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서광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70

        <국문 요약>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서 광 석 지도교수 김 용 우 한국 사회는 국가 간 협력과 교류가 활발해지고 국가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외국인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등 거주 외국인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서 수 년 내 다문화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이 한국생활에 조기 적응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법과 제도의 미비 및 그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다양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정부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간의 동일 또는 유사 프로그램의 중복지원과 포퓰리즘적 각종 정책의 남발로 말미암은 예산낭비 및 정책의 효과성 저해는 심각하며, 각 부처 간 및 시민단체와의 연계 지원도 미흡하다. 따라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지원하기 위해서 그들의 특성 및 욕구는 물론 한국 사회의 구조적 결함 등의 실태를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이들을 국가의 주류사회와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하여 우선 차별화하는 것을 금지하고, 나아가 이민자 고유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그런 가운데 그들의 주체성과 자율성 보장과 함께 사회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정책구축이 절실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다문화가족의 일반현황 및 사회생활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국내ㆍ외 다문화 현황 및 지원정책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거주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그들의 문화, 결혼, 경제적응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지원정책에 대한 문제점 도출 및 소통을 통한 다양성을 인정하고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어 기존의 단일민족 의식과 가부장적인 전통의 굴레를 과감히 탈피하고 연착륙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지원정책 구축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족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맞춤형 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기적이고 구체적인 이민자의 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문화가족 관련 특화된 맞춤형 지원을 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정책수립 시 최대한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다문화관련 사업의 부처 간 가외성 최소화로 예산절감 및 사업 수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을 제언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중앙정부,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초 지방자치단체 등 단계별 조직체 내에 다문화관련 최상위 컨트롤 타워 설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즉 7∼8개 부처에 분산되어 있는 이민관련 업무를 체계화하고 종합적인 관리를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컨트롤 타워인 이민부(청)의 신설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한다고 정책제언을 하였다. 셋째, 주류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식 철폐를 위한 다문화사회 이해 교육이 필요하며, 결혼이민자의 한국배우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외국배우자 출신 국가의 문화 및 기초언어, 한국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에 대한 다문화교육을 제언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족을 수혜의 대상으로만 인식하는 것에서 그들의 정체성 확립과 더불어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사회적 구성원으로 인정할 것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취업활동이나 소비경제의 참여, 지역사회 공동체에서 봉사하고 나눔을 행사하는 등 대가 없이 사회에 참여하는 기회를 통하여 더불어 사는 참된 삶을 일깨워 주는 것을 제언하였다. 다섯째, 다문화가족 이민 당사자의 경제활동참여를 증대시키고 그들의 활동 영역확대 및 재능의 적극 활용을 위하여 법적 제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그들이 최소한 출발선은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도록 그들에 대한 취업 준비교육, 직업훈련과 직무교육 등을 제언하였다. 여섯째, 정부와 민간단체의 역할 분담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정책적인 지원체계의 기획 및 계획의 수립, 조정, 확립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하며 구체적 사업실행내용은 민간단체에 위탁 운영하거나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 또는 사회단체 보조금을 활용하는 큰 틀에서의 정책과 사업의 구체적 실행의 유기적인 공조 체계 구축 및 가동을 제언하였다. 일곱째로 결혼이민자가족의 국내 출생자녀와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 사회적응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절실하게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그들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과 더불어 그들이 생애주기별로 겪게 될 수도 있을 제반 문제점들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정책의 개발 및 이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지금부터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그 외 한국 사회 적응 방안은 상호연계성을 가지고 조화를 맞추어 체계적으로 정책을 집행해야 하며, 그들만의 특성화를 갖춘 사회 참여 기회를 부여하고 사회적응을 지원하여 한다고 정책제언을 하였다. 특히 최근 국가발전의 중요한 정책인 소수자의 인권신장, 저출산ㆍ고령화 대책, 여성의 실업문제 해소 등을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사회단체 등이 내 놓은 각종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은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다. 또한 그런 정책의 접근방식이 그것의 근본적 문제를 내국인에게서 찾으려는 근시안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은 다문화가족의 향후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하여 그것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여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하여, 다문화사회로의 진전에 따른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 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가 인류의 소통을 통한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 간 공존을 위한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는 하나의 토대가 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가족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 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가 지닌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사회적응을 위한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 포괄적이고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사회는 기존의 단일민족 의식과 가부장적인 전통의 굴레를 과감히 탈피하고 연착륙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본 논문이 완벽한 답을 제시할 수는 없다하더라도 한국 사회의 갈 길을 모색하는데 그것의 방향성은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적응 실태 :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리 통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3

