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대학 기술이전 체계 개선방안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손영수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日本語敎育と敎科書硏究 : 일본어교육과 교과서연구

        김 성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抄錄) 日本語教科書에 대한 分析硏究는 敎育人的資源部에서 정한 “敎育課程”을 準用하고 있는 高等學校 日本語教科書에 集中되고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狀況을 直視하면서 日本語와 日本에 관한 一般的인 敎養의 習得을 目標로 하는 大學校 日本語敎養教科書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지금 까지, 語彙分析에 있어서 先行硏究의 對象은 私立大學校의 日本語敎養教科書에 限定되어 있었지만, 본 論文는 2007年 現在 日本語 關聯學科가 設置되어 있는 國立 5個 大學校 즉, 慶北大學校(KB), 慶尙大學校(KS), 釜山大學校(PS), 全南大學校(CN), 全北大學校(CB)의 教養科目 『日本語Ⅰ』과 『日本語Ⅱ』를 對象으로 했다. 一般的으로 前者는 1學期, 後者는 2學期에 使用하는 敎科書를 意味한다.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는 高等學校 日本語敎科書와 달리 日本語 關聯學科의 敎授의 主觀的인 觀點에서 執筆한 敎材나 特定 出版社가 製作한 敎材를 그대로 敎科書로 使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삼을 만한 根據가 없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2007年3月 敎育人的資源部가 第7次 敎育課程을 修整・補完한 『2007年 改訂敎育課程』의 基本語彙1,023字를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設定하여,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의 使用語彙와 함께 名詞, 動詞, 形容詞, 形容動詞, 副詞, 連體詞, 接續詞, 感動詞, 助動詞, 助詞, 連語, 接頭語, 接尾語 등의 13品詞로 分類한 後, 兩者의 語彙를 總語彙一致數와 總語彙一致率, 品詞別一致數와 品詞別一致率, 換算品詞別一致率과 偏差値, 種數別共通語彙數와 種數別共通語彙率 側面에서 各各 比較分析하였다. 以下 본 硏究을 통해서 얻은 結果를 敍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総語彙一致數에서 얻은 総語彙一致率를 보면, 慶北大學校(KB)ー釜山大學校(PS)ー慶尙大學校(KS)ー全北大學校(CB)ー全南大學校(CN) 順이고, 各各의 數値는 「54.1%」「49.5%」「39%」「35.3%」「26.2%」이며, 平均的으로는「40.8%」程度이다. 이 結果는,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數에 따른 順序, 釜山大學校(PS)ー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와는 一致하지 않는다. 이것은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数와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는 반드시 比例하지 않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즉, 教養教科書의 使用語彙數가 많다고 해서 改訂教育課程의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가 많아 진다고는 断定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品詞別一致數로 얻은 品詞別一致率을 보면,「名詞」「形容詞」「形容動詞」「副詞」「連体詞」「感動詞」「接頭語」「接尾語」의 8個 品詞에서는慶北大學校(KB),「動詞」「助動詞」「助詞」「連語」의 4個 品詞에서는 釜山大學校(PS)、「接続詞」에서는 慶尙大學校(KS)가 各各 가장 높은 一致率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結果를 基準으로 判斷하면, 総語彙一致數와 品詞別一致數는 대체로 比例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品詞別偏差値の合計を基準으로, 가장 偏差値가 작은 것부터 順序대로 敍述하면, 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ー釜山大學校(PS)이고, 各各의 數値는「0%」「-0.1%」「0.2%」「-2.1%」「3%」가 된다. 이것은 総語彙一致率에 의한 妥当性에 따른 順序와는 전혀 一致하지 않으며, 특히, 釜山大學校(PS)의 경우, 総語彙一致率에 따른 順序에서는 2位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最下位에 位置하고 있다. 이와 같은 現象은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品詞別構成比率에도 バラツキ가 存在하고 있다는 좋은 證據라 말할 수 있다. 또한, 平均偏差値을 보면,「接尾語」ー「動詞」ー「形容動詞」ー「助詞」ー「名詞」ー「感動詞」ー「副詞」ー「接続詞」ー「連体詞」ー「接頭語」ー「連語」ー「形容詞」ー「助動詞」順이며, 各各의 數値는 「-1.3」「+0.8」「-0.8」「+0.7」「-0.7」「-0.4」「+0.3」「+0.2」「-0.2」「+0.1」「-0.1」이 된다. 이것을 合計하면 플러스数値「+2.8%」, 마이너스数値「-2.9%」이고, 兩者의 差를 計算하면, 마이너스「-0.1%」로、基準數値「0%」에서 보면,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속의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의 採用程度가 各 品詞別側面에서도 여전히 마이너스傾向을 띄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種数別共通語數에 있어서는, 3種,4種,5種 語彙數는 적고, 2種과 1種 語彙數가 차지하는 比率이 3.5%로 半 以上이나 된다. 이 數値는, 가령, 種數別共通語率87.7%를 100%로 換算할 경우, 61%에 이르고, 3種,4種,5種 語彙數는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結局, 各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그 만큼 크다는 것을 意味한다. 以上과 같은 結果에서 国立 5個 大學校의 教養教科書 使用語彙는, 그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使用語彙의 種類나 數에 있어서 큰 差가 생긴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이것은 國立 5個 大學校의 敎養敎科書는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큰 教材를 授業에 使用하고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와 같은 教材를 使用해서는 教養科目 本来의 目的에 適合한 授業은 期待하기 어렵기 때문에 教材의 改善이 시급히 要求되고 있다. 따라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現況을 直視하고, 이와 같은 諸問題를 解決하기 위해서라도 第7次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를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으로 삼는 것을 하나의 方案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以上과 같이,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의 語彙分析을 中心으로 多樣한 分析方法을 利用하여,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고자 努力하였다. 그러나, 본 論文의 對象을 벗어난 그 밖의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에 대한 보다 폭넓고 深度있는 分析硏究가 이루어질 必要가 있다고 思料되지만 이 部分은 今後의 課題로 남기고 싶다.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대구·경북지역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 실태

