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직학적 진단된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2예

        김연숙,정숙인,기현균,김춘관,김신우,한정호,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0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8 No.1

        CNPA는 기존의 폐질환 및 폐절제술로 인해 국소방어기전에 저하가 있거나 비특이적 전신면역상태저하를 갖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만성적인 공동성 폐질환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CNPA의 보고가 없는 상태이고, 저자들은 최근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CNPA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저자들이 경험한 CNPA 환자들은 만성알코올 중독 및 기관지확장증과 같은 기저질환과 폐절제술을 받은 병력이 있었다. Aspergillus가 폐실질을 침윤하고 있는 조직소견과 조직배양에서 Aspergillus가 검출되어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였고, amphotericin B의 정주요법 및 경구 itraconazole 투여와 폐절제술 등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아직 많은 임상의들에게는 낯선 질환인 CNPA의 치료성적은 환자의 동반질환 및 CNPA 자체의 중증도, 진단과 치료 시작의 지연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공동성 폐병변을 갖고 있는 환자에게서 CNPA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Chronic necrotizing pulmonary aspergillosis (CNPA) is a chronic cavitary form of pulmonary aspergillosis. Dozens of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systemic immunologic dysfunction or altered local defense mechanism from preexisting pulmonary disease. Review of literatures revealed that no CNPA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yet.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NPA proven by lung biopsy. A 53-year-old alcoholic male in poor nutritional state was admitted with generalized weakness and weight loss. Chest CT revealed a cavitary nodule surrounded with ground-glass attenuation. CT-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and biopsy was done. The biopsy specimen demonstrated dichotomously branching septated hyphae consistent with those of Aspergillus sp. Another case was a 39-year-old man with bronchiectasis who was admitted with persistent hemoptysis. He had a past history of pulmonary tuberculosis. A parahilar lesion with intracavitary soft tissue mass was incidentally detected in high-resolution GT. Left lingular segmentectomy was done due to uncontrolled hemoptysis and CNPA was histologically diagnosed. Both patient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intravenous amphotericin B followed by oral itraconazole. Even though CNPA is unfamiliar to most clinicians, it should be included in differential diagnoses of chronic progressive cavitary pulmonary les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immunologic dysfunction.

      • 토끼 수막염 모델을 이용한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Meropenem의 치료 효과

        김신우,진정화,강수정,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1

        목적 :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기존과 단일 항생제로는 근치가 어려워 ceftriaxone과 vancomycin 혹은 rifampin의 병용요법이 권유되고 있다.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중 meropenem은 시험관내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고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거의 없어 다제내성 폐렴구균에 의한 수막염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연자 등은 meropenem과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이 다제내성 폐렴구균 수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토끼 수막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체에서 수막염을 일으킨 다제내성 폐렴구균 균주(penicillin MIC 2, ceftriaxone MIC 4, meropenem MIC 0.5㎍/㎖)를 토끼 척수강 내에 직접 주입하여 수막염을 유발한 후 ceftriaxone, vancomycin, rifampin, meropenem의 단일 항균요법, ceftriaxone+vancomycin, ceftriaxone+rifampin,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 간에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각 치료군은 6 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항생제는 5 시간 간격으로 2번 정주하였으며, ceftriaxone은 1회 투여하였다. 균주 주입 후 각 치료군이 토끼에서 치료 후 0, 5, 10, 24 시간에 척수액을 채취하여 균주의 수를 측정하여 24시간째의 살균 여부를 최종 치료 효과로 판정하였다. 결과 : meropenem 단독 요법은 10시간째에 모든 균주를 살균하였으나 24시간 째에 다시 균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단독 약제보다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으나 상승작용은 없었다. 결론 : meropenem+vancomycin의 병용요법은 기존의 ceftriaxone+vancomycin보다 24시간째에 더 큰 균의 감소 경향을 보여(P=0.054) 임상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실제 수막염 환자에서의 임상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ecause antimicrobial monotherapy for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trains is not satisfactory, ceftriaxone+vancomycin [C+V] or ceftriaxone+rifampin [C+R] regimens are recommended. Meropenern [M] is one of the monotherapy options for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al meningitis due to good in-vitro activity against pneumococci and rare adverse reactions in CNS.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efficacy of meropenern against pneumococcal meningitis. We evaluated therapeutic efficacy of the meropenern and meropenem+vancomycin in a rabbit model of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PRSP). Methods : Meningitis was induced by intracistemal inoculation of a pneumococcal strain isolated from a patient with meningitis (MIC; penicillin 2, ceftriaxone 4, meropenem 0.5 g/㎖). Bacterial concentrations in the CSF were measured at 0, 5, 10, and 24 h after therapy was started. Therapeutic efficacy was evaluated by the final bacterial concentration in the CSF at 24 h. Results : C+V cleared the CSF at 10 h, but regrowth of bacteria was noted at 24 h. Meropenem monotherapy resulted in sterilization at 10 h but regrowth at 24 h. M+V was superior to M or V monotherapy but did not show synergism. Therapeutic efficacy of M+V was at least equal or superior to that of C+V (P = 0.054). Conclusion : Meropenem+vancomycin regimen could be one of the useful options in the treatment of PRSP meningitis. Clinical trials to evaluate the M or M +V are warranted in the future.

