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부관계 및 부모 - 자녀관계가 장애자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현정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on the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 And this study compared family of the handicapped child with family of the nonhandicapped children for understanding the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 The samples selected for this investigation were 93 sibling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special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heir mothers. And 19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5th and 6th graders.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Furman & Buhrmester, 1985),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Oh Sung Sim & Lee Jong Seung, 1982) and Olson et al's Couple Relationship scale. Parents-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were responsed by children, couple relationship was answered by mothers. Th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have four main factors, namely Warmth/intimacy, Conflict, Relative status/power and Rivalry.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 have also four major factors such as Affection, Autonomy, Achievement and Rationality. The Olson et al's Couple Relationship scale are consist of five factors such as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personality of spouse, life style, leisure activity and sharing of role. The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Stepwise) using SA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between handicapped family and nonhandicapped family on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of handicapped family appeared more hostile, controlled and irrational than nonhandicapped family i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 even sibling relationship, sibling of handicapped family appeared less warmhearted, intimate and to perceive sibling partiality very muc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uple relationship and parents-child relationship on sibling relationship were as follow : In case of warmth/intimacy of factors of sibling relationship, affection-hostility, accomplishment-nonaccomplishment and life style variable had influenced on the handicapped family. And affection-hostility, autonomy-control,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variables had influenced on the nonhandicapped family. Variables of effect on conflict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were rationality-irrationality and personality of spouse in the handicapped family, rationality-irrationality, autonomy-control and leisure activity in the nonhandicapped family. In estimating relative status/power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relationality-irrationality and autonomy-control in the handicapped family, accomplishment-nonaccomplishment in the nonhandicapped family were influential variables. In rivalry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affection-hostility,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variables had influenced on both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family. In addition to, rationality- irrationality had influence on the nonhandicapped family. 최근 대가족이 핵가족화 되고 인구 이동율이 높아지고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아동들이 어른들보다는 비슷한 나이 또래인 형제들과 상호작용 할 기회가 증가되면서 형제관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장애아 가정의 경우에도 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의 형제관계의 중요성은 예외일 수 없고, 오히려 장애아동의 특성상 더욱 부각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애아 가정에서의 형제관계는 장애아와 비장애형제 모두의 발달과 행복을 위해서 중요하다. 최근에는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가족을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사회체제로 보는 가족체계이론에 근거하여 형제관계를 살펴보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제관계와 함께 가족을 구성하는 하위체계인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형제관계에 대한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 가족 전체의 맥락 속에서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를 파악하고,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관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에서의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는 형제관 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일반학교 내의 특수학급 4개 반과 특수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93명의 장애아동 어머니와 그들의 비장애 형제, 그리고 서울시내 3개 일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99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형제관계를 측정하고자 Furman과 Buhrmester(1985)가 제작한 것을 박영애(1995)가 번안한 형제관계 조사도구(Sibling Relationship Questionaire ; SRQ)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하고자 이종승과 오성심(1982)이 제작한 "부모 양육태도 지각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부부관계 측정도구로는 1982년 David H. Olson, David G. Fournier, Joahn M, Druckman 등이 개발한 ENRICH(Enriching and Nurturing Relationship Issues, Communication and Happiness)를 김윤희(1989)가 요인분석을 통해 8개 하위요인 73개 항목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형제관계를 예측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관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자녀관계의 경우 장애아 가정의 부모-자녀관계가 일반가정의 부모-자녀관계 보다 적대적이고 통제적이며 비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제관계에 있어서도 장애아 가정의 형제들이 덜 온정적이고 덜 친밀하며 형제편애를 많이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아 가정의 비장애형제들은 장애형제를 돌보거나 지배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가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형제관계의 하위요인 중 온정/친밀감 요인에 대해서는, 장애아 가정의 경우 애정-적대와 성취-비성취, 생활태도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가정은 애정-적대와 자율-통제, 애정 및 배우자와의 대화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정/친밀감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부모-자녀관계 중에 애정-적대 변인이 공통적으로 큰 기여도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부부관계 보다는 부모-자녀관계가 형제의 온정/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제관계의 갈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장애아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와 배우자의 성격이 나타났고, 일반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와 자율-통제, 여가활동이 나타났다. 갈등 요인의 경우, 합리-비합리 변인이 두 집단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지위와 권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부관계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고, 부모-자녀관계에서 장애아 가정은 합리-비합리와 자율-통제가, 일반가정은 성취-비성취가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경쟁의식에서는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애정-적대 변인과 애정 및 배우자와의 대화 변인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 변인이 형제간 경쟁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의 부모간 갈등 지각과 대처행동 및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박수영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47

