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동균 세포외막 단백질 백신 CFC-1-101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검토 : 임상 제 Ⅰ/Ⅱa상 시험

        장인진,김익상,유경상,임동석,김형기,신상구,장우현,박완제,이나경,정상보,안동호,조양제,안보영,이윤하,김영지,남성우,김현수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목적 : 제일제당에서는 녹농균의 세포외막 단밸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백신인 CFC-101을 개발하였으며, 동물시험에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녹농균 백신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인체 접종시의 최적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 I/Ⅱa상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 건강한 성인 남자를 피험자로 선별하여 각 용량군에 백신투여자 6명, 위약투여자 2명을 배정하였다. 백신 투여군은 0.25mg, 0.5mg 또는 1.0mg 용량의 녹농균 백신을 7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근육주사 하였으며, 위약 투여군에게는 세포외막 단백질을 제외한 동일한 성분을 투여하였다. 백신접종 후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반응의 발생여부를 관찰하고, 혈액시료를 체취하여 백신의 역가와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녹농균 백신 CFC-101은 모든 접종자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 또한 0.5mg 과 1.0mg 백신 투여군에서는 100%의 항체양전율을 나타내었다. 생성된 항체는 녹농균 세포외막단백질에 특이성을 보였고, 녹농균 감염에 대해 방어효능이 있었다. 결론 :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이 녹농균 백신은 인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높은 항체 생성능으로 감염방어 효능을 보이고 0.5mg과 1.0mg이 최적용량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We developed a Pseudomonas aeruginosa outer membrane protein(OMP) vaccine CFC-101, and the prophylactic efficacy of which has been demonstrated in animal models.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he P. aeruginosa vaccine, we carried out a phase I/Ⅱa clinical trial in healthy male volunteers. Methods : Groups of eight volunteers, including two placebo subjects, were vaccinated intramuscularly with three doses of 0.25, 0.5 or 1.0 mg of the vaccine at one week intervals. Sings of systemic and local reactions observed after vaccination were recorded for each vaccinee for 5 days.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days 0, 1, 7, 8, 14, 15, 21, and 42, and clinical laboratory tests were done on days 0, 3, and 21. Blood samples for assay of serum antibody levels were obtained up to 42 days after the first vaccination. Results : The vaccine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by all vaccinees, showing no significant side effects. In the three dosage groups, all vaccinees, except one receiving the 0.25 mg dose, showed significant elevation in serum IgG antibody titers against the vaccine proteins, indicating 100% seroconversion in 0.5 and 1.0 mg groups. The human antibodies induced by the vaccine were specific for P. aeruginosa OMPs, 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s. The capacity of the human antisera to enhance opsonophagocytic killing activity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to confer protection against P. aeruginosa infections indicates that the antibodies elicited by the vaccine have protective efficac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P. aeruginosa OMP vaccine is safe and effective for human use and its optimal dose to be 0.5 or 1.0 mg.

      • 부하분산 및 결함허용을 제공하는 CORBA 기반 원격 회의 시스템 설계

        성재철,임주혁,장우혁,조찬윤,최항묵 인제대학교 1999 仁濟論叢 Vol.15 No.1

        인터넷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원격 회의 시스템이나 원격 교육, 가상 대학과 같은 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판은 시스템에 기존의 중앙 집중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서버측의 부하가 모두 집중되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으므로 분산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나 텍스트-파일과 같은 자료를 필요로 하는 원격 회의 시스템을 설계하고 Factory 객체와 관계형 통합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동적 부하 분산과 동적 결함 허용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As the technigues of the Interned and Communication are developed, the study about its applications such as Remote Conference system, Remote Education and Cyber University are lively progressing. When the centralized method is applied to those kinds of system mentioned above, the load is mostly occurred in the server side anaitcauas bad effect to the whole system. So the Study about an application such as Remote Conference system, Remote Education and Cyber University is considering using the distributed system. In this paper I would like design a Remote Conference System is soogetled, which needs sub data like images, text files and givers dynamic load balance and dynamic fault tolerance using Factory object and Relational Integrated Data Base.

