, has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HGC and VLT, and insul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U-value. In additio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V module, the frame structure is interfered with due to the junction-box and wiring processing, which affects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window frame. Since the insulation performance and optical properties of windows affect not only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window system but also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its effect. However, current research activities on window type BIPV system solely focus on electrical performance such as PV power, and analysis of thermal performance when PV module and window system are combined. But, building energy analysis on window type BIPV system applied to a building are often not carried ou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thermal and optical performance changes that occur when a semi-transparent thin-film PV module is applied to a semi-transparent window system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uch as cooling load and heating load are analyzed through simulation. Based on Window and Therm software, simulation was performed by utilizing measured test values for optical performance and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transmittance and reflectivity of the semi-transparent thin-film PV module applied to the window type BIPV system.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window system was compared and analyz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indow system,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window type BIPV system reduced marginally. SHGC and VLT decreased significantly. Neverthel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minimize the degradation of insulation performanc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PV module, the hollow layer of the outer window was filled with 16mm thick argon gas to upgrade it to a similar insulation performance as the existing conventional window system. Assuming an actual size applied to a build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window system was 0.33% better than that of the window type BIPV system, while SHGC and VLT greatly reduced by 60.43% and 76.27%, respectively. To estimate the effect of reduced SHGC on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DesignBuilder simulation program.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considered the thermal transmittance, SHGC, and VLT of the window type BIPV system, supplemented through thermal performance simulation analysis, and analyzed the annual cooling/heating load, thermal gain through the window, and power generation through the BIPV system. For the window type BIPV system, the thermal gain through window decreased by 38.26% annually. Consequently, the heating load increased by 2.02% while the cooling load decreased by 1.74%.

      • 딥러닝기반 캐나다 몬트니층 셰일가스 생산량 예측모델 개발

        김하영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전통자원인 셰일가스는 기존 전통자원에 비해 투수성이 매우 낮고(0.001 md 미만), 넓은 지역에 자원이 분포하여 수평시추와 다단계수압파쇄를 통해 생산한다. 셰일자산평가 초기단계에서는 상용 데이터베이스에서 확보가능한 자료수준인 월간 생산량과 수압파쇄 정보를 활용해 정밀자산평가를 수행할 유망자산을 일차적으로 판별한다. 이 단계의 잔존가치평가는 제한된 자료로 인해 저류층시뮬레이션 대신 감퇴곡선기법(decline curve analysis, DCA)으로 수행된다. 셰일자산은 낮은 투수율, 수압파쇄, 흡착가스 생산으로 인해 기존의 전통자원과 다른 생산거동이 나타나고, 그에 따라 기존의 DCA를 셰일자산에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셰일자산의 특징을 반영한 DCA 개선기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기법 간 예측결과의 차이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데이터베이스에서 확보가능한 수준의 한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딥러닝기반 셰일가스 생산량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캐나다 Montney 셰일플레이에 속한 Peace River 분지로, 5,408개 유정의 현장자료 중,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1,005개 셰일가스정의 55,031개 월간 자료를 선별하였다. 자료 전처리는 도메인 지식에 근거하여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유정단위 전처리로, 수압파쇄디자인에 차이가 있는 10개 유정과 월간 생산량자료의 신뢰도가 낮은 53개 유정을 제외하였다. 2단계는 상세생산이력단위 전처리로, 셧인(shut-in)구간과 생산초기 유정의 생산성이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하였다. 전처리 후, 선정된 941개 유정의 80%(752개)는 훈련과 검증에 사용하고 20%(189개)는 테스트자료로 활용하였다. 딥러닝 알고리즘은 시계열자료의 분석에 특화된 장단기기억(long short-term memory)을 사용하였다. 예측모델의 출력값은 입력된 시계열의 다음 달 월간 가스 생산량으로 설정하였다. 예측을 위한 입력층인자로 생산량인자(월간 가스 생산량, 일 평균 가스 생산량, 누적 가스 생산량)와 운영인자(월간 생산시간, 누적 생산시간, 셧인기간)가 활용되었다. 각 인자(9개 케이스)와 과거 생산이력 길이(3개월, 6개월 및 12개월)가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총 27개 케이스를 선정하였다. 학습된 27개 딥러닝모델에 테스트자료를 적용한 결과, 가장 최적화된 케이스는 월간 가스 생산량, 일 평균 가스 생산량, 누적 가스 생산량, 월간 생산시간, 누적 생산시간을 입력층인자로 사용하고 3개월의 과거이력을 사용하는 경우로 확인되었다. 최적 케이스의 테스트자료에 대한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d error)는 0.035 이하,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는 0.97 이상, 평균절대비오차(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는 약 10.5%로 확인되었다. 최적모델을 캐나다 타 셰일가스플레이(Muskwa)에 적용해본 결과,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DCA 대비 신속한 미래 생산량 예측이 가능하며, 전문가 의존도가 낮은 셰일자산평가 모델로 활용할 수 있다.