        One of the major goal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coping stranges accordng to children's age and gender. The other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exposure to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 the degree to which children involve themselves in, distance themselves from, and/or seek support when confronted by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motional adjustment. The surveys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398 children who were in fourth or sixth grade in two elementary scools in Seoul. The content of surveys include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Children's coping strategies depending the soverity of interparental conflicts; and report on children's hostility,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to examine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major results ae as followins: 1. 31% of children from the survey responded to witness parents' marital conflict was 31%, and among them 3-5%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frequent and serious levels of parents' marital conflicts. 2. Among different coping strategies to interparental conflicts that children reported, 40$ was avoidance, self-involvement was 34%, and seeking social support was 25%. As interparental conflict becomes more severe, children are more likely to seek other social support. 3. Depending on the children's age and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reports of parents' marital cnflict and children's coping strateies. Boys had more experienced parents' marital conflicts than girls. Boys were more sensitive to these kinds of situation. Children's coping strategies. Boys had moe experienced parents' marital conflicts than girls. Boys were more sensitive to these kinds of situation. Children's coping strategies we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ge. Younger children more frequently attempted to directly involve in interparental conflicts and solve the problem of their parents than older children. 4. As children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s more severe, children tended to be more hostile, unstable, and depressing. And children's reported use of avoid coping strategi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hostility, anxiety, depression but pos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self-esteem. Children's reports of parent's marital conflic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reported use of involving strategies and support seeking strategies. 5. The frequency and/ or intensity of marital conflict that children witnessed is mentioned as a powerful predictor of the child's adjustment. The strategies that children used to cope with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s are also an important predictor of child adjustment. Higher levels of reported avoidance in parents' marital conflict was associated with higher hostility, anxiety, depression. However, parents' marital conflict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children's adjustment more than other cop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가정내 부모간 갈등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부모간 갈등에 대한 아동의 대처행동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의 일반적 특성(연령과 성)에 따라 부모간 갈등을 지각하는데 차이가 있는지, 또 부모간 갈등에 대해 아동이 취하는 대처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동의 연령과 성,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간 갈등정도, 아동이 취하는 대처행동 중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학생 398명을 무선으로 표집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대한 질문지를 비롯하여 부모간 갈등지각 척도와 부모간 갈등 상황시 아동이 취하는 대치행동 질문지, 그리고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살펴보기 위한 자아개념, 적대감, 불안, 우울 질문지를 아동에게 배부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은 SA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성과 연령에 따른 부모간 갈등의 지각과 대처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사용하였다. 회귀분석에 앞서 아동의 일반적 특성, 아동이 지각한 가정내 부모간 갈등, 아동의 대처행동과 같은 각 독립벼인군과 종속 변인 사이에 상관관계를 살펴 보았고,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상태에서 부모간 갈등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예측하는데 얼마나 기여하는지, 또 부모간 갈등과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상황에서 아동의 대처행동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내 부모간 갈등상황에 대하여 경험한 적이 있다고 반응한 아동의 응답률은 전체 반응의 총 31%에 달했으며 이 중 3-5%는 심각한 수준의 부모간 갈등을 빈번하게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아동의 부모간 갈등에 대한 대처행동 중 대상 아동들이 보고한 회피적인 대처행동이 약 40%를 차지했으며 개입적 대처행동은 34%, 사회적 지원을 구하는 대처행동은 25%를 차지했다. 또한 부모간 갈등의 표출방법이 적대적이고 공격적이 될수록 아동의 사회적 지원을 구하는 대처행동의 반응수가 증가하였다. 셋째, 아동의 연령과 성에 따라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간 갈등과 대처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먼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남아가 여아보다 부모간 갈등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남아가 여아보다 부모간 갈등상황에 대해 더 민감하고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아동의 연령은 아동이 취하는 대처행동유형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낮을수록 더 개입적인 대처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어릴수록 부모의 갈등에 대해 직접 중재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를 많이 한다고 볼 수 있따. 넷째, 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부모간 갈등정도 및 대처행동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부모간 갈등정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적대감과 불안, 우울경향이 높음을 보였다. 또한 부모간 갈등정도와 대처행동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r=.41)을 보여 부모간 갈등 정도가 클 수록 아동은 사회적 지원을 구하는 대처행동을 취하며 개입적인 대처행동도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사회적 자원을 구하는 대처행동과 개입적 대처행동 사이에서도 정적 상관(r=.41)이 드러나 아동이 지각한 부모간 갈등이 높을수록 아동은 개입적인 대처행동과 사회적 지원을 구하는 대처행동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 결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간 갈등이 이동의 적대감과 불안, 우울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으며 대처행동 역시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쳐 갈등상황을 회피하는 아이들이 더 높은 심리적 적응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쳐 갈등상황을 회피하는 아이들이 더 높은 심리적 부적응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비롯한 부모간 갈등과 아동의 대처행동을 모두 함께 고려했을 때 부모간 갈등정도가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PC를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음란영상물의 청소년 접촉 및 규제실태

