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 7차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안

        김변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1

        As the world is turning to new millenium, the whole society in all aspects of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s standing in a great turning point. At present time there are so many things to be correct, but this study is going to focus on curriculums of 10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in comparison with the 7th educational course, investigating what kinds of problems they have and finding out solutions, so as to establish more improved model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s. As such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which strengthens a profession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harge of the present office teacher's re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at once, plays an very important role as endowment of master's degree in pedagogy inception process. It is very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because it is the origin of all music curriculum. In this study, laying stress on the present course of music education in the t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that is, Seoul National University, Yeonsei University, Ihwa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Kunkook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ngshin women's University, Sangmyung University, Kookmin University, the curriculum in music education major has been compared and investigated. And after that I came up with desirable curriculum, composed of understanding perspective and action perspective, in comparison with the 7th educational course. In the part of introduction, I suggested the necessity, goal, method, contents, scope and limitation of study. In main part, focusing on te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I examined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objective, purpose, goal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And I pointed out problems after I compared and investigated curriculums of music education major divided into necessary course, non-necessary course, and composite investigation. Finally, I suggested a right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curriculum to take. For a conclusion, summery of study and my opinion about the necessity or followed study are described. As the resul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curriculu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present n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such object of the graduate school as training of music teachers and reeducation of present office teachers, the curriculu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be reorganized in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primary·secondary school. As the part which should be reformed first, I point out that courses for Korean national classical music has run short in comparison with west music. For the systematic and liberal education, the courses for Korean national classical music should be opened actively, an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elf should effort for the improvement and estimation on the course of study bias with balance. In this dissertation, because the research is conducted focused on t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we need to generalize this study after we investigate curriculums of more various university. As well as,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music education major with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with same course of foreign universities are needed. By the mediumism of such a research, to goals,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good model of music education course and the well-balanced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will be reached. 오늘날 우리 사회는 세기적 전환점을 맞이하면서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부응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여러 분야에서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런 현 시점을 기준으로, 시정되어야 할 문제점 중에서도 지도적 자질을 갖춘 교육전문가의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교육대학원 중 서울 소재하는 10개의 음악교육전공의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을 교육부의 7차 음악 교육과정과 연계해서 비교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여 좀 더 발전적인 음악교육과정의 모형을 정립하고자 한다. 특수대학원에 속하는 교육대학원은 전문교육을 강화하는 전문대학원의 일종으로, 교육학 석사학위 취득과정으로서 현직 교원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 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 음악교육을 이끌어 나가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는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은 모든 음악행위의 근본이 되며 밑바탕이 되는 것이 음악교육과정이라 생각되어,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의 10개 학교(개설연도 순) 즉,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상명대학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의 현행 음악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전공의 실태를 파악하여 비교하였다. 교과과정 비교에 있어서는 교과과목의 연구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과 연계해서 바람직한 교과과정 방향을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의 2가지로 나누어서 제시해 보았다. 연구내용으로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방법, 내용, 범위와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본론에서는 제7차 음악교육과정에 관한 고찰을 한 후, 서울소재 10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비교 및 연구를 함으로써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이상과 같은 연구내용을 토대로 음악교육 교과과정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상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내용의 요약과 함께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현행 교과과정은 교육부의 현행 교육과정과 다소 거리감이 있어 보였다. 현직교사의 재교육 및 음악교사의 양성이라는 대학원의 취지를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을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으로 각 학교마다 국악 관련 교과목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이고 폭 넓은 교육을 위해서는 국악영역 교과목의 개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대학원 스스로가 교과과정을 평가하고 개선의 노력을 함으로써 균형 있는 교과과정 편성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의 10개 학교에 한정되어 연구되었으므로, 앞으로는 서울 소재 학교 외에 다양한 대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초·중·고등학교 음악교육 교과과정과 교육대학교 초등음악교육전공과 중등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 비교 및 연구, 나아가 전문화된 외국 동일과정과의 비교 연구 등의 후속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다 나은 교육대학원의 바람직한 교과과정의 정립과 균형 잡힌 음악교육의 발전을 기대해 본다.

