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TD를 통해 본 인적자원개발의 최근 동향

        오헌석,최윤미,배진현,위현진,배형준,권귀헌,선우형,성문주,이도엽,이상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지난 5년간 ASTD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내용을 중심으로 HRD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2004년부터 2008년까지 ASTD 대회에서 발표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① 훈련에서 학습, 학습에서 성과로의 HRD 패러다임의 변화, ② 인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등장, ③ 개인코칭에서 팀코칭으로 코칭의 대상 확대, ④ 조직변화관리에서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 ⑤ 인재경영의 부상과 인재보유의 강조, ⑥ 경험과 실제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학습 무대의 이동, ⑦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HRD 전략 수립, ⑧ 일과 삶의 관계의 변화, ⑨ HRD시스템 구축 기준으로서 WLP 성과표의 부각, ⑩ Kirkpatrick의 1, 2 수준 평가에서 ROI 및 성공사례분석으로의 변화 등 10가지 핵심 동향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HRD실무자와 연구자들에게 이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major trends and issu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m the light of the presentation contents of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position held during the past five years(2004~2008). Major outstanding issues in presentation sessions, keynote speeches, and legend series delivered at the conference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themes and major issues. Theme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document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frequently cited themes and issues. Through the analysis, 10 major issues of HRD were drawn. Based on these analyse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HRD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were suggested.

      • 지속가능한 해삼 양식장 조성을 위한 생태적합 서식처 모형 개발

        오윤화,강민선,위진희,이인태,Oh, Yoon Wha,Kang, Min-Seon,Wi, Jin Hee,Lee, In Tae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생태환경에 맞는 해삼(Holothuroidea, de Blainville, 1834)의 생태적합서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해삼의 주요 서식지인 백령도, 진도, 울진 해역의 수치조류도, 해황 및 저서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수온은 $12{\sim}18^{\circ}C$정도로 모두 냉수대 지역이며 표층과 저층 사이의 해수 순환이 활발하였다. 백령도와 진도의 수치조류도 분석 결과, 해수 흐름이 $100{\sim}120cm\;s^{-1}$ 정도로 강한 유속장이 형성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세 지역 모두 저서에는 은신처 역할을 하는 암반과 전석 등이 고루 분포하며 다양한 해조류 군락 및 저서생물이 해삼과 함께 서식하였다. 이와 같이 해삼 서식처의 공통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사니질 저질, 다양한 해조류 군락, 저서동물 그리고 암반과 전석 등이 고루 분포하는 형태의 해삼생태적합서식처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치삼 서식지는 조간대 지역으로 암초 및 해조류가 분포하며, 퇴적물의 구성은 펄질로 나타내었으며 성삼 서식지는 사질과 니질이 만나는 곳에서 가장 많은 해삼 분포와 수심이 깊어질수록 큰 개체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간대보다 큰 전석과 해조류가 다수 분포하는 형태로 나타내었다. We investigated the tidal current, hydrographic data, and benthic environment of major sea cucumber (Holothuroidea, de Blainville, 1834) habitats in Baengnyeongdo, Jindo and Uljin to understand the optimal environmental or ecological habitat for sea cucumbers. The three study areas were characterized by a cold-water mass of temperatures ranging $12{\sim}18^{\circ}C$, with an active circulation between the surface and deep water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tidal current map, a strong flow velocity of $100{\sim}120cm\;s^{-1}$ appeared in Baengnyeongdo and Jindo. The three sea cucumber habitats showed the common characters of a bottom sediment composed of sand-silt, a diverse seaweed colony and benthic organisms, and boulders and rocks which provide a hideout for the organisms. We aimed to draw the optimal habitat condition for sea cucumbers in Korea,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w water temperature, rapid water flow, active vertical mixing between surface and deep waters, bottom composed by sand-silt, large rocks, and diverse seaweed colony and benthic organism were important factors. The optimal habitat for Juvenile sea cucumbers was the intertidal areas characterized by a muddy bottom, reef, and seaweed. The optimal habitat for adult sea cucumbers was characterized by a place where sand and mud are mixed, and the body size of the sea cucumber was proportional to water depth, and the relatively large boulders and rocks compared to the intertidal area.

      • KCI등재

        도교(桃膠)를 이용한 바이오 접착제의 합성 및 물성 평가

        박민선,오승준,위광철,Park, Min-Seon,Oh, Seung-Jun,Wi, Koang-Chul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3

        복숭아나무 진액인 도교를 기반으로 한 목공예용 바이오 접착제 개발의 기초 연구로 144 가지 합성 조건 중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조성을 선택하여 천연 접착제 3 종, 합성 접착제 4 종과 비교 물성 평가를 진행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최적의 합성 조건은 탈이온수 80 mL, NaOH 1.5 g, H<sub>2</sub>O<sub>2</sub> 1.65 g, pH 8.0 ~ 9.0, NaClO 0.5 g, H<sub>2</sub>BO<sub>2</sub> 0.5 g을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성 평가 결과, 도교 접착제가 125.39 kgf/cm<sup>2</sup>의 접착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열화에서 △E<sup>*</sup>ab 2.75로 가장 낮은 변화와 우수한 가역성, 유해성 및 총호기성생균 시험 결과 불검출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도교 기반의 목공예용 바이오 접착제의 적용과 공예품 제작, 복원, 문화재 보존 시 사용되고 있는 천연 및 합성 접착제의 대체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woodcraft bio-adhesives using peach gum, which is the resin produced by peach trees. The synthesis conditions of these adhesives were optimized by performing 144 experiments.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peach gum adhesives was explored by comparing their properties with those of three natural adhesives and four synthetic adhesives. The best adhesive strength was obtained by dissolving the resin in 80 mL of distilled water containing 1.5 g NaOH, 1.65 g H<sub>2</sub>O<sub>2</sub> ( pH 8.0-9.0), 0.5 g NaClO, and 0.5 g H<sub>2</sub>BO<sub>2</sub>. The adhesive strength, which showed minimal changes and excellent reversibility, was 125.39 kgf/cm<sup>2</sup>. Ultraviolet radiation-mediated deterioration in strength in the absence of total aerobic bacteria was negligible (△E<sup>*</sup>ab = 2.75). These data confirm the potential value of peach gum-based bio-adhesives for woodcraft as well as their utility as alternatives for natural and synthetic adhesives used for the manufacture and restoration of handicrafts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