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으름 어린잎 식초의 품질특성과 생리활성

        권우영(Woo-Young Kwon),이은경(Eun-Kyoung Lee),윤진아(Jin-A Yoon),정강현(Kang-Hyun Chung),이권재(Kwon-Jai Lee),송병춘(Byeong Chun Song),안정희(Jeung Hee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7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inegars added with different levels (0%, 0.5%, 1%, 2%, and 3%) of young leaves of Akebia quinata.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lcohol and total acidity contents of vinegars increased. During acid fermentation, total acidity and amino acid contents increased. Vinegar added with 3% A. quinata leaf showed the highest total sensory score.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tannin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A. quinata leaf. After 22 days of fermentatio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of vinegar added with 3% A. quinata were 4,079.08 mg GAE/100 g, 2,927.08 mg CE/100 g, and 3,618.00 mg TAE/100 g, respectivel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vinegar added with 3% A. quinata was 79.63%. Anti-cancer activities of vinegar added with 3% A. quinata were 48.65% and 52.90% against MCF-7 and HepG2 cells, respectively. Vinegar added with 3% A. quinat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eus,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enterica, Bacillus subtilis, and Klebsiella pneumoniae.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vinegar added with 3% A. quinata leaf (22 days of fermentation) were excellent, and their enhanced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were associated with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us, A. quinata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in vinegar and other foods.

      • KCI등재후보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의 예후인자

        김준형,김희정,구남수,김영근,최준용,신소연,박윤선,김연아,김명수,정수진,최희경,송영구,이경원,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2

        배경 :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는 임상 경과가 다양하다. 최근에 유럽과 북미에서 C. difficile 감염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고전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이환률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원인이 새로운 균주의 탄생에 기인한다고 보고되었다. CDAD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세균성 요인과 숙주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CDAD가 진단된 20세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Cohort 연구를 하였다. 세균성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cdt A, cdtB, tcd A, tcd A rep 그리고 tcd B 유전자(binary toxin)를 확인하였다. 설사가 치료 시작 후 11일 이상 지속되거나, 2달 이내에 재발하거나, 수술 혹은 다른 시술이 필요한 경우, 사망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총 115예에서 toxin을 생성하는 C. difficile가 동정되었으며, Toxin A와 toxin B 모두 양성인 균이 91예, toxin B만 양성인 균이 24예였다. Toxin A 생성 여부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제산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toxin B만 양성인 균이 많이 동정되었다(P<0.05).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는 39예(33.9%)였고 76예(66.1%)에서 예후는 양호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70세 이상의 고령, 남성, 증상 발현 후 사용한 항생제의 개수 사용,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aminoglycoside, glycopeptide 사용, 당뇨 및 뇌졸중 병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높은 Charlson index가 불량한 예후 인자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독립적인 예후 인자를 조사했을 때에는70세 이상의 고령(odds ratio=3.378, P=0.009), 증상 발현후 carbapenem 사용(odds ratio 7.210, P<0.001)이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결론 : 70세 이상의 고령과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사용이 CDAD 독립적인 불량한 예후인자이다. Background :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has a wide range of clinical manifestations. The prognostic factors of CDAD are not fully understood. Materialsand Methods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115 patients with CDAD from Aug. 2002 to Dec. 2003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gnostic factors of CDAD. Bacteriologic factors were determined by detecting the binary toxin gene, tcd A, tcd A rep and tcd B gene. Poor prognosis was defined as diarrhea more than 10 days even with classic treatment, recurrence, death, and moribund discharge. Results : Approximately 79% of isolated strains were toxin A+/B+ strains and 21% were toxin A-/B+ strai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gnosis between toxin A+ and toxin A- strains. 39 (33.9%) cases showed poor prognosis and 76 (66.1%) cases showed good prognosis. Un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poor prognostic factors were old age over 70 years old, male, the number of antibiotics used after onset of symptom,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minoglycosides, glycopeptides after onset of symptom, history of DM and stroke, and high Charlson comorbidity index.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old age over 70 years old (odds ratio=3.378, P=0.009)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odds ratio 7.210, P<0.001) as the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 : Old age over 70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were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CDAD caused by none-binary toxin producing strains.