      •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전공 교과과정 연구

        이은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중국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것은 중국어 교육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나갈 양질의 교사를 확보하는데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이들의 재교육 기관이자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과과정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과과정으로서 지향해야 할 기본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교육과정 분석에 있어서는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9개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하였다.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육목표를 살펴보았는데 각 교육대학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9개 대학원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는 중국어 분야에 대한 연구 능력과 교과 교육능력을 가진 창조적인 교육전문가의 양성이었으며 이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신규 교사 양성의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전제로 하고 학교별 중국어 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중국어 교육학과 중국어 내용학으로 분류하고,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과교육학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내용의 타당성을 위하여 설문조사의 방법을 체택하여 연구한 결과,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중국어 교육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대학원 수업의 질이 달라져야 한다. 둘째, 중국어 교육학과 중국어 내용학이 균형있게 다루어져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중등학교 중국어 교육내용과 보다 더 밀접하게 연계되어진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중국어 교육학을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강사)진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과목의 추가 개설 및 융통성 있는 행정운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과정에 있어서 한두 과목은 임용고사를 위한 과목이 개설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중국어교육전공을 설치한 9개 교육대학원에 한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중국어교육전공을 설치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전체를 대상으로 보다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在提高汉语教育质量的关键便在于能否确保优秀老师的前提下,通过研究汉语老师再教育及培养机关的教育硏究所汉语教育系教学课程,不但提出了课程上的问题,而且摸索了汉语教育系的教程应该志向的远大方向。 主要以首尔所在的9所教育硏究所为主进行教育课程分析研究。虽然各所硏究所的教育目标有所不同,但9个硏究所共同提出的教育目标为培养拥有汉语研究能力和课程研究能力的创造性教育专家。在此可见,这里隐含着现任老师继续教育和新老师培养的两大意义。 以上述内容做为前提,将学校别汉语教育专业教程分类成汉语教育学与汉语内容学,且分析教育硏究所教程的核心的科目教育学,还为了内容的妥当性,采取问卷调查的方法进行研究。通过这些研究,得到的主要结论如下。 第一,教育硏究所教程必须转换为能培养备齐天资和能力的汉语教 育专家的方向。 第二,汉语教育学与汉语内容学应该要有均衡运作。 第三,需要与中高等学校汉语教育内容更密切连接的教程。 第四,需要能专门教汉语教育学的教授团。 第五,需要专业科目的追加开设及灵活的行政运营。 第六,希望在教育课程上,开设一或两个有关任用考试科目。 本研究只局限在首尔市内开设汉语教育专业的9个教育硏究所进行的。所以,希望在后续研究里可以以设置汉语教育系的我国教育硏究所全体为对象实现更包括而多方面的研究。 因本研究前所未有,未免不正之处,只望能起到抛砖引玉的作用。

      •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의 수퍼비젼 현황

        김현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조사는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의 수퍼비젼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퍼비젼의 실태를 파악하고, 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수퍼바이져의 역할과 수퍼비젼의 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수퍼비젼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학과정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본 조사에서 밝혀진 연구문제별로 나누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퍼비젼의 실태 (시간/집단, 수/ 개선영역/ 만족도) 첫째, 세션에 소요되는 평균 슈퍼비젼 시간은 30분~40분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20~30분, 40~50분, 10분~20분, 1시간 이상 순이다. 둘째 수퍼비젼의 형태는 집단 수퍼비젼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집단 슈퍼비젼일 경우 집단의 크기는 2-3명이 대부분 이었다. 셋째, 슈퍼비젼의 향상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지각하는 것은 세션에 대한 방법론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순서대로 제시하면 세션에 대한 이해, 행정적인 면, 시간과 형태, 기타 순이다. 넷째, 만족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살펴본 바, 수퍼바이져의 태도, 수퍼비젼의 내용, 시간, 장소에는 비교적 만족하나 방법론적인 부분과 관련된 형태와 도구에 대해 낮게 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수퍼바이져의 역할에 대한 지각은 자문가역할, 교사 역할, 선배역할, 상담자역할, 평가자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수퍼바이져의 역할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연령, 학부전공, 어시스트의 유무, 수강과목, 수퍼비젼의 시간에서 나타났다. 4) 수퍼비젼의 내용에 대한 지각으로 음악치료기술 임상기술, 개인화, 음악기술, 행정적인 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특성의 특성에 따라 지각하는 수퍼비젼의 내용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교육대학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백인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on how to improve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going to train for teacher as in-service training center and re-educated center. This subjects were consist of teachers who are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re graduated already. This study was made by random sampling of 98 schools which are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sist of 160 school teacher who are stud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raduated. Among 143 questionnaires, 129 questionnaires without 14 dishones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ool be used this study made by myself through precedent study which was related study in domestic about the realities of manage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 analyzed the collected material using by SPSSWIN and I did test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tudied to take new knowledge and since interesting for major field. They choose after consideration for honor and authority of professor. when taking lectures, they have choose the lectures in concern for their major field and interesting. When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said the difficult is insufficient time and information but most student have satisfaction for their study. They have unsatisfaction for environ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cause of insufficient book in library related major, facility equipment. They prefer a unit of subject to graduation test for a condition of graduation, want to be teach when four semester or three semester. They recognized the method of deciding teaching professor have to consider their decision sufficientl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statement of research plan, so they want to communicate their thought through the way interview teaching professor and statement in the