        박희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간식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지리적 요인에 따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간식섭취빈도, 영양지식 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합리적인 식습관 형성 및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대구지역 초등학생 200명(남학생:104,여학생:96명) 경북지역 초등학생 200명(남학생:95명, 여학생:105명)을 대상으로 남학생 199명, 여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과 신체계측 결과는 대구지역과 경북지역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족형태에서는 핵가족의 비율이 대구지역(40.5%)이 경북지역(38.5%)보다 높았으며, 어머니 직업유무에서는 경북지역(51.7%)이 대구지역(48.3%)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생들이 받는 한 달 용돈은 1만원 미만이 두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아침식사 횟수에서는 매일 아침을 먹는 비율은 대구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침식사를 먹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대구지역은 입맛이 없어서(48.5%)가 가장 높았고, 경북지역에서는 늦잠을 자서(55.0%)로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편식의 정도는 두 지역 공통으로 조금 하는 편이 가장 높았으며, 편식을 전혀 하지 않는 비율은 대구지역이 경북지역에 비해 높았다. 편식하는 음식으로는 전체적으로 채소류와 생선 및 해물류로 나타났다. 3. 여가 활용 방법으로는 두 지역 모두 TV시청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을 통해 여가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가장 낮았다.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스마트폰으로 여가를 활용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TV 시청시간은 두 지역 모두 1시간~2시간 이내가 가장 높았으며, 운동 빈도는 두 지역 모두 주 1~2회 운동을 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컴퓨터 사용시간 역시 두 지역 공통으로 1시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이어트 경험에 있어서는 경북지역(42.5%)이 대구지역(29.5%)에 비해 높았으며,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간식 섭취 빈도는 하루 2~3회 간식을 섭취한다는 의견이 두 지역에서 공통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 구입 방법은 두 지역 모두 직접 구입한다가 가장 높았다. 부모님이 구입해 주시는 경우는 대구지역(31.0%)이 경북지역(19.5%)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식 구입 장소로는 대구지역 슈퍼마켓, 분식점, 문구점, 패스트푸드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북지역은 슈퍼마켓, 분식점, 문구점, 포장마차, 패스트푸드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식 섭취 이유로는 배가고파서라는 의견이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습관적으로 간식을 섭취하는 경우는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품별 간식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과일, 우유 및 유제품, 과자가 높은 섭취 빈도를 보였으며 그 중 우유, 과일주스, 햄버거, 떡에서는 지역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5. 영양지식 정도를 비교한 결과 대구지역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8.64±1.56이고, 경북지역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7.94±1.58으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영양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 중 탄산음료를 많이 먹으면 충치가 생기기 쉽고 뼈가 약해진다의 정답률은 96.3%로 두 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과일은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의 문항에서는 61.5%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구·경북의 지역적 요인에 의한 식습관과 간식섭취 실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들이 있어서 지역별 차별화된 영양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을 균형 있게 섭취하도록 학령기 아동의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편중된 식습관을 교정시켜 바람직한 식생활과 간식선택 기준을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snack intake and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investigated whether geographical factors have a different impact on eating and living habits, frequency of snack intake, nutritional knowledge. 1. Two hundred of students in Daegu(boys:104, girls:96) and 200 in Gyeongbuk(boys:95, girls:105)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2. The result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thropometr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3. It was shown that more students in Daegu have breakfast and more in Gyeongbuk skip a meal. Most of both cases said that they sometimes eat only what they want and more samples in Daegu said that they eat everything. Students were generally particular about vegetables, fishes and seafoods. 