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동향 분석

        김청일(金淸壹),오윤경(吳潤京)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3

        기후변화 문제는 더 이상 특정 지역이나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가 함께 대응해야 할 글로벌 공공재 관리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기후변화 대응 전략인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에 관한 논문들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학술 차원에서 국내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나아가 정책 차원에서 향후 우리나라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부 정책을 채택 · 시행하는 과정에서 연구 투자 및 참여, 연구자의 관심 변화 등이 동반되는 경향이 나타나는 점을 반영하여 연구의 흐름을 통해 정책변화를 파악하였다.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과 파리협약(Paris Agreement)이 채택 · 이행된 시점인 1992년과 2015년을 고려해 1990년부터 2017년까지 SCI/SCIE, SSCI에 등재된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 간 연구동향의 차이 분석에 중점을 두었으며, 아울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인 완화 전략과 적응 전략의 특성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Web of Science(WoS)를 활용하여 국제기후협약이 채택 · 이행되는 동안 연구동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시기 · 국가 · 연구 분야 · 피인용횟수 등의 측면에서 분석한 후, Textom을 통해 완화 전략과 적응 전략 관련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 간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limate change strategies in Korea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strategies of climate change,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Korea`s climate change policy. As the policy process tends to be accompanied by changes in research investment, participation in research, and interest of researchers, the policy changes were identified through research trends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research trends, and identifies the more specific characteristics differences between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items of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Web of Science(WOS) platform of Thomson Reuters. A total of 2,828 and 2,383 articles in SCI/SCIE, SSCI were in the selected subject categories in WOS from 1990 to 2017. The examin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rends was based on years, countries, research fields, number of citations, and more detailed analysis on mitigation and adaptation conduct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Textom.

      •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뇌기능 지수(BQ)에 미치는 영향

        김청아 대한음악치료학회 2015 KJMT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뇌전도 (EEG)를 이용한 뇌기능 지 수(BQ)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3 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여학생 4명이었다 .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6주간에 12회기를 실시하였으 며, 음악활동 프로그램 12회기를 실시하기 전인 사전과 , 실시 후인 사후에 BQ검사를 실시하 였다. 회기별의 행동과 뇌파(기초율동 뇌파검사 )의 변화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기 전과 후에 뇌파(EEG)검사를 실시하였다 . 자료처리는 음악활동과 뇌파의 변화를 그래프를 통 한 비교결과와 종합적인 결과인 뇌지수 (BQ)와 하위지수인 자기조절지수 (SRQ), 주의지수 (ATQ), 항스트레스지수 (ASQ)를 사전-사후로 비교하였다 . 결론적으로 ,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뇌기능 지수와 하위지수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 다. 이는 음악활동이 초등학교 여학생 4명의 뇌기능 BQ지수의 점수를 높여주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졌다 . 이는 음악활동을 통한 뇌기능 지수의 변화를 알아보는 연구가 대상이 다수 의 일반초등학생 뿐만 아니라 전환기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 특히, 장애학생에게도 적용해 볼 수 있다는 시사점과 기초적 연구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 KCI등재

        또래괴롭힘 피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용서와 접근적 대처반응의 매개효과

        김청아,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또래괴롭힘 피해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용서와 접근적 대처반응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6학년 616명을 대상으로 또래괴롭힘, 용서, 대처반응, 삶의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적합도와 개별 변수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괴롭힘 피해는 용서, 접근적 대처반응,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또래괴롭힘 피해를 경험할 경우 용서 점수가 낮아지고, 또래괴롭힘 피해와 용서는 접근적 대처반응과 아동의 삶의 만족도의 선행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반영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또래괴롭힘 피해→용서→접근적 대처반응→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forgiveness and approach coping responses mediate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 collected data of 6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Mediation effect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First, Peer victimiz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forgiveness, approach coping response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we set a research model reflecting that a child’s peer victimization could decrease forgiveness, and that peer victimization and forgiveness could be a prior factor of approach coping responses and life satisfaction; thereby, we applied and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victimization → forgiveness approach coping response life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last, we discussed meaning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20∼30대 미혼 성인의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외로움의 관계: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김청아,장유진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9 人間理解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solitude and lonel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is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were 337 unmarried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oneli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solitude and negatively related to mindfulness. In contras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solitude and mindfulness. Second, mindful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solitude and loneliness. Specifically, for adults with a lower level of mindfulness,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sol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neliness, where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not found among those with a higher level of mindfulnes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와 외로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전국 20, 30대 미혼 성인 3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는 외로움과 정적인 상관을, 마음챙김은 외로움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반면,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와 마음챙김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음챙김의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와 외로움의 관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구체적인 양상을 보면, 마음챙김의 수준이 낮은 경우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가 높을수록 외로움도 많이 경험하는 반면, 마음챙김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와 외로움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소설 속 피리의 활용 양상과 기법

