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재원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관한 역학적 조사 : 일일 시정조사 Point Prevalence Study

        정인원,김용식,이정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5 신경정신의학 Vol.24 No.1

        1984년 2월 27일 현재 전국 정신과 병·의원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일일시정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분석 때까지 도착한 자료중 ICD-9의 진단기준에 의하여 정신질환의 범주에 속하는 2,895명을 1:1 쌍쌍대응법으로 분석하여 거주지별로 정신분열병군과 대조군간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신분열병환자의 결혼상태는 두 지역 모두에서 독신이 많았고 odd ratio는 각각 5.33과 3.56이었다. 농ㆍ어촌의 정신분열병환자가 독신이 더 많았다. 2. 교육수준은 양 군에서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3. 직업은 도시의 정신분열병환자에서 무직이 많았고 odd ratio는 1.90이었다. 4. 경제수준은 도시의 정신분열병환자에서 낮은 층이 많았고 odd ratio는 1.65이었다. 5. 그외 가족구조와 종교, 부모의 결혼상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iming at suggestion the possible ways to improve psychiatric care, rehabilitation, and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this nation-wide hospital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socioeconomical status of mental in-patients. This point prevalence study was conducted to patients who were in psychiatric wards at Feb. 27th. 1984 using mailing questionnaire. The number of hospitals and clinics answered was 88 and the patients, 3,300. Among them, we selected the 2,895 patients who were included in mental disorders (290-319) by ICD-9. Finally we compared the socioeconomical status between schizophrenia and non-schizophrenia in rural and urban area with the method of Flei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lative proportions of single persons in schizophrenia were higher in both areas, and their odds ratios were 5.33 and 3.56, respectively. There were more single schizophrenics in rural than urban. 2. In educational leve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a and control. 3. In urban area, the jobless persons were more in schizophrenia than control, and its odd ratio was 1.90. 4. The urban schizophrenic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rban control in economical levels, and its odd ratio was 1.65. 5. About family structure, religion, and marital status of par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a and contro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를 이용한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의 신경인지기능평가

        정인원,최인석,김재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뇌영상검사상 국소적인 병변을 보이지 않는 경도 외상성 두뇌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신경인지기능검시에서 인지기능결함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객관적인 인지기능장애 평가도구가 요구돼 왔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두뇌손상환자들을 대상으로 뇌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국소적인 병변의 유무에 따라 병변군과 비병변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유무에 따른 Bender-Gestalt Test, 표준도형검사, 인식력검사. 신호탐지검사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또한 KWIS 지능지수와 표준도형검사 지능지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지능검사도구로 표준도형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집단의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신경정신과적 주요 증상 비교에서 병변군은 인지장애 호소가 맡았으며. 비병변군은 신체장애 호소가 많았다. 2) BGT 전체수행오류는 병변군이 비병변군보다 많았다. 3) KWIS 지능검사상 병변군과 비병변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4) 표준도형검사 소항목 검사결과 병변군은 정상대조군이나 비병변군에 비하여 난이도가 높을수록 수행이 낮았다. 5) 인식력검사 결과 병변군은 정상대조군보다 수행이 낮았다. 6)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집단에서 표준도형검사 지능지수는 KWIS 지능지수와 r=0.67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이와 같은 결과로 외상성 두뇌손상환자 중 병변군은 공간구성능력, 미세운동협응능력. 형태기억능력, 반응속도에서 장애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으나 인식력검사결과에서 비병변군은 정상대조군과는 다른 반응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식력검사상 비병변군의 이러한 차이는 비병변군이 신체장애를 주로 호소하였고. 경도 외상성 두뇌손상에서 보상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 증상의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는 보고를 고려할 때. 신경인지기능검사의 임상적,인 해석에 주의를 요하고 있다. 그리고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에서 표준도형검사 지능지수와 KWIS 지능지수는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표준도형검사는 두뇌손상환자와 같이 지적능력이 저하된 진단에서 KWIS 지능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지능검사로 임상상황에서 경제적이고 객관적인 지능검사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rrespective of focal lesion in brain imaging study, the deficits in cognitive function have been reported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Therefore, they have been asked sensi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tools measuring cognitive deficits. In this stud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lesion group and non-lesion group by presence of focal lesion in brain imaging study At the same time, Results of Bender-Gestalt test,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Cognitrone, and Signal Detection were analyzed among the groups. We assessed usefulness of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as assessment tool of intelligence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by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KWIS and Standard Professive Matrices intelligence quotients. 1) Most lesion group showed severe deficits in cognitive function, and most non-lesion group showed severe somatic symptoms. 2) The lesion group showed higher Bender-Gestalt test total error score than non-lesion group.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KWIS intelligence quotients between lesion and non-lesion group. 4) The lesion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ontrol and non-lesion group as increasing complexity of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subset. 5) The lesion group showed poor performance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Cognitrone. 6) There wer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normal control group between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intelligence quotients and KWIS intelligence quotients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lesion group showed deficits in space-construction ability, fine-motor coordination ability, form-memory ability, and delayed response-time. Although there a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ing with normal control group, non-lesion group showed different response-trend in Cognitrone. Considering somatic symptoms in most nonlesion group and contribu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maintenance of symptoms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the differences in Cognitrone must be interpreted carefully. These result suggest than Standard Professive Matrices can be a useful tool for assessment of intelligence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ho showed deficits in cognitive function.