      • 골프 코치의 경력과 리더십의 관계 연구

        김하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지도자의 경력과 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2년 현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골프시설에 근무하는 코치와 생활체육지도자 240명을 유층집락 무선 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하였으나, 실제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료는 코치 125명, 생활체육지도자 69명, 총 194명 이였다. 본 연구에서의 측정도구는 골프지도자의 리더십을 평가하기 위하여 Cox(1994)의 리더십 자기평가 검사지(Self-Leadership Questionnaire: SLQ)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자료분석 방법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그리고 중분류분석(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이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리더십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즉,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자기관리 리더십과 자아관찰 및 평가, 그리고 사전연습 리더십이 높다. 연령에 따른 리더십의 차이는 자기관리, 자기문제 해결 리더십에서 35세 이상이 높다. 학력수준에 따른 리더십의 차이는 자기관리와 자아관찰 및 평가 리더십에서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집단이 높다. 둘째, 골프지도자의 경력에 따른 리더십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먼저, 골프지도자의 경력유형에 따른 리더십은 자기관리 리더십과 자연적 보상 리더십에서 차이가 있다. 즉, 골프지도자 중 경기지도자 자격증을 소지한 지도자가 생활체육지도자보다 자기관리와 자연적 보상 리더십이 높다. 그리고, 골프지도자의 지도경력에 따른 리더십은 자기관리 리더십과 자기관찰 및 평가 리더십에서 차이가 있다. 즉, 골프지도자 중 지도경력이 6년 이상이거나 2년 미만인 지도자들이 다른 지도자들보다 더욱 더 자기관리나 자기관찰 및 평가가 철저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type and leadership of golf coaches.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194 subject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rom instructors in golf of public and private golf facilities located in Kyung-gi do and Seoul.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for SLQ(Self-Leadership Questionnaire)was developed by Cox(1994)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Hwang, Hyun-Jin(1998). The statistical method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alysis of covariance(ANCOVA)and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MCA).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ly, the perceived leadership are partially different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ly, perceived leadership are partially different by the experience types of golf coaches. First of all, the self-management leadership and natural repayment leadership of perceived leadership are different by the requirement type of golf coaches. In detail, elite sport coaches are higher than sport for all instructor in the self-management and natural repayment leadership. And the self-management and self-observation leadership of perceived leadership are different by the experience of tennis coaches. In detail, golf coaches of over 6 year and lost 2 year are higer than another group in the self-management and self-observation leadership.