        성윤숙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31

        정보화사회의 도래와 함께 컴퓨터 음란영상물의 급격한 유포로 청소년들의 성 가치관, 여성에 대한 태도, 성 역할 관념의 형성 등 청소년기에 완수해야 할 발달과업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정서적인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PC상의 멀티미디어 음란 영상물에 대한 청소년들의 접촉 및 규제실태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음란 영상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다 낳은 심의·규제대책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단계와 성별을 고려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중학생, 상업계 고등학생 총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7.5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구하고, t-test, {{{{ chi ^2}}}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음란 영상물의 심의·규제제도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357명)의 78.2%(279명)에 해당하는 청소년들이 PC상의 멀티미디어 음란 영상물에 접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남자(97.3%)가 여자(30.4%)보다 접촉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청소년들의 71.1%가 고등학교 이전에 멀티미디어 음란 영상물을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란 영상물 첫 접촉 동기는 또래 집단의 권유에 의한 접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음란 영상물 이용시 동참자는 55.5%가 친구와 함께 이용한다고 응답했고, 혼자, 형제, 학교 선배나 친척과 함께 한다는 순으로 나타났다. 음란 영상물 이용장소는 친구 집이 47.9%로 가장 높았고 음란 영상물 이용 빈도를 살펴본 결과 55.1%는 적어도 한달에 한두 번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음란 영상물 접촉경로는 58.0%의 청소년들이 음란 영상물을 친구로부터 불법복제, PC통신, 인터넷, 컴퓨터상가, 소규모 사설 게시판(bulletin board system, BBS) 순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사설 BBS는 매스컴이나 다른 연구물에서 가장 심각한 음란물 유통경로로 다루어왔지만 본 연구결과 다루어졌던 바와는 달리 음란물 유통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C상의 멀티미디어 음란 영상물을 접촉할 때, 갖게되는 정서적 반응은 주인공화, 자위행위충동, 추행욕구, 공부 중 음란연상, 관람충동, 불안감, 음란 연상, 죄책감, 성적 욕구해소, 성 혐오감, 성적 충동, 성적 쾌락충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서적 반응에 있어 죄책감과 불안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성 혐오감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는 남자청소년들이 여자청소년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들이 음란 영상물에 접촉함으로써 갖게되는 성 관련 행동반응은 성추행 경험, 성 경험, 폭언·음담패설, 음란피해경험, 자위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PC통신을 통해 대화방에서 폭언이나 음담패설 피해 경험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는 남자청소년들이 여자청소년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폭언·음담패설을 해본 경험은 남자청소년들과 여자청소년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멀티미디어 음란 영상물 유통에 따른 음란 행위 중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 중에서 음란 프로그램을 친구에게 복사해서 얻은 경험은 여자청소년들이 남자청소년들 보다 높게 나타났고, PC통신을 통해 성인 방에 들어가 본 경험은 남자 청소년들이 여자청소년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사이트의 18세미만 이용자 접속금지 '경고인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자청소년들이 남자 청소년들보다 인터넷 사이트의 18세미만 이용자 접속금지 경고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사이트의 18세미만 이용자 접속금지 경고가 음란물 접촉을 막는다는 '효과인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PC상의 멀티미디어 음란영상물 규제현황을 살펴본 결과 오락용CD, CD-ROM Title과 같은 새 영상물과 PC통신,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물을 심의·규제함에 있어 새 영상물은 심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정보통신물은 음란물규제에 대한 관련법 중복, 음란물에 대한 심의기준이 모호하며 관련부처가 산재되어 있는 등 음란물을 심의·규제함에 있어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dolescents' exposure to and regulation of multimedia pornography. It also focuses on the current deliberation system of pornographic materials and make a policy recommendation for protection of the adolescents from the harmful materials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Taking into account youth developmental stage and gender,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9 students from the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in Seoul, capital city of Korea. The data was analyzed employing frequency, mean, percentage, t-test, and Chi-square test. In addition, qualitative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laws, regulations, deliberation system of multimedia pornograph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78.2%(279) out of 357 respondents reports to contact multimedia pornography. Boys(97.3%) are higher than girls(30.4%) at the exposure rate. 71.1% of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are exposed to pornography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before reaching high school age.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reports that the first exposure is made due to peer pressure and that 55.5% uses pornography together with friends. The place of pornography consumption is friends' house(47.9%). Fifty-five percent of the adolescents use multimedia pornography at least once or twice a month. The major route(58.0%) to getting pornography is illegal copies from friends, internet, computer software dealers, and bulletin board systems in order of frequency. Second, adolescents' emotional responses to multimedia pornography include identification to actors, provocation of masturbation, impulse to sexual violence, obscene imagination while studying, addiction to pornography, fear, imagination of sex, guilty, fulfillment of sexual desire, sex abhorrence, elevated sexual desire, pursuit of sexual pleasure and so forth.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except 'guilty' and 'fear' exist. Boys are higher than girls in all the categories except 'sex abhorrence.' In addition, adolescents' behavioral responses to multimedia pornography encompass sexual harassment, intercourse, abusive and indecent language, sexual exploitation, masturbation and so on. Boys are higher than girls in the behavioral responses except 'abusive and indecent language.' Third, girls are higher than boys in the experience in illegal copy of pornography. Boys are more likely to use adult sites than girls. Fourth,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warning' messages on adult sites exists. Girls are higher than boys in such a recognition.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such a warning message appears to exist. Finally, some problems in deliberation and regulation of multimedia pornography are found. Deliberation of new media such as entertainment CD, CD-ROM titles is not systematically carried out. For instance, educational CD-ROM titles sometimes contain pornography at the end of the program. Some laws and rules on online pornography are out of date and multiple regulatory bodies cause inconsistency in regulation and deliberation.