      • 잡초의 수용 추출물이 수종 작물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상호대립 억제 작용의 효과

        이상금,신우진,한기배,김옥임,하상영 東亞大學校 2003 東亞論叢 Vol.40 No.-

        Lettuces, radishes and corn had been raised for thirty-two days in portion to the consistency of a soluble extract from weeds, and then the result of allelopathy action affecting the growth at their early stage was admitted by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of a growth test ; Amaranthus mangostanus showed the decrease of the leaf number, however, the leaf number of crops decreased as the consistency goes higher. The length of stem was shorter in the group of the high consistency than control group. The root showed a remarkably constrained growth at all level of consistency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 growth was constrained more strongly as the consistency goes higher. The degree of development in lateral root showed no difference at each level of the consistency, and as the consistency of weeds goes higher, the rate of dried material increased. The analysis on nutritions in cultivation soil showed that the remains of nutrition elements increased as the consistency increases, NH4-N and N03-N result in the reverse. The allelopathy action is stronger in Amaranthus mangostanus than Setaria glauca.

      • KCI등재

        일부 법인 택시 노동자의 교통사고와 볼안전운전행동에 미치는 인적요인

        윤간우,이상윤,임상혁 대한산업의학회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4

        목적: 본 연구는 택시 업종을 대상으로 택시노동자의 다양한 인적특성들이 불안전운전행동을 매개로 교통사고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총 6개 택시사업장에 335명의 택시노동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지난 1년간 교통사고 횟수와 운전 중 불안전한 행동수준을 파악하였다.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별 노동자의 인적 특성을 수집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직무요인, 정신건강요인, 연령요인, 건강습관요인, 수면요인으로 범주화 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들이 불안전운전행동을 매개로 교통사고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직무요인(β: 0.122), 수면요인(β: 0.114), 그리고 불안전운전행동(β: 0.018)은 교통사고 횟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불안전운전행동을 통해 교통사고 횟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요인(β: 1.319), 정신건강요인(β: 6.429), 건강습관요인(β: 1.177)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택시 교통사고는 택시노동자의 일반적 특성, 정신건강상태, 직업적 특성이 불안전운전행동을 매개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효과적인 택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이들 인적 요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riving habits of taxi driver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factors causing traffic accidents and unsafe driving behavior and to determine any relevancy among them. Method: Taxi drivers (N=335) answered a questionnaire investigating various measures of human factors, unsafe driving behaviors, and number of traffic accident experiences in the previous year. In facto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5 common factors: job, mental health, age, health habit and sleep factor. A contextual mediated model was proposed to distinguish the distal (5 common factors) and proximal (unsafe driving behaviors) factors in predicting traffic accident involvement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job factor(β: 0.122), sleep factor (β: 0.114) and unsafe driving behaviors (β: 0.018) yielded a direct effect on the rate of traffic accidents. Mental health factor β: 6.429), job factor (β: 1.319) and health habit factor(β: 1.177) yielded a indirect effect on the rate of traffic accidents by unsafe driving behaviors. Conclusion: Various human factors co-related by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exist in the taxi service industr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ate of traffic accidents mediated by unsafe driving behaviors. Therefore a proper countermeasure against these factor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rate of taxi accidents.