        김청아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9

        Various ways the pipe is used among musical materials and narrational techniques in classic novels are studied in this thesis. The pipe is used as one of basic materials in multilateral ways,so as to develop stories. In classical novels, authors express their ideas simply but clearly by quoting precedent classic stories. The pipe is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a shamanistic tool at war, or a praying tool during a mental training to get enlightened. It makes us take a guess of the author's idea of Taoism, or Buddhism. Also, imagery sense of hearing from the pipe vitalizes novels by adding "sound", the dynamic factor exciting readers' imagination. The meeting with Sungwan in <Jeoksungeui-jeon>, and the precognitive dream about the birth of a child in <Yukmidang-gi> allude that Sosun and princess Oksung are the children between prince Jin and Nongok who were related to the pipe. Moreover, Sosun was described as a talented person who can play the pipe even if she has never learned how to play. Sosun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ipe, as you can imagine it from her name. Her talent was inherited from her previous life. Sosoun as a child of prince Jin could appeal to people with her gifted talent of playing the pipe. In <Yukmidang-gi>, the scenes are overlapped smoothly as place and time significant for characters' play change. When reading this novel, readers are able to follow easily varying different scenes due to the narration technique making use of the pipe dynamically for changing scenes. The pipe is used as a carrier for main characters' meetings in <Jeoksungeui-jeon>, <Okrumong>, and <Yukmidang-gi>. Also,it is used to describe inevitable meetings in novels regarding gisaeng such as <Oksogiyeon>, <Samsaenggiyeon>,<Guwoonmong>, <Gangeungchuwolokso-geon>, and <Samhanseupyoo>. For example, the pipe is used as a tool to create dramatic meetings at war in <Okrumong>. In conclusion, as one of various narration techniques the pipe is used to describe characters' gifted talent, overlap different scenes dynamically, and deliver messengers of love. 본 논문은 고소설의 음악적 소재 중 피리의 양상을 살피고작품에 활용되고 있는 서사 기법을 검토한 논문이다. 피리는 작품 속에서 일차적 소재뿐만 아니라 사건 전개를 위해 더 다각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고소설의 작가는 작품을창작하는데 전례와 고사를 인용하여 글의 뜻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또한 작품 속에서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표징으로, 전쟁에서 주술적 도구로, 깨달음의 과정에서 기원적 도구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작가의 도교적, 불교적 사상까지 엿볼 수 있다. 아울러 피리의 청각적 심상은 글 속에서 독자에게상상력을 자극하여 마치 그림을 그려내듯 정적인 글에 ‘소리’라는 동적인 생명력을 부여한다. <적성의전>에서는 선관과의 만남을 통해, <육미당기>에서는태몽을 통해 소선과 옥성공주가 전생에 피리와 관련이 있었던왕자진과 농옥의 후생임을 드러내었다. 아울러 소선은 피리를배운 적이 없음에도 어렸을 적에 절로 익혀 기재를 지닌 인물로 표현하였다. 簫仙의 이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리와주인공은 일체가 되는 소재이다. 소선의 재능은 이미 전생에서이어진 것으로 삶의 일부이다. 결국 소선은 왕자진의 후생으로기이한 재주를 지녔기에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다. <육미당기>를 살펴보면 인물의 성격을 부여하는 공간과 아울러 공간의 이동에 따라 장면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작품을 읽는 독자가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을마치 순간이동 하듯, 자유로운 느낌을 받도록 공간이 묘사되었는데, 이는 시공 전환을 위해 피리 소리가 입체적으로 활용된서사 기법이라 할 수 있다. 피리는 <적성의전>과 <옥루몽>, <육미당기>의 남녀 주인공의 만남을 위한 매개물로도 활용된다. 기봉류 소설인 <옥소기연>과 <삼생기연>, <구운몽>, <강릉추월옥소전>, <삼한습유> 등의 작품에서도 필연적 만남을 형상화하는데 피리가 활용되고 있다. 삼생의 인연뿐 아니라 <옥루몽>에서는 피리가 전쟁상황에서 극적인 만남을 가능케 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피리는 고소설에서 인물의 기재를 드러내고 시공을 입체적으로 전환시키며 남녀 기연을 이뤄내는 등, 다양한 서사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 KCI등재