      • Astromicin sulfate의 약동학 및 안전성 평가

        정숙인,김연숙,오원섭,복혜숙,김명민,최경업,김연화,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3

        목적 : Astromicin은 aminoglycoside계 항생제와 유사한 화학구조와 특성을 지니고, 기존의 aminoglycoside와 유사하거나 향상된 임상효과 및 부작용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astromicin의 약동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astromicin 투여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에서 그 임상적 및 세균학적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약동학적 지표는 정상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astromicin 200㎎을 30분간 정주한 후 24시간까지 혈장 및 뇨 검체를 수집하여 one-compartment open model에 따라 분석하였다. 중증으 세균감염이 있는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용 또는 단독 투여한 후 임상적 효과와 세균학적 효과를 판정하였고, 치료전과 후의 순음청력검사와 혈청 크레아티닌으로 이독성과 신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정상 성인 남자 12명을 대상으로 약동학적 지표를 평가하였고, 최고혈장농도는 투여 종료시점(C_(0))에서 16.87±1.68㎍/mL였으며, 반감기는 1.86±0.43 시간 이었고, AUC_(0-12h)은 38.12±10.57㎍ㆍhr/mL, Vd는 0.18±0.02L/㎏, CL은 5.25±2.07L/hr였다. 이러한 약동학적 지표는 다른 aminoglycoside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적 효과 분석에서는 단독요법을 시행한 50명 중 임상적 치유율 94%, 세균학적 치유율 100%를 보였고, 순음청력검사를 시행한 48례의 환자중 의미있는 청력감소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신독성 또한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Astromicin의 약동학적 지표는 다른 aminoglycoside의 약동학적 지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므로 향후 astromicin의 약물농도 감시에 있어서 다른 aminoglycoside의 치료적 약물 농도 감시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임상적 치유율이 우수하면서 신독성이나 이독성이 적어 세균 감염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단독 또는 병합 요법으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stromicin(Fortimicin®) has som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other aminioglycoside antibiotics, although it has a unique chemical 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pharmacokinetic (PK) parameters of astromicin following single-dose intravenous infusion of 200 mg and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astromicin in Korean populations. PK parameters of astromicin were determined in 12 healthy volunteers (65.5±5.2㎏). The plasma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up to 24hrs. PK variables were calculated by fitting individual concentration-time curves to a one-compartment open model. Plasma level at the end of infusion was 16.87?1.68 ㎍/mL and declined to 1.05±0.35 (㎍/mL 8hr later. The half-life was 1.86±0.43 hr. 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 was 0.18±0.02 L/㎏g, and total body clearance was 5.25±2.07 L/hr. These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aminioglycosides.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were eviuated in 59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bacterial infections who needed parenteral antibiotics. Among 50 patients who recieved astromicin monotherapy, 49 (98%) had favorable clinical reponse and 28 (100%) had favorable bacteriological response. Serial audiograms revealed no change in all of 48 patients. No nephrotoxicity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Conclusively, our data suggest that therapeutic drug monitoring of astromicin can be conducted in a similar fashion as other aminioglycosides and astromicin is a useful and safe antibiotic in the treatment of severe bacterial infections.