      • KCI등재후보

        일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최성필,박정일,임현우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와 학교에서의 산업안보건 교육방법, 교육횟수, 실습기간, 실습사업장의 규모 등 4가지 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10월 말 현재 사업장에 실습 또는 재학 중 취업중인 공업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법규, 유해요인, 개인위생, 보호구, 작업장 정리정돈 및 개선, 안전보건 교육, 환기, 설비의 점검 ·관리 등 8개 분야 24개 항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교육방법에 따른 지식, 태도 및 실천 종합평균점수의 경우, 교육을 받지 않은 군과 어떤 형태로 든 교육을 받은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교육을 받은 군중에서는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강의 군과 여러 방법을 이용한 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을 뿐 교육방법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모두 교육횟수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종합평균점수는 교육을 받지 않은 군이 1회이상 교육받은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태도의 경우 교육횟수가 증가할수록 종합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실습기간에 따른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종합평균점수의 경우, 태도를 제외하고는 실습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습사업장의 규모에 따른 지식, 태도 및 실천의 종합평균점수에서는 지식,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실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공업계 학생들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교육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knowledge(K), attitude(A) and practice (P) on major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problems among on-the-job training students. Methods : We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garding rules or regulations, the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the work place hygiene, the use of protective device, arrangement and improvement job site, ventilat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inspection and management of equipment. Results : In general, the mean score of KAP in educated group compared with non-edu-ca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s increasing the frequency of education, the mean scores of KAP were increase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ork duration' groups on total mean scores of knowledge and practice. But on that of the attitud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ork duration'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ize of enterprise' groups on total mean scores of knowledge and antitude. But on that of the practi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ize of enter-prise' groups.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 frequency and method were significantly attributed to KAP, bu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ere low.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education tim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improvi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i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서양금혼초(Hypochoeris radicata Linne)의 수용성 추출액이 몇 종의 작물종자 발아에 미치는 상호대립억제작용

        이상금,신우진,김대겸,김옥임,하상영 東亞大學校 2003 東亞論叢 Vol.40 No.-

        The result of allelcchemicals through the seed germination experiment according to a consistency of the water soluble extract from leaves and roots of Hypochoeris radicata Linne. The rate of germination on the extract from leaves; cucumber > cabbage > Chinese cabbage> lettuce> onion. The rate of germination on the extract from roots cucumber > lettuce > Chinese cabbage > radish > anion. The average of germination days ; Germination days of all kinds of seeds were delayed as the consistency increased in leaves and roots. The germination period according to the consistency ; Starting of germination and germination period were delayed as the consistency increased Radish, lettuce, onion were restrained in growth without germination species. The state of germination Cabbage, Chinese cabbage and cucumber don't have allecchemicals in leaves, and radish, lettuce and onion don't have alleochemicals in leaves as the consistency increases cucumber doesn't have allelochemicals on the root extract,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them have allelochemicals.

