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1년 5월 관측된 고농도 황사 사례 연구

        안보영,임병환 한국지구과학회 202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3 No.3

        2011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몽골에서 발원한 황사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4일간 전국적으로 고농도의 황사가 관측되었다. 본 연구는 몽골의 황사발원지에서 황사 발생 시 기상 조건과 고농도 황사 사례의 원인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황사 일기도 자료, 황사감시기상탑 자료, 위성 자료, 후방공기궤적 자료, 관측자료(PM10 및 광학입자계수기 자료), ECMWF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종관 분석에서는 몽골 중부지역에 등압선의 간격이 조밀하게 분포하고 기압경도력이 강해지면서 강풍에 의해 황사가 발원하였다. 황사 발원과 기상 조건의 관계에서 황사 발원직전에는 10o C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기온을 나타내다 황사 발원과 동시에 급감하였으며, 상대습도는 약 40% 이하의낮은 값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다 황사 발원 후에는 50% 이상으로 급격히 높아지며 황사의 발생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COMS에서 관측된 황사지수는 황사발원지에서는 25 이상을 나타내면서 고농도의 황사가 탐지되었고, 실황에서목측으로 관측된 지점과 일치하였다. 72시간 후방공기궤적에서는 모두 북서 기류가 한반도로 유입되었고, 5월 2일 흑산도에서는 PM10의 시간평균농도가 1,025 µg m−3 으로 최고 농도를 보였다. 특히 운동학적 연직 분석에서, 상층에서 발달한 기압골과 저기압성 소용돌이도에 의해 지상 저기압이 강화되고 동시에 상승 기류의 발달이 고농도의 황사 발생에큰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2021년 3월 1-2일 영동지역 강설 사례 연구

        안보영,임병환 한국지구과학회 202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4 No.2

        The synoptic, thermodynam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nowfall event that occurred in the Yeongdongregion on March 1-2, 2021, were investigated. Surface weather charts, ERA5 reanalysis data, rawinsonde data, GK-2Asatellite data, and WISSDOM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snow depth, exceeding 10 cm, was observed at fourweather stations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maximum snow depth (37.4 cm) occurred at Bukgangneung. According tothe analysis of the weather charts, old and dry air was trapped within relatively warm, humid air in the upper atmosphereover the East Sea and adjacent Yeongdong region. This caused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that led to developingconvective clouds and snowfall over Bukgangneung. In particular, based on the thermodynamic and kinematic verticalanalysis, we suggest that strong winds attributable to the vertical gradient of potential temperature in the low layer andthe development of convective instability due to cold advec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snowfall inthe Yeongdong region.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from the vertical analysis of the rawinsonde data. 본 연구는 2021년 3월 1일부터 2일까지 영동지역에 강설이 발생했던 사례의 종관적 , 열역학적 , 역학적 특성을분석한 것이다 .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AWS 관측자료 , 지상일기도 , ERA5 재분석 자료 , 레윈존데 , 천리안 2A 위성 자료, WISSDOM 자료 등이다 . 사례 기간 영동지역 4개소에서 관측된 적설은 10cm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 북강릉 (37.4cm)에서는 가장 많은 적설을 보였다 . 종관 분석결과 , 동해상 및 영동지역 주변으로 중·상층 대기의 매우 차고 건조한대기와 상대적으로 따뜻한 하층 대기의 온도 차이로 대류 불안정이 형성되어 북강릉 지역으로 대류운의 발달과 함께강설이 나타났다 . 특히 열역학적 및 운동학적 연직 분석에서 , 하층에서 온위의 연직 경도에 의한 강한 바람과 한랭이류에 의한 대류 불안정이 영동지역의 강설 발생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 이러한 결과는 레윈존데의 연직 분석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 KCI등재

        2020년 3월 18일-20일 영동지역 강풍 사례 연구

        안보영,김유준,김백조,이용희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ynoptic (patterns of southern highs, northern lows, and lows rapidly developed by tropopause folding), thermodynam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a strong wind that occurred in the Yeongdong region of South Korea on March 18-20, 2020. To do so, we analyzed data from an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weather charts, the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 reanalysis, rawinsonde, and windprofiler radars. The daily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exceeding 20 m s−1 , was observed at five weather stations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strongest instantaneous wind speed (27.7 m s−1 ) appeared in the Daegwallyeong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eather charts, along with the arrangement of the north-south low-pressure line, the isobars were moved to the Yeongdong area. It showed a sine wave shape, and a strong wind developed owing to the strong pressure gradient. On March 19,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a drop in atmospheric pressure of 19 hPa or more within one day, a continuous strong wind was developed by the synoptic structure of the developing polar low. In the adiabatic chart observed in Bukgangneung, the altitude of the inversion layer was located at an altitude of approximately 1-3 km above the mountaintop, along with the maximum wind speed. We confirmed that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vertical wind field analysis of the rawinsonde and windprofiler data. In particular, based on the thermodynamic and kinematic vertical analyses, we suggest that strong winds due to the vertical gradient of potential temperature in the lower layer and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vorticity due to tropopause folding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strong winds in the Yeongdong region. 본 연구는 2020년 3월 18일부터 20일까지 영동지역에 강풍이 발생했던 사례(남고북저형, 대류권계면 접힘에 의해 급격하게 발달하는 저기압)의 종관 및 열역학적/운동학적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AWS 관측 자료, 종관 일기도, ECMWF 재분석 자료, 레윈존데, 윈드프로파일러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사례 기간 영동지역 5개소에서 관측된최대 순간 풍속은 20 m s−1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대관령(27.7 m s−1)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종관분석에서는 남고북저형의 기압배치와 함께 영동지역으로 등압선의 모양이 사인(sin)파 형태를 보이며 강한 기압경도력에 의해 강풍이 발달하다가 3월 19일부터는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하루 내에 19 hPa 이상의 기압 하강과 함께 발달하는 저기압에 의해 지속적인 강풍이 발달했다. 북강릉 단열선도에서 역전층의 고도는 하층 강풍대와 함께 산 정상의 약 1-3 km 고도에 위치하였고, 레윈존데 및 수직 측풍 장비(윈드프로파일러)의 연직 바람장 분석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열역학적 및 운동학적 연직 분석에서, 하층에서 온위의 연직 경도에 의한 강한 바람과 대류권계면 접힘에 의한 위치 소용돌이도의 발달이 영동지역 강풍 발생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2018년 8월 6일 발생한 영동지역 집중호우 사례에 대한 특성 연구

