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 영향 요인 분석 : 7년 패널조사를 중심으로(2001년~2007년)

        유시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 모형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지원 정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2001년 3월까지 하나원 교육을 이수한 553명중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200명이다. 2001년, 2004년, 2007년 3차 패널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각각 200명, 151명, 121명이었다. 3차례 패널 조사에 모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은 106명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만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전체 106명중 남자는 62명(58.5%), 여자는 44명(41.5%)이었으며, 북한 학력은 고등중학교 이하가 65명(61.3%), 전문학교 및 단과대학 이하가 17명(16%), 대학교 이하가 24명(22.6%)이었다. 평균 연령은 38.34세이며 남한 내 평균 거주 기간은 95.57개월로 최소 81개월에서 최대 112개월이었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의 종속변인은 월평균 근로소득, 고용 여부, 빈곤선 여부이다. 독립변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적자본 요인, 건강 및 심리적인 요인이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 가족 여부, 종교 여부이다. 인적자본 요인은 북한 학력, 당원 여부, 제3국 체류기간, 남한 정규교육 여부, 직업교육 여부, 자격증 여부, 이직 여부이다. 건강 및 심리적인 요인은 만성질환 여부, 정체성 혼란, 남한 주민 편견, 남한 언어 이해, 미래 전망감, 우울(BDI), 북한 외상, 제3국 외상, 외상후 스트레스이다. 자료 분석은 STATA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 다중공선성 검정(Multicollinearity Test), 콕스 헤저드 모형(Cox Hazard model), 하우스만 검정(Hausman Test),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고정효과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고정효과모형으로 인해 탈락되는 독립변인의 추정을 위해 확률효과모형도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평균 근로소득의 정(定)적인 영향 요인은 성별, 연령 제곱, 종교(여성), 북한 학력, 당원 경험, 제3국 체류기간, 자격증 취득, 이직 경험, 높은 남한 언어이해, 긍정적인 미래 전망감으로 나타났다. 우선, 남성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은 종교가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높았다. 북한 학력이 고등중학교 또는 대학 출신자 일수록, 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제3국 체류기간이 길수록, 자격증을 취득할수록, 이직 경험이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높았다. 남한 언어 이해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미래 전망감을 가지고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월평균 근로소득의 부(否)적인 영향 요인은 종교(남성), 남한 정규교육 경험, 만성질환, 제3국 외상경험, 외상후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종교생활을 하지 않는 북한이탈남성일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높았다. 이는 경제활동이 활발한 북한이탈남성일수록 종교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남한 정규교육에 참여할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조사시점 당시 응답자가 남한 정규교육 참여로 인해 경제활동 시간 및 여건에 제한을 받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이다. 만성질환을 앓을수록, 제3국 외상경험이 많을수록, 외상후 스트레스가 있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당원 경험, 자격증 취득, 이직 경험, 남한 언어이해로 나타났다. 남성일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북한에서 노동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자격증을 취득할수록 이직 경험이 있을수록 남한 언어 이해가 높을수록 고용될 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부(否)적인 요인은 연령제곱, 남한 정규교육 경험, 직업교육 경험, 우울, 제3국 외상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연령이 고용에 정적인 영향요인이었으나 고령화가 될수록 노동시장에 참여할 확률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한 정규교육을 받을수록 직업교육을 받을수록 고용될 가능성이 낮았다. 이는 교육에 참여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노동시장에서 활동하는 시간과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제3국 외상 경험 빈도가 높을수록 고용될 확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빈곤 집단을 벗어나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북한 대학 학력, 당원 경험, 제3국 체류기간, 이직 경험으로 나타났다. 즉, 빈곤 집단을 탈출하는데 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남성일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북한 대학 출신자일수록 당원 경험이 있을수록 제3국 체류기간이 길수록 이직 경험을 가지고 있을수록 빈곤선에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다. 연령은 고령화될수록 빈곤선에 해당될 가능성도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부(否)적 영향 요인은 종교, 남한 정규교육 경험, 정체성 혼란, 만성질환이었다. 종교생활을 할수록 남한 정규교육을 받을수록 정체성 혼란이 높을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빈곤선에 해당될 경우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한 정규교육은 조사 시점 당시 노동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북한이탈주민이 포함된 결과이다. 향후 남한 정규교육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남한 사회에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적자본 요인, 건강 및 심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전략을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 긍정적인 미래 비전 제시, 교육지원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한국 성인의 초가공식품 섭취와 심혈관질환 및 당뇨병의 연관성