      • 유관속 식물 분류의 강과 생태형에 따른 잎 전후면의 기공 분포

        鄭宇珪,成敏雄,尹福任 慶尙大學校 1989 論文集 Vol.28 No.2

        관속실물 118종이 잎 전후면의 기공분포와 생태학적 식물형과 계통 분류와의 연관성을 찾기 위하여 1987년부터 1988년까지 2년에 걸쳐 경상대학교 가좌 캠퍼스 내의 식물을 채집하여 잎 전후면의 기공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고사리류는 기공이 잎의 후면에만 분포하였다. 나자식물, 외떡잎식물, 쌍떡잎식물에서는 잎의 전후면에 기공이 분포하였으며, 기공 분포 비율은 잎 후면에서 각각 66%, 66%및 85%로 높게 나타났다. 2. 나자식물 8종 중에서 소철, 은행나무, 주목 및 전나무 4종은 잎 후면에만 기공이 분포하였고, 평균적으로 전면 43, 후면 65였다. 3. 외떡잎식물 34종의 경우 잎 전면에만 기공이 분포하는 식물은 가래와 죽순대 2종이었고, 후면에만 기공이 분포하는 식물은 백합, 청미래덩굴, 보춘화 및 닭의 난초 4종이었다. 나머지 31종은 잎 전후면에 기공이 분포하였고, 평균 전면 58, 후면 92였다. 4. 쌍떡잎 식물 70여종 중에서 38종은 기공이 잎의 후면에만 존재하였고, 나머지 32종은 전후면에 모두 분포하고 있었고, 평균 전면 27 후면 175이었다. 5. 초본과 목본의 비교에서 기공수는 잎의 후면에서는 목본이 158(85%)개로 초본 120(68%)개 보다 많았고, 잎 전면에서는 목본이 14(15%)개로 초본 58(30%)개 보다 적었다. 상록수와 낙엽수 비교해서 잎의 후면에서는 낙엽수가 201(99%)개로 상록수 126(75%)개 보다 많았고, 전면에서는 상록수가 12(16%)개로 낙엽수 3(1%)개 보다 많았다. 6. 다육식물과 비다육식물 비교해서 기공 분포는 다육 식물의 경우 ㎟단위 면적당 평균 기공 수가 잎 전면에서 33개, 잎 후면에서 34(50%)개, 길이는 각각41㎛로 잎 전후면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다육식물은 ㎟단위 면적당 평균 기공 수가 잎 전면에서 36(19%)개, 잎 후면에서 149(81%)개로 잎 후면이 높게 나타났다. 7. 잎 전후면 1㎟당 분포하는 평균 기공 수를 합친 기공 수는 속새강 114개, 고사리류 104개, 나자식물 108개, 외떡잎식물 140개, 쌍떡잎식물 203개로 하등에서 고등으로 갈수록 기공 수가 높게 나타났다. A total of 118 species of vascular plants collected at Kajoa Campu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rom 1987 to 1988 was observed to determine their systematic relations and ecological plant form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the stomata on both sides of the leaves. 1. The stomata were distributed only on lower surface of leaves in Filicinae, but they were foun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 of leaves in Gymnospermae, Monocotyledoneae and Dicotyledoneae. The stomatal distribution on lower surface of leaves apperared high 66% in Gymnospermae, 66% in Monocotyledonae and 66% in Dicotyledonae of the total number of stomata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leaves. 2. The stomata were distributed only on lower surface of leaves in Cycas revoluta, Ginkgo biloba, Taxus cuspidata and Abies holophylla, but they were found on upper surface of leaves in pinus koraiensis, among eight species of Gymnospermae. The average number was 43 on upper surface and 65 on lower surface of leaves. 3. The stomata were distributed only on upper surface of leaves in Potamogeton distinctus and Phyllostachys pubescens, they were found on lower surface of leaves in Lilium longiflorunn, Smilax china, Cymbidium goeringii and Epipactis thunbergii, and they were distribute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leaves in twenty- eight of the other thirty-five species of Monocotyledoneae. The average number was 58 on upper surface and 92 on lower surface of leaves. 4. The stomata were distributed only on lower surface of leaves in thirty-eight species in total of seventy species of Dicotyledoneae and they were foun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leaves in thirty-two species of all seventy species of Dicotyledoneae. The average number was 27 on upper surface and 175 on lower surface of leaves. 5. The stomatal number, or 158(85%) on lower surface of leaves in wood plant was higher in distribution than that or 120(68%) on lower surface of leaves in the herbaceous. The stomatal number, or 14(15%), on upper surface of leaves in wood plant was smaller in distribution than stomatal number, or 58(30%) on upper the herbaceous. The stomatal number, or 201(99%) on lower surfaces of leaves was more densely distributed in deciduous trees than the stomatal number, or 126(75%) on lower surface of leaves in evergreen trees, The stomatal number, or 12(16%) on upper surface was more densely distributed in evergreen trees than the stomatal number, or 3(1%), on the upper surface of leaves in deciduous trees. 6. The succulent plant was equal in number and size of stomata on both upper and lower surflaces of leaves. In other words it had 33-34 Stomata (50%) respecitively and 41μm length in size of stomata. But the non-succulent plant hard 36 stomata(19%) on the upper surface of leaves and 149(81%) stomata on the lower surface of leaves. The number and size of stomata in the succulent plant appeared similar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non-succulent plant. 7. The total number of stoamta per ㎟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was 114 in Equisetineae, 104 in Fern, 108 in Gymnospermal, 140 in Monocotyledoneae and 203 in Dicotyledoneae. The stomatal number proved to be more and more increasely in sequence of Equisetineae, Filicinae, Gymospermae, Momocotyledoneae, and Dicotyledoneae.