      • 일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방선균증의 임상상

        정숙인,김연숙,기현균,김춘관,김신우,이혁,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3

        배경 : 방선균증은 혐기성의 그람양성 간균에 의한 만성 화농성 감염으로, 경안면부, 흉부, 복부, 골반부 등을 주로 침범한다. 최근 구강 위생의 향상과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해 방선균증의 빈도의 감소와 함께 그 임상양상 또한 크게 변화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의 방선균증의 임상상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5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방선균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기록지를 토대로 감염병소와 임상경과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방선균증 환자는 모두 12명으로 경안면부 1례, 흉부 3례, 복부 3례, 골반부 5례였다. 임상양상은 주로 종괴의 형태로 나타나 진단을 내리기까지 종양과의 감별에 어려웠으며 진단은 모두 조직검사나 흡인액에서 유황과립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방선균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모두 호전소견을 보였다. 결론 : 국내에서도 방선균증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임상양상이 다양하여 가장 많이 오진되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방선균증은 조직검사나 균배양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생제를 통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환자 진단에 관심을 가지면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ctinomycosis is an indolent, slowly progressive bacterial infection, caused by Actinomyces. a gram-positive, non-spore-forming anaerobic or microaerophilic rod. Actinomycosis affects nearly every organ and body site. The disease is classically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anatomic sites involved: cervicofacial, thoracic, abdominal, and pelvic. It has been considered as a rare disease, and only 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s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ctinomycosis in Korea.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tinomycosis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from May 1995 to December 1998.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ctinomycosis was diagnosed in 12 patients: 1 patient had cervicofacial lesion, 3 thoracic, 3 abdominal, and 5 pelvic.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1 : 2 and the mean age was 47.2 years. Sulfur granule was observed in the pathologic specimens from all cases, but organism did not grow at all. It was very difficult to differentiate actinomycosis from tumorous conditions without pathologic diagnosis. All patients were clinically improved with antibiotics or surgical procedures. Conclusion: Actinomycosis is not a rare disease nowadays and has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t can be diagnosed by pathologic examination or culture and cured by antibiotics without surgical management.

      • KCI등재후보

        폐렴구균 감염증에서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 :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ANSORP) Study

