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장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조사

        나승용,조명래,김동순,박권우,우종규,김기택 한국응용곤충학회 199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7 No.1

        전국의 마을 주산단지에서 수집한 마늘을 대상으로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년간 저장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의 종류와 밀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저장마늘을 가해는 해충으로 검출빈도와 밀도가 높은 종류는 마늘혹응애(Aceria tulopae), 뿌리응애(Rhizoglyphus sp.) 마늘줄기선충(Dity- lemchus dipsaci), 긴털가루응애(Tyrophagus putrescentiae)등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먼지응애(Tarsonemus bilobatus)와 귀리둥근꼬리선충(Aphelenchus avenae)은 검출빈도 및 밀도가 낮았다. 마늘혹응애는 1994년 조사에서는 38%의 검출율을 보였으나 1995년도 조사에서는 62%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아. 뿌리응애는 1994년조사에서 63%의 검충율을 나타내었으나 1995년조사에서는 13%로 낮았다. 마늘 인편당 뿌리응애수는 1~135마리로 조사되었으며 피해를 입은 마늘은 부패하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긴털가루응애는 1994년에는 32개 농가 중 22개 농가에서, 1995년에는 39개 농가 중 21개농가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밀도는 다른 응애류에 비해 비교적 낮았으며 저장중 마늘에서 긴털가루 응애의 피해유발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Survey was conducted on the kinds and densities of pests associated with stored garlic collected from farms of major garlic production areas from 1994 to 1995 in Korea. Aceria tulipae, Rhizoglyphus sp., Ditylenchus dipsaci, and Tyrophagus putrescentiae were frequently detected with high densities and Tarsonemus bilobatus and Aphelenchus avenue showed relatively low detection rates and densities. Detection rate of A. tulipue was 38% in 1994, but the rate was 65% in 1995. Number of the mite ranged from 1 to 4,500 per scale. Detection rate of Rhizoglyphus sp. was 63% in 1994, but the rate was 13% in 1995 and average number of the mite ranged from 1 to 135 per scale in 1994. Garlics damaged by Rhizoglyphus sp. showed decaying symptom. T~rophagusp utrescentiae was detected from 22 farms among 32 farms surveyed in 1994 and from 21 farms among 39 farms surveyed in 1995. However, number of the mite on garlic scal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mites and its damages on stored garlic was not determined.

      • KCI등재

        저장마늘의 마늘혹응애 피해와 화학적 방제

        나승용,조명래,전응용,오대근,박권우 한국응용곤충학회 199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7 No.1

        마늘을 가해하는 해충에 관한 조사 중 마늘인편의 표면을 홉즙하여 줄무늬의 가해 흔적을 남기고 저장 중인 마늘의 감모요인으로 작용하는 혹응애류 1종이 밝혀져 형태적 특징을 기초로 국내미기록종인 마늘 혹응애(Aceria tulopae(Keifer) 1938=Eriophyes tulipae_로 동정하였다. 해부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피해양상을 관찰한 결과 마늘에서는 마늘 혹응애의 가해로 인한 혹은 형성되지 않으며 표면에서만 피해증상이 관찰되었다. 마늘 혹응애가 가해한 마늘은 표면의 광택이 없어지고 거칠어지며 피해발생 초기에는 마늘표면에 경미하게 함몰된 연한 갈색의 줄무늬가 생기며 수확 후 저장기간 중에 마늘 혹응애 방제를 위한 밀폐된 플라스틱용기 (1m$\times$1m$\times$1m)에 마늘을 넣고 aluminium phosphide를 3g/㎥비율로 72시간 훈증처리한 결과 남도마늘에서 마늘 혹응애의 방제가가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In a survey on the pests of stored garlic, an unrecorded gall mite in Korea was found to damage on garlic surface making stripe feeding injuries. The mite was identified as Aceria tulipae (Keifer) 1938,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Light microscopic and SEM observations on garlics fed by A. tulipae revealed that there was no gall formation by feeding but there was only surface damage symptom. The damaged garlic surface showed symptom of losing gloss in the early stage and the feeding traces under dissecting microscope. Brown stripes appeared in the middle stage of damage and the whole scale turned to dark brown and shrank in the later stage. When the mite infested garlics were fumigated with 3 g/m3 aluminium phosphide for 72 hours in airtight plastic boxes (1 m x 1 m x 1 m), the mortalities of mite were over 90% for Namdo garlics.