      • KCI등재후보

        조선업 도장작업자의 유사노출군과 노출변이; 크실렌 노출을 중심으로

        고상백,노영만,임현우,신용철,김수근,최홍열,김재용,장성훈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조선업 도장 작업자의 크실렌 노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직무 및 밀폐특성에 따라 유사노출군으로 구분하여 노출 변이 및 동질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3회 이상 반복측정이 이루어진 근로자 중동일공정에서 직무상 변동이 없는 근로자 총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출농도 값을 대수전환(lOgtransformation)하여 근로자간, 근로자내 노출 분산요소을 추정하기 위하여, nested randomeffects ANOVA model을 활용하였다. 선정된 유사노출군 내 구성원의 측정 평균이 동일하다고 할수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분산요인(9f)을 산출하였고, 쿨즈0.031일 경우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또한 노출 값을 대수전환하여 95 %의 근로자(b-R9s)가 2배수 범위 내에 측정값을 가질 경우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 bwRSS의 값을 유사노출군내의 근로자들간(between worker)의 기하표준편차(bwsy)를 구한 후 exp(3.92 bwsy)로 계산하여 산출하였고, 그 값이 2이하이면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 결과 : 일반적으로 유사노출군은 노출농도가 비슷한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직무에 근거한 유사노출군은 동질성 검정상 이질적이었다. 분무도장과 붓도장 모두 bwRss은 2를 초과하였고, 룰 또한 0.031를 초과하여 변이 폭이 컸다. 그러나 밀폐특성에 따른 노출 분포의 변이성은 직무만으로 구분했을 때의 변이지표 보다 그 수치가 낮아 밀폐특성으로 직무의 변이성을 설명 할 수 있었다. 결론 : 직무에 근거한 유사노출군이 동질적이지알다는 결과는 유사노출군으로 구분된 근로자의 업무특성이 하나의 유사노출군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작업환경 측정 시 직무뿐만 아니라 특정 업무(specific task) 또는 세부작업현황까지 파악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centration of xylene exposure and exposure variability of a similar exposure group (SEG) in accordance with job title and confined space. Method :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8 workers working in the painting proces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Measurement of subjects were repeated three times. Within and between-worker exposure valiance components were estimated from log-transformed exposure concentrations employing a one-way nested random effects analysis of variance model. A uniformly exposed group was defined as one where the between-worker variance(σB2) was less than or equal to 0.031 or bwR95 ≤2, where bwR95 =exp(3.92 bwSy) , representing the radio of the mean exposures of the 97.5th and 2.5th percentile groups of the workers sampled. Result :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trary to popular belief, similar exposed groups based on job title were heterogeneous. The between-worker variance(σB2) is large(≥0.031) and the ratios of the 97.5th and 2.5th percentile workers of the log normally distributed exposures of each group of worriers was more than 2. However dividing job title into confined space (in-block, out-block, in/out-block) decreased the between-worker exposure varia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exposure in painter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We cannot accept the assumption that SEG are uniformly exposed, as a major component of variation in exposure relates to differences in tacks or other factors. Therefore, the observational schemes can be improved by investigating Job-specific task and practice.