      • 고전소설 교수-학습 전략 연구 : <홍길동전>과 <춘향전>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하영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일선 교육 현장의 고전문학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고전문학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궁극적으로는 학습자가 고전문학 작품을 능숙하게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그 내용을 내면화 시켜, 최종적으로는 스스로 고전문학을 찾아 읽는 성숙한 독자가 되도록 지도하려는 데 있다. 고전문학은 선조들의 사상과 정서가 언어로 농축되어 있는 문화유산이다. 우리는 고전문학 작품을 통하여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살아온 우리 선조들의 삶을 엿볼 수 있으며 우리의 전통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전문학이 단순히 조상의 유물이기 때문에 읽고 보존해야 한다면 그것은 후손들의 의무감에 기대어 가치를 인정받는 것에 불과하다. 고전문학의 가치는 조상들이 터득한 지혜와 정서, 가치관 등이 시&#8228;공간을 초월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보편화 가치를 담고 있다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전문학은 생산과 수용 사이에서 발생하는 시간적 거리로 인하여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어서 오늘날 독자에게 다양한 관점에 따라 작품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고전문학의 현재적 가치가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전문학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에 대한 학습자의 거리감을 해소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고전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교수-학습 방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서 본고 Ⅱ장에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를 위하여 먼저, 현행 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편성 실태를 살피고, 학습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의 편협성을 피하고자 타 연구 논문의 설문 조사도 함께 비교&#8228;분석 하였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고전에 대한 인식 실태와 함께 고전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몇 가지 집어보았다. 이로써 학생들이 원하는 수업 모습과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모습이 불일치한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고전문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화를 모색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고전소설의 고유한 특색을 잘 반영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6단계로 제시해 보았다. ‘미리 활동(준비 단계)→처음 활동(시작 단계)→나아가기 활동(진행 단계-1)→날아가기 활동(진행 단계-2)→마무리 활동(평가 및 피드백 단계)→이어가기 활동(내면화 및 태도변화 단계)’로 구성과 흐름을 설계했다. Ⅳ장에서는 이 교수-학습 모형에 응용 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전략들을 8가지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개념지도’의 전략은 개념 간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지도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목표와 방위 즉, 가르치고 학습해야할 핵심 내용을 명료화해주는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두 번째, ‘문제해설법(스토리텔링)’은 구조화되기 힘든 부분이나 그 관계가 복잡하여 의도된 의미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부분을 이야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내용들 간의 관계표현을 자연스럽게 접근하도록 하는 전략이다. 세 번째는 ‘이원화 교재’ 전략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부분발췌 내용을 포함한 작품 전체를 별책부록처럼 교과서 부록을 따로 만들어 그 속에 수록하는 방법이다. 이 부록 교재 안에는 원전과 함께 작품을 이해&#8228;감상하는 데 필요한 배경지식들을 함께 수록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도록 했다. 네 번째, ‘학습자 질문&#8228;토론법’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진행되는 질문을 통해 학습자들의 관심을 촉진시키고 학습자로 하여금 분석과 종합, 비판 등의 높은 사고력을 개발하도록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이다. 다섯 번째, ‘간학문적 접근과 통합’의 방법은 여러 학문들을 통합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것으로, 흥미 있는 수업으로 이끄는 것과 동시에 매력적인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고전 문학의 경우 역사, 음악, 한문, 철학 등의 타학문과 적절히 교류된다면 고전문학의 이해가 더욱 풍부해 질 수 있다. 여섯 번째 교수 전략은 문학적, 언어적 학습을 돕는데 많은 긍정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주목되고 있는 ‘교육연극’이다. 직접 실현하는 체험학습이 가장 좋을 테지만 교육여건상 제약이 따른다면 간접적으로나마 잘 짜인 연극이나 뮤지컬 등을 경험하거나 단편적인 역할극, 소설의 각색 작업, 비형식적 드라마 활용, 짧은 연극훈련 정도를 체험 해 보는 것으로 절충하여 실행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곱 번째는 현대화된 고전문학의 흔적들을 모아 수업에 활용하는 ‘현대적 변용’ 전략이다. 고전문학의 생명성을 확인하고 확대하여 현대적 의미를 새기고 그러한 작업들을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 전략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마지막 교수-학습 전략은 ‘고전 즐겨찾기’이다. 학생들이 스스로 고전을 즐겨 찾는 태도를 기르기 위한 몇 가지 방법으로, 교과서에 고전문학의 다양한 작품을 소개하는 방법, 교실 내 학급문고의 고전문학 비중을 확대하는 방법, 독서노트를 쓰게 하여 고전을 읽은 후의 감상 시간을 갖도록 하는 방법, 교사와 함께하는 ‘고전 읽어주기’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여기의 교수-학습 전략들은 교수 방법으로서의 전혀 새로운, 획기적인 방안의 제시이기 보다는 기존의 교수 방법적 틀 안에서 활용될 수 있는 즉각적이고 실제적인 접근이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제 학교교육은 그 어느 때보다 큰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급변하고 있는 사회&#8228;문화적 동향을 학교교육, 문학 교육 현장에 얼마만큼 수용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문학 수용 능력과 창작 능력을 함양시켜 줄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현장 국어교사의 당면 과제이다. 이제 교사는 새로운 시대 흐름에 맞는 조류를 정확히 읽고 그것을 수용하여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