        现今社会,国家经济迅速发展,移动的情报和资本以及人们之间的相互作用,已经成为一个研究话题。这种现象被叫做全球化,特别是在全球化的过程中,国际间的移民主体所构成的国际人口移动已经成为非常引人注目的现象。 移居的主体者们,以不同的动机,在全球化的脉络下,为了自己现实的目标,实现了自己时间和空间的转移。所以一般情况下,在向一个国家流入的过程中,移居民的流入性格、背景、资本(经济、社会、文化等)的融合,资本的转换,以及在此过程中的适应与定着,具有很大的共同点。等陆的目的、时间以及是否回归本国,合法地位等方面有着不同。 移民在融入主流社会的过程中,期望利用自己的资源实现自身价值,同时对社会经济做出贡献。移民资本主要由其经济资本和非经济资本构成。非经济资本包括文化资本(即移民的教育和职业技术专长)和社会资本(即移民的社会关系网)。移民原拥有的各种各种资本的量和质不一,其转换的潜力也不同,他们并不能保障自己所拥有的资本能够得到充分利用或是再生。 布迪厄尔将资本分为经济资本、文化资本和社会资本。经济资本就像我们所理解的那样,其意义就是实物资本和金钱资本。社会资本就是社会成员个人,在所属集团中所形成的潜在的连接网(network)资源。文化资本是文化和知识市场下,对于我们认识社会、解析社会、如何对社会中的人进行选择或排斥,以及揭露某些人通过借此操纵社会运作和所形成的不平等现象,具有普遍意义。 移居者的经济融合,不仅仅是移居者个人努力的结果,在他们融合的过程中也需要社会的努力。为了实现这些努力,移居者之前的学历或者职业经历的认证,也被认为是一种好的方法。语言资本的社会功能和社会效力从社会学的角度通过对社会关系的分析来认识,因为社会关系的形成和发展依赖于人与人之间的沟通和交流。不仅语言的使用反映出一种社会关系,语言所表达的概念也以各种形式又对社会科学起着支配作用。因此,语言不但是社会研究的工具,也是社会研究的对象。语言能力要成为语言资本有赖于与相关市场的关系,即持该语言的人的习性与该社会情形之间的关系,这种关系揭示了话语人在特定的社会体系和种族构成中的社会经济地位。习性产生于构成特别环境的复杂社会结构之中,它稳定持久却又可置换。 外国留学生移民到韩国不仅仅是人才这种文化资源的移动,作为人的移动也伴随着经济的、社会资源的移动。中国留学生在韩国,利用其特殊的身份,不仅受到韩国社会的包容,同时也受到韩国社会的排挤,也就是说,他们受到经济的贫困、社会的排挤、文化的混乱等问题。这种现象在韩国叫做文化排他主义。韩国人对同族的关爱,和对他民族的排他性是有差别的。韩国人的自我意识的概念完全区别于两方的个人主义意识,它具有包括主义的集团意识。 如果要研究留学生在没有经济资源的情况下,当然首先我们最关注的是经济问题,中国留学生在韩国学校和地区社会的适应生活中,经济问题应该是比较严重的话题,他们在韩国社会和韩国人一起学习,在不同形态的作用下生活,这包括他们的经济活动和个人的生活,也就是说中国留学生在韩国社会生活费不足的、学费不足、打工、奖学金、居住等问题。如果要谈留学生经济问题,也免不了要谈其家庭情况。因为家庭情况对他们来说是很重要的。比如父母的职业、经济地位等都对其产生很大的影响。 在韩国中国留学生的经济适应、社会适应、文化适应等多方面的领域的作用下,虽然经历着很多困难,但这其中对他人的关系问题是非常重要的。`关系`是指人与人的关系,特别是私人的人脉,`关系`这个词在中国社会很重要。中国留学生在韩国形成了社会空间的关系网,可以分析成大规模的资源(个人的、地区社会等),所以这种社会空间的关系网形成的原应是指的分析的。 在韩中国留学生非常困难的部分是对人关系,他们在韩国社会适应的同时形成了能够得到帮助的社会支持,这便是社会的关系网。所以在他地生活的留学生们,赋予了更多的意义--文化适应过程和与之关联的适应。中国留学生在韩国适应的过程中形成了新的关系网。也就是学校外的关系网和学校内的关系网。对于留学生来说,他们的生活和学习与学校密不可分,所以学校内的关系网尤为重要。所谓学校内的关系网就是在学校生活的过程中,所接触的教育环境即课程和学校内朋友的关系,教师之间的关系等。为了生硬个人的要求,学校生活所有的情况都在根据他们所希望的在变化。 中国留学生的整体性分为民族的整体性、文化的整体性和国家的整体性三部分。同时,这种整体性受到个体性和心理构造的影响,也受到集团概念构造的局限。中国留学生的整体形是指学习毕业后他们的生活和现实反映的结果。他们为了适应韩国的文化,很大程度上改变了原有文化。比如,中国人之间自然而然的说韩国语,对韩国人的印象不断变化,观看韩国的电影和电视剧等多种整体性的变化。不仅如此,他们在韩国生活也产生了特殊的感情。 在文化资本的利用和转换过程中,社会资本所起的作用非常大。因此,社会关系网是留学生移居和适应过程中比较重要的环节,社会关系网理论在本论文中是非常需要介绍的。从社会关系网的概念中引申出了“网(network)”的用语,它是从人类学的领域中最先使用的。 中国留学生在移居和适应的过程中,经历着经济的贫困,社会的排挤,文化的混乱。在此过程中不仅不停的进行着资本转换而且进行着移民融合。

      •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과 자립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구축과 활용의 측면에서

        김윤미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increased up to 30,000 by November, 2016. In 2006 alone, 2,018 North Korean defectors entered South Korea, and over 2,000 people enter South Korea on average every year. As the number of defectors increase every yea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 Act called ‘North Korean Refugees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Act’ in 1997 and has supported the defectors i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education on social adjustment, job training, housing support, resettlement, and many more. The social support and concern continue to increase, but many North Korean defectors still suffer from economic settlement and the level of difficulties is especially higher for the female defectors. The female defectors from North Korea take up to 70% of the entire number. One of the main reasons the female defectors escape is to live a better life and solve the economic difficulties they suffered from North Korea. Most wome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are not highly educated and have no experience in any professions except for simple labors. Therefore, for women defectors to gain economic independence, they need to be trained to be employed in higher paying professions and the government needs to offer a supporting system to back them up. In order for these to happen, the female defectors need to be trained as human capitals that are currently high in demand. They need to gain professional skills and receive high education which help them to understand and settle into the economic system of South Korea. The investment is crucial for the defectors to maximize their skills and knowledge that can turn them into South Korea’s social capital. Human capital is for one to invest in oneself and be used independently. However, social capital exists among relationships formed through individuals and can be interpreted as public good. This means that social capital cannot be developed on its own. Every citizen ha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nd work hard throughout their entire life to become a democratic citizen in order to make use of the social capital. If this idea is understood and taken as the common goal of the society, the government will need to establish the system to make use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female defectors from North Korea.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loyment conditions and problems that female defectors from North Korea face and find ways to help them gain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would like to find the improvements that can be done on the current system. In addition, the study would like to suggest the practical ways to transform the female defectors into the social capital of South Korea and settle them as independent citizens.