        유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배경: 최근 즉석조리식품 및 패스트푸드점의 증가로 한국에서 초가공식품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초가공식품 (이하 UPF) 섭취는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일찍이 가공식품 섭취율이 높아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서구와 달리 한국인구집단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UPF 섭취와 심혈관질환 (CVD) 및 당뇨병 위험의 연관성을 전향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40-69세의 UPF 섭취와 심혈관질환 및 당뇨 발병률 간의 연관성, 그리고 UPF의 각 개별 식품과 심혈관질환 및 당뇨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조사시작 시점에서 총 103개 항목의 식품 빈도 설문지(FFQ)를 통해 식이 섭취가 평가되었다. UPF는 NOVA 분류에 따라 분류되었다. 각 참가자의 일일 평균 UPF 섭취량 (g/d)을 합산하여 4분위로 나누었다. 2018년까지 진단된 심혈관질환 및 당뇨병 발병은 후속 설문지를 통해 자가 보고되었다. Cox 비례 위험 모형을 수행하여 연령을 시간 척도로 사용하여, 성별, 교육 수준, 가구 소득, 결혼 상태, 지역, 흡연 상태, 현재 알코올 소비, 신체 활동, 총 에너지 섭취량 등을 보정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12.7년의 추적 관찰기간 동안 540건의 심혈관질환 환자가 발병하였고 1139건의 당뇨병 환자가 발병하였다. UPF 섭취가 가장 높은 참가자는 가장 낮은 참가자에 비해 당뇨병 위험이 23% 더 높았다 (HR [95% CI]: 1.23 [1.03, 1.46]; p-trend 0.02). 그러나 UPF 섭취와 심혈관질환 위험 간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1.10 [0.85, 1.42]; p-trend 0.76). 개별 UPF 식품 품목을 분석한 결과, 라면, 기타 빵, 커피크림, 햄/소시지, 탄산음료에서 심혈관질환과의 양적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당뇨에서는 라면, 햄버거/피자, 어묵, 아이스크림, 탄산음료에서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all p-trend <0.05). 결론: 본 연구는 한국 중년 UPF 섭취량과 당뇨 발병률 간의 양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키워드: UPF, NOVA, 심혈관질환, 당뇨병, KoGES Background: Studies suggest that ultra-processed food (UPF) intake increases obesity risk. However, few studies prospectively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UPF intake with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and diabetes. Objectives: Among 7,838 Korean adult participants (aged 40-69 years) in the KoGES Ansan-Ansung cohort,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UPF intake with risks of CVD and type 2 diabetes. Methods: At baseline, dietary intake was assessed through a 103-item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UPF food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OVA classification. The summed amount of average daily UPF intake (%) was calculated for each participant and divided into quartiles. Incident CVD and diabetes diagnosed through 2019 was self-reported via follow-up questionnaires. We performe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adjusting for age (as timescale), sex, education attainment, household income, marital status, region, smoking status, current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total energy intake. Results: Over a median follow-up of 12.7 years, there were 540 incident CVD and 1139 incident diabetes cases. Participants in the highest (vs. lowest) quartile of UPF intake were associated with a 23% higher risk of diabetes (HR [95% CI]: 1.23 [1.03, 1.46]; p-trend 0.02) but were not associated with CVD risk (1.25 [0.99, 1.58]; p-trend 0.11). When individual UPF groups were examin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risk were observed for instant noodles, other breads, coffee cream, sausage and carbonated drink. Instant noodles, hamburger/pizza, fish paste, ice cream and carbonated drinks were associated with diabetes risk (all p<0.05).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higher UPF intake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diabetes among middle-aged Korean adults. Keywords: ultra-processed food, NOVA,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KoGES

      • 용도지역별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서울 관악구 지역을 중심으로