      • KCI등재

        알코올 의존과 파킨슨병 병태생리에서의 살소리놀(Salsolinol)

        정인원,정성훈,김진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3

        Salsolinol, a dopamine-derived tetrahydroisoquinoline, is one of the endogenous alkaloids structurally related to morphine. It has been implicated in the pathophysiology of alcohol dependence and Parkinson's disease since it’s first discovery in 1970’s. Salsolinol is involved in many neurophys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modulation of dopamine activity, facilitation of prolactin release and reinforcement of additive substance craving. In addition, salsolinol exerts highly neurotoxic effects on dopaminergic neurons ultimately leading to apoptosis, which is mediated by inhibi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s and, thereby,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se properties are considerably based in alcohol dependence and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order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Salsolinol is synthesized by the condensation of dopamine with acetaldehyde or Pyruvate through enzymatic or non-enzymatic processes in the dopamine-rich neurons. Acute alcohol ingestion increase the level of acetaldehyde and salsolinol is structurally related to endogenous opioids. Therefore, it has been suggested that salsolinol may be the missing link between alcohol ingestion and the activation of reward pathway in the mesolimbic brain. The reinforcing effect of both alcohol and salsolinol in self-administration setting also strongly supports this hypothesis. N-methylsalsolinol, the major metabolite of salsolinol, is highly neurotoxic and responsible for the selective destruction of dopaminergic neurons in Parkinson's disease. In contrast to this, several structural analogs of salsolinol act as endogenous anti-parkinsonism substances. Delicate Structural differences may underlie this peculiar properties. It may become possible to introduce fine structural modifications, even stereo-specific manipulations, to develop entirely newer kinds of antiparkinsonism drugs. Although the implication of salsolinol in the pathophysiology of alcohol dependence had been suggested long ago, the progression of the related research was at most very limited up to now. Even now, this important chemical, deeply involved in a wide range of essential neurophysiological processes, still is relatively neglected by psychiatric researcher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accumulating knowledge of salsolinol's neuromodulatory and neurotoxic effects will give new insights into the many dopamine related 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substance dependence, parkinsonism and schizophrenia. We expect that many psychiatrists will give proper attention to this highly promising research subject.

      • 진해 일대 조류의 종 다양성

        이원호,장지덕,최병인,강성룡,김성진,권기정 동아대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2004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21 No.1