      • KCI등재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를 이용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생물적 방제

        나승용,백채훈,이건휘,김두호,La, Seung-Yong,Paik, Chae-Hoon,Lee, Geon-Hwi,Kim, Doo-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차먼지응애의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생물적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상위 엽을 가해하다가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먹이조건이 나빠지기 때문에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이동하였다. 오이이리응애와 차먼지응애의 밀도변동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의 이동에 따라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서식지가 같아졌다. 차먼지응애에 대해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포식량은 15, 20, 25 및 $30^{\circ}C$에서 각각 8.8, 15.2, 27.0 및 30.3마리를 포식하였다. $25^{\circ}C$ 조건하에서 부화유충은 0.5마리, 전약충은 1.6마리, 후약충은 5.2마리, 수컷 성충은 3.8마리, 암컷 성충은 27.0마리의 차먼지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차먼지응애 성충에 대한 오이이리응애 성충의 기능반응은 차먼지응애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의 포식율은 감소하여 Holling의 기능반응곡선 제II형과 일치하였다.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 접종비율이 고추에서 1:40일 경우 밀도억제효과가 98% 이상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iological control effects of the natural enemy, Amblyseius cucumeris, against Polyphagotarsonemus latus. The broad mite moved to a new habitat after the carrying capacity of the preferred habitat on the upper leaf has been reached. Population dynamics between predator, Amblyseius cucumeris, and prey, P. latus, were quite well synchronized since the predator followed the movement of the prey. In predation test by Amblyseius cucumeris on P. latus, A. cucumeris fed on 8.8, 15.2, 27.0 and 30.3 individuals/day under the temperatures of 15, 20, 25,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A. cucumeris larva, protonymph, deutonymph, adult male, and adult female fed on 0.5, 1.6, 5.2, 3.8, and 27 individuals of adult P. latus per day, respectively, under $25^{\circ}C$ condition. The functional response curve of adult P. latus to the densities of A. cucumeris showed Holling's Type II curve. The consumption of prey by A. cucumeris increased with the prey density increase, but the consumption rate decreased. The critical ratio of predator vs. prey effectively to suppress (98% over) the population of P. latus by releasing A. cucumeris was 1:40 on red pepp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육에 있어 창의성에 대한 一考

        나승용(Na Sungyong)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3

        창의성이라는 말이 교육에 있어 많이 이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이라는 것에 대해 많은 정의들이 있겠지만 쉽게 말해 “지식과 절차를 모를 때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그러나 창의성에 대한 정의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혀 접해보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어디에서 어떻게 얻을 수 있느냐?는 문제다. 루트번스타인(Robert Root-Bernstein)은 그가 썼던 『생각의 탄생』이란 책에서 창의성 제고를 위한 13가지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그것은 관찰, 형상화, 추상화, 패턴인식, 패턴형성, 유추, 몸으로 생각하기, 감정이입, 차원적 사고, 모형 만들기, 놀이, 변형, 통합 등이다. 그렇다면 이 13가지로 제시되었던 많은 부분들에 흐르는 공통점은 무엇인가? 나는 3가지로 요약을 해봤는데 기억의 축적과 기억의 활용, 그리고 기억의 편집이다. 이 3가지를 뇌과학 입장에서 바라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뇌과학에서는 창의성이란 것이 신경세포들이 서로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것인 만큼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서 신경세포끼리의 연결을 얼마나 강화하고 그 속도를 높이며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창의성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는 있는가? 뇌과학자들이 제시하는 바에 따르면 인간의 뇌에서 감정을 다루는 부위는 존재하지만 특별히 이성이나 창조성을 다루는 부위는 이야기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다음은 기억과 감정이다. 여러 가지 내용들을 언급할 수 있겠지만 요약한다면 ①기억회로와 감정회로가 밀접하게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서 ②감정이 풍부하면 기억력이 좋아지고 ③전두엽과 기억피질의 연결이 많은 사람이 더 창의적이라는 사실이다. ④물론 현대사회는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해마의 사용을 강조하기 보다는 정보를 빠르게 스캐닝하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갈 수 있는 전두엽의 활용이 중요하기 때문에 활용 부위의 비율 정도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교육 현장에서 창의성 발휘를 위해 어떤 것들을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다. 여기에서는 6가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①문화로 정착시켜라. ②개념에 대한 재범주화를 지속적으로 하라. ③책읽기 운동이다. ④멍때리기 시간을 부여하라. ⑤무엇을 모르는지를 가르쳐야 한다. ⑥노트쓰기 장려다. ⑦실패를 장려하는 사회 분위기다. 뇌과학에 대한 연구가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는 것에 기초하여 우리 군에서도 장병들의 창의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뤄질 수 있길 기대해본다. The word creativity is said a lot in education. There are many definitions for this creativity, but it can be easily defined a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when knowledge and procedures are not known." But more important than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is the question of where and how can you gain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you have never encountered? In his book, The Birth of Thought, Lutburnstein proposes 13 ways to enhance creativity. It is observation, imagery, abstraction, pattern recognition, pattern formation, analogy, body thinking, empathy, dimensional thinking, model making, play,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So, what are the commonalities flowing through the many areas presented in these 13 things? I summarized three things: accumulation of memory, utilization of memory, and editing of memory. Looking at these three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th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brain science, creativity is seen as how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nerve cells through continuous training, increase the speed, and maintain accuracy as neurons are created by connecting them. Next, what part of the brain is responsible for creativity? According to brain scientists, there are parts of the human brain that deal with emotions, but it is difficult to talk about parts that deal with reason or creativity in particular. Next up are memories and emotions. There are many things that can be mentioned, but in summary, ① the memory circuit and the emotional circuit are closely related. ② If the emotion is abundant, the memory is improved, and ③ the frontal lobe and the memory cortex are connected with many people are more creative. ④ Of course, in modern society, rather than emphasizing the use of the hippocampus to convert short-term memory into long-term memory, it is important to use the frontal lobe to scan information quickly and find necessary information. see. Finally, the question is, what can be applied to show creativity in the educational field? Here, six alternatives are suggested. ① Settle into culture. ② Continue to re-categorize concepts. ③ It is a reading exercise. ④ Give it time to beating. ⑤ You must teach what you don"t know. ⑥ Encourage writing of notes. ⑦ It is a social atmosphere that encourages failure.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research on brain science, I hope that many efforts can be made in our military to activate the creativity of soldiers.