      • 국민연금기금의 효율적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를 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김민정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민연금제도는 국민의 노령.질병 또는 사망에 대하여 연금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국민연금법 제1조)으로 1988년부터 시행되었다. 그러나 지난 9년간 국민연금제도를 실시해 오면서 가입자의 범위, 연금재정의 운영방식, 연금제도의 기본구조, 연금적립기금의 성격, 연금기금의 투자배분 및 투자대상 등 제도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의 국민연금기금은 정부의 방만한 운영이나 지나친 공공부문에의 투자 등으로 기금운영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는데다가 구조적인 문제점까지 안고 있어 결국에 가서는 기금이 바닥날 지경에까지 이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지금까지 제시되어온 해결방안들은 보험요율이나 연금수급연령 혹은 연금수급 최소가입기간, 연금급여수준 등을 조절하여 기본적인 연금의 구조를 개선하고 연금의 고갈시기를 늦추자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금의 효율적인 운영방법과 구체적인 대안의 제시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연금기금의 효율적 운용 중에서도 금융자산의 운용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연금기금의 특성상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유지하여 기금의 기본적인 목표를 달성하면서 최대한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보아 앞으로의 기금운영에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제시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최적자산배분의 일반적인 원칙과 이론을 살펴보고 연금자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일반적인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Martin L. Leibowitw, Lawrence N. Bader, Stanley Kogelman의 모형을 소개하였다. 이 모형의 특징은 연기금의 관리자가 다음과 같은 제약을 가진다는 점이다. [제약] 연간수익이 R% 아래로 내려갈 확률이 P% 미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형의 현실 적용을 위해 세 개의 변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하였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약이 있는 최적화문제의 수치해(Numerieal solution)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현황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simulation)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투자대상 자신을 n개까지 늘려서 분석할 수 있도록 모델을 확장하는 방법이나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투자기간의 변화나 듀레이션(duration)을 고려한 연구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그리고 한가지 더 기억할 것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기금의 효율적인 운용방안은 자산운용의 자율성 확보와 투자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는 전문인력에 의한 연기금 운용 등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전제하에서만 이 논문의 결과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system has been enforced since 1988 to contribute to the living stability of citizens and welfare pormotion by enforcing the pension payment for aged persons, ailment and death of citizens(Article 1 of National pension Act.) However, while enforcing the national pension institution for the last 9 years, there have occured many problems about the scope of participants, the operational methods of pension finance, the basic structures of pension institution, the nature of pension saving funds, the investing dividends of pension funds and the fields to which investment should be made. And so it seems that the debates and the concerns about it shall be increased on and on in future. Among the said discussing subjects, this study has discussed [Restriction] : It is required that there be a probability of R% or less that the return falls below a P% threshold over the one-year horizon. In this study, this model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3 variables, and then the numerical solution having the restrictions has been gained through computer program and the simulation has been analyzed. In future, the assets to be invested shall be incrased up to n pcs. expands model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mputer logics. And if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change in investment period and duration which this study could not deal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shall be done more precisely. But the effective oprational plan of the pension funds suggested in this study shall be done by specialist who can exactly evaluate and analyze the autonomic nature and the exact evaluation of investment value. Only with these premi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all have meaningful significance.

      •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 및 대인관계성향과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의 관계

        김미연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play therapist's technical characteristic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as personal variations and a child's therapy-resistance and thus to reveal how a play therapist influences a child during counseling. Those surveyed for this were ninety seven play therapists who were working on a play therapy. For the researc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a play therapist's technical characteristic. And Ahn Berm-Hee's interpersonal rations orientation test reformulated on the basis of Leary's interpersonal mode of reaction and Krech's interpersonal reaction was exploited to examine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Also, in order to assess a child's therapy-resistance, the method that Kim Kyung-Ok has developed by analyzing adults' therapy-resistance and other resources in reference to psychoanalytical theories was us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e of a statistics program, SPSS 12.0.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to investigate play therapists' and children's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o examine reliability of play therapists'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and children's therapy-resistance. In regard to differentiated influence of play therapist's technical characteristic on therapy-resistanc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s mothod wer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on therapy-resistance. This research produced the summary outcomes as follows: 1) Regarding academic degrees in relation with play therapists' technical characteristics, the therapy-resistance of those in the Undergraduate and Master's programs were lower than that of those in the Master's and Ph. D's programs in terms of positive-aggressive resistance and total average of therapy-resistance. 2) With respect to the existence of counseling-related licenses, those with licenses were lower than those without them in terms of positive-aggressive resistance and total average of therapy-resistance. 