        본 연구은 진해항 일대의 조류상을 조사ㆍ분석한 것이다. 조사는 2001년 12월부터 2002년 4월까지 28회를 조사하였다. 센서스 기간 중 총 61종의 조류를 조사 지역내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연 55,115개체가 관찰되었다. 종수의 합계와 총 개체수 그리고 종별ㆍ개체별 출현 빈도에서 유도된 종 중요도는 불은부리갈매기[0.58], 괭이갈매기[0.14], 흰죽지[0.12], 고방오리[0.07], 민물도요[0.07], 참새[0.06], 재갈매기[0.06]가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월별 최대 관찰 개체수는 2001년 12월에 46종 5,993개체를 관찰하였으며, 2002년 1월에 37종 7,105개체, 2월에 37종 8,837개체, 3월에 38종 4,106개체, 그리고 4월에 32종 2,819개체를 관찰하였다. 종 풍부도는 4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 다양성과 균등도는 1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별 종의 유ㆍ무와 개체수를 비교하여 양방향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2월과 3월의 조류 군집이 유사한(0.69: Pearson Correlation Index)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1월(0.617), 12월(0.522)로 12, 1, 2, 3월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4월이 틀린 cluster를 형성하고 있다. 수금류, 섭금류, 갈매기류, 참새류 등 4가지 중요 군집으로 구분하여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66%가 붉은부리갈매기 외 3종의 갈매기류였고, 21%가 혹부리오리 외 13종의 수금류, 7%가 붉은머리오목눈이 외 21종의 참새목, 5%가 흰물떼새 외 5종의 섭금류, 1%미만의 맹금류, 논병아리류, 가마우지류의 조류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the abundance and local distribution of birds, in four areas of the jinhae.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areas in the jinhae from 2001 to 2002. In this study, 55115 individual birds of 80 species were censused. We evaluated important species with abundance of birds were as follows: Black-headed Gull[0.58], Black-tailed Gull[0.14], Pochard[0.12], Pintail[0.07], Dunlin[0.07], Tree Sparrow[0.06], and Herring Gull[0.06].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each month were recorded as follows: 5993 individual birds of 46 species in December(2001), 7105 individual birds of 37 species in January(2002), 8837 individual birds of 37 species in February, 4106 individual birds of 38 species in March, 2819 individual birds of 32 species in April. In study period, the april was the highset richness(R' =0.60) and the January was the highest diversity(H'=2.08) and evenness(E5=0.52) with an expected species number of E[S_(818)]=29. Pairwise similarity declined with increasing distance between recording month and recording month from two different clustered separately in a UPGMA cluster tree. Comparison of population variable at 4 sites of 4 classes was compared as follows: 1.Gull(66%), 2. Waterfowl(21%), 3. Passerine(7%), and 4. Wader(5%).

      • SCOPUSKCI등재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

        정인경,오승훈,김병준,양태영,이병완,하창영,노정현,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6 No.1

        연구배경:최근 당뇨병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시도되고 있는 췌도이식은 충분한 췌도수의 확보와 췌도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면역억제제 사용이 제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식 전 충분한 췌도 수의 확보를 위해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는 방법을 확립하고 냉동보존한 백서 췌도세포의 시험관내 그리고 생체내 기능을 조사하였다. 방법:분리한 백서의 췌장소도를 48시간 배양한 후 한 시험관당 췌도세포 1000개씩 나누었다. 냉동보존은 6개의 시험관에 DMSO를 첨가한 후 초 냉각(supercooling), 핵화(nucleation)단계를 거친 후 99% isopropanol과 액체질소가 들어있는 dewer를 이용하여-0.25℃/분의 냉각속도로 -40℃까지 단계적으로 얼린후-70℃ 액체질소 탱크에 보관했다. 해동은 냉동시킨 vial들을 액체 질소 태으에서 꺼내 37℃ 항온조에 담가 급격히 해동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vial에 0.75M sucrose 용액을 가한 후, 10% fetal calf serum이 함유된 RPMI 1640 media에서 배양하였다 각각 6개의 시험관에서 해동한 췌도들을 광학현미경 및 형광현미경하에서 췌도의 모양과 생존율에 대해 조사하고 인슐린 정적반응을 알아보았다. 또한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지 않고 이식한 경우를 대조군(6마리)과 생체내 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① 냉동보존후 획득한 췌도의 수와 생존율 해동후 획득한 췌도의 수는 해동시킨 당일날이 902±21, 24시간 배양 후에는 857±16, 72시간 후에는 817±18개로 점차 감소되었다. AO/PI 염색상 각 췌도의 생존율은 냉동 전을 100으로 하였을 때 해동당일, 24시간 후, 72시간 후가 각각 60±5, 80±5, 90±5%로 해동후 3일간 배양하였을 때 냉동전의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②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정적 인슐린 분비능:냉동직후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해동후 3일간 배양한 췌도의 인슐린 분비는 냉동전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이 냉동보존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③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동적 인슐린 분비능:냉동보존한 췌도를 해동후 3일째의 인슐린 동적 분비능은 냉동 전과 마찬가지로 자극 인슐린의 반응의 제1기와 2기가 잘 관찰되었다. ④ 냉동보존한 췌도세포 이식 후 혈당 변화: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당뇨병 쥐에 췌도이식 후 혈당은 냉동보존한 췌도이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혈당의 조절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었다. 결론:소동물에서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기능, 구조 및 생존율에 큰 이상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장차 사람의 췌도세포 동종이식시 부족한 췌도세포수를 극복하고 면역반응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Although islet transplantation has been attempted to reverse the state of diabetes, achieving a critical number of islets and modulating the immune response limit the success of islet transplantation. Cryo-preservation of islets offers many important benefits for islet transplantation by collecting islets with a wide variety of HLA phenotypes and islet MHC expression.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cryo-preservation by using a controlled cooling method and to evaluate in vitro and in vivo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cryo-preserved islets. Methods : Collagenase-isolated, Ficoll-purified islets were cultured for 48 hours. They were aliquoted into freezing tubes (1000 islets per tube), equilibrated with 2M dimethyl sulfoxide (DMSO) in three steps, supercooled, nucleated, and controll-cooled at rate of 0.25℃/min to - 40℃ prior to storage at - 196℃. Rapid thawing and removal of DMSO with 0.75 M sucrose preceded 48 hour of culture and the morphology, viability, glucose-induced insulin secretion, and in vivo function of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reexamined. Results : ① Recovery was 90.2±0.2%, 85.7±0.1% and 81.7±0.1% immen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The viability was 60±5%, 80±5%, 90±5% imme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② The glucose-stimulated-insulin secretion (GSIS) tended to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awing, but GSIS increase to the level of pre-cryopreservation 72 hours after thawing. ③ The in dynamic GSIS, the first and the second phase of insulin secretion were well preserved in islets cultured for 72 hours after thawing. ④ The cryopreserved islets were cultured for 3 days and transplanted into renal sub-capsular space of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tic rats. The duration of normoglycemia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of the fresh islets. Conclusion : The optimal condition of cryopreservation using the controlled cooling method was established in rat pancreatic islets. This cryopreservation method can be a feasible approach for human islet transplantation (J Kor Diabetes Asso 26:64~74, 2002).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Voglibose와 Acarbose의 비교임상연구

