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이경보,김창환,이덕배,김종구,박찬원 한국환경농학회 200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3 No.1

        동진강 일대의 인위적인 교란에 의한 하천식생의 복원 및 복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1년 6월부터 2002년 3월까지 하천식생의 종 구성, 하천형태에 따른 군락의 구조, 현존식생의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동진강 유역에서 조사된 하천식생은 73과 188속 238종 33변종 1품종으로 총 272종류가 조사되었다. 또한 관속식물의 생활형에 따라 분류하면 침수식물이 23종, 부엽식물이 7종, 부유식물이 2종, 정수식물이 18종, 습생식물이 53종, 수변식물이 168종이었으며, 수생식물과 습생식물은 각각 50종과 53종류로 전체 조사된 272종류 중 37.9%를 차지하였다. 식물생활형의 분포비율은 휴면형 1년생 식물이 97종 35.7%, 수생식물이 78종 28.7%, 반지중식물이 41종 15.1%, 지중식물이 22종 8.1%, 지표식물이 12종 4.4%가 관찰되었다.동진강 상류유역의 식물군락은 검정말군락, 검정말-실말군락, 붕어마름군락, 달뿌리풀군락, 고마리군락, 큰황새냉이군락, 여뀌군락 등 총 8개의 식물군락이 분포하였다. 동진강 중류유역은 수생식물인 줄과 갈대군락, 그리고 수변식물군락으로 고마리군락, 교란지식생인 환삼덩굴군락 등 총4개 군락이 분포하였고, 동진강 하류 유역은 자라풀군락, 붕어마름군락, 마름군락, 줄군락, 갈대군락의 5개 습생식물군락과 털물참새피군락, 고마리군락의 2개 습생식물군락, 새콩 등의 나대지 식물군락 등 총 8개 식물군락이 관찰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some vegetation information and to find out a way to conserve the ecosystem in the Dongjin River. The riparian vegetation was investigted by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from June 2001 to March 2002. The number of riparian plants were 73 families, 188 genera, 238 species, 33 varietles or 272 Taxa in Dongjin River. The characteristics of life form spectra were 97 therophytes(35.7%), 78 hydrophytes (28.7%), 41 hemicryptophytes (15.1%) 22 geophytes (8.1%), and 12 chamaephytes (4.4%). The riparian vegetaton was identified 8 plant communities (Potamogeton brechtoldii, Hydrill verticillata, Ceratophyllum demersum, Potamogeton malaianus, Phragnites japonica, Persicaria thunbergii, Cardamine scutata, Persicaria hydropiper) in upstream, 4 plant communities(Zizania latifoliar, Phragmites communis, Persicaria thunbergii, Hunmulus japonicus) in midstream and 8 plant communities(Hydrocharis dubia, Ceratophyllum demersum, Trapa japonica, Zizania Iatifolia, Paspalum distichum, Phragmites communis, Persicaria thunbergii, Amphicarpaea edgeworthii) in downstream of the Dongjin River.

      • KCI등재

        동진강 정읍천 유역 오염부하량 평가

        이경보,김종천,박지혜,이덕배,김종구 한국환경농학회 200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3 No.1