3) In regard to the length of work experience, therapy-resistance of those with more than 3-year experience were lower than that of those with less than 3-year. When it comes to the number of cases, the therapy-resistance of those with less than 10 cases were lower than that of other three groups in terms of positive-aggressive resistance and total average of therapy-resistance. Also, in connection with passive-evasive resistance, the therapy-resistance of those with less than 10 cases were lower than that of those with from 11 to 40 cases and those with from 41 to 100 cases. In relation with therapy-participation resistance, the therapy-resistance of those with less than 10 cases were lower than that of those with from 11 to 40 cases. 4)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therapy-resistance of those with from 11 to 50 supervisory cases were lower than that of those with more than 51 cases in terms of positive-aggressive resistance. 5) Regarding the frequency of personal counseling (education analysis),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children's therapy-resistance. 6) In regard to a play therapist's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social-friendly orientation lowered silent resistance and competitive-aggressive orientation increased silent resistance. 7) In relation with a play therapist's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less dominant-controlling orientation increased positive-aggressive resistance and disobedient-distrustful orientation increased positive-aggressive resistance. 8) With respect to a play therapist's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those with independent-responsible orientation had lower passive-evasive resistance. In contrast, those with disobedient-distrustful orientation had higher passive-evasive resistance. 9) In regard to a play therapist's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those with more disobedient-distrustful orientation had higher therapy-participation resistance, silent resistance and therapy-resistance out of total average. 10) Out of a play therapis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s (involving positive-aggressive resistance, passive-evasive resistance, therapy-participation resistance, silent resistance, therapy-resistance on averag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hildren's therapy-resistance was disobedient-distrustful orientation.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 및 대인관계성향이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놀이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놀이치료자의 전문적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 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Leary(1957)의 대인관계 행동모형과 Krech(1962)등이 밝힌 대인적 반응특성을 참조하여 안범희(1985)가 재구성한 대인관계 성향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성인상담에서의 저항척도, 정신분석이론의 저항관련 문헌 등을 고찰하여 김경옥(2008)이 개발한 척도롤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인 놀이치료자의 일반적 특성 및 전문적특성과 내담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성향과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에 따른 치료저항의 차이를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량 분석을 실시하고 Scheffe검증을 하였고, 대인관계성향이 치료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중 학위에서 학사·석사과정 및 수료집단이 석사·박사과정 및 수료·박사집단보다 적극-공격적 저항, 치료저항 전체평균에서 치료저항이 낮았다. 2)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 중 놀이치료 및 상담관련 자격증 유무에서 치료사 자격증을 가진 집단이 자격증이 없는 집단보다 적극-공격적 저항, 치료저항 전체평균에서 치료저항이 낮았다. 3)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 근무연수에서 3년미만인 집단이 3년이상인 집단보다 적극-공격적 저항에서 치료저항이 낮았다. 사례수에서는 사례수가 10명이하인 집단이 다른 세 집단보다 적극-공격적 저항, 치료저항 전체평균에서 치료저항이 낮았다. 또한 소극-회피적 저항에서는 사례수가 10명이하인 집단이 11명이상-40명이하, 41명이상-100이하인집단보다 치료저항이 낮게 낮았으며 치료참여거부저항에서는 사례수가 10명이하인 집단이 11명이상-40명이하인 집단보다 치료저항이 낮았다. 4)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 중 슈퍼비전 횟수에서 11회이상-50회이하인 집단이 51회이상인 집단보다 적극-공격적 저항에서 치료저항이 낮았다. 5)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 중 개인상담(교육분석) 횟수는 내담아동의 치료저항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 성향 중 사교적-우호적 성향이 침묵저항을 낮추고 경쟁적-공격적 성향이 침묵저항을 높였다. 7)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 성향중 지배적-우월적 성향이 낮을수록 적극-공격적 저항을 높이고 반항적-불신적 성향일수록 적극-공격적 저항을 높였다. 8)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 성향 중 독립적-책임적 성향일수록 소극-회피적 저항이 낮았고 반항적-불신적 성향일수록 소극-회피적 저항이 높았다. 9)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 성향중 반항적-불신적 성향일수록 치료참여거부 저항, 침묵저항, 치료저항 전체평균의 치료저항이 높았다. 10)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 및 대인관계성향의 하위요인 중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적극-공격적 저항, 소극-회피적 저항, 치료참여거부 저항, 침묵저항, 치료저항 전체평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반항적-불신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 놀이치료자의 놀이성과 경력,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

        양은실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layfulness, a personal characteristic, of play therapists from that of general adults, 2) to analyze the relation of playfulness and a career to an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in the play 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play therapists who had experienced over one case of the play therapy and 165 adults over 18 years old. To measure playfulnes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odified Shaefer & Greenberg's Playfulness Scale for Adults (PSA) and Landreth & Kao's Play Therapy Attitude- Knowledge-Skills Survey (PTAKSS) for self-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layfulness of therapist was disclosed as high informal, compared with that of general ad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variables.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layfulness of therapists by career in play therapy such as working years, the number of counselling cases. 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n attitude by career, wherea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knowledge and skills by it. That is, it revealed that the more experiences of play therapy were, the higher knowledge and skills increased.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of therapists and an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on an attitude was fun-loving, while there were no predictable variables on knowledge and skills.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by career and an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first, fun-loving variable exerted a positive affect on an attitude in a group of short working year, and informal and enjoys silliness affected positively on an attitude in a group of long working year. In the latter group, there reveal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and knowledg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skills by working year. Secondly, in the largest number group of counselling cases, enjoys silliness affected positively on an attitude, whereas there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and enjoys silliness in the middle group. In the smallest number group of counselling cases, there reveal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and skills.