      • 국내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 증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김현정 남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3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foreign women to Korean society through marriage to Korean nationals and the cause of them. And then, through investigating their needs in Korea, this study e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 for social work practice to help them. The subjects were the 16 immigrant women living in Yeosu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focused interviews, with help of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terviews were 10 times from November, 2006 and were included 4 time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immigrants women ar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of Korean, satisfaction in marriage, adaptation of Korean culture, support from Korean society(government, nongovernment, friends and husband) and financial problem. Second, there are three steps which immigrant women have been experienced fo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through the marriage. 'Perfect adaptation', 'Partial adaptation' and 'Non-adaptation' are three steps. These are classified of social affecting and financial adaptation factors From the above finding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or successful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to Korean society, total care system is need which are included relationship with husband and his relatives and social, cultural and financial adaptation. Promoting employ program for the financial adaptation should be served. Futhermore infra related with companies, schools and departments of government have to builded for immigrant women's employ after joining the program. Supporting system for immigrant women's competitive ability in community they are living are needed.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mmigrant women's adaptation are effected from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of Korean, satisfaction in marriage, adaptation of Korean culture, support from Korean society(government, nongovernment, friends and husband) and financial problem. therefore, to reduce immigrant women's marital conflicts, various practical approached are needed including culture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some suggestions to promote immigrant women'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 building support system for reduce conflicts in their family and community, changing the sight for immigrant women, making volunteer groups for immigrant women.

      •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유형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방혜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00

        중학교 시기는 급격한 변화와 정체성 혼란으로 많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학교적응에도 큰 문제가 생겨나 심하면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심지어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유형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교생활을 원만하게 잘 적응하도록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자는 경기도 ○○시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으로 남학생 154명, 여학생 152명으로 총 306명이다. 학생들의 배경변인으로는 성별, 성적수준, 경제수준으로 구분하여 설문 조사했으며,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가설 1.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유형 및 학교적응은 성별, 성적,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유형및 학교적응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수집자료는 SPSS WIN Ver. 13.0을 사용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은 공부문제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는 요인별(공부, 친구, 신체-성격, 가정, 학교생활, 진로) 모두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그렇지 못한 학생보다 비교적 스트레스를 적게 받으며, 경제수준이 높은 학생이 그렇지 못한 학생보다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유형을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접근적 대처나 회피적 대처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그렇지 못한 학생보다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하려했고 경제수준과 스트레스 대처 유형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교적응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적이 우수한 학생과 경제수준이 높은 학생이 그렇지 못한 학생보다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 대처유형의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접근적 대처를 많이 하며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회피적 대처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근적 대처를 하는 것이 학교적응을 잘하며 외적감정발산의 회피적 대처를 하는 학생이 학교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많은 학생일수록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것처럼 학생들은 여러 면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나 이런 스트레스를 적절히 대처하는 프로그램이나 시설이 너무나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가 계기가 되어 중학생의 스트레스 요인을 없애기 위한 노력과 함께 스트레스 극복을 적극적이고 예방적인 차원에서 실시해야 하겠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상담활동이 현 실정에 맞게 개선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의 학교적응과 복지 향상을 위한 이 방면에서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연구가 계속될 필요가 있다.

