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현정의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 분석 및 고찰

        김현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관현악을 위한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을 작곡 및 분석한 것이다. 클라리넷 솔로를 위한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의 전체 연주는 클라리넷 실연과 클라리넷을 녹음하여 변화시킨 전자음향 부분, 그리고 클라리넷의 실제 연주소리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맥스/엠에스피(Max/MSP) 프로그램으로 실시간 변조하는 라이브 일렉트로닉스(Live electronics)로 구성하였다. 이 곡은 우리나라의 수제천의 피리가락의 요성을 모티브로 하여 쓰여진 것이다. 이 수제천형 요성을 변형하여 발전, 전개시켰다. 분석은 각 단락별로 음고재료, 리듬, 셈여림, 전자음향을 중심으로 하였다.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작품은 모두 7단락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분을 󰆲, 󰆳, 󰆴, 󰆵, 󰆶, 󰆷, 󰆸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실시간 오디오 제어는 딜레이(Delay)가 쓰이는데 멀티 딜레이(multi delay)로 모두 6개의 딜레이가 각 부문별로 다른 값을 줘서 시간차에 의해 음향이 서로 중첩되는 효과를 준다. 󰆲, 󰆳, 󰆵, 󰆸단락에 딜레이가 쓰인다. 각 단락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락 󰆲는 수제천형 요성에서 단 2도의 포르타멘토에서 선율적 재료를 추출하고, 클라리넷 선율은 수제천형 요성을 응용한 단 2도의 느린 포르타멘토 주법을 모티브로 하여 곡이 시작된다. 딜레이는 하나의 값이며 0.05초(50m/s)이다. 단락 󰆳에서는 󰆲의 단락에서 쓰여진 수제천형 요성에서 꾸밈음적 추가된 변주형을 보이고 있다. 딜레이는 두 개의 값이며 1초(1000m/s), 0.05초(50m/s)이다. 단락󰆴에서는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를 이용하여 수평적인 음 구조를 만든 녹음된 전자음향만이 등장한다. 단락󰆵에서는 클라리넷 실제 연주에서 포르타멘토와 트레몰로가 서로 대화를 하는 진행을 한다. 6개의 값이며 3초(3000m/s), 0.05초(50m/s), 0.1초(100m/s), 2초(2000m/s), 0.5초(500m/s), 0.4초(400m/s)이다. 단락󰆶에서는 클라리넷의 제 1배음을 뺀 소리로 화성을 구성하여 전자음향을 제작하였다. 제 1배음이 빠진 전자음향으로 화성을 구성하였는데 그 이유는 클라리넷의 저음역에서는 특징적인 음색, 즉 공허함이 있는데, 이런 클라리넷의 특징적 음색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 1배음을 뺀 것이다. 주로 사용한 화음은 완전4도와 삼온음이다. 단락󰆷에서는 링 변조한 전자음향이 처음 등장한다. 클라리넷의 제1배음을 뺀 소리를 콘탁트(kontakt)프로그램에서 펼친화음을 만들어서 반복재생(looping)시킨 것이다. 링모듈레이션 소리가 저음역을 맡고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가 고음역에서 빠른 음진행을 한다. 단락󰆸에서는 전자음향이 줄어들면서 클라리넷과 전자음향부분의 클라리넷 음색이 서로 대위적으로 움직이고 곡의 종지 부분에서는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가 점점 사라지게 된다. 이 부분은 󰆴의 축소라 할 수 있다. 딜레이는 4개의 값으로 0.3초(300m/s), 0.07초(70m/s), 0.1초(100m/s), 0.5초(500m/s)이다. 곡 전체에서 전자음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전자음향부분과 맥스/엠에스피(Max/MSP)를 통한 실시간 오디어제어이다. 전자음향부분을 제작할 때는 미디 프로세싱(processing)과 오디오 프로세싱을 사용하였다. 전자음향을 위한 ‘새벽’에서는 직접 녹음한 클라리넷의 음원을 가상악기 음원으로 사용하여 음을 제작하였다. 그러므로 클라리넷의 서를 뺀 소리, 클라리넷의 녹음된 음을 전자음향을 제작할 때 정확한 음정을 설정해 줄 수 있어 화성을 만들 때 용이하게 사용하였다. 오디오 프로세싱에서는 맥스/엠에스피(Max/MSP) 프로그램에서 링 변조(RM modulation), 진폭변조(AM modulation)에서 음을 변화시켜 녹음한 소리, 사운드 포지에서 변형한 소리, 오디오 스컬프트(Audio Sculpt) 프로그램에서 변형한 소리를 프로툴스(Protools)프로그램에서 믹싱하였고 곡 전체의 소리의 세기와 파노라마(Panorama)를 조절하였다. 김현정 작곡의 <전자음향과 클라리넷을 위한 ‘새벽’> 분석을 통하여 한국전통음악의 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음악적 요소를 구성하고 악곡을 전개 발전시켜가는 라이브 일렉트로닉 음악이다. 이러한 작곡 방법은 향후 본인의 작곡활동을 위한 방향과 전자음악을 작곡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고 또 앞으로의 작곡방향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 김현정의 클라리넷, 바순, 피아노와 2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 power 분석