      • KCI등재

        경기도 식중독에서 분리된 Clostridium perfringens의 유전적 특성 분석

        박성희,최옥경,정진아,김운호,이예은,박광희,윤미혜,Park, Sung-Hee,Choi, Ok-Kyung,Jeong, Jin-A,Kim, Woon-Ho,Lee, Yea-Eun,Park, Kwang-Hee,Yoon, Mi-Hye 한국미생물학회 2016 미생물학회지 Vol.52 No.3

        질병관리본부에서 2012년 이후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실험실 진단실무지침에 cpb2 유전자를 포함시킨 후, 2013-2014년 경기도의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이 원인불명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그 발생률이 2011-2012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경기도내 유행하는 toxinotype을 파악하고, PFGE, MLST를 통해 이들의 분자역학적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서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 발생 시 역학조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013-2014년 경기도에서 분리된 120주의 C. perfringens 중 cpe 보유균주는 49주, cpb2 보유균주는 71주였다. 발생건별로 살펴보면, cpe 단독발생건은 2건(10주), cpb2 단독발생건은 7건(45주), cpe, cpb2 혼합발생건은 7건(65주)로 cpb2 단독발생과 cpe, cpb2 혼합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Toxinotype PCR 결과, 120주 모두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의 주요 타입인 A로 밝혀졌다. PFGE 분석 결과, 53.5-100%의 유사도와 75 유형으로 나뉘었다. 65% 이상을 기준으로 했을 때 5가지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A, C, D, E 그룹은 1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cpb2 보유균주로 이루어졌고, B 그룹은 1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cpe 보유균주로 구성되었다. 2014년 안산상록구 식중독 4주와 2014년 수원 권선구 식중독 3주를 제외하고, 64 cpb2 보유균주들은 대부분 다양한 유전자패턴을 보였다. 41 cpe 보유균주 중 3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2013년 부천원미구, 성남분당구, 2014년 안산상록구, 평택, 김포, 화성 식중독 모두 각각 동일한 유전자 패턴을 보였다. 2013 수원영통구 식중독은 2가지 cpe 유전형 패턴을 보였다. MLST 분석 결과, 크게 P-cpe 및 cpb2 그룹과 C-cpe 그룹으로 나뉘어 졌고, 세세하게 11개의 cluster로 나뉘어졌다. 경기도에서 분리된 31개 균주 중, 16 cpb2 보유균주와 2014-06-03 cpe 보유균주는 1-7 cluster에 속해있었고, 14 cpe 보유균주는 모두 8-11 cluster에 속해있었다. 하나의 cpe 보유균주를 포함하여 cpb2 보유균주들은 P-cpe 그룹과 건강한 사람에서 분리된 cpb2 그룹들 사이에 산재되어 cluster되었고, cpe 보유균주는 C-cpe 그룹에 속해있었다. 2014-06-03주의 cpe gene은 plasmid에 존재하고, 나머지 cpe 보유균주의 cpe gene은 모두 chromosome에 존재함을 추정 할 수 있었다. PFGE 및 MLST 분석 결과, cpe 보유균주에 비해 cpb2 보유균주가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유전자패턴을 나타내며, cpe 유전자 보유균주의 경우 단일 유전자형이거나 유사도가 높은 유전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pe 보유균주의 경우 집단식중독의 원인균 파악이 용이하였으나, cpb2 보유균주의 경우 2 발생건을 제외하고 역학적인 연관성이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lostridium perfringens is both a ubiquitous environmental bacterium and a major cause of human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ranks among the most common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developed countries. 120 isolates of C. perfringens were obtained from food-poisoning outbreaks in 2013~2014, Gyeonggi-do. Using PCR, all 120 isolates were identified as C. perfringens type A. Of the tested isolates, 49 isolates carried the cpe gene, 71 isolates carried the cpb2 gene. The outbreak cases of cpb2 and cpe /cpb2 genes were 7 and 7, whereas the outbreak cases of cpe-gene were 2. The epidem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 perfringens isolates has previously been investigated chiefly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The genetics relatedness of the isolates raged from 53.5-100% and 75 district PFGE type were observed. The PFGE results revealed a wide genetic diversity among the 64 cpb2 carrying isolates (except 7 isolates), while 46 cpe-carrying isolates (except 3 isolates) showed a high genetic similarity. The MLST analysis revealed that 14 cpe isolates (cpe-chromosomal isolates) belong to a distinct cluster that is significantly distant from all the other cpb2 isolates (cpe-plasmid carrying and cpe-negative isolates). The isolates carrying a cpb2 appear to be rarely related, and are more variable than chromosomal cpe isolat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pe-positive outbreak isolates showed close genetic relation, whereas the cpb2-positive isolates revealed a wide genetic diversity.