        유시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한국의 사회는 인구구조의 변화와 사회적 여건의 변화로 1~2인 중심의 소형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소형 주택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정부는 2009년 5월 4일 무주택 서민을 위해 안전성과 쾌적성이 확보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거주가 가능한 도시형생활주택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도시형생활주택 제도를 시행한지 3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도시형생활주택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 관악구 지역을 대상으로 제2종 일반주거지역과 일반상업지역의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의 특성과 주거만족도를 비교하고,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위치한 도시형생활주택 중 2010년 6월 현재 사용승인이 완료되어 입주를 시작한 도시형생활주택 18곳을 선정하여 거주자 14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통근 시 교통수단, 식료품 구입 장소, 문화생활 빈도와 문화생활을 하는 지역 외에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주요 특성으로 직장인이 71.3%인 반면, 자동차는 28.9%만이 소유하고 있었다. 둘째, 주거만족도를 안전성, 쾌적성, 입지적 편리성, 물리적 편리성, 경제성의 5개 항목으로 비교한 결과 쾌적성과 입지적 편리성, 경제성에서 지역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영역에서 쾌적성과 경제성에서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 입지적 편리성에서는 일반상업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종합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제2종 일반주거지역의 경우 경제성, 안전성 순으로 종합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상업지역은 쾌적성, 입지적 편리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거만족도 결과는 향후 도시형생활주택의 정책 제안과 설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용도지역에 따라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전반적인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서는 안전성과 사용자의 지불능력 등을 고려한 계획과 공급이 필요하고, 일반상업지역에서는 쾌적성과 입지적 편리성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 초미세먼지 구성성분 노출과 사망

        유시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association between short-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nd mortality or morbidity varied over space,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 affected by local sourc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Asian studies possibly due to limited monitoring dat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short-term exposure to PM2.5 and 15 PM2.5 chemical components with daily mortality in six major South Korean cities from 2013 to 2015. We compared the associations across the six cities (Seoul, Daejeon, Gwangju, Daegu, Ulsan, and Busan) by pollutants and cause-specific mortalit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a risk for mortality was likely to be higher in one city where contribution to PM2.5 in the component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cities. Daily 24-hour concentrations of PM2.5 and 15 PM2.5 components during 2013-2015 were obtained from single sites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of the six cities and daily counts of non-accidental,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eaths were computed from death certificate data. We used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to estimate relative risks (RRs) of daily mortality for an interquartile range increase in each pollutant concentration while controlling a longer-term time trend and meteorology. This model allows nonparametric smoothing functions to account for non-linear relationships of time and temperature with daily death counts. Regression splines with 18 (6 per year) and 3 degrees of freedom (df) were used to adjust the non-linear trends of time and temperature.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delayed effects of air pollution on mortality, we used concentrations from 0 to 7 days prior to death and estimated eight single-day lag effects (lag0 to lag7). In addition, we computed moving averages for the previous 3 to 7 days (lag0-3 and lag0-7) to explore the impact of exposure over a few days or a week. We presented relative risks (RRs) for an interquartile range (IQR) increase in each pollutant concentration with respective 95% confidence intervals (CIs) to compare PM2.5 components with different scales.