        정숙인,기현균,손준성,고관수,김나영,장현하,오원섭,백경란,이남용,김신우,이혁,--,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전 세계적으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을 포함한 β-lactam과 마크로라이드 및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나, 시험관내 내성이 실제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렴구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아시아 지역에서 항생제 내성이 폐렴구균 감염증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ANSORP에서 주관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1999년 1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시아 지역 11개국의 14개 기관에서 진단된 침습성 폐럼구균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내성 균주 감염의 위험요인, 임상양상, 예후 등의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646명 환자의 평균연령은 30.1세(6일-89세)였고, 이전 3개월 내에 항생제 사용력이 있는 환자는 159명(32.4%)이었다. 질환별로는 폐렴이 377예(58.4%)로 가장 많았고, 중이염 67예, 뇌수막염 66예(10.2%), 일차성 균혈증 65예(10.1%)였다. 총 646균주 중 347균주(53.7%)가 페니실린 비감수성(중등도 내성 23.1%, 고도 내성 23.1%)이었고, 페니실린에 대한 MIC_(90)은 0.03㎍/mL에서 4㎍/mL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페니실린 비감수성 균주에 의한 감염증과 차이가 없었다.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은 페니실린 감수성 폐렴구균 폐렴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846). Erythromycin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이 매우 높았으나, 실제 임상상이나 치사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92). 페니실린 비감수성 폐렴구균에 의한 뇌수막염의 치사률도 감수성 균주에 의한 사망률과 차이가 없었다(p=0.059).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페니실린 및 베타 락탐 제제에 대한 시험관 내성은 폐렴구균 폐렴이나 뇌수막염의 임상상이나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내성의 정도와 연관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향후 고도 내성 균주가 증가할 때 추가 검증을 요한다. 아울러 macrolide 및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의 임상적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Despite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pneumococcal strains worldwide, clinical implications of in vitro resistance still remain an open question. To evaluate the clinical impact of pneumococcal resistance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prevalence of pneumococcal resistance was reported to be highest in the world, ANSORP has performed a prospective, multinational surveillance study with cases with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s in Asian countries. Methods : In vitro susceptibility of pneumococcal isolates was determined by broth microdilution tests with 16 antimicrobial agents. All enrolled cases of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demographic data, clinical features, risk factors and mortality. Results : A total of 646 patients with pneumococcal infections were enrolled from 14 centers in 12 countries between the period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1. Pneumonia (58.4%) was the most common clinical disease followed by bacteremia (33.4%), otitis media (10.4%), and meningitis (10.2%). Among 646 isolates, 347 (53.7%) were penicillin non-susceptible (intermediate 23.1%, resistant 30.7%). MIG_(90)s for penicillin ranged from 0.03 (India) to 4.0 ㎍/mL (Korea, Taiwan, Vietnam, and Hong Kong). Overall mortality from pneumococcal diseases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by susceptible strains. Pneumococcal pneumonia caused by penicillin- or erythromycin-resistant strains showed similar mortality, severity of illness, or complications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Mortality from pneumococcal meningitis caused by penicillin non-susceptible strains was also similar to that by susceptible strains. Conclusion : Data suggest that current situation of in vitro resistance to penicillin or macrolides may not affect the mortality from pneumococal pneumonia or meningitis caused by antibiotic-resistant strains.

      • 조직배양에 의한 위도상사화(Lycoris uydoensis M. Kim)의 효율적 기내번식

        고정애 ( Jeong Ae Ko ),김인숙 ( In Sook Kim ),정공수 ( Gong Soo Jeong ),최정란 ( Jeong Ran Choi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2