        김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김현정의 창작곡 클라리넷 , 바순 , 피아노와 2인의 타악기주자를 위한 POWER 에 대한 분석이다. 이 곡은 Power라는 표제를 갖는 단일 악장 구성의 곡이며 모두 6개의 sect ion을 갖는다. 각 sect ion들은 하나의 요소가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확대되면서 구조적 특성들을 갖게 되며 또한, 이렇게 차별되는 각단락들은 하나의 악장 안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곡은 반복되는 오스티나토와 분할 리듬 그리고 대조되는 긴 지속음과 동음의 반복, 한음에 대한 음색 변화를 통하여 동(動)과 정(靜)의 대칭 구조 및 수평적, 수직적 움직임들의 대비를 이루면서 형식적인 균형감을 나타내었다. 음의 운용(運用) 방식을 보면, 한 음을 중심으로 해서 확산되고 집합하는 특성, 한 음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변화, 자유로운 움직임들 사이에 보여지는 서정적 단편 선율들이 음역, 셈여림의 변화와 함께 긴장감을 형성하며 단락을 이루는 중요한 특징이 된다. 또한, 이 곡은 자유로운 음악적 흐름을 위해 정확한 박자에 의한 마디 기보법과 senza tempo의 초단위 기보법을 교대로 사용하였다. 템포가 주어진 부분에서는 일정한 오스티나토의 리듬들이 계속 반복하면서 하나의 리듬군을 형성하며, senza tempo부분에서는 지속음을 포함해서 주로 목관악기들에서 보여지는 짧은 서정적선율들이 서로 결합하고 해체되면서 헤테로포니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즉, 마디를 중심으로 하는 특징적 리듬군들이 초단위로 진행하는 자유로운 음들과 서로 대비를 이루고 있다. 이 곡의 제목에서 볼 수 있는 힘은 단순히 강함 이 아니라 그 안에 들어있는 유연함, 긴장과 이완, 한 곳으로 몰아가는 방향감 등을 표현하였다. 이상, 살펴본 것과 같이 이 곡은 각 section 마다 특징적 음색과 다양한 주법을 통해 하나의 음향군을 형성해가며 그 가운데 능동적 움직임을 수반하는 선적인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서로 상반되는 요소들이 특히, 마지막 section에서 리드믹유니즌을 이루면서 절정으로 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 composition by Kim Hyun - jung, entitled POWER for Clarinet, Bassoon, Piano and Two Percussions . This composition consists of a single movement with six sections. Every section distinctively emboses and expands one element , along with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hrases differentiated in this way comprise common specificities continuously presented in one movement . This composition reflects a sense of formal balance by revealing a symmetrical structure between motion and rest as well as a contrast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through repeated ostinato, segmented rhythms, a repetition of contrasting long continuous tones and homophonies and changes in tone colors for one tone. The operation of tones indicates being characterized by showing expansion and assemblage centering around one tone, infinitesimal changes in one tone, pitches of lyric fragmentary melodies represented in between free movements, a sense of density with changes in dynamic. Furthermore, this composition alternately utilized a measure notation in compliance with a precise time pattern and a second- based notation of senza tempo for the purpose of free flow of music. The portion where a tempo is given consecutively repeat s certain ostinato rhythms and then forms a group of rhythms by being characterized by a heterophony in which short lyric melodies, including continuous tones, combine one another and get dissolved, as principally shown in woodwinds. That is, groups of specific rhythms centering around phrases make a good contrast with free tones flowing every second. The POWER, as shown in the title signifies not mere 'strength' but flexibility, tension and relaxation in it and a sense of orientation being driven to one place. As aforementioned, this composition forms a group of tones through characteristic tone quality and varied styles of rendition in every section, in which linear factors are included accompanying active movements, and mutually contradictory factors tend towards the climax , particularly through rhythmic unison in the last section.