4. Both cases answered that they often watch TV during free times and students in Daegu spend more times with their smart phones. Furthermore, more samples in Gyeongbuk said they were on a diet and two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5. In both cases, most students stated that they personally buy snacks and parents are more involved in buying snacks in Daegu. The primary reason why students ate snacks was to appease their hunger and more students in Daegu eat snacks habitually.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having snacks, fruits, milk, dairy products and snacks were usually eate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gions for milk, fruit juice, hamburgers and rice cakes. 6. Students in Daegu had more knowledge on nutrition, compared to those in Gyeongbuk. As the result showe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ct of the geographical factor on the practice of eating habits and snack intake between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So, differentiated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for each region. Additionally, it is really important for school-aged children to form a balanced eating habits, take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and establish a criterion of decision on which to eat.

      • 익사체에서 나비 굴내 액체 확인의 중요성

        류광우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수중시체를 발견하였을 때 익사로 진단하기가 쉽지 않으며, 아직 확실한 부검소견이나 검사실 검사법이 존재하지 않아 익사 진단의 어려움이 있는 게 현실이다. 이를 위해 익사의 진단에 있어 나비 굴내 액체 확인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의과대학) 법의학교실에서 최근 10년 간의 부검 자료를 이용하여, 총 54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구강 및 비강 내 포말은 7건 (13%), 기도 및 기관지 내 포말 15건 (28%), 폐의 과팽창 및 부종은 47건 (87%), 위 및 십이지장내 익수는 28건 (52%), 측두골 암석부위속(추체유돌부) 출혈은 50 건 (93%) 이 관찰 되었다. 나비 굴내 액체는 45건 (83%) 이 관찰 되었다. 플랑크톤 검사에서는 총 33건 (87%) 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폐에서만 나타난 경우는 26건 (68%) 이었다. 나비 굴내 액체 확인은 부검의들이 잘 확인을 하지 않으며, 문헌에서 또한 상세한 기술이 부족하며 국내 연구 또한 미흡한 수준이다. 이러한 현실과 익사의 진단이 쉽지 않음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나비 굴내 액체의 양성률은 상당히 의미 있는 수치이며, 익사의 진단에 유용한 부검 소견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18세기 경북지역 사찰의 수륙재 설행과 공간이용

        홍지현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사찰들이 추구한 배치가 중정형 가람인 점과 조선후기 수륙재의문이 제시하는 가람배치가 유사한 점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조선 후기의 수륙재 설행 방법을 고찰하여 경북지역 사찰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북지역 사찰 중에서 수륙재를 설행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안동 봉정사, 영천 은해사, 영주 부석사, 문경 김룡사, 청도 운문사, 청도 적천사, 김천 직지사, 상주 남장사, 구미 대둔사로 총 9 개소이다. 시간의 범위는 18세기로 하였다. 경북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조선후기 수륙재의 방증인 괘불도가 주로 18세기에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연구대상 사찰배치에 영향을 준 수륙재의문은 지반문과 자기문으로 중정형 배치를 추구하는 점은 같으나 각 배치의 중심축 순서는 지반문은 법당-정문-종루-해탈문이고, 자기문은 법당-종루-천왕문이었다. 두 배치의 차이로 보아 경북지역의 수륙재는 지반문의 수륙재와 자기문의 수륙재가 각각 전각배치에 맞게 설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 주불전은 후대로 갈수록 규모가 줄어들며 불벽 후면의 공간도 축소되었다. 이는 경제적 요인 외에도 수륙재 절차의 간소화와 예능화가 원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연구대상 주불전은 후대로 갈수록 벽면의 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수륙재의 의식화 봉안으로 시작된 다양한 신앙의 봉안이 주불전의 공간이용 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륙재의 설행방법이 경북지역 사찰의 공간 구성에 영향을 준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현존 수륙재의문의 소장 결과와는 달리 자기문의 영향력이 지반문의 영향력과 비슷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가 현존 판본수를 중심으로 한 것에 재고를 요한다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현존 자기문이 모두 경상도에서 간행된 것으로 보아 향후 연구에는 전국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s that the arrangement pursued by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temples was courtyard temple buildings and the arrangement of temple buildings presented by the late Joseon dynasty Suryuk ritual sentences was similar.