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지각된 교수행동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박기범,송해덕,구자원,김연경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1

        Flipped learning is regarded as a promising educational method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with both schools and corporates rapidly transitioning to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teaching behaviors,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engagement in corporate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in flipped learning programs in domestic companies. A total of 200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teaching behaviors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Second, perceived teaching behavio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Third, learning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Fourth, learning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partial mediation) between perceived teaching behaviors and learning transfer. The study and its findings ha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기업교육 현장에서 플립드 러닝이 기존 집합교육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전이를 기업 플립드 러닝의 성과로 확인하고,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교수행동과 학습몰입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서 실시된 플립드 러닝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20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플립드 러닝에서 지각된 교수행동은 학습전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 플립드 러닝에서 지각된 교수행동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업 플립드 러닝에서 학습몰입은 학습전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기업 플립드 러닝에서 학습몰입은 지각된 교수행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교육에 플립드 러닝을 적용할 시에 고려해야 하는 학문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 근로자의 학습지원 환경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이승율,박지원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for organizations to survive and be competitiv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nd environments in which members can actively realize innovative behavior.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was tre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factors affects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HR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which innovative work behavior is induced.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00 workers who have worked at SMEs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for more than a year,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of innovative work behavior,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n addition, both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learning support environ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employee engagemen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 본 연구는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서 조직이 생존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원의혁신적 업무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성원들이 혁신행동을 적극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요인과 환경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학습지원 환경을 독립변인,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지원환경에 따라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혁신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혁신적 업무행동이 유발되는 과정의 이해를 통해 HRD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종사자 수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 1년 이상 재직한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지원 환경은 혁신적 업무행동, 자기효능감, 직원몰입 모두에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직원몰입과 혁신적 업무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직원몰입은 세 가지 변인 중 혁신적 업무행동에 가장큰 직접적인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 모두 학습지원 환경과 혁신적 업무행동 사이에서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직원몰입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지원 환경의 효과성을실증하고, 중소기업 HRD 연구의 확장이라는 학문적 시사점과 실제 조직에서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한 보완점 및 추가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A cluste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engagement and the cognition and motivation of workers

        황수정,홍아정,홍지웅,Marie Volpe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4

        In this study, cluster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cognitive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otivational factors (goal orientation) for employees to accept changes and increase their adaptability. In addition, the study checked for differences in employee engagement by cluster.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14 employees working for Korean companies. The research problem was ver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ree groups were clustered; cluster 1 (‘cognitive lack performance type’), cluster 2 (‘time-aware learning type’), and cluster 3 (‘opportunity-aware performance type’). Employee engagement differed between the clusters, with cluster 2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employee engagement, followed by cluster 3 and cluster 1.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al factors underlying employee participation. The present study adds value in that it combines two characteristics to distinguish and verify employee types.

      • KCI등재

        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자원, 심리적 자본, 학습민첩성, 직원몰입, 직무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박철,이진구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1

        The study has to primary purposes: One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resources, psychological capital, learning agility, employee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employee. The other wa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learning agility and employee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he study employed Korean translation of tools originally written in English as a measurement instrument. Out of the 665 survey responses received from S enterprise, the study analyzed(745 responses) for this study.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capital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gility and employee engagement. Second, job resource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 engagement and do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agility. Third, learning agility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But, employee engagemen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Fourth, learning agil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mployee engagement. Fifth, employee engagement has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Sixth, employee engagement has mediation effect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performance. But, learning agility does not lead to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performance. Lastly, learning agility and employee engagement have dual mediating effect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hese findings were crucial in reaching the study’s conclusion and finding its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구성원의 직무자원, 심리적 자본, 학습민첩성, 직원몰입, 직무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고 직무자원 및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 및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측정도구는 원저자의 영문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S기업의 사무직 근로자로부터 수집된 665부의 설문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와 AMOS 22.0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심리적 자본은 학습민첩성 및 직원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원은 직원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민첩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민첩성은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직원몰입은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민첩성은 직원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원몰입은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단순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원몰입은 직무자원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단순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과 직원몰입은 다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 개인의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과 자발적 행동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동시에 성과향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기여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 리더십 유형이 직원몰입을 매개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변혁적‧임파워링‧진성 리더십을 중심으로

        설웅환,조현정,김우철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1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a company is a factor for the sustainable survival of a company and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source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ompany. However, most SMEs are experiencing negative consequences from the departure of organizational members, which causes difficulty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S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of SME workers. In this study 321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or SME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empowering, authentic leadership, employe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empowering, and authentic leadership did not 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 engagement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ransformational, empowering, and authentic leadership,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an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among the model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leadership, employe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earch mod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loye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increasing employee commitment and lowering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comparing how transformational, empowering, and authentic leadership affect employee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SME organizational members, and what the actual utility of leadership through employee engagement is by leadership typ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은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한 요소이며, 기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중소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이탈로 인한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된다. 따라서 중소기업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을 실시하여 321개의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변혁적・임파워링‧진성 리더십, 직원몰입 및 이직의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변혁적‧임파워링‧진성 리더십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원몰입은 변혁적‧임파워링‧진성 리더십과는 정(+)적, 이직의도와는 부(-)적인 관계를 보이며, 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리더십과 직원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 중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직원몰입, 이직의도의연구모형이 조직구성원의 직원몰입을 높이며 이직의도를 낮추는 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변혁적‧임파워링‧진성 리더십이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직원몰입과 이직의도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직원몰입을 통한 리더십의 실제 효용은 어떠한지를 리더십 유형별로 비교하는 실증연구이며,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갈등 유형이 조직 내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국내 조직학습 관련 연구 중심으로