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성격적 특성인 놀이성이 일반 성인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놀이성과 경력이 놀이치료에 대한 태도, 지식, 기술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사례이상의 놀이치료 경험이 있는 놀이치료자 46명과 만 18세 이상의 성인 165명이었다.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Shaefer와 Greenberg(1997)의 성인용 놀이성 척도(Playfulness Scale for Adult : PSA)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놀이치료 태도, 지식,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Landreth와 Kao(1997)가 개발한 자기평가식 놀이치료 태도, 지식, 기술 척도(The Play Therapy Attitude-Knowledge-Skills Survey : PTAKSS)를 교수 1인, 놀이치료전문가 1인과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요인분석, t검증, 변량분석, Duncan 검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놀이성은 일반성인과 비교해 비형식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놀이성은 경력(근무연수, 상담사례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경력(근무연수, 상담사례수)에 따른 놀이치료 태도, 지식, 기술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경력에 따른 태도에는 차이가 없었고, 지식과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지식과 기술은 놀이치료 경험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치료자의 놀이성과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를 보면, 놀이치료자의 태도를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은 재미탐닉 변인이었고, 지식과 기술을 예측해주는 변인은 없었다. 다섯째, 경력에 따른 놀이성과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에서 먼저, 근무연수가 작은 집단에서는 재미탐닉 변인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근무연수가 오래된 집단에서는 비형식성과 익살스러움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근무연수가 오래된 집단의 경우 유머감각과 지식이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근무연수에 따른 놀이성과 기술과는 관계가 없었다. 다음으로 상담사례수가 가장 많은 집단의 경우 재미탐닉 변인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상담사례수가 중간 집단에서는 비형식성과 재미탐닉이 지식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상담사례수가 가장 작은 집단은 유머감각이 기술과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의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과 사회불안의 관계

        이은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아동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아동의 신체상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사회불안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620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아동의 신체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체-자아에 관한 다차원척도(MBSRQ)에서 신체만족도(BASS)에 관한 15문항을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ㆍ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SPAI-C)’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의 상호설명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신체상은 사회불안의 하위 요인인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 모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신체상이 부정적일수록 사회불안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사회불안의 각 하위 요인인 수행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 모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불안 수준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신체상은 사회불안에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아의 경우, 신체상은 사회불안의 하위 요인 중 비주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의 직ㆍ간접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 신체상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사회불안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확인시켜줌으로써 아동의 사회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 개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the physical features and a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ex have on social instability. For this, this research checked out the effects that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have on social instability, the effects that a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have on social instability, and in what routes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have effects on social inst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a sense of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6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in the city of Seoul and Kyoungki do, and the following measurement tool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To begin with, in order to examine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15 questions regarding BASS out of MBSRQ related to body-ego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a sense of self-esteem, the gauge for asense of self-esteem by Rosenberg(1965) was used, and in order to measure social instability, SPAI-C was used.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have meaningful influences in a negative way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instability of performance anxiety, fear against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activities and accidents, fear against something unfamiliar, and non-assertive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a sense of self-esteem of children have meaningful effects on in a negative way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instability of performance anxiety, fear against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activities and accidents, fear against something unfamiliar, and non-assertiveness. Third, if we take a look at the routes among the physical features, a sense of self-esteem, and social instability according to their sex, while it was shown that in case of male children, the physical features have only indirect effects on social instability through a sense of self-esteem, the physical features of children, in case of female ones, have direct effects on non-assertiveness, one of the lower factors of social instability and at the same time have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a sense of self-esteem.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meaningful in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the physical features and a sense of self-esteem have on children’s social instability were verified. Namely, by identifying the indirect effects of the physical features on social instability through a sense of self-esteem, it provided basis data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order to reduce children’s social instability.

      • 독일어 부정사에 대한 고찰-부정사의 응집구조를 중심으로