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performance of Suryuk ritual ceremon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with Buddhist temples in the Kyungpook region. Subjects of study were nine Buddhist temples in the Kyungpook region: Bongjeongsa Temple in Andong, Eunhaesa Temple in Yeongcheon, Busuksa Temple in Youngju, Kimryongsa Temple in Mungyeong, Unmunsa Temple in Cheongdo, Jeokcheonsa Temple in Cheongdo, Jikjisa Temple in Gimcheon, Namjangsa Temple in Sangju, Daedunsa Temple in Gumi, which are assumed to have performed Suryuk ritual ceremony. A time range was set to the 18th century. This is because unlike other regions, in the Kyungpook region, Gwaebuldo (hanging painting), circumstantial evidence of Suryuk ritual ceremony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been produced mostly in the 18th century. Suryuk ritual sentences that affected the arrangement of the target Buddhist temples were Jibanmun(志磐文) and Jagimun(仔夔文), which commonly pursued courtyard arrangement, but as the order of the central axis of each arrangement was Buddhist sanctuary(法堂)-front door(正門)-bell tower(鐘閣)-Haetalmun(解脫門) in Jibanmun while Buddhist sanctuary(法堂)-bell tower(鐘閣)-Cheonwangmun(天王門) (the temple gate dedicated to the Four Devas) in the Jagimun. Judg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rangements, in Suryuk ritual ceremony in the Kyungpook region, Suryuk ritual ceremony of Jibanmun and Suryuk ritual ceremony in Jagimun were performed for each building layout. The target Jubuljeon(法堂) became smaller to the generations to come, and the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 became reduced. This was deemed to be caused by the simplification and entertainment of Suryuk ritual ceremony procedures as well as economic factors. In addition, the number of walls increased in the target Jubuljeon as time went by. It was found that the enshrinement of various faiths starting from the ritualized enshrinement of Suryuk ritual ceremony settled as a new paradigm of method of space utilization in Jubulje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method of performance of Suryuk ritual ceremony influenced spatial configuration of Buddhist temples in the Kyungsang region. Also, it was found that in spite of the result of holding the existing Suryuk ritual sentences, the impact of Jagimun was similar to that of Jibanmun.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the number of editions in existence. Moreover, judging from the fact that all Jagimun in existence was published in Kyungsang Province, it is judged that studies on a nationwide scal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대구·경북지역 영아살 실태

        박보라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직계존속이 치욕을 은폐하기 위해 분만 중 또는 출산 24시간 내에 영아를 살해하였을 때 영아살이라고 한다. 2000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경북대학교 법의학교실에서 부검한 영아살 부검사례 18건과 언론에서 보도되었던 사례26건을 바탕으로 영아살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영아살은 매년 2-3건의 언론 보도가 있었고, 대구.경북지역에는 매년 2-3건이 발생하여 부검이 실시되었다. 영아살에 대한 전국적인 발생 통계는 없지만 인구와 지역을 고려할 때 매년 20건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가해자는 대부분 15-24세 사이의 학생이나 미혼의 경우로, 가족과 사회에 숨기고 싶은 임신이 범죄동기였다. 피해영아는 집안에 방치하기보다는 비닐, 종이백, 봉투에 쌓여 집(건물) 밖에 버려진 경우가 더 많았다. 살해 방법으로는 부검예에서는 외상, 질식이 많았고, 언론보도 사례에서는 질식, 유기가 많았다. 가해자가 밝혀진 경우는 부검예의 경우 7/18건에 불과하였다. 가해자에 대한 법원의 판결은 감경하는 추세를 보였다. 영아살은 사후에 검거하여 처벌하기 보다는 사전에 예방을 통해서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예방을 위해 가정, 학교, 사회, 국가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fanticide can be defined as the deliberate killing of a child within 24 hour of its birth.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actual state of infanticide in Daegu, Kyungpook province of Korea from 2000 to October, 2006. Eighteen autopsy cases of infanticide were selected. Twenty-six cases reported by news media in the same period were also reviewed. The incidence of infanticide in autopsy cases was two or three cases per year, and it is estimated that whole national incidence will be more than 20 cases in Korea per year. The perpetrator was the mother. She was assisted by a relatives in one case. Most of the perpetrators were students(high school or university), or unmarried young women between 15 and 24 years old. They usually kept the pregnancy a secret and gave birth without public welfare assistance. Fear s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tivating factor for committing infanticide. Dead infants were found mostly in the trash bags or paper bags outside of the house. Asphyxia and blunt traumatic injuries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autopsy cases, but asphyxia and leaving alone itself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news media cases. Punishment by the court had a tendency of reduction. In conclusion, rate of infanticide in Korea is low, and infanticide must be prevented by faithful efforts of family, school, society, and government.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을 중심으로