        하천 수질관리 대안을 제시하고자 동진강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정읍천을 대상으로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점 및 비점 오염원으로부터 수질오염물질의 부하량, 유출 경로 등을 평가하였다. 계절별 수질 변화는 pH 범위가 6.87∼7.53으로 봄의 pH 범위가 컸으 며, EC 농도는 정읍천 중류가 높았으며, 상류유역은 83∼95㎲/㎝ 범위를 나타냈고, 계절별로 가을에 517㎲/㎝로 가장 높았다. BOD의 농도는 상류유역에서 0.61∼1.27 ㎎/L로 Ⅰ급수 수 질은 나타내었으나, 중류와 하류에서는 Ⅲ등급 수준이었다. T-N의 농도는 정읍천 중류 유 역이 6.10∼10.84㎎/L로 가장 높았고, T-P의 농도는 타오염물질에 비해 농도의 편차가 컸으 며, 특히 중류에서 T-P의 농도가 0.41∼0.98 ㎎/L로 높았다. BOD의 배출부하량은 J4 유역에서 553 ㎎/day로 가장 많았고 T-N 발생부화량은 가축, 인 구, 토지이용, 산업의 순으로 컸으며, T-N 배출부하량은 인구 및 산업에 의한 것은 J4 유역, 가축과 토지이용에 의한 부하량은 J5, J6유역에서 높았다. T-N의 유달부하량은 하류 유역에 서 높았으며, T-P의 유달 부하량은 BOD, T-N에 비하여 유달부하량이 낮았고 유달율은 6∼38% 범위를 나타냈다. The influence of pollutant loads on the water quality in Jeongeupcheon of Dongjin river was evaluated from Jan. 2002 to Dec. 2003 for two years. The range of pH in water was 6.87-753. The EC level in upstream ranged from 83 to 95 us/cm with the highest value in autumn. The BOD level in upstream ranged from 0.61 to 1.27 ㎎/L, which would be Ⅰ grade according to water quality crite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at in downstream was Ⅲ grade. The average T-N level in midstream range from 6.10 to 10.84㎎/L which was the highest values throughout the stretch of the river. The average T-P levels ranged from 0.41mg to 0.98㎎/L. Jeongeupcheon was suitable for the agricultural usage based upon one year analysis of river water quality. The effluent loads of BOD was high in midstream(J4) with 553 ㎏/day. The major sources of T-N loads were livestock, population, land use, and industry in order. The effluent loads of T-N was high in J4 by population and industry while that of T-N was high in J5 and J6 by livestock and land use. The delivered loads of T-N was high in downstream. The delivered loads of T-P was low as compared with those of BOD and T-N. The delivery ration of T-N ranged from 6 to 38%.

      • 참깨박의 재활용방안 : 제2보, 알칼리 및 염수추출법에 의한 분리참깨단백의 제조 2. Manufacturing of Isolated Sesame Protein by Alkali and Salt Extraction Method

        이근보,김경이,구본순,김덕숙 瑞逸專門大學 1993 論文集 Vol.11 No.-

        참깨탈지박(DSM)으로부터 알칼리(AEM) 및 염수추출법(SEM)에 의하여 분리참깨단백(ISP)을 제조한 결과 회수율은 각각 43.06, 41.13%였으며, ISP의 조단백 함량은 각각 90.14, 91.08%였다. 현째까지 알려진 바로는 AEM이 가장 적합한 추출방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회수율 및 단백함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SEM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ISP의 아미노산 조성은 필수 아미노산중 Isoleucine, Lysine이 FAO 권장치 이하였으며, Lysine 함량은 FAO 권장치의 57-64%에 그쳐 제한 아미노산으로 밝혀졌다. We are manufactured isolated sesame protein(ISP) from defatted sesame meal used for extraction method by alkali(AEM) and saline solution(SEM). The recovery yields were 43.06, 41.13%,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ISP were 90.14, 91.08%, respectively. AEM was reported the most suitable extraction method. But in the case of consideration the recovery yield and crude protein content, SEM was a excellent extraction method. Amino acid composition of ISP was represented the low level to isoleucine and lysine than FAO reference pattern. Expecially, lysine was a limiting amino acid, the content was about 57-64% level of FAO reference pattern.

      • KCI등재

        만경강 본류의 자연정화능 향상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이경보,김창환,김종구,이덕배,박찬원,나승용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2