        김부미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의 목표는 응집적 부정사 구조(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를 생성변형문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형태론적 관점에서 독일어 동사는 정형(finit)동사와 부정형(infinit)동사로 구별될 수 있다. 정형동사는 문장에서 성, 수, 시제 및 화법을 나타낼 수 있는 활용동사인 반면에, 부정형 동사로서의 부정사는 형태상으로 변형될 수 없고 그 때문에 이러한 동사적 범주(성, 수, 시제 및 화법)를 특징지을 수 없다. 따라서 독일어 부정사는 대부분 주절에 종속되어 주절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보문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정사 구조 중에서도 상위동사(Matrixverb)와 보문동사(Komplementverb)가 동사복합체(Verbkomplex)를 형성하고 단일 문장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응집적 부정사구조(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라고 한다. 응집적 부정사구조라는 개념은 Gunar Bech가 그의 저서 Studien ber das deutsche verbum infinitum(1955)에서 처음 제시하였는 데, Bech의 독일어 부정사 구조에 대한 분석에는 생성문법 분석의 이론 구조에 기초한 인지적 통찰이 있었다. 그 때문에 응집적 부정사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생성문법이론에 기초하여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1장에서는 부정사를 형태적으로 분류한다. 독일어 부정사는 불변화사 'zu'를 통한 특별한 단어형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zu는 직접적으로 부정사 앞에 놓이거나 동사의 처음과 끝 부분 사이에 놓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부정사 기능에서 zu는 필수적이고, 화법조동사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zu가 없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 장에서는 독일어의 zu를 포함하지 않는 부정사와 zu를 포함하는 부정사로 나누어 고찰한다. 2장에서는 zu-부정사구문이 접속사가 있는 부문장과 갖는 관계와 상호전환 가능성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부정사구문의 의미적 주어가 주문장의 어떤 성분에 의해 통제되는가를 분석하고 응집구조와 관련된 특별한 구조형태를 보이는 동사들을 분류한다. 독일어 부정사의 응집성은 상위동사와 보문동사의 밀접성 여부에 관련된 것이어서 그 구문이 응집적인가 비응집적인가는 상위동사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응집성을 보이는 상위동사로는 화법조동사, 지각동사, 사역동사 및 주어통제동사 등이 있다. 이 동사들은 특별한 속성을 보여주는 보문을 취하면서 항상 문장 내에서 상위동사와 보문동사가 동사복합체(Verbalkomplex)를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부정사구문이 비응집구문과 응집구문으로 구분되는 기준과 그 기준에 따른 응집구문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 자리바꾸기(Scrambling)와 A.c.I(Akkusativus cum Infinitivo)구조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재귀대명사가 인칭대명사와 어떤 상보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응집부정사구문의 가장 일반적인 기준으로는 한 문장이 문장가치가 있는 단위를 포함하고 있는가 아닌가하는 것이다. 즉, 그것이 한 문장을 포함하고 있으면 비응집적이고, 반대로 한 문장을 포함하지 않았으면 응집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응집구문이 되려면 외치(Extraposition)가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문장경계에 장벽이 없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주문동사와 보문동사가 밀접하게 연결되는 것을 방해하는 어떤 요소도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응집 부정사구조에서는 부정어(Negation)의 영역이 주문장 동사에까지 미치게 된다. 여기에서 문장은 뚜렷한 경계를 가진 통사적 단위로 생각된다. 예를들어 문장성분은 문장경계 내에서만 재귀대명사화될 수 있고, 문장성분은 문장경계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으며 더불어 문장은 전체적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응집 기준에 합당하는 구조의 대표적 예로는 A.c.I구조가 있다. 이 구조의 특징은 주동사가 4격목적어와 부정사를 보충어로서 취하는 데 이때 명사구의 4격이 상위문 동사에 의해 할당되며, 이 명사구의 의미역은 부정사구의 술부로부터 부여된다는 것이다. A.c.I외에 응집구조의 증거로써 자리바꾸기(Scrambling)와 재귀대명사화(Reflexivierung)가 있는 데, 자리바꾸기는 대명사가 응집영역안에서만 앞으로 이동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재귀대명사화는 결속이론을 통해서 인칭대명사가 아니라, 재귀대명사가 나타나는 이유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모든 문제를 다룰 때에 생성문법의 일반가설과 보편원리를 사용하여 분석하지만, 원리에 치중하지 않고 많은 예문을 제시함으로써 이해를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응집부정사구조는 최근에 와서 최소성 이론을 통해서 분석되었는데, 특히 응집부정사구조에 대한 연구는 Rizzi의 상대화된 최소성이론, Baker의 통합이론, Chomsky의 장벽이론, Fanselow의 격최소성이론 등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앞으로 생성변형문법이 언어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만큼 이러한 독일어 부정사의 응집구조가 다른 여러 언어들에서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 가에 대해서 연구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Die Ziel von der vorliegenden Arbeit ist, die 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 anhand der generativen Transformationsgrammatik zu analysieren. Im morphologischer Hinsicht ist beim Verb zwischen der finiten Form und den infiniten Formen(Infinitiv, Partizip) zu unterscheiden.Die finite Verform ist die konjugierte Verbform im Satz, mit der Person, Numerus, Tempus and Modus bezeichnet werden. Der Infinitiv als infinite Verbform ist morphologisch unver nderlich und deshalb nicht imstande diese verbalen Kategorien zu kennzeichnen.Folglich erg nzt der Infinitiv die Bedeutung des Hauptsatzes als Komplementsatz und ist dem Hauptsatz untergeordnet. Eine der Infinitivkonstruktionen ist "die koh rente Infinitivkonstruktion(KIK)", das hei t, das Matrixverb und das Komplementverb bilden einen Verbkomplex und eine monosententiale Konstruktion. Mit der vorliegende Arbeit kann folgenderma en zusammengefa t werden: Im 1. kapitel habe ich zwischen den Infinitiven mit 'zu' und den Infinitiven ohne 'zu' unterschieden.Der Partikel 'zu' steht entweder unmittelbar vor dem Infinitiv oder zwischen dem ersten Verbteil und dem Verbstamm. In den meisten Funktionen des Infinitives ist der Partikel 'zu' obligatorisch, aber in einigen besonderen Verwendungsweisen ist er fakultativ oder fehlt obligatorish. Im 2. Kapitel habe ich den Bezug zwischen "Infinitiv mit zu" und "da -Satz" behandelt. Der Infinitiv mit zu tritt meistens altermativ zum da -satz auf. Au erdem habe ich die Verbklassen behandelt, bei denen nur ein Infinitiv mit zu bzw. nur ein da -satz stehen kann. Dar ber hinaus habe ich dargestellt, woher der Inf seinen Subjektaktanten gewinnt. Diese werden in der generativen Literatur als das Kontrollproblem behandelt. Ich habe mir ansehen, welche Verben berhaupt Zu-Infinitive als Subjekte und als Objekte nehmen. Au erdem habe ich drei Verbklassen differenziert, die im Bezug auf KIK in der speziellen Konstruktionsform auftreten und die spezielle Komplementsatz nehmen: Verbanhebung, Subjektkontrollverb und Wahrnehmungsverben. Schlie lich, im 3. Kapitel habe ich ber die Kriterien f r Satzwertigkeit und Koh renz betrachtet und einige der klassischen Kriterien aufgelistet. Mit vorliegenden Kriterien habe ich zwischen der koh renten Konstruktion und der inkoh renten Konstruktion unterschieden. Als allgemeines Kriterium f r Koh renz kann gelten, ob eine Konstruktion eine satzwertige Einheit einbettet oder nicht.In der Literatur hei en S tze, die einen anderen Satz einbetten, inkoh rente Konstuktionen; insbesondere sind dies S tze, die satzwertige Infinitive enthalten. S tze, die keinen Satz einbetten, aber trotzdem eine Infinitivkonstruktion enthalten, hei en koh rent. Satzwertige Infinitive sind inkoh rent, und umgekehrt sind koh rente Infinitive nicht satzwertig. Au erdem habe ich die Umstellung der Satzglieder(Scrambling), die A.c.I(Akkusativus cum Infinitivo) und die Reflexivierung als Evidenz von der koh renten Infinitivkonstruktion behandelt.