        안보영,심재관,김규랑,김승범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3

        A heavy (93 mm hr−1) rainfall event accompanied by lightning occurred over Gangneung in the Yeongdong region of South Korea on August 6, 201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the heavy rainfall event by using COMS satellite cloud products, surface- and upper-level weather charts, ECMWF reanalysis data, and radiosonde data. The COMS satellite cloud products showed rainfall exceeding 10 mm hr−1, with the lowest cloud-top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65℃ and high cloud optical thickness of approximately 20-25. The radiosonde data showed the existence of strong vertical wind shea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oud layers. Furthermore, a strong inversion in the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was observed at a pressure altitude of 700 hPa. In addition, there was a highly developed cloud layer at a height of 13 km, corresponding with the vertical analysis of the ECMWF data. This demonstrated the increased atmospheric instability induced by the vertical differences in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in the Yeongdong region. Consequently, cold, dry air was trapped within relatively warm, humid air in the upper atmosphere over the East Sea and adjacent Yeongdong region. This caused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that led to rapidly developing convective clouds and heavy rainfall over Gangneung. 2018년 8월 6일 영동지역에서 강한 대류 세포에 의해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집중호우(강릉: 93 mm hr−1)가 발생했다. 집중호우 사례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COMS 위성의 구름 산출물 자료, 상하층 종관 일기도, ECMWF 재분석 자료, 라디오존데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상층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동해상(영동지역)으로 유입되면서 상대적으로 중·하층에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만나 대기의 불안정을 만들고 대류운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단시간에 많은 강수가 내렸다. COMS 위성의 구름 운정 온도가 약 −65℃ 이상, 구름 광학 두께는 약 20-25 이상의 높은 값을 보일때 강수량은 10 mm hr−1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수량은 구름 내의 수분 양 그리고 구름의 키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디오존데 자료의 연직 분석에서는 상하층 간의 연직 바람 쉬어가 크게 나타났다. 약 700 hPa 고도에서는 역전층이 나타나면서 상층과 하층간의 상당온위의 차이를 유발하여 대기불안정을 더욱 강화시켰으며 구름층은 고도 약 13 km 이상으로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ECMWF 재분석 자료의 연직 분석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혈액투석용 동정맥루 협착증의 조기발견과 경피적 혈관확장술 : 정맥투석압과 요소재순환율 측정치와의 상관관계

        안보영 대한영상의학회 199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9 No.5

        Purpos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venous dialysis pressure(VDP) and urea recirculation rate (URR) for the early detection of venous stenoses, the most common cause of hemodialysis fistular failure. To correlate the outcome of early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PTA) with VDP and URR after PTA.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one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were monitored for VDP and URR during each session of hemodialysis treatment. Twenty-eight patients with elevated VDP and URR underwent fistulography, and the results were prospectively analysed. PTA was performed in twelve discrete stenoses (>70% reduction of the lumen) in six patients. Following PTA, VDP and URR were reevaluated. Result : Fistulogramas showed that 15 of 28 patients had 22stenoses. All of these lesions occurred in the proximal vein of an arteriovenous fistula, showing less than 50%reduction of the lumen in six stenoses, 50-70% in four, more than 70% in twelve, and no complete occlusion. Stenosis length was less than 1cm in twelve lesions, 1-3cm in seven, and 3-6cm in three. In 11 of 12 stenoses, angioplasty was successful with no significant residual stenosis remaining. After PTA, mean VDP and URR fell significantly : 117.8$\pm$20.6 mmHg to 99.8$\pm$ 8.2 mmHg (p=0.025), and 22.9$\pm$16.1 to 7.6$\pm$7.2(p=0.014), respectively.Conclusion : Early detection and early PTA of venous stenoses led to a high initial patency rate when used in conjuction with elective measurement of VDP and URR. After PTA, VDP and URR fell significantly, and there was close correlation with the outcome of P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