      •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 : 본인 작품 <Women in the Bible> 시리즈 중심으로

        김현정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기독교미술학 전공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 - 본인 작품 <Women in the Bible>시리즈 중심으로 - 김현정 기독교미술학전공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담은 연구자의 작품 <Women in the Bible> 시리즈 작품 제작 과정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갖게 된 교회 미술의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표현 유형을 세 가지-성스러움, 유혹, 제자-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 범위는 중세 미술에서 근대 이전의 교회 미술로 한정했다.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경향성은 성스러움, 유혹, 제자의 표상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성스러움의 표상’은 교회 미술에 나타난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교회 미술에서 성모 마리아는 여러 도상으로 그려졌는데, 중세 제단화에서 성모 마리아는‘성스러움의 표상’으로 표현되었다. 막달라 마리아는 7세기 이후 참회를 강조하던 중세 교회의 교리 강화의 필요에 따라 회개하고 구원받은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졌다. 막달라 마리아의 제단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그녀는 죄를 지었으나 참회하여 구원받은 성녀로‘성스러움의 표상’이 되었다. 둘째, ‘유혹의 표상’은 ‘이브’와 ‘막달라 마리아’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었다. 이는 루카스 크라나흐와 얀 마뷔즈의 <아담과 이브>와 티치아노의 <참회하는 막달라 마리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아담에게 선악과를 건네었다는 창세기의 기록을 근거로 ‘유혹하는 여성’의 표상이 되었다. 막달라 마리아는 성경에 나오는 ‘죄를 지은 여자’,‘음행 중에 잡힌 여자’등 여러 여성들과 혼합되어(표-1 참고) 인식되면서‘성스러움의 표상’인 동시에 ‘유혹의 표상’으로도 그려졌다. 셋째, ‘제자의 표상’은 복음서에서 예수가 말한 제자에 대한 정의를 근거로 교회 미술에 표현된 여성 제자의 모습을 확인했다. 여성 제자는 크게 4가지 유형- ①말씀에 귀 기울이는 여성 ②참회하는 여성 ③향유 옥합을 깨트린 여성 ④십자가와 부활의 증인이 된 여성 –으로 그려졌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는 예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여성 제자의 모습을, 조르주 드 라 투르와 카라바조는 참회하는 여성 제자를 표현했다. 틴토레토는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붓는 여성 제자를, 로히르 반 데르 베이덴과 안니발레 카라치는 십자가와 부활의 증인으로 여성 제자를 그렸다. 앞서 연구한‘제자의 표상’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 <Women in the Bible>을 내용과 형식의 차이에 따라 A유형과 B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A유형은 연구자가 예수의 제자로서 살아가는‘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이를 위해 “묵상 - 말씀 제시 - 이미지화”라는 과정을 통해 여성의 일상과 말씀 묵상이 어떻게 시각화되는지를 작품으로 제시하였다. 주요 형식은 사진, 텍스트, 말풍선의 콜라주이며‘의미 작용을 강조하기 위한 조합’이다. B유형에서는 현대 여성 제자들의 인터뷰를 근거로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에 대한 관찰과 묵상을 시각화했다. 주된 표현 형식은 구상과 추상의 다층적인 레이어가 겹쳐진 공간과 시간, 내면의 이중 구조이다. 본 연구는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표현 유형을 고찰하고, 나아가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표현한 작품 <Women in the Bible> 의 실제와 의미 분석을 통해‘여성성과 제자도’가 현대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논증했다. 덧붙여 막달라 마리아라는 한 여성이 시대의 필요에 따라 성스러움, 유혹, 제자의 표상으로 다르게 표현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성이 아닌 복음이 정의하는 여성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주제어 : 교회 미술, 여성성, 제자, 제자도, 현대 여성, 묵상, 일상, 막달라 마리아, 의미 작용, 이중 구조

      • 탈북 초등학생을 위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증진 영어 프로그램 개발 실행 연구

        김현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탈북 초등학생을 위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증진 영어 프로그램 개발 실행 연구 김현정 영어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최근 북한이탈주민들의 한국사회 유입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2019년 6월 기준 국내에 정착한 탈북자들이 3만 3천 명을 넘어서고 있다. 남한에 입국한 탈북자의 약 25%는 어린이와 청소년에 해당하며, 탈북학생의 수도 5000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탈북학생에 대한 교육을 어떠한 철학과 관점으로 실시하고, 구체적인 대책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 역시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닌 우리가 당면한 교육 문제이다. 북한이탈주민은 남과 북의 언어의 차이,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생활방식으로 인한 어려움을 크게 겪는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 외래어와 외국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북한은 외래어와 외국어를 거의 쓰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H 초등학교 탈북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이 어려움을 겪는 언어와 문화의 차이에 초점을 맞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증진 영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탈북초등학생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Chen과 Starosta(2000)가 제시한 문화 간 인식, 문화 간 의사소통 기술, 문화 간 감수성으로 구성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한국과 북한의 문화차이를 중점으로 1차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 실행연구 성찰 후에, 나타난 문제점을 수정하고 개선점을 반영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차이를 중점으로 한 2차 실행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초등학생을 위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증진 영어 프로그램은 문화 간 인식, 문화 간 의사소통 기술, 문화 간 감수성 측면에서 탈북초등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문화 간 인식 측면에서는 물질문화뿐만 아니라 해당문화의 행동문화와 문화 내면까지 생각해보게 하여 학생들이 문화적 지식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생각과 문화를 바라보는 비판적인 시각까지 가지는 모습을 보였다. 