        허균 문학에 나타난 꿈 형상화와 그 의미 : 『惺所覆瓿藁를 중심으로

        김청아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8 No.-

        꿈은 인간이 잠자는 동안에 깨어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사물을 보고 듣고 느끼는 정신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영혼의 활동은 낮 동안 체험한 사건에 그치지 않고 꿈꾸는 주체의 소망하는 마음까지 담는다. 결국, 꿈의 특성을 통해 인간 세계와 관련된 본연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서 허균(1569-1618)이 저술한 『성소부부고』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그 안에 형상화된 꿈에 주목하여 의미를 읽어 보았다. 먼저 『성소부부고』에 수록된 작품 중 문체에 한정하지 않고 꿈을 소재로 구성한 작품을 살펴보았다. 꿈을 통해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선경을 체험하고 선대 문장가와 돌아가신 선조 대왕과의 만남을 그려낸 양상을 볼 수 있었다. 허균은 자신의 꿈을 해석하며 욕망을 좇아 공상에 골몰하지 말고 수련하라 스스로 경계하고, 선경과 천상계를 통해 이상향을 표현하고 현실의 문제를 초월하려 했다. 그뿐만 아니라 꿈에서 선계의 존재와 선인을 만나며 꿈에서나마 인정을 받고 지위가 향상되는 등,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소망을 충족 시키려 하였다. 허균은 현실에서 겪었던 사건을 계기로 〈주흘옹몽기〉, 〈몽기〉 등을 창작하였고, 꿈이라는 우언적 소재를 활용하여 자신의 삶을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몽유의 형식을 빌려 단순히 꿈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창작을 더해 자신의 의식을 담았다. 꿈은 자신의 욕망과 소망실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자신이 처한 현실이 곤궁하면 할수록 꿈에서는 그에 비례하여 욕망이 증가한다. 허균은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을 비논리적이고 비체계적인 꿈을 통해 허구의 세계를 제시함으로써 그와 상반된 진짜 현실을 보여주려 했다. 또한, 작품에 등장하는 꿈의 주체를 허상이 아닌 자신으로 그려 현실의 곤궁함을 토로하였다. 허균은 현실의 벽을 인식하고 이를 넘어서기 위해 작품에 꿈을 형상화하고 자신의 이상을 투영하여 문학으로 표현함을 볼 수 있다. A dream is called as mental process in which human beings can see various things, hear and feel while man is sleeping, just like in his waking hours. Such spiritual activity is not to limit on the experienced case during the day, but to put the wish into the heart of the subject who dreams. Finally, the characteristic of a dream may be led to the natural problems related with the human world. This article reviewed the meaning to note a symbolized dream in the works based on Seongsobubugo by Heo, Gyun (1569-1618). First, of the works in Seongsobubugo, this article examined the work that made writing material with a dream, not to limit style of writing. It found there was the aspect which it was described the experience of the immortal world through a dream, which it couldn't be experienced in the real world, and which he met with the last fine writers and Great King Seonjo, who he couldn't met in the reality. Heo, Gyun red his dream and trained himself not being immersed in fantasy following desire, and he was cautious about himself, expressed utopia by both the immortal world and heaven and tried to overcome the problems in the real world. Moreover, while he met with the existence of a fairyland, a writer and the last Great King Seonjo in his dream, he tried to meet the unfulfilled wishes in the reality, which was recognized even in the dream and his status was improved. Heo, Gyun wrote Juheulongmonggi, Monggi taking the case that was experienced in the reality by him, he formed his life using the periphrastic material referred as a dream. In addition, not he presented simply a dream in a shape of smnambulation he put his consciousness into his work to create more. A dream may imply the meaning of one's desire and the accomplishment of one's wish. The more one's situation is poor, the more the desire a pro rata increases in one's dream, As Heo, Gyun presented the fictional world in what he had in his mind by the illogical and unsystematic dream, he tried to show the real world to conflict with it. Also, as he wrote the subject of a dream as himself in the work, he talked about poor reality. Heo, Gyun recognized the wall of reality, symbolized a dream and reflected his ideal in the work for overcoming it, and then he expressed it i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