        정종기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그 변화의 속도이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수많은 조직들이 새로이 생겨나고 변화하고 도태되어 사라져 가기도 한다. 이런 변화의 현대사회에서 “어떤 조직이 또는 어떻게 조직을 운영해야 조직 구성원들의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은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학자들은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문화에 대한 많은 연구를 지속해왔다. 사기업에서 시작된 연구는 이제는 공공부문에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전통적인 공무원 조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현대사회의 행정추세는 점점 광역화되고 복합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런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무원 조직자체도 기존의 전통적인 공무원조직에서 탈피한 새로운 형태의 공무원조직이 생겨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직의 성과는 조직구성원에 의해서 결정되고 구성원들의 업무수행결과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다수 학자들의 견해이며 이런 이유로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은 조직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조직의 형태와 특수성에 따라 조직문화는 다르게 형성될 것이며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또한 조직의 특수성에 기인한 조직문화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의 특성과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대구·경북지역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한 핵심 국책사업으로 2002년 12월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기반하여 2008년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두 지자체의 지방자치조합의 형태로 설립된 기관이다. 이곳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은 양 지자체에서 파견형식으로 한시적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경제자유구역청장은 공모를 통해 외부인사가 선임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그 운영에서도 적지 않은 부작용을 보이고 있는 현실이다. 그 이유로는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구조적인 원인과 중앙기관과의 업무의 중복성, 자율권 부재 등 여러 외부 문제와 인사상의 문제, 청장의 리더십 문제 등 여러 내부 문제 등을 이유로 들 수 있겠다. 여기에서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원인 진단의 방안으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지방자치단체조합이라는 독특한 조직형태에 주목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조직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소속의 공무원들과 대구광역시청, 경북도청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각 기관별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기술통계학적 분석 방법에 따른 단점을 보완코자 하였다. 그 결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는 전통적인 공무원 조직과는 구별되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우선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는 대구광역시와 경북도청에 비해 집단문화에서는 상당히 낮은 결과가 나온 반면 상대적으로 발전문화와 합리문화에서는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선행연구결과와 면접 자료를 토대로 했을 때, 첫째로 파견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인사제도를 원인으로 꼽을 수 있겠고, 둘째로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개발업무, 외국기업 투자업무를 주된 업무로 하고 있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업무특성에서 비롯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서 기존 공무원조직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집단문화와 위계문화가 낮게 나타나고 발전문화와 합리문화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기존 공무원조직의 관료제 특성에서 나타나는 문서주의, 서열주의, 레드테이프 등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로도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구성원들은 대구광역시청, 경북도청 구성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조직몰입도를 나타내었는데 이 또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내부적 특성에서 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직무만족에서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대구광역시청, 경북도청의 조직 비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공무원의 직무 자체는 조직의 특성보다는 직무자체와 직무를 행하는 담당자 성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집단문화는 기존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조직몰입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데 집단문화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서 낮게 인식되었다는 것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내 구성원들간 원활한 소통과 멤버십 형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직몰입도에서도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는 것 또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 운영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며, 조직몰입도 향상을 위해서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직원 인사문제와 경제자유구역청의 위상 약화, 청장의 리더십 부재 등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연구대상이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 집중되어 있어 이런 결과가 다른 지방자치단체조합에도 적용할 수 있겠느냐는 문제와 자료수집과 연구조사의 시간적 제한 등으로 인해 대구광역시청과 경북도청의 사례가 부족한 점, 조직효과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한 점 등은 아쉽게 생각하며 향후 총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 국립대학교 스포츠센터 운영실태 분석