middle. They want to write dissertation with two way. One is the way present type, the other is replace the credit which have had. In the support of administration, they have low satisfaction, and said tuition fee is too expensive. In the course work period of evening time, they want four or five semester system. In the evaluation of learning, they want the way report or degree of participatio. In the level of content of curriculum, they evaluate that beyond normal then undergraduate. In the curriculum and management, they expect that the kind of subject and the category is going to extense. and although the content which learned in graduate school was a theory, that was very useful to teach student. In case of the type of teaching,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to a lecture of professor himself and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side by side a statement of student and a lecture of professor are similar. The best desirable teaching type was to go side by side a lecture of professor and statement of student and discussion. In case of lecture and teaching, the best opinion was the needs of sincerity attitude for teaching and preparation of professor. The satisfaction for lecture and teaching of present was no more then 11%. So being variety of the content of teaching and curriculum as to doing regularly function of reeducation and succession education, they expect to improve the management realiti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graduate student expect to be introduce about korea theory pattern then foreign country. Also they expect to be limit for student per a course of study. To improve this problem , I suggest this follows; First, It need form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asking of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econd, special study book must dispose in the library enough Third, the useful utility for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have to be made and improve to use conveniently. Four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maintained comfortable continuously. Fifth, It was made to intensify for service quality of administration support and achieve appropriate time and effectively . Sixth, it need be reduce tuition fee and enlarge scholarship. Seventh, the teaching and semina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o take in focus of the problem in concern with school field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에 대한 계속교육.재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대해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들과 졸업생들의 의견을 파악하여 교육대학원 운영의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수도권의 98개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160명을 임의 표집하여 회수된 응답지 143부중에서 누락반응이 많은 부실한 응답지 14부를 제외한 129부를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관한 국내 관련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르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생들은 새로운 지식 습득 목적과 전공분야에 대한 관심 때문에 진학하고, 교수의 명성과 권위를 고려하여 교육대학원을 선택한다. 수강 신청 시 자신의 전공영역과 관심을 기준으로 수강 선택을 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시간과 정보의 부족이 어려움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육대학원생들이 진학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분야에 관련된 서적과, 편의시설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평가하여 교육대학원의 전반적인 교육환경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다. 졸업요건으로 종합시험 대신 교과목의 학점으로 대치하는 것을 선호하고, 4학기나 3학기에 논문을 지도 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 논문 지도교수 결정방법으로 학생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계획서 발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그 형태로 지도교수와 면담하는 방법과 중간발표의 형태로 의견을 교환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학위논문 작성은 현행도로 작성하는 방법과 누적된 이수학점으로 대치하는 방법으로 나뉘어 나타났다. 행정지원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교육대학원의 등록금이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다. 야간제 수업연한으로는 4학기 제와 5학기 제를 선호한다. 학습평가 방법에 대해 보고서 평가나 수업 참여도 평가를 교육대학원의 학습방법으로 선호하고 있고, 학부와 비교한 교육과정의 내용수준은 보통이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해 현재 소속된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운영에서 개설과목의 종류나 범위가 좀 더 확대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서 공부한 내용이 주로 이론적이지만 학생을 지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현 교육대학원 수업방식에 대해 교수강의 형태로 교육대학원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과 교수강의와 학생발표가 병행되어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업형태로는 교수강의와 학생발표 그리고 토론학습이 병행된 수업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서 교수의 성의 있는 준비와 수업태세가 요구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현재의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 만족하는 응답자는 11%에 불과하였다. 강의 내용과 교과과정이 다양화되어 현직교원의 계속교육.재교육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외에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수나 강사의 수업내용이 외국 이론보다는 한국적 이론 모형을 강의내용에서 소개받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행정 지원의 강화와 한 강좌 당 수강인원이 제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교과과정의 편성과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서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이 확보되고 이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은 지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다섯째, 행정지원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적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의 확대와 학비의 감면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이 학교 현장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영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 大學院 敎育制度는 一般大學院이 53年부터, 特殊大學院이 60年代初부터 設立되어 오늘에 이르면서 敎育 內的 및 外的으로 많은 變遷과 發展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現 時點을 基準한다면 아직도 是正되어야 할 많은 問題點들이 內在해 있음을 直視한다. 本 硏究에서는 이러한 많은 問題點 중에서도 指導的 資質을 갖춘 敎育專門家의 育成을 目的으로 하고 있는 敎育大學院 音樂敎育에 있어서 時急하게 해결해야 할 많은 問題點들이 있어 差眼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모든 音樂行爲의 根本이 되며 밑바탕이 되는 것이 音樂敎育課程이라고 생각되어 그 問題點을 파악하고 새로운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을 試案 作成하기 위해서 現行 우리나라 敎育大學院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을 전부 收集해서 分析하고 美國의 석사과정 中 音樂敎育專攻을 開設하고 있는 유명대학원 7개교를 先定하여 比較 分析하였으며 또한 敎育大學院 在學生을 中心으로 그들의 意識構造 및 音樂敎育 課程에 關한 意見調査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問題點을 發見하게 되었다. 1. 