        만경강 본류를 대상으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식생의 종구성, 하천형태에 따른 군락의 구조, 단면분석을 통한 현존식생의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하천 생태계에 대한 종합적 해석과 식생에 의한 자연정화능 활용방안을 평가하고자 2001년 6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수질 및 식생에 관한 자연정화능을 조사, 평가하였다. 만경강 본류 수질중 T-N의 농도는 갈수기인 겨울철이 17.23 mg/L로 가장 높았으며, 여름철이 8.59 mg/L로 낮았고, 상류보다는 하류에서 그 농도가 높았다. 또한 평균 T-P의 농도는 여름철과 가을철에 각각 0.45, 0.47 mg/L로 비슷하였으나 겨울철에 1.79 mg/L로 농도가 높아졌다. BOD의 농도는 상류유역에서 0.95~2.57 mg/L로 Ⅰ~Ⅱ급수 수질을 나타내었으나 하류유역에서는 6.87~9.72 mg/L로 Ⅴ급수에 가까운 수질이었다. 만경강 상류의 식물상은 73과 134속 218종 33변종으로 총 251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중류 일대에서 조사된 식물은 33과 69속 82종 16변종으로 총 98종류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만경강 하류 일대에서 관찰된 식물은 27과 58속 71종 14변종으로 총 85종류가 조사되었다. 만경강 유역에서 자연정화능에 의한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식물 생활형별로 하천 정화능이 뛰어난 식물을 조사 분석한 결과 침수식물은 붕어마름, 검정말, 부엽식물은 어리연꽃, 왜개연꽃, 추수식물은 갈대, 줄, 부들, 습생식물은 큰황새 냉이, 고마리 등이 질소, 인 흡수능이 우수한 식물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some information on plants abilities to enhance water purification and to find out away to conserve the ecosystem in Mankyeong river. Vegetation were surveyed at 4 sites pointing by 1:5,000 topographical map, from June 2001 through March 2002. T-N content in water were high in all sites of Mankyeong river, the average T-N levels were 8.59 and 17.23 ㎎/L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The average T-P level during summer was 0.47 ㎎/L, but that was 1.79 ㎎/L during winter. The BOD level in Mankyeong upstream ranged from 0.95 to 2.57 ㎎/L which would be in Ⅰ or Ⅱ grade according to water quality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but BOD level in Mankyeong downstream ranged from 6.87 to 9.72 ㎎/L. The plant species of river flora were found 251, 98 and 85, upstream, midstream and down stream, respectively. Among the surveyed plants, Ceratophyllum demersum, submerged plant and Nuphar subinteperrimum took up higher contents of phosphate and nitrogen than other plants. The Phragmites communis and Zizania latifolia having much biomass were thought to be suitable plants for enhancement of the natural water pur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만경강 상류 수질 및 식생분포와 토양환경에 따른 하천식생의 종 다양성

        이경보,김창환,이덕배,김종구,박찬원,나승용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2

        만경강 상류유역 수질 및 하천식생 군락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수질에 따른 하천식생의 종 다양성 및 토양요인에 따른 종 다양성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1년 6월부터 2002년 9월까지 만경강 상류유역 5개 조사지점을 선정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질중 T-N의 농도는 전주천과 삼천에서 높았으며, 겨울철에 전주천에서 7.45 mg/L로 가장 높았다. 무기태 질소 성분벽 함량은 NH₄-N 경우 고산천과 소양천 유역은 0.01~0.06 mg/L 범위로 계절별 커다란 차이가 없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전주천과 삼천에서는 0.77~3.01 mg/L로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T-P의 농도는 계절별로 비슷하였으나 전주천에서 겨울천에 0.89 mg/L로 가장 높았다. 계절별 BOD의 농도는 고산천과 소양천 유역에서 0.92~2.14 mg/L를 나타내었으나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유역에서는 2.01~7.65 mg/L범위를 보였다. SO₄²^(-)의 농도는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50 mg/L를 초과하는 지역은 없었으며 소양천에서 다소 높았다. 만경강 지류인 고산천에서 조사된 식물은 59과 과 129속 165종 20변종으로 총 18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소양천에서 조사된 식물은 53과 111속 141종 19변종으로 총 160종이었고, 전주천 하류에서 조사된 식물은 37과 68속 86종 15변종으로 총 103종이었다. 그리고 삼천에서 조사된 식물은 32과 92속 110종 18변종으로 총 128종류 조사되었으며, 만경강 본류인 하리유역에서 조사된 식물은 73과 134속 218종 33변종으로 총 251종류가 조사되었는데 식물의 생활형에 따라 분류하면 침수식물이 13종, 부엽식물이 5종, 부유식물이 2종, 추수식물이 26종, 수생식물이 46종, 습생식물이 47종으로 조사지점중 이 지역의 식생이 가장 다양하였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분류된 하천식생의 식물군락은 10개의 수생식물 군락과 2개의 습생 및 수변식물 군락으로 대별되어졌다. 이들 군락들에 대한 4종류(종수, 종의 풍부도지수, 종의 이질성지수, 종의 균등도지수)의 종 다양성과 토양요인(pH, EC, 유기물 함량, 전질소, 인삭)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pH가 높을수록 4종류의 종 다양성 지수는 높아 졌으며, EC는 값이 높을수록 종수(SN), 종의 풍부도지수(SR), 종의 이질성지수(H'), 종의 균등도지수(J')가 낮아 졌다. 또한 유기물 함량(OM)과 전질소(T-N)의 경우도 4종류의 다양성지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인산(P₂O_(5))은 4종류의 다양성 지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fluence of chemical properties in the riparian on the species diversity and to get plant information for enhancement of natural purification in Mankyeong River.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was high in Jeonju and Sam stream, while that of total nitrogen showed the highest peak in Winter. Concentrations of NH₄-N was 0.01-0.06 ㎎/L in Gosan and Soyang stream. The water quality of upstream along with Mankyeong River was suitable for the imgation source. The riparian vegetation was investigated by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from June, 2001 to September, 2002. The number of riparian plants were 59 families, 129 genera, 165 species, 20 varieties in Gosancheon, on the while 53 families, 111 genera, 141 species, 19 varieties in Soyangcheon The number of riparian plants in Hari basi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ites namely, 73 families, 134 genera, 218 species, 33 varieties. Riparian vegetation was consisted of 12 plant communities.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index, Heterogeneity index, Species evenness index, Species number). On the while, species diversity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il pH. Species diversity of the plant communities were affected by topography and disturbance.