      •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 영향 요인 분석 : 7년 패널조사를 중심으로(2001년~2007년)

        유시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2286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 모형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지원 정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2001년 3월까지 하나원 교육을 이수한 553명중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200명이다. 2001년, 2004년, 2007년 3차 패널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각각 200명, 151명, 121명이었다. 3차례 패널 조사에 모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은 106명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만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전체 106명중 남자는 62명(58.5%), 여자는 44명(41.5%)이었으며, 북한 학력은 고등중학교 이하가 65명(61.3%), 전문학교 및 단과대학 이하가 17명(16%), 대학교 이하가 24명(22.6%)이었다. 평균 연령은 38.34세이며 남한 내 평균 거주 기간은 95.57개월로 최소 81개월에서 최대 112개월이었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의 종속변인은 월평균 근로소득, 고용 여부, 빈곤선 여부이다.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적자본 요인, 건강 및 심리적인 요인이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 가족 여부, 종교 여부이다. 인적자본 요인은 북한 학력, 당원 여부, 제3국 체류기간, 남한 정규교육 여부, 직업교육 여부, 자격증 여부, 이직 여부이다. 건강 및 심리적인 요인은 만성질환 여부, 정체성 혼란, 남한 주민 편견, 남한 언어 이해, 미래 전망감, 우울(BDI), 북한 외상, 제3국 외상, 외상후 스트레스이다. 자료 분석은 STATA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 다중공선성 검정(Multicollinearity Test), 콕스 헤저드 모형(Cox Hazard model),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고정효과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고정효과모형으로 인해 탈락되는 독립변인의 추정을 위해 확률효과모형도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평균 근로소득의 정(定)적인 영향 요인은 성별, 연령 제곱, 종교(여성), 북한 학력, 당원 경험, 제3국 체류기간, 자격증 취득, 이직 경험, 높은 남한 언어이해, 긍정적인 미래 전망감으로 나타났다. 우선, 남성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은 종교가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높았다. 북한 학력이 고등중학교 또는 대학 출신자 일수록, 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제3국 체류기간이 길수록, 자격증을 취득할수록, 이직 경험이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높았다. 남한 언어 이해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미래 전망감을 가지고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월평균 근로소득의 부(否)적인 영향 요인은 종교(남성), 남한 정규교육 경험, 만성질환, 제3국 외상경험, 외상후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종교생활을 하지 않는 북한이탈남성일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높았다. 이는 경제활동이 활발한 북한이탈남성일수록 종교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남한 정규교육에 참여할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조사시점 당시 응답자가 남한 정규교육 참여로 인해 경제활동 시간 및 여건에 제한을 받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이다. 만성질환을 앓을수록, 제3국 외상경험이 많을수록, 외상후 스트레스가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당원 경험, 자격증 취득, 이직 경험, 남한 언어이해로 나타났다. 남성일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북한에서 노동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자격증을 취득할수록 이직 경험이 있을수록 남한 언어 이해가 높을수록 고용될 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부(否)적인 요인은 연령제곱, 남한 정규교육 경험, 직업교육 경험, 우울, 제3국 외상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연령이 고용에 정적인 영향요인이었으나 고령화가 될수록 노동시장에 참여할 확률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한 정규교육을 받을수록 직업교육을 받을수록 고용될 가능성이 낮았다. 이는 교육에 참여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노동시장에서 활동하는 시간과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제3국 외상 경험 빈도가 높을수록 고용될 확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빈곤 집단을 벗어나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북한 대학 학력, 당원 경험, 제3국 체류기간, 이직 경험으로 나타났다. 즉, 빈곤 집단을 탈출하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남성일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북한 대학 출신자일수록 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제3국 체류기간이 길수록 이직 경험을 가지고 있을수록 빈곤선에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다. 연령은 고령화될수록 빈곤선에 해당될 가능성도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부(否)적 영향 요인은 종교, 남한 정규교육 경험, 정체성 혼란, 만성질환이었다. 종교생활을 할수록 남한 정규교육을 받을수록 정체성 혼란이 높을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빈곤선에 해당될 경우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한 정규교육은 조사 시점 당시 노동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북한이탈주민이 포함된 결과이다. 향후 남한 정규교육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남한 사회에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적자본 요인, 건강 및 심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전략을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 긍정적인 미래 비전 제시, 교육지원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주부가 인지한 가족응집력과 적응력에 따른 노후경제 대책에 관한 연구

        김정회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32284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년기가 장기화되면서 노후의 경제적 독립성 확보와 생활수준 유지를 위한 노후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미비한 사회보장제도, 전통적 가치관의 변용 및 노인부양의식의 약화, 높아진 욕구수준은 변화하는 가치관에 따른 개인의 의식전환과 함께 장기적인 가계재무설계에 기초한 효율적 자원사용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가계의 노후대비수준을 파악하고, 실제 노후대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여, 노년기의 경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족체계내 역동성 개념인 가족응집력과 적응력을 매개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성, 사회심리적 변인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30대∼50대의 주부를 대상으로 1997년 12월 9일∼31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배부된 총 500부의 설문지 중 405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한 Cronbach'α계수, 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분석을 통해 검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 주부들은 가족응집력을 적응력보다 높게 인지하였으며, 노후경제대책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노후준비에 대한 목표설정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표준설정과 실제 수행은 보통을 다소 상회하는 수준에 그쳐, 노후의 경제적 자립이 중요한 재정적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자원평가에 근거한 목표지향적·계획적 대비 보다는 현재의 경제적 능력에 준한 산발적인 대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후에 원하는 생활수준 유지를 위해 필요한 생활비는 현재의 70% 정도, 노후자금으로는 최소 1억원 이상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노후준비를 시작한 시기는 '30대', 총저축대비 노후대비 저축액의 비율은'1%-30%'가 가장 많았고, 준비방법으로는 '저축기관예치'를 가장 선호하고 있어 수익성이나 투기성보다는 안전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주부가 인지한 가족응집력은 자녀수가 적을수록, 자녀의 교육비 지출이 많을수록, 연금에 가입한 경우, 주부의 내적통제성향이 강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응집력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 중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심리적 변인인 내외통제성이었다. 한편 가족적응력은 주부의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自家를 소유하지 않은 경우, 연금에 가입한 경우, 주부의 내적통제성향이 강할수록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과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이 노후재정목표설정과 노후생활표준설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주부의 연령이 낮을수록, 부채가 없을 때, 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 노후부양기대가 낮을수록, 가족적응력을 높게 인지할수록 노후생활에 대한 목표설정수준이 높았다. 