現 敎育大學院에서 施行하고 있는 音樂敎育課程은 均衡性을 喪失한 一慣性이 없는 學科 設定으로 만들어져 있다. 특히 학교별로 開設 科目數 및 配當學點의 격차가 甚하게 나타났다. 2. 音樂敎育專攻인데도 敎育目的에 부적합한 學科目을 設定하고 있는 事例가 있다. 3. 사실상 選擇科目이 있으나 學生의 自由意志에 따른 學科選定을 하지 않고 학교당국의 一方的인 計劃에 의하여 敎育이 施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 美國에 比해 實技敎育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現場硏究(敎育實習)를 通한 실제적인 敎育活動은 전혀 經驗할 수 없다. 그러나 質問紙 調査에 依하면 대부분의 學生이 專攻 및 副專攻實技 敎育과 現場硏究의 重要性을 대단히 必要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위와 같은 理由에서 훌륭한 素養과 指導的 資質을 갖춘 音樂 敎育 專門人을 輩出하기란 어렵게 되어 있다. 이러한 結果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敎育大學院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은 師範大學과 상호 연계성을 찾아 效果的인 學習이 이루어져야 하고 2. 音樂敎育의 指導者로서 중요한 使命感과 矜持를 길러 주어야 하며 3. 美國의 敎育課程처럼 音樂敎育目標를 이룰 수 있는 體係的인 敎育이 이루어짐으로써 4. 맹목적으로 대학원 體制만을 따르려함으로 빚어지는 모순을 改善하여 音樂敎育의 特殊性이 反映된 새로운 敎育課程을 導入해야 한다.(本 硏究에서는 <表-28>에서 새로운 음악교육전공의 敎育課程 試案을 作成해 보았다.) 끝으로 本 硏究의 試案이 처음으로 試圖된 것임으로 앞으로 좀 더 具體的으로 硏究되어 보다 나은 우리나라 敎育大學院 音樂敎育의 發展을 期待해 본다. A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has been in our country from 1953. Especially,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960's and its many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 are had made of a course of study in intrinsic as well as in extrinsic educational program on graduate school. However, it contains many problems to reform on educational program at present. In my study, I propose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nalysis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my country in comparison with it of America to suggest many problems to be settled amicably in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ddition to them, I investigate a consciousness and a view-point of graduate student of education on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e above investigation, I obtained the below results. 1.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by effective study to find a functional connection with the college of education. 2. As a leader of music education, a graduate student should have a mission and a pride on the educational program. 3. A systematical education should be completely given to obtain a purpose of the music education like a curriculum of America. 4. A new curriculum to which a speciality of music education is given life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a contradiction which appears only to be followed a structure of the graduate school.

      •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배관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과 영어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이 얼마나 연계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대상은 2013학년도∼2015학년도 영어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다. 교육대학원의 선정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양성기관 평가 발표 자료에 공개된 A∼D 등급 교육대학원 중에 각 등급별로 2개씩 총 8개의 교육대학원을 선정하였다.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일반영어, 영문학 총 4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에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을 구하였다. 2013∼2015학년도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평균 퍼센트 비율과 각 등급별 교육대학원 평균 퍼센트 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교육대학원 전체 등급 평균 퍼센트 비율과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일표본 T검정을 통해서 살펴봄으로써 연계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 평균값은 다음과 같았다. 임용시험 출제문항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2.7%, 영어학 21.2%, 일반영어 22.1%, 영문학 14.1%였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5.6%, 영어학 21.1%, 일반영어 10.6%, 영문학 22.9%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B등급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C등급 교육대학원의 영문학 영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A∼D등급 교육대학원의 일반영어 영역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연계성을 위한 비율수정을 할 때 연계성이 있다고 검증된 영역을 참고하여 수정하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items from 2013 to 2015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general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to find each proportion of the domain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report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selected tw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rom each of the A,B,C and D rank. In other words, the total number of the selected graduate school is eight. The curricula were separated and analyzed in the same way above. Finally, this study compared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of each domain of the examinations items and the curricula respectively. The one-sampl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y correl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brought out the following results. The proportions of the examination items are English pedagogy 42.7%, English linguistics 21.2%, general English 22.1%, English literature 14.1%. The proportions of the curricula are English pedagogy 45.6%, English linguistics 21.1%, general English 10.6%, English literature 22.9%. Comparing the figur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amination items and the curricula correlate well except for the domains of English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of the B rank graduate school, the domain of English literature of the C rank graduate school, and the domain of general English of the A∼D rank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result, a concrete suggestion was made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The suggestion is that the proportions of the domains that were determined not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should be fixed. If they are fixed properly, the proportions can be determined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If the suggestion is accepted,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can be mo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별 원격대학원 운영에 대한 인식 연구