      • KCI등재

        으름 열매 식초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이은경(Eun-Kyoung Lee),권우영(Woo-Young Kwon),이지원(Ji-Won Lee),윤진아(Jin-A Yoon),정강현(Kang-Hyun Chung),송병춘(Byeong Chun Song),안정희(Jeung Hee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8

        본 연구에서는 으름 열매를 각각 0, 1, 3, 5 및 7%를 첨가하여 2단계 발효한 으름 열매 식초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은 pH, 총산, 알코올, 총당, 아미노산으로 평가하였고, 항산화 활성은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환원력으로 평가하였다. 알코올 발효 중 총산과 알코올 함량은 증가하였고 총당 함량은 감소하였다. 초산 발효에서는 총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평가에서는 으름 열매7% 첨가군에서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과 으름 열매 첨가 1%에서는 총 폴리페놀 함량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으름 열매첨가군 3, 5, 7%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각각 136.6, 381.59, 415.35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이 21.73 mg/100 g, 으름 열매 첨가군 1, 3, 5, 7%에서 각각 15.79, 15.15, 26.19, 26.87 mg/100 g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으름 열매 첨가량에 따라서도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탄닌의 함량도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이 0.2042 mg/100 g, 으름 열매 첨가군 1, 3, 5, 7%에서 각각 0.2004, 0.1255, 0.1384, 0.1255 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 째에 5 mg/mL 농도에서 대조군이 5.87%, 으름 열매 첨가군1, 3, 5, 7%에서 각각 12.59, 25.63, 34.02, 35.25%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SOD 유사활성능도 5 mg/mL 농도에서 발효 1일째보다 발효 13일째에 대조군이 8.22%, 으름열매 첨가군 1, 3, 5, 7%에서 각각 17.49, 16.86, 16.89, 15.68% 증가하였다. 환원력은 으름 열매 첨가군 7%에서 발효 1일째에 0.527, 발효 13일째에 1.539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항산화 활성은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하였고 으름 열매 첨가량에 따라서도 증가하였다. 으름 열매식초가 발효됨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환원력이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높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의 함량이 밀접하게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으름 열매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식초 및 기타 식품에서 기능성 소재로 이용될 것으로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added with different levels (0%, 1%, 3%, 5%, and 7%) of Akebia quinata fruit during two-step fermentati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negar evaluated were pH, total acidity, alcohol, and total sugar and amino acid conten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based o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During alcohol fermentation, total acidity and alcohol contents of vinegar increased, but total sugar contents decreased. During acid fermentation, total acidities of vinegar increased. Vinegar added with 7% A. quinata fruit showed the highest total sensory scor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vinegar added with 0% and 1% A. quinata frui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vinegar added with 3, 5, and 7% A. quinata fru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136.6, 381.59, and 415.35 mg/100 g, respectively, after 13 days of fermentation. Further, total flavonoid contents of vinegar added with 0~7% A. quinata fruit significantly increased to 21.73, 15.79, 15.15, 26.19, and 26.87 mg/100 g, respectively, after 13 days of fermentation. In addition, tannin contents of vinegar added with 0~7% A. quinata fruit significantly increased to 0.2042, 0.2004, 0.1255, 0.1384, and 0.1255 mg/100 g, respectively, after 13 days of fermentation. Moreov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vinegar added with 0~7% A. quinata fruit significantly increased to 5.87, 12.59, 25.63, 34.02, and 35.25, respectively, after 13 days of fermentation at a concentration of 5 mg/mL. Additionally, SOD-like activities of vinegar added with 0~7% A. quinata fruit significantly increased to 8.22, 17.49, 16.86, 16.89, and 15.68%, respectively, after 13 days of fermentation. Reducing power of 7% A. quinata fruit was 0.527 after 1 day and 1.539 at the end of fermentat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antioxidant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of A. quinata. Further,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s were shown to be closely 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Thus, A. quinata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vinegar and functional food material based on its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xIIA (ApxII toxin) 유전자 발현 옥수수 형질전환체 개발