한편 표준설정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내외통제성 하나였으며, 내적통제성향이 강한 주부일수록 낮은 수준의 표준을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최종적으로 주부의 노후경제대책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금가입여부·금융자산·내외통제성의 순이었으며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자녀 교육비 지출이 많을수록, 연금에 가입한 경우, 내적통제성향이 강할수록, 가족응집력과 적응력이 강하다고 인지할수록, 목표설정수준이 높을수록 노후대비 경제대책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입된 모든 변인들의 설명력은 35%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시가계의 노후생활에 대한 목표수준은 높은 편이나, 보유자원과 요구도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구체적인 정보수집 과정은 결여된 채 막연히 필요하다는 인식에 준하고 있어 장기적 차원의 목표지향적·계획적 대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적통제성향, 주부가 인지한 가족응집력·가족적응력과 노후경제대책수행간에 正的인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심리적 요인은 제한된 경제적 자원의 한계를 보완하고 효율적인 재정관리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자원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가계의 노후대비수준 증진을 위해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계재무설계 교육프로그램, 가정소득증대 및 노후생활준비를 위한 가정복지서비스, 실질적이고 유용한 재테크 방법과 다양한 금융상품 등이 연구·보급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한편 주부의 통제성향이 원만한 가족관계와 효율적인 재정관리행동을 유도하는 변인이었음을 감안, 노후자립의식 및 노후대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는 가치관 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리라 본다. It is more and more getting necessary to ensure economic independence and maintain the level of living as the old age has been protracted as a result of prolongation for the average life span. It is because of immatured social security system, enfeeblement of the traditional sense of value, such as a sense of supporting their parents and a sense of value which is being changed by high need level. For this reason, efficient use of resources based on household financial planning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vision level of urban households for their old age and some related variables affecting on their actual retiremental performances. It also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ver their preparatory behavior in accordance with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by consisting of a study model which ha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e idea of dynamics inside of family system as a intermediary variables. For all of the above, total 500 copies of questionnaires had been made up from 9th to 31st of December, 1997. The subject of study was housewives' from 30's to 50's who lived in Seoul. The 405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ronbach'α coefficient,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P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described that family cohesion has the higher score than family adaptability. As a result of looking into economic countermeasure for their old age by subordinate territory, goal setting was set up relatively well and established in high level. Compared with this, standard setting and accomplishment was just a little more than the average level. Consequently, eventhough economic independence in their old age is a important financial goal, just sporadical, unplanned economic countermeasure was turn out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ir present economic ability rather than to be set up goal-oriented and calculated preparation based on exact evaluation of resources. Second, the majority answered that 70% of the present living expenses will be needed to keep level of living in their old age and, at least, one hundred million won will be needed for their old age. Majority answered they had started to prepared for their old age since 30' and the proportion of saving for their old age compared with total savings was 1% to 30%. Banking facilities were preferred as a method of preparation in their old age. It showed a tendency to regard stability as of great importance rather than benefit or speculation. Third, it showed the smaller the family members are, and the more the school expenses are, the higher the family cohesion is. It also exhibited, in case of insuring for pension, the stronger the housewife's internal control is, the higher the family cohesion is. Locus of control, psychological variable, exert a greatest influence on the family cohesion. The older the housewives' are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children are, the higher the family adaptability is, and, in case of not owning their own houses and insuring for pension, the stronger the internal control is, the higher the family adaptability is. Fourth, as the consequence of looking into independent influences on financial goal setting and standard setting for their old age of respondent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provision for their old age was appeared as a important financial goal. In case of younger housewives, no insurance for pension, no debt and low expectation for being supported in their old age, the family adaptability was higher. On the other hand, meaningful variable that was estimated to standard setting was just only locus of control and also it was found that housewives who have a stronger internal control set a low level of standard. The last, the higher the holding amount of banking asset is and the higher the school expenses are, the better economic countermeasure for their old age was performed, and also in case of insuring for pension, the stronger the internal control is, the stronger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the higher the goal level is, the better the economic provision were performed. The exponent of all variables was 35%.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on carrying out the economic countermeasure for their old age were whether they insured for pension or not, amount of banking asset, locus of control in order. Goal level for their elderly life in case of urban households was on the high side, but it showed that the countermeasure for their old age was recognized just to be needed obscurely with no exact evaluation and no courses of collecting concrete data about holding resources and degree for needs. From these facts, it was inferred that goal-oriented and planned ountermeasure was not performed. Also, positive linear relation appeared to be established between locus of control,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their actual retiremental performances. From this, it was confirmed that socio-psychological factor is the source that can make up for the limits of economic resources and promote the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Con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business enterprises and academic world should be a good help for providing economic countermeasure for their old age by studying and popularizing educational program about household financial planning pursuant to family life cycle, family welfare services, actual and useful monetary technological methods and various banking goods for increasing household income and providing their life in old ages.