        홍연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이 사회의 각 분야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면서 원격교육으로 고등교육법에 의거한 정식 석사학위를 수여하는 원격대학원이 문을 열고 있다. 그러나 평생교육법령 하의 원격대학에 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원격대학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찾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원격대학원의 운영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들의 원격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원격대학원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대한 실용적인 대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학습자와 교수자의 원격대학원에서의 교수-학습방법, 상호작용, 지원체제에 대한 인식과 운영자의 원격대학원에서의 상호작용 지원체제 및 대학원의 질관리 체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학기 이상 과정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대학원 가운데 대표적인 5개 대학원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전체적인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학습자 집단 내의 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원격대학원의 교수-학습 측면에 있어서 내용의 이해도나 실무적용 가능성, 학습평가방법의 적절성 및 타당성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습량은 약간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방법 및 전략에 대하여는 수강 과목의 안내, 학습진도의 조절 가능성에 대하여 과반수의 학습자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선수학습 진단이나 개별학습의 가능성, 강의형태의 선택가능성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학습자와 교수자/운영자/학습내용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원체제에 관하여 학습자들은 디지털 도서관, 상담서비스, 커뮤니티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는 반면 실제는 이러한 지원체제가 미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원격대학원의 교수-학습 측면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강의량은 대다수가 많다고 인식하였다.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교수자와 학습자/운영자/학습내용간의 상호작용은 상당히 활발하나 강의평가에 대한 운영자와의 상호작용 및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원체제에 관하여는 사전교육을 제외한 직,간접의 지원체제가 모두 미흡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운영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상호작용 측면에 관하여 운영자와 학습자/교수자/운영자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원활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습내용과의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다소 활발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지원체제 측면은 인원의 적절성, 업무분담, 교육연수의 기회 등 모든 문항에 대하여 지원이 잘 이루어지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질 관리 체제에 관한 인식의 분석 결과, 외부전문가의 평가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운영 중인 원격대학원 및 향후에 설립될 원격대학원이 교수-학습방법과 상호작용, 지원체제 및 질관리 차원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해 나가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While rapid progres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hanges every paradigm of the society, the Distance Graduate Schools that confer an official masters degree under the laws of Higher Education are opening doors. There were few studies focusing on Distance Graduate Schools, while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online universities under the laws of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domestic Distance Graduate School management as it was and draw practical alternatives, suggestions and developmental plans to solve problems of Distance Graduate Schools from the investigation of perception of Distance Graduate Schools by learners, Instructors, and facilitator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and the perception of support system, managers interactive support system, and the quality control system based on these purposes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five Distance Graduate Schools with at least one semester course management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incid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tendency, and t-test and ANOVA were also carried out to test perceptual difference among the variants within a group of studen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above research method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looking at the students perception analysis, the students positively recognized the substances, applicability, and adequacy and validity of evaluation in general from the aspect of teaching-learning, although they felt the amount of studying was a little too much. They had a low-level recognition of prestudy diagnosis, and availability of individual learning and lecture selection, whil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had a high-level evaluation of information on course and possibility of learning pace control from the aspect of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The interaction among Instructors/managers/students was very active, while the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wasnt active as such. In the case of support system, the students recognized the needs for digital library, counseling service, and community, but there was insufficient support system in reality.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Instructors perception analysis, most instructors positively recognized teaching-learning aspect, but they also felt a little too much amount of teaching. In the case of interaction, they felt that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manager-learning substance was very active, while the interaction among the instructors wasnt. For support system, it was recognized that almost all support system was insufficient except pre-training. Third, in the case of managers perception analysis, the managers thought that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lecturer-manager was very active, b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stances of study was a little less active. Looking at the support system, they responded that they recognized the inadequate number of personnel, ineffective assignment of work, and lack of training opportunity. For the quality control system, it was pointed out as the problem that the evaluation from the outside was hardly carried ou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recognition of and improvement in the earlier mentioned problem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interaction, and support system and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future Distance Graduate Schools as well as the current one.