      • KCI등재후보

        복지권으로서 교육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황정보,이선재,안병주,강경희,김청아 국립특수교육원 2007 특수교육연구 Vol.14 No.2

        결핍에서 오는 필요의 개념은 장애인에게 복지권으로서 교육받을 권리를 가장 잘 말해주고 있다. 장애인은 신체적·인지적 손상으로 발생하는 기본적인 생존적 필요의 충족뿐만 아니라 동시에 교육기회 균등이나 개인차의 고려 등을 통해 무지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보편적 필요가 충족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장애인들에게 이러한 결핍에 따른 필요를 충족시켜 줄 이론적 근거가 롤즈(J. Rawls)의 정의론이라 할 수 있다. 정의론의 '차등의 원칙'에 따르면, 교육에 있어 비장애인과 장애인 중 먼저 최소 수혜자인 장애인의 교육복지를 우선하여 극대화할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이론적 근거에 대한 정당화를 논의하였다. 기존의 특수교육진흥법은 '국가가 교육할 권리'를 가지는 국가 주도적 교육이었다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은 수년간 장애인의 교육권 확보를 위해 애쓴 장애인 교육 주체들이 노력 끝에 '교육받을 권리'를 찾게 된 의미 있는 결실로 평가되어 진다. The concept of need which comes from lack represents well the right to education as welfare right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meet the universal need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uch as an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the consideration for individual difference as well as their substantial need. The rationale which may satisfy the need associated with the lack can be J. Rawls's a Theory of Justice. The difference principle by Rawls presents the need of the educational welfar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the least advantaged) to take precedence over that of the non-disabled and be maximized, it is considered that he created the rationale that makes secure their right to education. While established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was national-driven education that state had to the education right,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tc.' can be a significant fruit which takes back 'the right to education by citizens' by the educational subjects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o have taken pains to secure their right to education for years.

      • 알코올 금단 발작 환자에서 진전 섬망 예방에 대한 Nimodipine과 Chlordiazepoxide의 효과 비교

        정두신,양광익,이보람,방차옥,이태경,성기범,안무영,박형국 순천향의학연구소 2001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7 No.1

        Background & objectives : An increase of calcium influx during alcohol withdrawal state may contribute to neuronal hyperexitability, which cause delirium tremens(DT). Some investigators have found calcium channel blockers effects in prevention of DT in experimental animals. Therefore we evaluated the preventive effects of calcium channel blocker(nimodipine) and benzodiazepine(chlordiazepoxide) on the development of DT in alcohol withdrawal seizure(AWS) patients. Method : A total 59 patients with AW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nimodipine-treated, chlordiazepoxide-treated, and control(no specific medication) groups. We compared the incidence rates of DT in the three groups. Results : Total incidence rate of DT was 30.5%(18 of 59 patients). There were 6 DTs of 18 patients(33.5%) in nimodipine-treated group, 4 of 21 patients(22.5%) in chlordiazpoxide-treated group, and 8 of 20 patients(44.0%) in control. Conclusion : The control group(44.0%)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rate of DT. And nimodipine-treated(33.5%) and chlordiazepoxide-treated group(22.5%) were followed. However, this result failed to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small numbers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