        정인경,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정윤이,박중열,홍성관,이기업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6 No.2

        연구배경:아카보스와 보글리보스는 ­glucosidase inhibitors로써 비록 약리학적 작용이나 부작용에 있어서 두 약물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아직 이에 대한 두 약물간에 직접적인 비교에 대해 연구된 바는 없었다. 이에 저자등은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해 유효성과 부작용 발현에 대해 두 약제를 비교하고자 무작위법에 의한 위약 대조군의 이중 맹검법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시험 약제 투여 4주간의 관찰기를 설정하여 공복혈당의 변화가 30㎎/dL 이하이고, 식후 혈당이 200㎎/dL 이상인 환자로 기타 제외 기준에 해당하지 않은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여 보글리보스 군(24명)과 아카보스 군(29명)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치료기간은 총 8주로 하였으며, 4주간 간격으로 혈청학적 검사와 부작용을 분석하여 치료 효과가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결과:1)혈당 변화:보글리보스군은 식후 1시간 혈당이 치료 후 4주, 8주째 의미 있게 감소하였도, 아카보스군은 식후 1시간과 2시간 혈당이 치료 후 4주, 8주째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관찰기 혈당에 대한 치료 4주째 감소량은 아카보스군에서 더 큰 경향을 보였으나, 치료 8주째에는 두 군 간의 강하정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p=0.569). 2)인슐린 치의 변화:보글리스 군은 식후 1시간 인슐린 치가 치료 전에 비해 치료 4주, 8주째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공복 인슐린이나 식후 2시간 인슐린치는 치료전 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아카보스군에서는 치료 전후로 공복 인슐린, 식후 1시간과 2시간 인슐린치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약제 간에 치료 전과 치료 8주사이의 식후 2시간 인슐린의 감소량이 보글리보스 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40). 3)당화혈색소:보글리보스 군은 치료 전에 비해 치료후 당화혈색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아카보스군은 치료 전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당화혈색소 변화량은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412). 4)지질대사의 변화:중성지방, 콜레스테롤, 고밀도 진단백 콜레스테롤에 대해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5)부작용:소화기계 부작용의 빈도는 치료 4주째 보글리보스 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으나(p=0.028), 치료 8주째 부작용의 빈도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215). 결론:2형 당뇨병 환자에서 보글리보스와 아카보스의 두 약제의 임상적 유효성과 부작용발현에 대해 비교한 결과 치료 후 8 주 후 혈당강화효과는 두 약제간에 유사한 효과를 보였으나 보글리보스군에서 4주째의 초기 위장관 부작용이 적었다. Background : Acarbose and voglibose are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lthough different pharmacological effects and adverse abdominal events associated with the two drugs have been reported, no study directly compared acarbose and voglibose in diabetes has been undertaken. To compar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and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between two drug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ind study was performed i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s : The period of study was 12 weeks(observation period: 4 weeks; treatment period: 8 weeks). Fifty-thre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the acarbose group: 24 patients; the voglibose group: 29 patients). The serum glucose, insulin, fructosamine, HbA_1c,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were measured. Results : 1) The reduction of glucose from before treatment to 4 weeks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arbose group, but the change before treatment and 8 weeks after treatment in the two groups was similar(p=0.569). 2) The insulin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voglibose treatment(p=0.040). 3) HbAa_1c level tended to decrease in voglibose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acarbose treatment. However, the change in HbA_1c level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p=0.412). 4) The two drugs did not cause any other changes in the tota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5) The number of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was significantly low 4 weeks after voglibose treatment (p=0.049), but the incidence in the two groups was similar after 8 weeks(p=0.215). Conclusions : Acarbose and voglibose significantly improve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es.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was low 4 weeks after voglibose treatment(J Kor Diabetes 26:134~145, 2002).