      • 대학신문에 나타난 여성 관련 기록과 사회적 연관성 분석 연구 : : ‘숙대신보’를 중심으로

        이은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university newspapers as university historical record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with society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university newspapers. This study also wanted to find out what university newspapers convey and how to perceive the women-related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Sookdaesinbo, a university newspaper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First, articles related to women included in Sookdaesinbo were collected from Sookdaesinbo website and the printed copy from 2010 to September 30, 2019. Secon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carried out using text mining for the contents of Sookdaesinbo. Thir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newspapers and social backgrounds, keywords of articles reported in the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 were collected from 2010 to September 30, 2019 using BIGKinds, a news big data analysis service. Fourth,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keywords collected by BIGKind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university newspapers were affected by society on the same topic through comparison with Sookdaesinb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86 women-related articles were reported from Sookdaesinbo from 2010 to 2019. Second, the words that appear as the top keywords in women-related articles reported in Sookdaesinbo are ‘Women’, ‘Sookmyung Women’s Universities Students’, ‘Me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ducation’, ‘Activities’, ‘Reasons’, ‘Needs’, ‘Military Sexual Slavery’, ‘Participation’, etc. and ‘University Women's Council’, ‘Misogyny’, ‘Illegal photos or film’, ‘The Women's Film Festival’ has appeared at a high frequency. Third, the subjects of women-related articles covered in Sookdaesinbo were can be classified into 30 topics, ‘Feminism and Women's Movement’, ‘Sex Crime and Sex Education and Suppor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rocentrism’, ‘Women and Health’, ‘Women's Studies’, ‘Women and Labor’, ‘ROTC’, ‘University Women's Council’, ‘Women's Film’, ‘Sex in the Media’, ‘Misogyny’, ‘Women's Hygiene Produc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Women in Marginalized Class’, ‘Pregnancy·Childbirth·Childcare’, ‘Digital Sex Crime’, ‘Escape the Corset’, ‘Marriage’, ‘Women Independence Activist’, ‘Women and Beauty’, ‘Prostitution’, ‘Sexual Intercourse’, ‘Illuminating Women's Role’, ‘Art and Women’, ‘Institution for Women’, ‘Gender Equality-related Cultural Activities’, ‘Women-related Issue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ender-related Social Issues’, ‘Women's Day’. Fourth, the issue of the ‘University Women's Council’ was not dealt with socially, but it was dealt with heavily in Sookdaesinbo. On the contrary, the keywords ‘job’ and ‘low birth’ appeared in high rankings in the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 Fifth, the topics of ‘Feminism and Women's Movement’, ‘Sex Crime and Sex Education and Suppor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Escape the Corset’ showed little or no difference in the details of Sookdaesinbo and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spaper and the social environment was confirmed. On the contrary, the topics with less social relations were ‘Women's Studies’ and ‘Women-related Issue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has a meaning in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by studying university newspapers in terms of historical records. This will help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newspaper and the university, and to derive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본 연구는 대학신문을 대해 대학 역사기록물로 인식하고 대학신문에 나타난 대학의 특성을 확인하여 사회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이다. 또한, 대학신문이 여성과 관련된 문제 중 어떤 것을 전달하고, 어떻게 인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숙명여자대학교의 대학신문인 숙대신보의 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숙대신보 홈페이지와 실제 인쇄본을 통해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숙대신보에 수록된 여성 관련 기사를 수집하였다. 둘째, 숙대신보 기사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셋째, 대학신문과 사회적 배경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뉴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인 빅카인즈(BIGKinds)를 이용하여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종합일간지에서 보도된 기사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넷째, 빅카인즈에서 수집한 키워드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숙대신보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토픽에 대해 대학신문이 사회의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대신보에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보도된 여성 관련 기사는 총 286건이었다. 둘째, 숙대신보에 보도된 여성 관련 기사에서 상위 키워드로 등장하는 단어는 ‘여성’, ‘숙명여대생’, ‘남성’, ‘숙명여대’, ‘교육’, ‘활동’, ‘이유’, ‘필요’, ‘위안부’, ‘참여’ 등이며, ‘총여학생회’, ‘여성혐오’, ‘불법촬영’, ‘여성영화제’가 높은 빈도로 등장하였다. 셋째, 숙대신보에서 다루어진 여성 관련 기사의 주제는 ‘페미니즘과 여성운동’, ‘성범죄와 성교육 및 지원’, ‘일본군 ‘위안부’’, ‘남성중심주의’, ‘여성과 건강’, ‘여성학’, ‘여성과 노동’, ‘학군단’, ‘총여학생회’, ‘여성영화’, ‘미디어 속 성’, ‘여성혐오’, ‘여성용품’, ‘여성부’, ‘소외계층 여성’, ‘임신·출산·육아’, ‘디지털 성범죄’, ‘탈코르셋’, ‘결혼’, ‘여성 독립운동가’, ‘여성과 미용’, ‘성매매’, ‘성관계’, ‘여성 역할에 대한 주목’, ‘예술과 여성’, ‘여성을 위한 제도’, ‘성평등 관련 문화활동’, ‘숙명여자대학교 여성 관련 이슈’, ‘성 관련 사회적 문제’, ‘여성의 날’으로, 총 30개의 주제로 구분할 수 있다. 넷째, 사회적으로는 ‘총여학생회’에 대한 문제가 크게 다뤄지지 않았으나 숙대신보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어졌고, 반대로 숙대신보에서는 큰 비중이 없는 ‘일자리’와 ‘저출산’ 키워드가 종합일간지에서는 높은 순위에 등장하였다. 다섯째, ‘페미니즘과 여성운동’, ‘성범죄와 성교육 및 지원’, ‘일본군 ‘위안부’’, ‘탈코르셋’ 토픽은 숙대신보와 종합일간지의 보도에 큰 차이가 없거나 구체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여 대학신문과 사회 환경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사회적 연관성이 적은 토픽은 ‘여성학’, ’숙명여자대학교 여성 관련 이슈‘로, 토픽을 구성하는 단어들 간의 차이가 크고 토픽에 대한 초점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대학신문을 역사기록물 측면에서 연구하여 대학의 특성을 찾아낸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대학신문과 대학 간의 관계를 찾아내고 대학의 정체성을 도출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교육대학원 재학 보육교사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 연구