문화 간 의사소통 기술 측면에서는 실제적 자료를 통하여 듣기 연습을 함으로써 문화 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맥락에 맞게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문화 간 감수성 측면에서는 Chen과 Starosta(2000)에 의해 개발된 문화 간 감수성 검사지를 바탕으로 박민숙(2015)이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쉽도록 번안한 검사지를 선정하여 문화 간 감수성 검사를 한 결과 2차 실행연구의 학생 3명 모두 문화 간 감수성 점수가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탈북초등학생을 위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증진 영어 프로그램은 학생의 전략사용, 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 반복학습을 통한 성취의 경험 등을 가져와 탈북초등학생의 정의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요약하면 본 연구의 탈북 초등학생을 위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증진 영어 프로그램은 탈북초등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자신감 등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해 낯설어하는 탈북 초등학생을 위한 영어수업에 적용 가능한 지도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탈북초등학생 영어 지도방안과 관련하여 영어교과의 목표 중 하나인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탈북학생들을 위한 특별한 문화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핵심어 : 탈북, 초등학생,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자신감, 정의적 능력

      • 경찰 조직풍토가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현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organization's existence ultimately lie i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s or managers of organization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personnel management to improve job performance. Any organization has its own organizational climate, which affects the behavior,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its members, and when the perception is widely shared with its members, the shared perception becomes the organizational climate. In order to improve job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create a desirable organizational climate. The duties of the police are complex and diverse, and in particular, field police officers who are placed in unpredictable situations should identify the situation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their own judgment. In such a situation, the processing results differ grea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self-efficacy of police officers, and the results affect not only the well-being of the people but also the job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research on organizational climate and self-efficacy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olice officials perceive the police organizational climat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It also verifies whether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olice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performance.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Google questionnaires for police officers belonging to the Daegu Metropolitan Police Agency from September 12 to September 18, 2022, and a total of 526 people responded and used for analysis. SPSS 27.0 and AMOS 21.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addition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paramete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demo-sociological character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ven categories by police rank: autonomy, organizational structure, reward level, mut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By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categories: organizational structure, reward level, mut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and self-regulation efficacy.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ee categories: reward level,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By police s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it was confirmed that autonomy,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ut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affect job performance, and reward level does not affect job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mut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task performance, and autonomy did not affect contextual performa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utonomy and mut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bu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eward