        신현학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Recently, to survive in fierce competetion sports centers of national university are introducing diverse operatiog objects, types, forms and so on. In spite of this tendency, existing researches of sports centers of national university are limited to consumer behavior related researches, and also, researches considered of operating difference betwee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are very unsufficient.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provide objective data for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of the operation of a national university's sports center. To this end, I investigated forms of securing establishment budget, facilities and program operation, operation structure, and goals of operation. Subjects were 9 sports centers of national universities that are in operation presently in 2014, and 9 managers and 9 practitioners from each. The research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each sports center's website, the universities' rule books, Korea Sports Science Institute's research data, business materials from the Sports Promotion Foundation, national legislature, news reports and articles. Primary interviews were done by managers and secondary interviews were done by practitioners. Interviews lasted for 1-2 hours and data collected were recorded immediately and transcribed. The information and data gather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by 3 sports marketing experts and 2 sports marketing professors, and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national university's sports center establishment budget securing patterns were threefold: outside funding, joint funding by outside and the school, and internal establishment budget. Among these, the joint budge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ports Promotion Foundation's support fund of three thousand million won, and showed a comparatively shorter formation period than the other forms. Second, all the sports center of the external funding support establishment types were not open at all the facilities on the outside. This type of fear of external complaints, the National University Sports Centre was opened two euros prohibit commercial venture does not need to have an image. Third, but at the National University Sports Centre is a swimming pool with the most users, ranking in the operating profit was at a loss as to exclude the operating profit. fourthly, most of the schools selected the operation of lesson programs according to publicity and profitability, however some of them were chosen according to schools' own property. All of the sport centers selecting publicity were opening classes with prior investigation, so they had had programs that people prefered. But the others were choosing and opening lessons which were expensive to take rather than frquently used. Fifth, the operating mod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Sports Center showed two external operating mode and its operating modes, operating modes specific pros and con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s operating modes were shortcomings in the school's opening lecture of autonomy support and limitations of the budget, including operations with the National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e tax burden Whereas there is an advantage, fear of external complaints occur. Outside operation had certain advantages such as a fixed revenue and not having to worry about hiring instructors and giving classes, but there were disadvantages that stemmed from wanting to create a high revenue, such as the invasion of the right to study and the damage of facilities. Sixth,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surface goals and actual goals of operation of the national university sports center. The ostensible goal that 9 national universities suggested were