        전희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의 유치원교육실습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이며 유치원 교육실습 전 과정을 진행 중이거나 이수한 보육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8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20회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 이야기는 ‘낯선 유치원 환경과의 만남’과 ‘보조교사가 되어버린 보육교사 실습생’, ‘유아교사로서의 역할 혼란’으로,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는 ‘반성적 사고의 기회가 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온전히 아이들에게 집중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 ‘보육교사로서의 자부심을 찾다’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유치원 현장에서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유치원 환경을 낯설게 바라보며 익숙한 어린이집의 종일보육 환경과 오후시간이 보장 된 유치원을 자연스럽게 비교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치원의 시간적 제한으로 급박하게 이루어지는 행사 준비 및 특별활동을 관찰하고 과도하다고 느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유치원 현장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는 기회보다는 자연스럽고 능숙한 유아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으로 지도교사를 보조하는 보조교사의 역할이 가장 강조되었다. 셋째, 전·현직 보육교사이자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된 보육교사들은 어린이집에 비해 돌봄이 강조되지 않는 유치원을 경험하며 돌봄과 가르침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유치원 현장에서는 인정받지 못하는 보육교사 경력을 경험하며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혼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육실습을 통하여 보육교사들은 유치원 현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며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됨과 동시에 과중한 담임교사의 업무에서 벗어나 유아관찰과 상호작용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유아들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갖게 되었다. 또한 외부에서 주는 인식으로 교육에 비해 약하다고 생각하였던 돌봄이 사실 유아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되면서 보육교사로서의 자부심을 찾게 되었다. 이는 보육교사들이 유치원 교육실습을 통해 유아교사로서 또 다른 성장을 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and their meanings among former and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attending a training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experiences do former and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have with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in a teacher training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hat meanings are there in their experiences with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The participants include six child care teachers that were attending a training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were participating or completed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Data was collected from total 20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to May, 2018.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were as follows: The child care teachers had experiences with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such as "encounter with a strange kindergarten environment," "trainee child care teachers that became teaching assistants," and "role confusion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several meanings in their experiences with practice teaching including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as a chance for reflective thinking," "precious time to fully focus on children," and "restoration of pride as child care teacher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looked at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which they first felt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unfamiliarly and naturally compared the familiar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to provide child care all day long with the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to guarantee the afternoon hours. Observing event preparations and special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rapidly due to time limits at the kindergartens, they felt they were excessive. Second, their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put an emphasis on their roles as teaching assistants to the guidance teachers by performing their roles as proficient early childhood teachers naturally rather than an opportunity to learn something new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Third, the child care teachers, who became trainees in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as well as former and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no emphasis on care at kindergartens compared with daycare centers and had a contemplation over what care and teachings were. In addition, they had their career as child care teachers not recognized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being confused with their rol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Finally,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able to discover new values and do reflective thinking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through practice teaching at one of them. They, at the same time, observed young children and performed their roles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m by removing themselves from the excessive workload of homeroom teachers, having precious time of focusing on young children completely. They used to think that care was weaker than education based on its consciousness outside the institution but realized that care was essential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us regaining pride as child care teachers. This means another growth for them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 대학극장 활성화를 위한 예술경영 도입과 발전방안연구