        김현아,유한상,양문식,권석윤,김진석,최필선,Kim, Hyun-A,Yoo, Han-Sang,Yang, Moon-Sik,Kwon, Suk-Yoon,Kim, Jin-Seog,Choi, Pil-So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0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7 No.3

        To develop edible vaccines for swine, the embryogenic calli (type II) derived from HiII genotype were inoculated with A. tumefaciens strain C58C1 containing the binary vector pMYV611, 613, 616, and V621, 622 and 623 respectively. Six of those vectors carry nptII gene which confers resistance to paromomycin and apxIIA gene producing ApxII toxin which is generated in various serum types of A. pleuropneumoniae as a target gene. The 4,120 callus clones for pMYV611, 5,959 callus clones for pMYV613, 7,581 callus clones for pMYV616, 52,329 callus clones for V621, 48,948 callus clones for V622, and 56,188 callus clones for V623 were inoculated. The frequency of positive response clone was confirmed into range of 2.3% - 4.4% for each vectors by NPTII ELISA kit assay, and the selected callus clones of them were finally 3 callus clones from pMYV611 (0.07%), 4 callus clones from pMYV613 (0.07%), 2 callus clones from pMYV616 (0.03%), 51 callus clones from V621 (0.1%), 72 callus clones from V622 (0.15%), and 102 callus clones from V623 (0.18%) respectively. From the selected callus clones of each binary vector, the integration of the apxIIA gene into maize genome was detected from 2 plants of pMYV613 and 2 plants of V623 by Southern blot analysis. 돼지 흉막폐렴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옥수수 HiII genotype 으로부터 유도한 type II형의 배발생캘러스를 식물발현벡터 pMYV611, pMYV613, pMYV616, V621, V622 및 V623로 형질전환시킨 Agrobacterium (C58C1)과 공동배양 하였다. 이들 식물발현벡터는 paromomycin 항생제 저항 유전자인 NPTII 선발마커와 표적 유전자로서 흉막폐렴균의 여러 가지 혈청을 생산하는 apxIIA유전자로 재조합하여 구축하였다. 식물발현벡터pMYV611, pMYV613, pMYV616, V621, V622 및V623의 경우 각각 4,120개, 5,959개, 7,581개, 52,329개, 48,948개 및 56,188개의 캘러스 클론을 Agrobacterium과 공동한 후 NPTII assay kit에 의해 nptII유전자의 발현빈도를 조사한 결과 각 벡터별로 2.3-4.4%의 캘러스 클론에서 항체결합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들 중 최종적으로 선발된 형질전환 캘러스 클론은 pMYV611에서 3개 (0.07%), pMYV613에서 4개 (0.07%), pMYV616에서 2개 (0.02%), V621에서 51개 (0.1%), V622에서 72개 (0.15%) 및 V623에서 102개 (0.18%)를 각각 얻었다. 형질전환된 캘러스 클론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에서 유전자 도입여부를 Southern 분석으로 통해 확인한 결과 pMYV613에서 2개 식물체 및 V623에서 얻은 2개 식물체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카무트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작용