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rate of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each PM2.5 component to PM2.5 concentration and RR s of mortality for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cross the six cities to identify the stronger associations of the PM2.5 component with higher contribution to PM2.5 with mortality. Two sensitivity analyses investigated the sensitivity of the results to modeling choice and data included. In the first analysis, we used dfs smaller or larger (2 and 4 vs. 9 per year) than the primary choice (df=6) to change the degree of adjustment for a long-term temporal trend,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e original findings. In the second, we expanded our study period to all available years during 2011 – 2015 and compared the primary results during 2013-2015. The available years varied across the six cities: Seoul, Gwangju and Daejeon during 2011-2015; Daegu and Ulsan during 2012–2015; and Busan during 2013–2015. We used regulatory monitoring data for PM2.5 chemical components in the six major cities to confirm the vari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PM2.5 components and mortality. RRs of non-accidental mortality for PM2.5 was positive in all six cities (RR=1.006-1.049), showing the significant or marginal associations in three cities (Daegu RR=1.049, 95% CI=1.016-1.083; Gwangju 1.027, 0.998-1.058; and Daejeon 1.045, 1.011-1.080). Out of the three central and western cities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PM2.5, Gwangju and Daejeon also showed high RRs whereas those in Seoul was relatively low. Although the PM2.5 concentration was low in Daegu, the association with non-accidental mortality appeared to be stronger than all the other cities. This pattern varied by cause-specific mortality. The association between PM2.5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was detected in Daegu (RR=1.070, 95% CI=1.014-1.128) and Ulsan (1.164, 1.056-1.284), whereas the association with respiratory mortality was found in Busan (1.077, 1.003-1.157) and Daejeon (1.192, 1.081-1.313). This variation was attributable to the dominant pollution sources in each city. While PM2.5 and EC showed the marginal or significant associations in most of the cities, a heavily industrialized city showed the associations with most of the PM2.5 components and a port city exhibited the strong associations with shipping-related components such as Ni and V. The results indicated that PM2.5 components responsible for PM2.5 – associated mortality differed across cities depending on dominant pollution sources such as traffic and oil combustion.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사망 및 유병 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들은 북미와 유럽 및 아시아에서도 많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초미세먼지의 탄소성분, 이온성분, 중금속 등 다양한 구성성분에 대한 역학연구는 2010년대 초반부터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일부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노출되는 인구가 많은 아시아 지역의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이는 중량법으로 측정된 대규모 미세먼지 구성성분 모니터링 자료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환경부에서 설치·운영하는 대기환경측정망에 2011년부터 PM2.5 성분측정망이 추가됨에 따라 대도시의 초미세먼지 및 구성성분 평가를 위한 연구기반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의 최종 연구목적은 PM2.5 성분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대도시 초미세먼지 및 구성성분의 단기 노출과 사망의 연관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PM2.5 성분측정망의 장점과 제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측정지역, 측정기간, 사망원인, 사망상대위험비,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낸 구성성분 등을 기준에 따라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PM2.5 성분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초미세먼지 노출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처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주요 자료인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설치·운영하는 PM2.5 성분측정망 자료 중, 국내 6개 대도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에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측정한 초미세먼지 및 구성성분의 기술통계량과 시계열 추이를 확인하였고, 인자분석을 이용하여 도시별 초미세먼지 오염원을 추정하였다. 앞서 고려된 도시별 주요 오염원 및 구성성분 특성을 바탕으로 국내 대도시 초미세먼지 구성성분 노출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측정소의 점진적 확대에 따라, 6개 도시 간 비교 가능한 2013 – 2015년 자료 (3년)를 이용하였고, 건강영향의 주요 변수로 사망을 확인하였다. 구성성분의 단기 노출과 사망의 관련성은 일반화 부가모형 (GAM)을 이용하여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사분위수 (Interquantile range, IQR) 당 증가하는 총사망, 심혈관계 사망 및 호흡기계 사망위험 상대위험도 (RRs) 와 95%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 또한, 초미세먼지 및 구성성분 노출의 지연효과 (lag effect)는 당일에서 이전 7일 (당일-7일), 이동평균 (당일-3일, 당일-7일)을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 (16.6 - 21.7 ug/m3)에 따라 총사망의 상대위험비가 증가하는 경향은 도시 간 차이 (RRs=1.006-1.049)를 보였고, 구성성분은 지역별 오염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교통과 관련된 EC (element carbon) 는 6개 도시 전체에서 총사망과 관련성이 있었고, 오일 연소와 관련된 Ni (nickel)과 V (vanadium)은 항구도시인 부산과 울산에서 호흡기계 또는 심혈관계 사망과 관련성을 보였다. PM2.5 성분측정망은 도시별, 일별 약 40가지 구성성분의 농도와 추이를 확인할 수 있고, 매년 갱신되어 시간변이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었다. 