      • 창의성, 어떻게 만들어지나? (뇌과학을 기초로 한 일고(一考))

        나승용 ( Na Sung-yong ) 창조교육학회 2019 창조교육논총 Vol.21 No.-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creativity, but I will easily define it a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when we do not know the knowledge and procedures”. But what matters more than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is how and where we get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we’ve never encountered. Just as science begins where human senses end, creativity that humans pursue in many ways begins with the stereotypes and senses that humans have. There’s a movie called The Matrix; where a young man who sells illegal hacking programs realizes that the world he knows is all fictional. The question is how do I know this? Of course, until now, a lot of people have suggested a way to think about how to think creatively, and I think it is being presented. I personally recommend the 13 methods presented in the book Spark of Genius written by Robert Root-Bernstein. The presented contents were observing, imaging, abstracting, recognizing pattern, forming pattern, analogizing, body thinking, empathizing, dimensional thinking, modelling, playing, transforming, synthesizing. What really interests me was what was common in these 13 contents. I summarized it in three ways: accumulation of memories, utilization of memories, and compilation of memories. I studied these three things from view point of neuroscience. First of all, how do you see creativity in neuroscience? To do this, we need to know the activities of the cells. In neuroscience, nerve ce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creativity means how to strengthen, speed up, and maintain the accuracy of the connections between nerve cells through continuous training. Next, is there any part of the brain responsible for creativity? Unfortunately, brain scientists suggest that there are some places which deal with emotions in the human brain, but that there are no places which deal with reason or creativity. In neuroscience, human creativity has led to the question of how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se the information of memory in the process of diverse and newly connected human consciousness to solve the uncertainty. Next is memory and emotions. Many things can be mentioned, but to sum up, ①the memory circuits and emotional circuits are closely related, ②rich emotions improve memory, ③people who have a lot of connections between the frontal lobe and the memory cortex are more creative, ④of course, in modern society, rather than emphasizing the use of hippocampus that transforms short-term memory into long-term memory, it is important to use the frontal lobe that quickly scans information and find necessary information. Therefore, the ratio of utilization to the parts of usage seems to be somewhat different. Finally, it’s about a neuroscience stance on the human mind. Recently, Harvard University psychiatrists have published a decade-long study of what the human brain does, and say there are three modes. salience mode, executive mode and default mode. What’s noteworthy about the results made by Harvard psychiatrists is that we humans use about 80% for the default mode among all three modes. So why should we care about the default mode? First of all, the default mode is ①to expand the human field of view. ②Secondly, the default mode is to endlessly reflect on your past and present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Lastly ③the default mode tries to talk to yourself internally and ultimately make some decision makings through your life. I think this is a truly meaningful discovery. There’s a good reason why we humans have to look deeper into the default mode for the sake of creativity. So what can we do now to apply for creativity in education? Here are six alternatives. ①Settle into culture, ②Continuously recategorize for concepts, ③Book reading exercise, ④Give time for doodle try ⑤Encourage writing notes, ⑥Social atmosphere that encourages failure. I assumed creativity a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without knowing knowledge or procedures, I talked about the approach based on neuroscience. Based on the rapid progress of the study of neuroscience, I hope that human creativity will become more common and applicable to many people.00