        위도상사화(Lycoris uydoensis M. Kim)의 효율적인 기내 급속 대량 증식체계를 확립시키고자 잎과 인편을 배양하였다. 5℃에서 60일간 저온 처리한 모구를 구고를 중심으로 상부, 중부 및 하부로 구분하여 0.1 mg·L-1 2,4-D와 1.0 mg·L-1 BA, 0.5 mg·L-1 NAA와 1.0 mg·L-1 BA 또는 3.0mg·L-1 IBA와 3.0 mg·L-1 BA 혼용처리된 MS 배지에 배양한 결과 식물생장조절물질과는 관계없이 디스크가 부착된 인편의 하부가 캘러스 및 자구 형성에 가장 효과적인 부위였다. 캘러스는 잎절편이나 인편조직에서 쉽게 형성되었으나 소자구 및 신초는 인편에서만 형성되어 기내번식에 적합한 절편체는 인편이었다. 자구 형성 및 신초분화는 배지내 첨가된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치상체에서 직접 자구를 형성하거나 캘러스를 통해 식물체로 분화되는 2가지 경로로 형성되었는데 디스크가 부착된 인편을 0.1 mg·L-1 2,4-D와 1.0 mg·L-1 BA, 0.5 mg·L-1 NAA와 1.0 mg·L-1 BA 또는 3.0 mg·L-1 IBA와 3.0 mg·L-1 BA 혼용처리된 MS 배지에 배양하여 30일 이내에 60%-100%까지 유도하였다. 다량의 자구형성 및 유지는 MS배지에 0.1 mg·L-1 2,4-D와 1.0 mg·L-1 BA가 혼용되거나 또는 3.0 mg·L-1 IBA와 3.0mg·L-1 BA 혼용처리 되었을 때 0.5 mg·L-1 NAA와 1.0mg·L-1 BA 혼용처리 되었을 때 보다 효과적이었다. 6% sucrose는 자구형성 및 비대를 촉진시켰으며 특히 3.0 mg·L-1 IBA와 3.0 mg·L-1 BA 혼용처리배지에 6% sucrose를 첨가시키므로 0.1 mg·L-1 2,4-D와 1.0 mg·L-1 BA가 혼용 배지보다 구의 비대가 1-2배 증가하였다. 인편유래 캘러스로부터 기관분화 또는 인편에서 직접 분화된 자구에서 성공적으로 식물체가 재분화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ective in vitro mass propagation system using leaf and bulb scale explant sources of Lycoris uydoensis M. Kim. For the bulb scale culture, the bulbs treated at 5℃ for 60 days were dissect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bulb height (upper, middle, and bottom), and allowed for a culture on the MS medium with 0.1 mg ? L-1 2,4-D plus 1.0 mg ? L-1 BA, 0.5 mg ? L-1 NAA plus 1.0 mg ? L-1 BA, and 3.0 mg ? L-1 IBA plus 3.0 mg ? L-1 BA. Regardless of plant hormone treatments, the bottom part of the bulb including the disk proved to be most effective in forming the callus and bulblets. Callus was readily produced on the young leaf segment and bulb scale tissues, whereas, bulblets and shoots were formed only on bulb scale explants. Bulb scales with disk appeared to the best optimal explant for in vitro propagation. Two distinct pathways, either organogenesis through callus or direct bulblet formation, could be recognized in bulb scale culture. Bulblet formation and shoot organogenesis from the bulb scales with disk were effectively induced up to the 60%~100%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 ? L-1 2,4-D plus 1.0 mg ? L-1 BA, 0.5 mg ? L-1 NAA plus 1.0 mg ? L-1 BA, and 3.0 mg ? L-1 IBA와 3.0 mg ? L-1 BA within 30 days of culture. On MS media supplemented with 0.1 mg ? L-1 2,4-D plus 1.0 mg ? L-1 BA or 3.0 mg ? L-1 IBA와 3.0 mg ? L-1 BA were more effective than 0.5 mg ? L-1 NAA plus 1.0 mg ? L-1 BA for induced and maintained a large number of bulblets. Six percent of sucrose enhanced bulblet formation and expanded the bulblets. Especially, adding 6% of sucrose on MS media supplemented with 3.0 mg ? L-1 IBA와 3.0 mg ? L-1 BA was one or two times of bulblets expanted than on MS mediun with 0.1 mg ? L-1 2,4-D plus 1.0 mg ? L-1 BA plus 6% of sucrose. Plantlet regeneration was successfully achieved from bulb scale-derived callus, via shoot bud induction or direct bulblet formation.

      • 약제 내성 폐렴구균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발생한 하기도 감염 치료에 대한 Levofloxacin의 효능 및 안정성

        조황래,오원섭,김춘관,김연숙,정숙인,김성민,백경란,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3