lev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the reward level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affect job performance, but task difficulty preferences do not affect contextual performance. Fifth,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organizational structure, mut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and job performance. However, self-efficacy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ward level and job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irical verification has been accumulated for art, sports, companies, and social welfare workers, but research on police is of academic significance as an early study on police offici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other police officials have been found. Second, self-efficacy is a concept rarely covered in police administration, and if previous studies on police officials only studied the impact on emotion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even considered the impact on behavior. Third, there are studie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but this paper is the first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three variables. Fourth, after path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gression analysis was additionally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paper will contribute academ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조직의 존재 이유와 목적은 궁극적으로 직무성과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직 또는 조직의 관리자는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조직 관리, 인사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떤 조직이든 그에 고유한 조직풍토가 있으며 조직풍토는 조직 구성원의 행동, 태도, 인식에 영향을 주며 그 인식이 구성원들에게 널리 공유되었을 때 그 공유된 인식이 조직풍토가 된다.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조직풍토 조성이 중요하다. 경찰의 임무는 복잡하고 다양하며, 특히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는 현장 경찰관은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상황 파악을 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그런 상황에서 경찰관 개인의 자기효능감에 따라 처리 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며 그 결과는 국민의 안녕뿐만 아니라 조직의 직무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조직의 직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조직풍토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 조직풍토에 대하여 경찰관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또한 경찰 조직풍토와 직무성과 사이에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22년 9월 12일부터 9월 18일까지 대구광역시경찰청 소속 경찰관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총 526명이 응답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을 위해 SPSS 27.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확인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변수 존재 여부에 따른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추가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계급별로는 자율성, 조직 구조, 보상 수준, 구성원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효능감, 과업성과, 맥락성과 7가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조직 구조, 보상 수준, 구성원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효능감 4개 항목에서 차이가 있었고, 성별로는 보상 수준,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3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경찰서별로는 조직 구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직풍토는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직풍토의 구성요소 중 자율성, 조직 구조, 구성원 간 상호작용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보상 수준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구성원 간 상호작용은 과업성과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은 맥락성과에 맥락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풍토는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율성, 구성원 간 상호작용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조직 구조와 보상 수준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조직 구조는 과제난이도 선호에, 보상 수준은 자기효능감에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과제난이도 선호는 맥락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조직풍토와 직무성과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율성, 조직 구조,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보상 수준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지 못하였다.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풍토가 예체능 또는 기업체, 사회복지종사자들을 대상으로는 경험적 검증이 축적되어 왔으나 경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에서 경찰관을 대상으로 조직풍토 초기 연구라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다른 조직 구성원과 다른 경찰관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경찰행정학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개념으로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이며 기존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조직몰입 등 정서에 미치는 영향 관계만을 연구했다면 본 연구는 직무성과와의 관계 연구로 행동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고려하였다. 