      • KCI등재

        만성두통 환자에서 한방 치료 후 인영혈 부위의 뇌혈류에 대한 연구

        이충식 ( Chung Sik Lee ),박보라 ( Bo Ra Park ),박인숙 ( In Suk Park ),김지훤 ( Ji Hwon Kim ),이상언 ( Sang Eon Lee ),임진영 ( Jin Young Lim ),류영수 ( Yeoung Su Lyu ),강형원 ( Hyung Won Kang ),김태헌 ( Tae Heon Kim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09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0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nge of blood flow in In-Young(ST9) after treatment on chronic daily headache patients. Methods: Monitoring of TCD was examined in 10`s chronic daily headache patie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Mean velocity flow, systolic velocity and pulsatility index were analyzed from TCD at In-Young(ST9). The patients was laid for 20 minutes before treatment and also for treatment.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p<0.05: Paired T-test) decrease in mean velocity flow and systolic velocit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lsatility index.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 on blood flow in In-young of chronic daily headache patients.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 Endoscopy and Imaging Modalities/Basic Science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Miscellaneous : Changing Pattern Of Digestive And Liver Disease In Korea, 1990-2006 Year; A Single Center Study

        ( Jung Hyun Kwon ),( Sang Woo Kim ),( In Sik Chung ),( Myung Gyu Choi ),( Kwan Woo Nam ),( Jung Pil Suh ),( Jae Hyuck Chang ),( Won Haing Hur ),( Yu Kyung Cho ),( Jae Myung Park ),( In Seok Lee ) 대한소화기학회 2007 SIDDS Vol.9 No.-

        Background/Aims: Westernization in many Asian countries have changed lifestyles and diets, so once rare diseases have now become preval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attern of digestive and liver disease in Korea, from 1990 to 2006. Methods: We extracted data specific gastrointestina (GI) disease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code from the in-patients records at the Kangnam St. Mary`s Hospital in 1990, 1996 and 2006. This hospital is a tertiary-care hospital in Seoul, Korea, which has a capacity of 800 beds. Results: The admission rate for GI disease increased between 1990 and 2006. Overall in-patients were 1,623 persons in 1990, 2,368 persons in 1996 and 4,166 persons in 2006. The mean age of in-patients increased as time went by. A stomach cancer was the most common diagnosis during all periods, but its prevalence has decreased. Colon cancer ranked the 7th in 1990, but markedly increased and now ranks the second. The third was a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bile duct and gallbladder cancer, pancreas and esophageal cancer ranking followed with little interval change. In cases of cancer patients, a regular admission dramatically increased for chemotherapy. The number of patients admitted with pre-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and colon increased remarkably with the development of endoscopy. The liver transplant, inflammatory bowel discase, and reflux esophagitis emerged form mid-1990s with greater frequencies, yet much below the levels found in the West. The admission rate for peptic ulcer, especially ulcer bleeding remained relatively stable, despite a decreased rate for ulcer perforation. Liver cirrhosis, hepatitis, cholelithiasis with cholecystitis-cholangitis, appendicitis, hemorrhoid and gastritis all decreased. Conclusions: The stomach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admission, despite a recent decline. Colon cancer showed a marked rise. The liver transplant,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reflux esophagitis were new diagnosis with an increased t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