그러나, 지역 (지점)별 측정소 운영 기간의 차이가 있었고, 모니터링 주기가 당초 매일에서 2014년 9월 이후부터 3일에 1회, 2017년부터 6일에 1회로 변경되어 결측치 증가에 따른 지역 비교에 제한점이 있었다. 본 학위논문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PM2.5 성분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첫 번째 대기역학연구로, 초미세먼지 구성성분 노출과 건강영향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며, 국내 6개 대도시 구성성분의 농도 분포와 사망에 영향을 주는 초미세먼지의 주요 성분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노출원 저감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19년 12월 현재까지 추가 측정된 성분자료는 장기 또는 단기 노출에 의한 유병, 사망, 응급실 이용 등의 다양한 건강영향연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소자키 아라타 건축에 나타난 구축성(Tectonic)의 표현특성 연구

        유시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Looking at the history of Japanese architecture, Japan, which opened its country toward Western civilization at the end of the 1860s, encountered a different civilization and was a Christian culture, a west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a machine-industrial society that had already experienced the industrial revolution. Architecture was called for to respond to this new task, and Westernization was soon modernization. After modernism architecture, the morphological diversity and the ambiguity of the genre could be seen as representative of the complexity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 and it is Isozaki Arata who has his own architectural discourse by interpreting the architectural subject in this complex aspect back to the meaning of modern and traditional. He is known as a master of 2019 Pritzker Architecture Award and a leading architect of Japan, and in the period flow of postmodernism architecture, which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process of his life, he overcame self-closing limitations and began to express architecture in his own way And His work showed diversity and complex characteristics encompassing each era and various forms, not being defined by a single concept or expression form. Therefore, in this paper, Isozaki Arata's architectural expression and the concept of Tectonic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tonic that appear in his architecture. Establish an analysis of architectural approach expression methods of various constructors according to spatial expression.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suggest that the tectonic aspects of architecture can contribute to his continuous development in the analysis of architecture, as the data on it are difficult to look through literature or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the architectural background of Isozaki Arata and its though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first. Nex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tectonic, and the flow of architectural tectonic, architectural elements, etc. are understood to examine the concept of tectonic and organize the properties of expressing space. Based on this, keywords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ree spatial expressions indicating tectonic. Through prior research,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other architects were summed up and organized through the tectonic shown in the architecture. Based on 'Arata Isozaki Ken Tadashi Oshima', which contains his architectural works, the subject of this paper's analysis was selected from 1963 to 2017 with 9 works selected from 1963 to limited to the scope and tectonic of the works. First, with various materials included in the properties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 earth, it was possible to know the essential character of the place through the circular construction relationship through experience or the connec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the land. Second, using the light that shows the sense of space and reality, the phenomenal construction relationship was used as a building element for flow and