        윤진아(Jin A Yoon),한준우(Jun-Woo Han),최재환(Jae-Hwan Choi),신경옥(Kyung-Ok Shin)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5

        본 연구는 카무트를 활용하여 머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의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제품을 만들어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카무트 분말을 첨가할수록 pH, 수분 함량, 머핀의 높이 및 반죽수율은 감소하였다. 카무트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색도 측정에서는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물성 측정결과, 카무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머핀의 점착성과 응집성이 감소하고, 검성과 씹힘성이 증가하였다. ABTS 소거활성과 DPPH 소거활성은 탈 이온수 추출보다는 에탄올 추출에서 수치가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 시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개인의 기호도에 따라 머핀을 만들 때, 카무트의 첨가량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이화학적 분석, 항산화 활성 등을 고려할 때, 카무트 분말의 첨가량은 10-15%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bas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muffins using kamut (Triticum turanicum Jakubz) for making products to help improve human health. Kamut powder addition decreased the pH, moisture content, muffin height, and dough yield. Chromaticity measurement of muffins with added kamut powder showed decreased L value, increased a value, and increased b valu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showed that the tackiness and cohesiveness of muffin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kamut powder, along with increased gumminess and chewiness. ABTS and DPPH scavenging activities were higher in ethanol extracts than in deionized water extracts. Therefore, when making muffins, it is judged that 10 to 15% of kamut powder is most suitable in consideration of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번행초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윤진아(Jin A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9

        번행초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번행초 분말 0, 0.5, 1, 3 및 5%를 각각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였다. 외관으로 보았을 때 번행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녹색이 진해졌다. 스펀지케이크의 무게와 높이는 대조구와 번행초 첨가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반죽의 비중은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굽기 손실률은 번행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번행초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수분함량과 pH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스펀지케이크의 색도는 번행초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케이크의 안쪽이 어두운 녹색을 나타내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고, 5%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고, 첨가구 5%에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았다. Texture를 측정한 결과, 탄력성은 대조구와 첨가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도, 검성, 씹힘성은 대조구와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고 1% 첨가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반면 부착성, 응집성, 탄성은 대조구와 5%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1%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총 폴리페놀, 타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고 번행초분말을 첨가할수록 높게 나타나 5%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5%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번행초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는 항산화 작용에 기초한 제빵 및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역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onge cake added with Tetragonia tetragonoides (Tt) leaf powder. Tt or “New Zealand spinach” is a halophyte that grows on the sand of beaches. It contains an abundance of iron, calcium, vitamin A, and vitamin B. Sponge cake was prepared by addition of 0, 0.5, 1, 3, or 5% Tt powder to flour for the basic formulation. When the weight and specific gravity were measured,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amples. For color measurement, lightness (L) and redness (a) of sponge cakes decreased as concentrations of powder increased. Specifically, 5% Tt powder had the darkest color. The yellowness was lowest in the control, and i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owder.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Tt sponge cake were measured based on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g,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resilience. Among them, springing and cohesivenes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amples.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 and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with addition of Tt powder. Therefore, sponge cake with Tt powder is expected to be a functional ingredient in baking based on its antioxidant activities.

      • 중추성 요붕증이 동반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

        김진호,문준성,문선중,이지은,최재원,은미정,천경아,조인호,윤지성,원규장,이경희 신덕섭,이형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2 No.2

        Central diabetes insipidus (DI) is a syndrome characterized by thirst, polydipsia and polyuria.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s one of the etiologies of DI. Recently we experienced a central DI associated wit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e 44 years 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right hip pain polydipsia and polyuria. We carried out water deprivation test. After vasopressin injection, urine osmotic pressure was increased form 109mOsmol/Kg to 327mOsmol/Kg (300%). Brain MRI showed a thickened pituitary stalk and at hot bone CT.CT guided biopsy revealed abnormal histiocytes proliferation and abundant lymphocytes, The final diagnosis was central DI associated with systemic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vading hip bone, L-spine and pituitary stalk. Desmopressin and etoposide chemotherapy were performed to the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