      •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과정

        오은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270

        ABSTRACT Vocational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EUN-KYUNG OH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북한이탈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refugee’와 ‘defector’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자발적 탈북동기’를 가지고 남한을 선택하였으며, 남한에서 새로운 삶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갖고 적응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defector’로 용어를 선정하였다. who perform their jobs satisfactorily as a worker in South Korea. To this end, a total of 14 persons who have lived South Korea for more than 5 years and maintained their jobs for more than 2 years have been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method. And they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the data deriv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method (Strauss & Cobin, 1998).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through open coding, 165 concepts, 62 subcategories and 26 categories have been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 most common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were 'how do I live my life?' The causal conditions for that were the 'tough life in South Korea', 'encountering unexpected problems with the life in the workplace', and 'deep concern about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work'. The socio-cultural contexts in the vocation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worker in South Korea were ‘unique background as North Korean defector', ’steadily learning by utilizing the education support system', 'constraints on the job as North Korean defector', and ’the results of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personal resource with that they were able to survive with nothing’, ‘the family of South and North Korea as a support’, ‘the acquainta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who share warmth’, and then utilized ‘surviving with an do-or-die attitude’, ‘struggling to improve their vocational skills','acquiring their own adaptation style','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in the field',' coping with prejudice against red and conflict ',' surviving in competition as a worker in the capitalist South Korea’, ’becoming a equally treated worker’, ‘handling stress flexibly’, and ‘finding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orks’, and ‘recognizing the roles and expanding their life as a touchstone of unification’ as a strategy for action / interaction. Through this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could get results of ‘pursuing identity as purple person', 'forming new change and adaptation to North Korean defectors', ’desire to grow inward and outwardly ',' the role and residual task as North Korean defector. "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stages of the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of defectors through process analysis. five stages have been derived such as ‘initial adaptation stage’, ‘practical struggling stage’, ‘trial and error stage’, ‘re-establishment stage’, and ‘identity formation stage’. The participants enter the workplace with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as a worker, but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ir roles properly due to their lack of vocational skills. In addition, they experience conflicts due to the name tag as North Korean defector an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remaining in their workplace. And they experience another barrier as marginal man because of unfamiliar environment, lack of vocational skills, differenc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Next, in the practical struggling stage, they actively practice to achieve adaptation as a worker. At this stage, they struggle to develop vocational skills for work. In other words, they learn their own adaptation style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s in the workplace, such as finding the practical training they need, acquiring the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and learning work process methods of their colleagues. In the trial-and-error phase, they develop their work abilities while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based on the accumulated methods and skills. This stage involves the process of competing and being compared with their South Korean colleagues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capitalist South Korea. They show new aspects after positive evaluations and satisfactory achievements,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workplace, and fulfill their role as a worker, becoming a real hands-on worker. In the re-establishment stage, they feel secured as hands-on worker and freely handle the work in the workplace, and are given new roles. In this stage, they cope with prejudice and conflict existing in the workplace by raising their own voices. As a member of the South Korean society, they newly recognize their roles and they find the meaning of new life through work. Finally, in the identity formation stage’, they recognize and extend their role as a worker and as a 'protagonist in the unification who came to South Korea first' and 'touchstone'. In this stage, the participants show a proficiency in handling the given tasks and endeavor to improve their expertise. Through this 'exemplary role', they narrow the psychological distance with South Korean colleagues and help the settlemen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cting an a bridge to lead a common life and culture. In addition, as a 'touchstone of unification', they expand the meaning of life by pondering upon many roles that we shall perform for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As such, the process of the vocation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not only a process of adapting themselves as a worker, but also the process