change in architectural space, the direction of light changed through the amount of shadow and light inflow that changed over time, and the atmosphere that is perceived as different from the sense of expansion in space was also known as time-construction. Third, It could see the architecture expressed through the traditional materials and traditional methods of architecture, and It could identify the trade-off relationship through the mixing of such tradition with the modern context and the change of structure with the changing of the time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construction did not conclude as a single concept, but was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in time for the changing era of architecture, so that the tectonic of architectural space expression can be analyz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spatial expression shown in the architecture of Isozaki Arata. hrough his architecture, he can describe the diverse and new zeitgeist tried with tradition in modern architecture, along with his own definite philosophy and ideas in complex aspects such as the complexity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 ambiguity of genre. We look forward to seeing the significance of architecture as it moves forward through various aspects of construction, away from the concept of tectonic that remains in one sense. 일본의 건축 역사를 살펴보면 1860년대 막부말(幕府末)에 서구의 문명을 향해 나라를 열었던 일본은 다른 문명을 접하게 되는데 그것은 기독교 문화였으며, 서구 전래의 과학 기술 문명이자, 산업 혁명을 이미 경험한 기계 공업 사회의 문명이었다. 이렇게 새로운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건축이 요구되었고 서구화가 곧 근대화였다. 모더니즘 건축 이후 형태적 다양성과 장르의 모호성은 현대 건축 공간의 복잡성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복잡한 양상 속에 건축적 주체를 현대와 전통이라는 의미로 다시 해석하여 본인만의 건축적 담론을 가진 사람이 바로 이소자키 아라타다. 그는 2019 프리츠커 건축상을 받은 거장이자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로 알려져 있으며, 그가 살아온 과정에서 큰 영향을 끼쳤던 모더니즘 건축과 함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자기 폐쇄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두 흐름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기 방식으로 건축을 표현하기 시작했고 그의 작품은 하나의 개념이나 표현 양식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시대와 다양한 양식을 아우르는 다양성과 복합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이소자키 아라타의 건축 표현과 구축성의 개념을 통하여 그의 건축에 나타나는 구축성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공간 표현에 따른 다양한 구축성의 건축적 접근 표현 방법 분석을 정립한다. 그에 대한 자료가 문헌 자료나 연구를 통해 살펴보기 어려움이 있기에 건축을 통해 나타나는 구축적인 측면이 지속적인 그의 건축 분석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소자키 아라타의 건축 배경과 사상 및 건축적 특성에 대해 먼저 분석한다. 그다음으로 구축성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건축의 구축성, 구축요소 등의 흐름을 파악하여 구축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공간을 표현하는 속성을 정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축성을 나타내는 공간 표현을 3가지로 분류하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른 건축가들의 건축에 나타나는 구축성을 통하여 구축적 요소들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분석사례 대상은 이소자키 아라타를 중심으로 그의 건축 작품이 담긴 ‘Arata Isozaki Ken Tadashi Oshima’를 바탕으로 1963년부터 최근 완공된 2017년까지의 작품과 ‘2019 프리츠커 수상 목록’에 나온 작품을 중심으로 9가지 작품을 선정하여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작품에서 나타난 구축성을 분석한다. 첫째, 물성에 포함된 다양한 재료가 대지와의 관계를 맺고 경험이나 주변 환경과 땅의 연관성을 통해 장소의 본질적 성격을 원형적 구축 관계를 통해 장소적 구축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간감과 실체를 보여주는 빛을 이용하여 현상적 구축 관계를 건축공간에서 흐름과 변화의 공간 구축 요소로 사용하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되는 그림자와 빛의 유입량을 통하여 빛의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공간의 확장감과 다르게 받아들여지는 분위기 또한 다르다는 것을 통해 시간적 구축으로 알 수 있었다. 셋째, 전통적 재료와 전통의 건축 방식을 통해 표현되는 건축을 알 수 있었으며, 그런 전통성과 현대적 맥락과의 혼용을 통한 절충적 관계를 파악하고 시대에 따라 구조의 변화를 통해 맥락적 구축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구축의 개념을 통하여 구축성이 하나의 개념으로 결론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닌, 건축이 변화되어가는 시대에 맞춰 다양하게 정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소자키 아라타의 건축에 나타난 공간표현의 관점을 통해서 시대별 건축 공간 표현의 구축성을 분석해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의 건축을 통하여 현대 건축의 복잡성과 장르의 모호성과 같은 복잡한 양상 속에 건축적 주체를 본인만의 확실한 철학과 관념과 함께 현대 건축에서 전통을 가지고 시도 되는 다양하고 새로운 시대정신을 말할 수 있다. 한 가지 뜻에 머물러 있는 구축성의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구축을 통하여 건축이 발전되어 나아갈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도록 기대해본다.