      • KCI등재

        위기 대응시 쟁점의 간극(Gap)과 속도(Tempo)가 위기 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군의 비행체 사고를 중심으로

        나승용(Na, Sengyong),마정미(Ma, Jung Mi)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30

        조직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 조직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거쳐 위기를 관리해 나가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조직의 위기 대응에도 불구하고 언론을 포함한 일반 공중의 반응은 조직의 위기관리 노력에 상응한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이 연구는 위기 대응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찾아보고 이를 기초로 위기관리 모델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군에서 발생한 비행체 사고 4건을 분석하고 연구자가 제시하고자 하는 위기관리 모델에 대입하여 모델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위기 대응에 가장 크게 미치는 요소를 ‘쟁점의 간극(Gap)과 속도(Tempo)’라고 봤다. 위기는 ‘관계에 기초한 인식의 문제’라 할 수 있고 모든 전략의 한 축은 ‘시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쟁점에 대한 갈등의 간극(Gap)과 시간의 속도(Tempo) 요소에 기초하여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모델제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쟁점의 간극(Gap)은 충돌(Discord)과 합의(Accord)라는 하위 변인으로 나뉘고 속도(Tempo)는 적시성(Timing)과 지속성(Continuity)으로 나눴으며 이들 변인들이 4개의 셀을 만들어 내는 일명 DATC Matrix가 만들어졌다. 이후 간극(Gap)과 속도(Tempo)가 공중의 조직에 대한 평가를 함에 있어서 얼마 정도의 효과를 가질 것인가 여부를 확인하였는데 여기서 공중이 조직에 대해 갖는 평가에 대한 정도는 비행체 사고 및 이를 처리해 나가는 과정에 있어 언론보도 기사 제목과 공중들이 나타내는 댓글을 감성분석하고 그 결과치를 지표로 삼았다. 연구 결과 DT 전략에서는 논란 쟁점에 대해 쟁점별 집중화된 노력을, AT 전략에서는 관심 쟁점에 대해 pin-point식 관리 노력을, DC 전략에서는 핵심 쟁점에 대해 계산된 모험에 의한 관리 노력을, AC 전략에서는 잠재 쟁점을 발굴하여 사전 차단하는 노력을 기울여 나가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외에도 환심사기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조직(해군·공군)이 환심사기 전략을 구사하지 않는 조직(육군·해병대)에 비해 조직에 대한 신뢰도를 더 높게 가지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Crisis can be said to be ‘a problem of perception based on relations’, and one axis of all strategies is considered to be ‘time’. In this respect, I tri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esenting a model of a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based on the GAP of the conflict on the issue and the TEMPO element of time. More specifically, the GAP of the issue is divided into sub-variables called Discord and Accord, and TEMPO is divided into Timing and Continuity. Each cell name was named after the acronym, as DT strategy, AT strategy, DC strategy, and AC strategy, and a so-called DATC Matrix was created in which these variables create four cells. After that, it was confirmed how much effect GAP and TEMPO would have in evaluating public organizations. And it was checked whether or not it could have any effect in carrying out these strateg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it is reasonable to focus on the controversial issues in the DT strategy, focusing on each issue. In the AT strategy, it is reasonable to make an effort to manage only the issues of interest in a pin-point manner. In a DC strategy, it makes sense to manage key issues by calculated risk. In the AC strategy,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make efforts to identify potential issues and block them in advanc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organizations that use the ingratiation strategy (Navy/Air Force) have a higher degree of trust in the organization than those that do not use the ingratiation strategy strategy (Army/Marine Cor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