of forming identity by acting as a brid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ir unique background as North Korean defector in South Korea, and recognizing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new life. Third, in the process of selective coding, core category creation, story outline development, hypothetical relationship statement, and situation model have been derived. The created core category is' expanding the meaning of life by withstanding the barrier of inequality as a worker from North Korea in South Korea and forming purple identity’. Participants internally experience a barrier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the modifier of ‘North Korean person’ during the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and externally have experience difficulties in functioning as member of the workplace due to their lack of ability proficiency in performing their works. This is a crisis to their willingness to live a new life in South Korea and their wish to have proper job and fulfill role as worker. Participants, however, build their vocational skills in various ways to overcome this and to become a hands-on worker in the workplace. Through this process of acquiring vocational skills, they are recognized in the completion with South and North Korean colleagues and settle down. They are treated equally with the members of the workplace, forming identities, finding new meanings of their work,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their life.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the concept of 'vocational adaptation' recognized by defectors in the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a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it can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factor include ‘personal motive’,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tion of their own roles. In particular,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the will to escape form North Korea for autonomous life risking life’ and 'resilience of recovery'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how their will to break the bridle of the status system in North Korea and live a new life in South Korea, 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to settle down as a worker in South Korean society. Next, for the occupational factors, there were ‘meaning and importance of job’. It implies that the faster they recognize, the more they consider interests and aptitudes when selecting job.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learn their own adaptation style by developing their vocational skills through 'personal coping in performing job', honestly say that they are from North Korea, perform their roles well and create 'work environment with little prejudice'. Finally, for the environmental factor, they utilize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the settlement’, especially the education support system, to enhance work ability. In addition, ‘the government system for expanding the employ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affects making it easier for them to enter the workplace, which is significant satisfaction factor in that it secures the quality of employ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experience. Notwithstanding var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economic ada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most of them have been limited to fragmentation aspects such as employment, income, consumer life, and vocational training. In other words, as a part of social adaptation, they briefly addressed the life in the workplace and grasped the statistical situation. In contrast, this study throughly examined the concept of vocational adaptation, the main factors of vocational, and the five stages of vocational adaptation, with focus on study problems, providing basic data for solving the problems of employment and vocation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have been living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maintained their jobs satisfactorily for more than 2 years, fulfilling their exemplary role of North Korean defecto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hat deviates from the negative perspective on North Korean defectors in that they are achieving a secured settlemen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cess of vocation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is study will help the follow-up studies on the secured vocational adaptation and the related issues in the future.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남한 사회의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일을 만족스럽게 수행해 나가는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 과정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해 남한의 정착 기간 5년 이상이고 자신의 직무를 만족하며 직업경력을 유지해 온 지 2년 이상이 되는 사람 총 14명을 선정하였다. 이후 이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한 다음, 근거이론 방법(Strauss & Cobin, 1998)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 코딩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165개의 개념과 62개의 하위 범주, 2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 과정에 대한 중심 현상은 ‘나의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지각으로 나타났다. 이를 발생시킨 인과적 조건은 ‘순탄치 않은 남한의 삶’, ‘기대와 다른 직장 생활 장벽에 부딪힘’, ‘일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깊은 고민’이었다. 북한 출신의 남한 사회 직업인으로 적응해 가는 사회 문화적 맥락으로는 ‘북한이탈주민이라는 독특한 배경’, ‘교육지원제도를 활용하여 꾸준히 배움’, ‘북한이탈주민이기에 겪는 업무의 제약’,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부의 정착지원정책의 성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맨 몸으로 버틸 수 있었던 개인적 자원’, ‘버팀목이 되는 남․북한의 가족’, ‘온기를 나누는 남․북한 지인들’을 중재 조건으로 경험한 후, 중심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 ‘죽기 살기로 버티고 견딤’, ‘직업적 능력 향상을 위한 고군분투’, ‘자신만의 새로운 적응 양식을 습득’, ‘현장에 부딪히며 시행착오를 겪음’, ‘빨간색 편견과 갈등에 맞서 대처’, ‘자본주의 남한 사회에서 직업인으로서 경쟁하며 살아냄’, ‘동등하게 대우받으며 직업인으로서 소속됨’, ‘스트레스를 유연하게 다룸’, ‘일을 통해 개인적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확장해 나아감’, ‘통일의 시금석으로서의 역할 인식과 삶의 확장’을 작용/상호 작용의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직업적응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보라색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향’,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적응을 형성’, ‘내-외적으로 성장하고 싶은 욕구’, ‘여유로운 삶에 가까워짐’, ‘북한이탈주민으로서의 역할과 남은 과제들’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과정 분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 과정의 주요 단계를 분석한 결과 ‘초기 적응 단계’, ‘실천적 고투 단계’, ‘시행착오 단계’, ‘재정립 단계’, ‘정체성 형성 단계’의 다섯 단계가 도출되었다. 