      • Ultra-low voltage (sub 0.5V) Junction/MIS hybrid gate switching device and its multi-functional applications

        유시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고성능의 미래 첨단 전자 소자를 얻기 위해 트랜지스터가 축소화되고 고집 적화 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소비 전력이 낮은 전자 기기를 얻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 유전체 물질 제어, subthreshold swing (SS) 감소, 접촉 저 항 최소화 등 저전력 소모를 위하여 많은 접근 방식이 연구되어왔다. 기존의 접 합 전계 효과 트렌지스터 (JFET)는 유전체 구조가 없어 게이트 전압이 효과적으 로 채널에 전달될 수 있고 이는 게이트 전압의 동작 범위를 줄여 SS가 더욱 가 파른 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JFET 구조에 절연체/게이트 구조를 적층함으로써 JFET/MISFET 하이브리드 게이트를 갖는 소자 구조를 제안한다. 이때 추가적인 MISFET 게이트는 JFET 단일 동작보다 더 향상된 on/off ratio를 갖도록 하며 이 러한 J-MISFET 소자는 60mV/dec의 이상적인 값에 가까운 SS 값을 갖고, 105 이 상의 on/off ratio 및 hysteresis가 없는 동작 특성을 보인다. 두 이종 게이트는 dual-gate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내어 두꺼운 채널일수록 SS 값이 증가하는 일반 적인 양상을 극복할 수 있으며 42nm의 두꺼운 채널에서도 76.2mV/dec의 SS 값 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junction 게이트와 또 다른 게이트 사이에 다른 입력 전 압이 인가되는 이전에 연구된 접합 장치에서의 로직 동작과는 달리 J-MIS는 0.5V의 극히 적은 공급 전압 내에서 각 JFET과 MISFET 게이트에 인가되는 입 력 전압이 완벽히 일치하는 확실한 dual-gate 로직 수행이 가능하다. J-MISFET에 서의 빛 반응은 1.7×103A/W의 높은 responsivity, 완벽한 redark 특성, 그리고 빠 른 광 스위칭 동작을 보인다. 또한, J-MISFET은 로직과 빛 반응을 결합하여 성 공적인 아날로그/디지털 데이터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종의 게이트 구조를 하이브리드화하는 새로운 소자 구성으로 가는 길을 밝히고 해당 소자의 다기능으로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증명할 것 으로 예상한다. To achieve high-performance future advanced electronic devices, transistors need to be scaled down and highly integrated, thus it has become important to obtain energy-efficient and low-power consumption electronics. Many approach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low-power operation such as dielectric material engineering, reducing subthreshold slope (SS), and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In the conventional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JFET) which has no dielectric component, gate bias can effectively transmit to the channel and reduce the gate bias operation range, leading to a steep SS value. In this study, the JFET/MISFET hybrid gate device is constructed by stacking additional insulator/gate structures on JFET, thereby additional MISFET gate can lead to an enhanced on/off ratio than a JFET single operation. The J-MISFET device exhibits near-ideal SS of 60mV/dec, on/off ratio over 105, and hysteresis-less operation. These two heterogeneous gates create a dual-gate synergy effect, and J-MIS can overcome the general aspect that SS increases as the thicker channel, indicating the 76.2mV/dec SS value at a 42nm thick channel. Furthermore, J-MIS performs clear dual-gate logic operation within an extremely small supply voltage of 0.5V with the exactly same input biases for each JFET and MISFET gate, unlike the previously reported logic applications in junction devices that different input biases are applied between a junction and another gate. The photo-response in J-MISFET exhibits the high responsivity of 1.7×103A/W, perfect redark properties, and fast photo-switching behaviors. Also, the J-MISFET successfully performs the analog/digital data converting and encryption/decryption process by combining logic and photo behavio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path to the new device configurations of hybridizing heterogeneous gate structures and demonstrate their potential for multi-function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