        목적 : Levofloxacin은 지역성 호흡기 감염의 흔한 원인인 폐렴구균과 같은 그람 양성균뿐만 아니라, 그람 음성균, atypical organisms에 대해서도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항균제로 알려져 있다. MDRSP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국내에서의 지역성 호흡기 감염에 대한 levofloxaci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계획하였다. 방법 : 본 임상시험은 전향적 방법으로 2000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내원한 지역사회 획득 폐렴, 만성 기관지염에 병발된 급성 세균성 감염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여량 및 투여방법은 Levofloxacin 500㎎을 하루에 한번씩 12.6일(±3.3일)간 투여 하여 임상적으로 호전된 경우, 경구제로 전환하였으며(500㎎ q 24hrs), 신기능 장애시(Ccr 20-50㎖/min) 주사 및 경구제 500㎎을 48시간 간격을 두고 투여하였다. 임상효과, 미생물학적 평가, 및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결과 : 총 60명의 환자가 시험을 완료 하였고, 결핵환자로 판명된 3명과 NK/T cell lymphoma로 확인된 1명, 투약 후 피부발진 발생으로 2일만에 중단된 환자 1명을 제외하고 55명을 평가하였다. 증상의 치료 및 개선을 임상적 유효성이 있는 경우로 하였을 때 55예 중 49예(89%)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미생물학적 평가에서 10예중 10예(100%) 모두에서 미생물학적 소실을 보였다. 부작용으로는 간염 4예, 피부 발진 1예로 모두 5예(9%)가 발생 하였다. 결론 : 약제 내성 폐렴구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국내에서의 지역성 호흡기 감염에 대하여 levofloxacin은 비교적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다.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evofloxacin in the treatment of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in the area with high prevalence of multidrug-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MDBSP) Methods: Outpatients of over 18 years old with a confirmed diagnosis of a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and an acute bacterial exacerbation of chronic bronchitis were enrolled. Patients were treated with parenteral levofloxacin(500㎎ once a day) followed by oral levofloxacin(500㎎ once a day) for about 2weeks and evaluated. Results: Total number of 60 patients received levofloxacin for a mean of 12.6days. Successful clinical response(cured and improved) was 89.1%(49/55) of patients. Microbiologic eradication rate was achieved in 100% of patients whose pathogens were isolated. Hepatitis was developed in 4 cases and drug eruption occurred in I case. Conclusion: A once a day of 500㎎ of levofloxacin for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developed in the region of high prevalence of MDRSP was effective and safe.

      • 폐렴구균의 용혈능 변화와 pneumolysin 유전자의 변이 양상

        오원섭,장현하,정숙인,김연숙,이혁,김신우,김성민,백경란,이남용,송재훈 대한화학요법학회 2002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20 No.3

        목적 : 폐렴구균은 인체에서 폐렴, 수막염 및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항균제 내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에 따라 병독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기능적 및 구조적 분석을 통하여 폐렴구균의 주요 병독성 인자인 pneumolysin의 병인론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페니실링 감수성 균주 20주와 내성 균주 20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의 균주들의 용혈능을 측정하였고, pneumolysin 유전자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증폭한 후 증폭 산물의 유전자 구조를 분석하였다. 결과 : 페니실린 감수성 균주와 내성 균주간의 용혈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용혈능이 매우 낮은 균주에서 Lys152→Thr, Thr-172→Ile, Lys-224→Arg와 같은 변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의 변화는 항균제 내성 정도와는 무관하였으나, 일부 용혈능이 저하된 균주에서 발견된 pneumolysin 유전자의 변이가 pneumolysin의 세포 독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Pnumolysin (P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ulence factor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variation of Ply, hemolytic activity (HA) and gene sequences of pneumolvsin were determined. Methods : A total of 40 invasive pneumococcal isolated (20 penicillin-susceptible & 20-resistant strains) were analyzed. HA of each isolate was measured in crude extracts (1×10^8 CFU/mL) hourly from the time of inoculation to 9h. Crude extracts (50㎕) and DTT buffer (100㎕) were serially diluted in 96-well plate and mixed with 1% sheep blood (50㎕). HA was represented as the reciprocal of the greatest dilution, which resulted in the complete lysis. Two sets of oligonucleotide primers were used to amplify a 1,474-bp fragment containing the coding region and a 578-bp fragment of upstream region of ply gene, respectively. Amplified products were directly sequenced. Results : HA showed a wide variation from 0 to 87,480 regardiess of penicillin MICs, serotypes or specimen sources. Two bacteremic strains showed completely no hemolytic activ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 between penicillin-susceptible (Mean± SE : 15,468± 4,693) and penicillin-resistant strains (21,384± 4,087) were found (p > 0.05).Sequencing of the coding region showed unique alterations in amino acids in strains with markedly reduced hemolytic activity (≤ 40): Thr-172-Ile and Lys-224-Arg. However, upstream region of ply gene was highly conserved. Conclusions : Ply activity was not related with antibiotic resistance. Absence of HA in some strains was associated with unique alterations in amino acid sequences in ply gene. Relationnship between genomic alteration and functional changes in pneumolysi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