        고미라,오석영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조직 내 갈등 발생 유형에 따라 조직 내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갈등 발생 유형은 대인관계에 기반한 정서적인 관계갈등과 과업에 기반한 인지적인 과업갈등으로 분류하고 조직학습의 학습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무형식학습과 지식의 다수준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전이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 방식을 활용했으며, 무형식학습의 영향요인으로 개인특성과 직무특성으로 구분하고, 학습전이 영향요인으로 학습투입, 학습결과, 전이 상태로 구분하여 분석 모형을 설정했다. 연구대상은 갈등 발생 유형과 조직학습과 관련된 국내 실증연구 11건을 검토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갈등은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은 개인 학습자 특성인 학습활동, 지식창출 태도, 창의성, 혁신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조직 업무환경 특성인 지식공유, 조직혁신, 조직변화, 목표협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조직은 갈등 발생 유형에 따라 조직 학습과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변인에 집중하여 조직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전후 HRD 연구 주제 변화 분석

        전유진,조대연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research topics in major domestic HRD journals before and after COVID-19. To this end, a total of 710 papers from 2017 to 2022 were divided into pre-COVID-19 (2017-2019) and COVID-19 periods (2020-2022). Log odds ratio analysis, keywords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keywords of research before COVID-19 were ‘knowledge,’ ‘career development,’ ‘innovation,’ ‘cooperation,’ and ‘women.’Second, the core keywords of research in the COVID-19 period were ‘COVID-19,’ ‘employment,’ ‘job find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new topics and keywords emerged in the COVID-19 period. 'Pandemic,' 'remote work,' 'job crafting,' and ‘online learning' were frequently used keywords in the period. Based on these results, changes in research topics in HRD journals related to COVID-19 were described. Academic and practical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HRD field in response to COVID-19 were also suggested.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국내 주요 HRD 학술지의 연구 주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주요 HRD 학술지에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게재된 총 710편의 논문을 코로나19 이전(2017~2019년)과 코로나19 시기(2020~2022년)로 구분하여 로그 오즈비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전 국내 주요 HRD 학술지 연구의 핵심 키워드는 ‘지식’, ‘경력개발’, ‘혁신’, ‘협력’, ‘여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시기 연구의 핵심 키워드는 ‘코로나’, ‘고용’, ‘취업’, ‘조직문화’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시기 HRD 분야에서는 새로운 연구 주제와 키워드들이 등장하였는데, ‘팬데믹’, ‘재택근무’, ‘잡크래프팅’, ‘온라인학습’이 코로나19 시기 연구에서 상대적으로많이 사용된 키워드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관련 국내 주요 HRD 학술지의 연구 주제 변화를 서술하고, 코로나19라는 환경 변화에 HRD 분야가 대응하며 발전하기 위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Research Trend of Critical HRD in AHRD Conference Proceedings 2009-2021

        백평구,김남희,송민희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4

        In this study, we intend to capture diversified and pluralistic views on intellectual territory of CHRD. The central research questions is how CHRD research could be categorized through research papers in AHRD conference proceedings, which enables us to look at the meaning of CHRD on a discursive aspect. For this study, AHRD website (https://www.ahrd.org) was selected and a total of 232 papers included in the proceedings of AHRD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 in the Americas in 2009-2021 were collected. As a result, the ten topics are presented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and intertopic distance map makes five categories with 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topic as follows; (a) Topic 1 and 8 lie in the first quadrant. They represent understanding and meaning making in HRD with critical perspectives, (b) Topic 6 and 9 lie in the second quadrant. They advocate the nature of CHRD by challenging the status quo in HRD theory and practice. (c) Topic 4 and 7 lie in the third quadrant. They seem to be loosely tied development with organizing/managing in the textual surface, but we propose they show us variation in conceptualizing development in HRD. (d) Topic 2 and 5, Topic 3 and 10 lie in the fourth quadrant. The former covers identity issues, the latter social justice and recognition. In conclusion, CHRD researchers need to embrace multiple truths, politics, emancipation, iconoclasm, complexity as attributes of CHRD concept.

      • KCI등재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and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on Learning Leader Competency in University Students

        전주성,윤진경,배희라,이경화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and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on the learning leader competenc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t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by gender, major, and grade. The study samples were 757 students from University A in Seoul who were taking liberal arts cour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cales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learning leader competency.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learning leader competency.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and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learning leader competency.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learning leader competency based on gender, major, and grade.

      • KCI등재

        코로나 19시기의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대학생의 대학적응: 기본심리욕구, 우울 및 스마트폰 의존과의 구조적 관계

        유경철,안도희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시기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학적응 증진방안을 마련하고자 기본심리욕구, 우울, 스마트폰 의존 및 대학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한 640명의 대학생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심리욕구(자율성, 관계성, 유능감)는 우울과 스마트폰 의존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적응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은 스마트폰 의존과 정적 상관을, 대학적응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스마트폰 의존도 대학적응과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는 대학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우울증과 스마트폰 의존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다집단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의존이 대학적응에 끼치는 영향력은 저학년이 고학년에 비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대학생의 대학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