먼저, 초기 적응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직업인으로서 필요한 자격을 갖춰 직장에 진입했지만, 부족한 직무 능력으로 인해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여전히 따라다니는 ‘북한 출신-꼬리표’와 직장 내 잔존해 있는 편견과 차별 때문에 갈등을 경험한다. 그리고 그들은 낯선 환경과 직무 능력의 부족, 이론과 실제의 차이로 인해 ‘주변인’으로 존재하며 또 다른 장벽에 부딪히게 된다. 다음으로 실천적 고투 단계는 참여자들이 직업인으로서 적응을 이루기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실질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부족한 능력을 키우려고 고군분투하게 된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실무 교육 찾아다니거나 자격증을 취득해 역량을 쌓고 동료의 업무 처리 방법들을 배우는 등 직장에서 요구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자신만의 적응 방법을 터득해가는 단계이다. 이후 시행착오 단계에서는 그간 쌓아온 방법과 실력을 토대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업무 역량을 키워 나가게 된다. 이 단계는 참여자들이 자본주의 사회인 남한에서 남한 동료들 또는 같은 북한이탈주민 동료들과 경쟁하고 평가받게 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그들은 긍정적인 평가와 만족스러운 실적들로 동료나 상사들에게 새로운 모습을 보이면서 직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해 진정한 실무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그다음 재정립 단계는 실무자의 위치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직장 내 업무를 자유자재로 다룸으로써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게 되는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직장 내 여전히 존재하는 ‘유리 장벽’ 즉 ‘편견과 갈등에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적절히 대처’해 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들은 북한 출신의 남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일을 통해 새로운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정체성 형성 단계에서는 직업인으로서 그리고 ‘먼저 온 통일의 주인공’이자 ‘시금석’으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확장해 나간다. 이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주어진 업무들 처리에 있어 숙련된 모습을 보이고, 업무 전문성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이런 ‘본보기’로서의 모습을 통해 그들은 남한 사회 구성원들과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 같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을 도와 공동의 삶의 문화를 이끄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통일의 시금석’으로서 앞으로 남한과 북한을 위해 자신이 해야 할 많은 역할들에 대해 깊게 고민하며 삶의 의미를 확장시켜 나간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 과정은 단순한 직업인으로서의 적응 과정만이 아닌, 북한 출신의 남한 사회 구성원이라는 북한이탈주민이라는 독특한 배경을 바탕으로 남과 북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하며 정체성을 형성해나가고 새로운 삶의 의미를 인식하고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선택 코딩 과정에서는 핵심 범주 생성, 이야기의 윤곽 전개, 가설적 관계 진술, 상황 모형이 도출되었다. 여기서 생성된 핵심 범주는 ‘북한 출신·남한 사회 직업인으로서 몰이해의 장벽을 견디며 보라색 보라색 : ‘보라색’은 빨강색과 파랑색의 중간색으로 연구 참여자는 심층 면담 중 북한출신의 사람이 남한사회 직업인으로서의 적응해가는 과정을 보라색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북한이탈주민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은유적’으로 표현으로 판단되어 연구에서 채택하였다. 정체성 형성을 통해 삶의 의미를 확장시켜 나감’이다. 참여자들은 직업적응 과정에서 내적으로는 ‘북한 사람’이라는 수식어로 편견과 차별의 장벽을 경험하고, 외적으로는 직무 수행 시 부족한 실력으로 인해 직장 구성원으로 기능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남한에서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와 제대로 된 직업을 갖고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싶은 바람에 대한 위기나 다름이 없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이를 극복하고 직장 내 실무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직무 능력을 쌓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점차 숙련된 직무 능력을 갖춘 후에는 남․북한 구성원들과 경쟁해 인정받으며 완전히 자리를 잡게 된다. 또한 직장 구성원들과 동등하게 대우받으며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고, 직업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 후 자신의 삶의 의미도 더욱 확장시켜 나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앞서 살펴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이 직업적응 과정에서 지각한 ‘직업적응’의 개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적 요인으로는 ‘개인의 내적 동기’, ‘개인의 심리적 특성’,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적 요인 중 ‘죽음과 맞바꾼 자율적 삶을 위한 탈북 의지’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북한에서 경험한 출신 성분 제도의 굴레를 끊고 남한 사회에서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바람을 나타내는 것으로, 남한 사회의 직업인으로 정착하기 위한 중요 요소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직업적 요인으로는 ‘직업의 의미와 중요성’이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인식이 빠를수록 직업 선택 시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더욱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직무 수행에 대한 개인적 대처’로 부족한 직무 능력을 키우며 자신만의 적응 양식을 터득해 나가고 있었으며, ‘북한 출신’임을 솔직하게 밝히고 역할을 잘 수행해내며 ‘편견이 적은 근로 환경’을 만들어 가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요인으로는 직업인으로서 업무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부의 정착 지원 제도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교육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의 ‘북한이탈주민 채용 확대 제도’는 그들의 직장 진입을 좀 더 수월하게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고용의 질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중요 만족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 과정을 실제적 경험에 근거해 살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간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과 관련된 주제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 취업, 소득, 소비 생활, 직업 훈련 등의 단편적인 측면에서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즉, 사회 적응의 한 부분으로 직장 생활과 적응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거나 통계적인 실태 파악을 위주로 진행된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직업적응의 개념과 직업적응의 주요 요인, 직업에 적응해 가는 5단계의 과정을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및 직업적응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남한에 거주한 지 5년 이상이고 자신의 직업을 만족스럽게 수행하고 유지한 지 2년 이상 된 사람들로, 북한이탈주민들의 ‘본보기’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 이처럼 그들이 안정적인 정착을 이루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벗어난 연구로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 과정 분석 결과는 다음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 직업적응과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진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