      • 『金甁梅』에 나타난 奴婢硏究

        김미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Jinpingmei, one of the Four Great Classical Novels of China, is evaluated to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Unlike pre-Ming dynasty novels that depicted historical events or heroes as protagonists, Jinpingmei is a roman of Ming dynasty that depicted the rise and fall of a family, with ordinary lives and ordinary people as protagonists. It described in detail, and exposed, the wrongdoings and corruption of Ming dynasty society through an ordinary family. Especially, the author embodied multi-layer characters in the embodiment of charact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slaves appearing in the novel, with its theme being the study of slaves in Jinpingmei. First, I looked at the Ming society and analyzed the various roles and shapes of slaves raised in the Ming society. Especially, the Ming society was an era of widespread corruption and bribes and the slaves, the lowest of social ladder, were not free from such trend, which caused plenty of contradictions and corruptions. I contemplated corruption of the slaves by dividing noticeable slaves in Jinpingmei into five types and focusing on their diverse shapes. Also, by looking at the expressive techniques and languages used to describe the shape of slaves in Jinpingmei, I could find an outstanding artistic achievement. Jinpingmei is an important historical record reflecting the Ming society,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slaves of a period by vividly describing and reflecting slaves, the lowest class of society, as well as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a period. The study of slaves in Jinpingmei is expected to provide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slaves of Ming period, although it may be a fracture of history of slaves in China. 『金甁梅』는 중국의 四大奇書로서 문학사상 그 위치가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明代 이전의 소설들이 역사 사건이나 영웅들을 주인공으로 묘사한 것에 비해 『金甁梅』는 일상적인 생활과 일반인을 주인공으로 한 가정의 興亡盛衰를 묘사한 明代의 長篇小說이다. 일상 가정을 통해 明代 사회의 비리와 부패를 세밀하게 묘사하여 폭로하였고 특히 작가는 인물 형상화에 있어 多層的 人物을 형상화하였다. 본 연구는 ‘『金甁梅』에 나타난 奴婢硏究’라는 주제로 작품 속에 나타난 奴婢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明代 사회를 살펴보았고 明代 사회에서 양육되어 나온 노비의 다양한 역할과 노비형상을 분석하였다. 특히 明代 사회는 부패와 뇌물이 만연했던 시대로 이러한 당시의 풍조는 최하층 신분인 노비들에게도 예외는 아니였으며 많은 모순과 부패를 낳았다. 『金甁梅』작품 속에서 주목할 만한 노비들을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그들의 다양한 형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노비들의 부패상을 고찰하였다. 또한 『金甁梅』노비형상 묘사에 있어 사용된 표현기교와 언어를 살펴봄으로써 뛰어난 예술적 성취를 살펴볼 수 있었다.『金甁梅』는 明代 사회를 반영하는 중요한 史料로서 한 시대의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뿐만 아니라 당시 최하층 신분인 노비형상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반영함으로써 한 시대의 奴婢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金甁梅』에 나타난 奴婢硏究를 통해 中國 奴婢史의 한 단면일지도 모르지만 明代의 노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요인의 매개효과

        이선주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요인인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위치한 여자 고등학교 1, 2학년 544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우울증상의 측정을 위해 CES-D, 신체화 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아동 신체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신체감각 증폭 척도와 신체적 귀인 측정을 위한 증상 해석 질문지 그리고 자기초점주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의식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배경,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우울증상, 신체화 증상,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 자기초점주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상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여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요인인 신체감각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 자기초점주의 모두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여 인지 왜곡이 심할수록 신체화 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요인인 신체감각 증폭지각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우울증상이 신체화 증상으로 이어질 때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요인인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체적 귀인이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우울증상이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칠 때 신체적 귀인이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적 요인인 자기초점주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초점주의는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특히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적 귀인의 원인론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acts, which wer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omatic attribution and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adolescent' s depression symptom and somatization sympto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4 students in the 1st and 2nd grade in high schools located in Gwangju. They were assessed b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orean Version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and Self-consciousness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3.0 statistics program. In addition, Baron and Kenny' s(1986) model was used to verify mediational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adolescent' s depression symptom had a significant on total score of somatization symptom. It showed that depression symptom had the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 symptom. Second, cognitive facts, which wer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omatic attribution and self-focused att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matization symptom. I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acts and somatization symptom. Third, somato-sensory amplific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adolescent' s depression symptom and somatization symptom. Fourth, somatic attribution parlially mediated the associiations between female adolescent' s depression symptom and somatIzatIon symptom. Fifth, self-focused attention did not appear to be mediating effects between female adolescent' s depression symptom and somatIzatIon symptom. The results from the findings suggested that it was encouraged to consider cognitive fa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dolescent' s depression symptom and somatization symptom more comprehensively. Particularly, this study confirmed that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were proved to have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female adolescent' s depression symptom and somatization sympt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