physique management of the members and establishment of sports culture, but the reality was that 5 out of 9 national universities were suggesting goals for profitability. We suggested a conclusion as well as management implications through the above result. First, the sports centers in national universities should be open to local residents. Second, the sports centers in national universities need to be designed including the operation expense. Thirdly, when selecting sport centers of public universities, we need to consider both publicity and universities' properties.Fourthly, in the case of interior operation, legal foundation about tax revenues should be prepared. Fifthly, in the case of exterior operation, lengthen the duration of contract and at the same time, we should establish clear regulations which don't violate fundamental rights of the universities. Sixth, the managemental goal of a national university's sports center can cause harm to other goals such as education, publicity, public service, and making profit if any one goal is preferred over other goals. 최근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운영 목표, 운영 방식, 운영 형태 등을 도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에 관한 기존 연구는 소비자 행동에 관계된 연구에 국한되어 왔으며, 또한 국립대와 사립대 간의 운영상의 차이를 고려한 연구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의 운영실태를 문헌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여, 경영효율성을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예산 확보유형,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 운영 형태, 운영 목표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4년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 9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각각 관리자 9명, 실무자 9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각 스포츠 센터 홈페이지, 대학교 규정집, 체육과학연구원의 연구자료,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사업자료, 국가 법령처, 뉴스 및 기사 등을 활용하여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심층면접은 1차 관리자, 2차 실무자를 실시하였다. 면접시간은 1~2시간 정도 소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즉시 녹음하여 텍스트화 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해 얻어진 정보와 자료는 스포츠 마케팅 전문가 3명과 스포츠 마케팅 교수 2명의 분석․검토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의 설립예산 확보유형은 외부지원, 외부와 학교 공동지원, 자체예산 설립예산확보유형의 3가지로 나타났다. 이중 외부와 학교 공동지원 유형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지원금 30억을 통해 건립되었고, 다른 유형에 비해 비교적 짧은 공사기간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외부지원 설립예산 확보유형의 모든 스포츠 센터는 시설을 외부에 전혀 개방하지 않고 있었다. 이 유형은 외부 민원에 대한 두려움,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가 상업적 이미지를 굳이 가질 필요 없다는 이유로 개방을 금지하고 있었다. 셋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에서 수영장은 가장 많은 이용자를 가진 시설이었지만, 경영이익 순위에서는 제외될 만큼 경영이익에 손해를 보고 있었다. 넷째, 강습 프로그램운영은 대중성과 수익성을 준거로 대부분의 학교에서 중점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있었으나, 일부는 학교 특성에 맞게 선정되고 있었다. 대중성을 꼽은 모든 스포츠 센터가 사전조사를 통한 강좌개설을 하고 있어, 사람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었다. 수익성을 꼽은 스포츠 센터는 많이 이용하는 프로그램보다는 강습료가 비싼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개설하고 있었다. 다섯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의 운영 형태는 자체운영 형태와 외부운영 형태 두 가지로 나타났으며, 운영 형태 별 장단점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자체운영 형태는 학교의 지원과 강좌 개설의 자율성 등 장점이 있는 것에 반해 부가세 부담에 따른 국립대학교가 가지는 예산 운영의 한계, 외부민원 발생에 두려움의 단점이 있었다. 외부운영 형태는 학교가 가지는 고정적 세입, 강습 및 강사 채용의 고민이 없는 장점이 있었으나, 수익성에 치우친 나머지 학습권의 침해와 시설에 대한 손상의 단점이 있었다. 여섯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의 운영목표는 표면적 목표와 실제적 목표에는 차이가 있었다. 표면적 목표는 구성원의 체력관리와 스포츠 문화 형성이라는 목표를 9개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 모두가 제시하고 있었으나, 실제는 9개 중 5개의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가 수익성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 및 경영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는 지역주민들에게 개방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의 시설은 운영비용을 포함하여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의 강습 프로그램을 선정함에 있어 대중성과 학교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체운영 형태의 경우 세입에 대한 법적 토대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 째, 외부운영 형태의 경우 계약 기간을 길게 함과 동시에 계약 시 학교의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 명확한 규정 확립이 필요하다. 여섯 째, 국립대학교 스포츠 센터의 운영목표는 교육, 홍보, 지역사회 봉사, 수익창출 등 어느 한 가지 운영목표가 우선시 된다면 나머지 운영목표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