셋째, 조직풍토와 직무성과 간 관계, 조직풍토와 자기효능감 간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 간 관계를 다룬 각각의 연구들은 존재하나 세 가지 변수 모두의 관계를 논의한 연구는 본 논문이 최초이며, 특히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도 최초이다. 넷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각 변수 간 경로분석을 한 후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간접효과) 검증을 위해 추가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경찰 조직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조직 목표를 정할 수 있어 학문적으로는 물론 실무적으로도 본 논문이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 1990년대 이후 중국의 애국주의 교육에 관한 연구

        김현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동체 혹은 집단에 대한 애정과 충성을 요구하는 사상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존재해왔다. 이러한 사상은 대중을 단결시키고 집단의 공동 목표를 실현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하며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대 이후 대부분의 국가에서 ‘애국주의’는 학교 도덕 교육의 필수 항목이 되었고, 일반 대중에게도 직․간접적으로 교육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중국의 애국주의 교육열을 연구 주제로 하여 애국주의 교육 등장 배경을 국내 사회적 측면과 국제 정치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애국주의 교육의 전개 과정 및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정리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의 애국주의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자 사상교육의 1차 교육 자료로 활용되는 『사상정치』교과서를 분석하였다. 1990년대 이후 중국 정부는 괄목할 만한 경제적 성장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에서 지배적 위치에 있었던 과거를 재현시키고자 외교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중화민족의 부흥을 위해 부국강병을 기치로 내걸고 있다. 하지만 현재 중국 내부의 여러 가지 정치적‧사회적 불안 요소들은 공산당의 안정적인 정권 유지를 위협하고 있다. 이는 개혁개방과 급속한 경제발전에서 야기된 것으로 이러한 위협 요소들은 중국식 사회주의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중국 지도부는 쇠락하고 있는 사회주의 이념을 현재 실정에 맞도록 재해석‧재탄생시키고 동시에 사회주의 체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시키기 위해 ‘애국주의’를 전 국민에게 더욱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애국주의’를 고양시키기 위해 1994년 江澤民은 ‘爱国主义教育实施纲要’를 발표하고, 전국적인 애국주의 교육 운동을 추진하였다. 일반적으로 ‘애국주의’는 자신이 소속된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사상을 의미하는데 사회주의 국가이면서 다민족 국가인 중국에서 애국주의는 일반적인 애국주의 개념에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다원일체 중화 민족론이 결합되어 그 개념이 확대되었고 더욱 영향력 있는 사상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애국주의의 대상 범위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애국주의 교육 역시 체계화‧구체화되어 크게 ‘知国’, ‘愛国’, ‘报国’ 세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도 애국주의에 대한 구체적 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자신의 조국을 아는 것인 知国교육에는 중국의 전통과 역사에 대한 지식과 공산당 정권의 역사와 업적을 이해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둘째, 조국을 사랑하는 것인 愛国교육은 우수한 전통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민족의 통합을 위한 정서적‧정신적 기반을 견고히 하기 위한 교육이다. 셋째, 조국에 보답하는 것을 뜻하는 报国교육은 ‘知国’, ‘爱国’이 바탕이 된 국민적 역량을 국가 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교육을 말한다. 애국주의 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知国, 爱国, 报国은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 전체 애국주의 교육의 내용을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실증적으로 애국주의 교육을 고찰하기 위해서『사상정치』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사상정치 교육은 정치체제의 유지․발전을 위해 개인이 그 사회의 체제규율과 기준 및 정치적 정향(定向)‧태도 등을 습득하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사상정치』교과서에는 애국주의 교육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었으며 자칫 편향된 국제관을 심어 줄 수 있는 내용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민족주의적 정서와 정치 이념을 상호 연결하여 중화민족에 대한 애정과 사회주의 공산당에 대한 애정을 동일한 범주로 간주하도록 기술되어 있다.

      • 듣기중심 초·중등 연계 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김현정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듣기중심 초·중등 연계 영어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듣기지도 효율성 을 높이고, 영어교사들이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수업을 스스로 재구성하는 데 도움 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해 이론적 탐색과 함께 듣기지도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선행연구(맹은경, 김 현정, 2022)를 고찰하였다. 메타분석은 효과크기라는 표준화된 지표를 통해 기존 연구들을 과학적으로 종합하고 검증하여 계량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구체적인 효과 성과 방향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김계수, 2017; 황성동, 2016). 맹은경과 김현정(2022)은 224개의 방대한 표본을 분석하여 듣기지도 및 다양 한 듣기 활동의 효과를 객관화된 데이터로 제시하였는데, 이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듣기이해 향상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섀도잉, 역할극, 듣 기전략 훈련 활동을 중심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모형의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구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