      • KCI등재후보

        호중구 감소성 발열환자에게 경험적으로 투여한 Teicoplanin의 효과

        이동건,임동석,최수미,박선희,유진홍,최정현,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2

        목적 : 호중구감소성 발열 환자에게 경험적으로 teicoplanin을 투여할 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3년 7월부터 12월까지 가톨릭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 입원하여 항암치료 혹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고 호중구감소성 발열이 있는 환자 중 초기 항균요법에 반응이 없어 경험적 teicoplanin 투여가 필요한 49명을 대상으로 A, B 제조회사에서 제공한 teicoplanin을 무작위로 어느 한 쪽 치료군에 배정하여 투여하였다. 용량은 첫날 400㎎ 부하용량을 정맥내 bolus로 투여하고 매 24시간마다 200㎎ 유지용량을 투여하였다. 결과 : A군 27명, B군 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대부분의 환자가 신독성이 있는 약제를 병용하고 있었다. A군 8명, B군 7명에서 그람양성균이 동정되었고, teicoplanin에 대한 내성률은 A군 22.2%, B군 28.6%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1.00; 0.61<95%CI<1.95). 미생물학적 확인 감염이 있었던 환자 중 평균 53.3%에서 완치 혹은 개선의 반응이 있었고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A군 4명 [50.0%], B군 4명 [57.1%], P=1.00; 0.29<95%CI<2.60). 미생물학적 제거율은 평균 62.5% (A군 55.6%, B군 71.4%)이었고 그 외 미생물학적 효과는 A군에서 제거 후 재발 2명(22.2%), 내성 2명(22.2%)이었고 B군에서 각각 0명(0.0%), 2명(28.6%)이었으며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8). 발열기간(P=0.89), teicoplanin 사용기간(P=0.47) 및 전체적인 사망률(P=1.00; 0.78<95%CI<1.24)도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반응 중 신독성은 16.3% (A군 18.5%, B군 13.6%)에서 나타났고 양 군에 차이는 없었으며(P=0.72; 0.39<95%CI<3.51), 신기능 이상과 관련있는 약제를 적어도 2개 이상 병용하고 있었다. 피부발진은 A군에서 1명, B군에서 3명 발생하였다(P=0.31; 0.93<95%CI<1.34). 결론 : 호중구감소성 발열환자에게 teicoplanin을 투여하였을 때 임상적 반응률은 평균 53.3%(A군 50.5%, B군 57.1%), 미생물학적 제거율은 평균 62.5%(A군 55.6%, B군 71.4%)이었고 두 제조회사간 차이가 없었고 이상반응도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국내 호중구감소증 환자에서의 teicoplanin의 적정 용량, 용법 등을 알기 위한 집단 약동학 등의 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done to elucidate the efficacy of teicoplanin as the empirical treatment for febrile neutropenia. Methods : Patients were randomiz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pharmaceutical company (company A or B). Total of 49 patients (A, 27; B, 22) with neutropenic fever were studied prospectively for 6 months (Jul. 2003-Dec. 2003). Patients received 400 mg i.v. once, then 200 mg i.v. once daily. Results : Groups were matched for all demographic variables. Most of the patients were concurrently receiving nephrotoxic drugs. Gram positiv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in 8 patients for A and 7 patients for B. Resistance rate against teicoplanin was 22.2% in A and 28.6% in B (P=1.0; 0.61 < 95% confidence interval [Cl] < 1.95). Among the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clinical cure or improvement was seen in 4 (50%) of 8 patients for A and 4 (57.1%) of 7 patients for B (P=1.00; 0.29 <95%CI <2.60). Bacteriologic efficacy was assessed as follows; elimination in 5 (55.6%), elimination with relapse in 2 (22.2%), resistance in 2 (22.2%) out of 9 gram-positive bacteria for A and 5 (51.4%), 0 (0.0%), 2 (28.6%) out of 7 bacteria for B, respectively (P=Q.2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ration of fever, duration of use of teicoplanin, and overall mortality. The incidence of nephrotoxicity and ototoxicity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For using teicoplanin as the empirical therapy for febrile neutropenia, the rate of clinical, microbiological response, and nephrotoxicity was 53.3%, 62.5%, and 16.3%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preparations of teicoplanin. Supplementary evaluation on the adequate dose and duration of teicoplanin may b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