        김연숙,최영실,오원섭,권기태,이혁,이선희,손준성,김신우,장현하,정숙인,고관수,박미연,백경란,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배경 : 2002년 내국인에서의 첫 사람 브루셀라증의 증례 보고 이후 국내에서 사람 브루셀라증이 빠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부터 2006년 7월까지 7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WHO의 진단기준에 의하여 확진된 브루셀라증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분석 하였다. 배양된 균은 삼성서울병원에 의뢰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종을 확인하였고, 표준시험관응집검사는 국립보건원에 의뢰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34예의 환자들이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되었고, 31명이 남자였다. 혈액에서 B. abortus가 증명된 경우가 8예, 표준시험관 응집검사상 의미 있는 항체가 상승을 보인경우가 26예이었다. 환자들은 대부분 축산업관련 종사자였고, 추후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사람 브루셀라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이었고, 위장관계 합병증이 가장 흔히 동반되었다. 치료로는 doxycycline/rifampicin이 24예의 환자에서 doxycycline/aminoglycoside (streptomycin 혹은 gentamicin)이 10예의 환자에서 6주 이상의 기간 동안 투여되었다.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는 없었고, 재발이 1예 있었다. 결론 : 국내에서 발생하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원인균으로 현재까지 분리 동정된 것은 B. abortus이며, 소 브루셀라증의 증가로 인해 인체감염사례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위험 직업군 종사자들에서 감염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주로 발생하고 있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종상은 국외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은 비교적 좋은 편이긴 하나, 추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사람 브루셀라증의 조절을 위해서는 소 브루셀라증의 조절이 필수적이며, 브루셀라증의 조절에 성공한 선진국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ince the first Korean case of human brucellosis was reported in 2002, the incidence of human brucellosi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brucellosis occurring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emographic feature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rapeutic outcomes of cases confirmed as brucellosis according to WHO diagnostic criteria were evaluated. Species of Brucella isolates were identified with 16S rRNA gene sequencing method. Serologic diagnosis was performed with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STA). Results : A total of 34 cases were enrolled from 2003 to 2006 in six hospitals. Eight cases were confirmed with the isolation of Brucella from blood and 26 cases were confirmed with titer of antibodies ≥1:160 by STA. Male (31) was predominant and most of the patients were cattle farmers. The most common transmission route was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or their cattle byproducts. Fever was the most prominent symptom and fatigue followed. Gastrointestinal and musculoskeletal systems were commonly complicated. Patients were treated with doxycycline and rifampin or aminoglycosides for more than 6 weeks. All patients responded well to the therapeutic regimens, but one patient relapsed 10 months after treatment. Conclusion : Brucellosis occurring in Korea has been caused by B. abortus, whose preferred natural host animals are cattle. Korean patients were infect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bovine brucellosis. Clinical manifestations of brucellosis were similar to those occurring worldwide. Therapeutic outcomes were good among patients with brucellosis in Korea. In order to prevent human brucellosis, measures to eradicate bovine brucellosis should precede.

      • 위암환자에서 BrdU에 의하여 유도되는 Fragile sites의 발현

        윤숙자,한승로,정옥,김수일,박경란,이영호,김원식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2001 충남의대잡지 Vol.28 No.1

        The expression frequency of BrdU-induced fragile sites was examined in stomach cancer patients to determine whether this parameter could be used as a marker of genetic susceptibility in at-risk individuals. G banding performed to detect fragile sites. No difference was found in expression frequency between the stomach cancer patients and a group of normal individuals(p=0.7). This indicates that the expression frequency of BrdU-induced fragile sites is not a suitable marker for assessing genetic susceptibility in stomach cancer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