        신정원 숙명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경제와 사회가 발전되면서 이에 따라 문화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국민들의 삶도 과거의 의식주를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자아실현과 자기개발을 위한 의식의 전환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의 변화는 각 개개인의 삶이 양적인 욕구 충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질적인 욕구 충족을 위하여 노력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고자 노력하게 되었고, 이러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는 공연예술로 눈길이 돌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각의 변화는 다양한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을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사람들은 극장이라는 장소를 자연스럽게 찾게 된 것이다. 그럼으로써 극장은 한정된 공간에서 예술의 향유와 휴식이라는 다각적인 면을 누릴 수 있는 장소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자는 시대가 변하고 극장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교육의 실습장소로만 사용되고 있는 190여개의 대학교중 활성화 되고 있는 6개 대학교(연세대학교 백주년 기념관, 성균관대학교 새천년 회관, 세종대학교 대양홀, 건국대학교 새천년회관 대 공연장, 경희대학교 편화의 전당, 중앙대학교 아트센터)을 숙명여자대학교 임마누엘 홀과 운영 형태와 시설현황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숙명여자대학교 임마누엘 홀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극장의 문제점은 먼저 현재 재학생들조차 대학극장의 존재여부를 알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재학생과 국민에게 대학극장의 존재를 알리는 홍보가 가장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둘째, 대학극장의 규모에 맞는 내부시설의 변화 즉, 휴식공간과 공연 출연자들의 대기실등 부대시설이 보충되어져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외부대관이 전혀 없는 상태로 지속된다면 대학극장의 운영에 있어서 재정적인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또한 관리 측면에서도 수익이 없는 반면 관리에 있어서 엄청난 재정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넷째, 웹 사이트를 통한 대학극장의 홍보와 공연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중요하다. 다섯째, 지역적 특성을 살려 관광특구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행사와 연계하여 숙명여자대학교의 특성을 살려 마케팅의 도입을 통해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대학극장에도 전문화된 인력의 수급이 필요하며, 예술마케팅의 접목도 시급함을 말해준다. 마케팅 믹스의 기본 전략을 바탕으로 국민의 마음을 끌어들이는 감성마케팅을 통하여 대학극장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큰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예술경영인의 도입 또한 대학극장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는 대학극장도 교육의 실습장소로 해를 거듭하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획기적인 전문 예술경영인의 도입을 통해 대학극장을 널리 알리고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전문 마케팅 전략과 예술 마케팅의 접목으로 다각적인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The cultural industry has developed in 21st century as the economy and society developed. In the past, people only concerned about their own living. But this viewpoint has been changed. They care about self-realization and self development more than ever. Owing to these changes in people's consciousness, they try to satisfy not only their quantitative desire but also their qualitative desire. They cannot be satisfied with carrying on their daily life any more. They began to try to fulfill their desire for cultural experiences. To fulfill theirdesire, the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performing arts. They started to go to the theaters naturallyto fill up their desire for enjoying their leisure time. As a result, theaters became a place where people can enjoy arts and take a rest at the same time in one place. The roles of theaters have changed in this viewpoint. However, many theaters, especially theaters in school facilities, are used only for the educational purpose until now. So, in this research I compared and analyzed Sookmyung Immanuel Hall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ith 6 performing theaters (Centennial Hall in Yonsei University, 600th Anniversary Building in SungKyunKwan University, DaeYang Hall in Sejong University, New Millennium Building in Konkuk University, Peace Hall in KyungHee University, and Art Center in ChungAng University). In addition, I tried to find some solutions for utilizing the Sookmyung Immanuel Hall by surveying.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of all, even some of the students in Sookmyung do not know whether they have Sookmyung Immanuel Hall in their school or not. So, it is important to inform Sookmyung Immanuel Hall's existence not only to outsiders but to Sookmyung students. Second, incidental facilities at Sookmyung Immanuel Hall should be improved. For example, rest areas and waiting room for the performers are inadequate. Third, Sookmyung Immanuel Hall should be used for outside performances as well as for Sookmyung's own events. Otherwise, there might be some financial problems to manage the hall. Even, it might be hard to maintain the hall. Fourth, it is important to publicize Sookmyung Immanuel Hall and develop performing programs. Fifth, it should be developed as a special tourism zone becaus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to utilize, Sookmyung Immanuel Hall by introducing marketing strategies which are made the most of its characteristics connected with private travel agencies. Last but not least, Sookmyung Immanuel Hall needs professional manpower to manage it. At the same time, it needs art marketing, too. It is really needed to make every effort to solve theaters in universities' problems through the emotional marketing. The emotionalmarketing can attract many people based on the basic strategies of marketing mix. Introducing professional art managers can change the recognitions of university theaters. Nowadays, university theaters are no longer places where only carry out educational activities. Various activation plans are needed to the university theater like introducing professional art management, systemic professional marketing strategies, and grafting art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