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임상한의서 『제세보감』 연구 - 『방약합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현희,Ku, Hyun-Hee 한국의사학회 2016 한국의사학회지 Vol.29 No.2

        "JeSeBoGam (濟世寶鑑)" was a medical document authored by Moon Gi-h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33, and the author acted as a Korean medicine doctor, an acupuncturist, a medicine practitioner and an apothecary.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33, it has been published three times in 1966 and 1975,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JeSeBoGam" is largely divided into Preface part, "List of drugs according to symptoms [隨症用藥目錄]", "JeSeBoGam-Gap (濟世寶鑑甲)", and the Appendix includes "Key points for diagnosing the disease [察病要訣]" "Key points of acupuncture and pulse [脈訣]" "Key point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針灸訣]" in the back of the book. In 1933, there are attached exam books and license application forms related to Korean medicine doctor and pharmacist, so strict regulations on the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can be confirmed. "JeSeBoGam-Gap" contains 208 prescriptions from 143 prescriptions taken from "BangYakHapPyeon" and 65 prescriptions from other books. It divided into Gap (甲) Eul (乙) Byung (丙) Jung (丁). These prescriptions were placed in "List of drugs according to symptoms [隨症用藥目錄]" according to a symptom 1,286 times. Considerable parts of organization and prescription drug composition of "JeSeBoGam" are closely related with "BangYakHapPyeon", but there were adjustments in all medicinal ingredients and capacity for the rest of them except 23 prescription drugs. Compared to "BangYakHapPyeon", there was a tendency to substitute the basic prescription in "JeSeBoGam" for prescriptions used for the same disease. Though only 65 prescriptions were taken from books other than "BangYakHapPyeon", 575 times were reflected in "List of drugs according to symptoms [隨症用藥目錄]", and the rate of utilization is high compared with the number of prescriptions of "BangYakHapPyeon". It is thought that the circumstances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limits in medicinal ingredients composition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a patient's condition and the treatment method might have an influence on the author's drug use tendency. "JeSeBoGam" is similar to "BangYakHapPyeon" in composition, but it is a new practical medical book in which the author's clinical records are concentrated.

      • 언해의서 비교고찰을 통한 한의학용어의 번역표준안 -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언해태산집요』를 중심으로

        구현희,김현구,이정현,오준호,권오민,Ku, Hyunhee,Kim, Hyunkoo,Lee, JungHyun,Oh, Junho,Kwon, Ohmin 한국한의학연구원 2012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8 No.3

        This article set out to develop an old Chinese - modern Korean collated terminology by analyzing and paralleling Chinese-Korean translational terms relevant to Korean medicine at a minimum meaning unit from "Eonhaegugeupbang", "Eonhaetaesanjipyo" and "Eonhaetaesanjipyo". Those are composed of original Chinese texts and their subsequent corresponding Korean translations. It tries to make a list of translational standards of Korean medicine terms by classifying the cases of translational ambiguity in terms of disease, body position, thumbnail-pressing acupuncture method, and disease-curing method. The above-mentioned ancient books are medical classics written by Huh Jun, the representative medical physician, and publ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us, they are appropriate enough as historically legitimate medical documents, from which are drawn out words and terms to form an old Chinese - modern Korean collation dictionary. This collation glossary will contribute to the increased relevance of data ming, or information retrieval. in a database system and information search engine of massive Korean medical records, by means of providing a novel way to obtaining synchronized results between the original writings of old Chinese and the secondary translated ones of modern Korean. The glossary will promote the collective but consistent translation of numerous old archives of Korean medicine and in other related fields as well.

      • KCI등재

        창작자와 AI의 공존을 위한 미래비전 시나리오의 융복합 연구 - 백캐스팅 관점 기반 공동디자인 워크숍 활용을 중심으로 -

        구현희,최시은,서수현,정래은,구유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As a development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accelerates, AI’ forms are evolving in various ways in the field of human creation and art. This study was initiated to prepare a preemptive response as these innovative changes act as new threats such as a distortion of the nature of creation, concerns about the location of creators, and aims to propose a sustainable future vision scenario where creators and AI can coexist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Therefore, this paper implemented future research based on a backcasting perspective and the future design process model, and established a future vision and evaluated its implementation plan by conducting a co-design workshop for creators and stakehold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n AI Norman platform for creators was developed. Second, the future vision scenario for 2035 using AI Norman centered on persona was presented. Third, as a systematic direction in which future vision scenarios can be realized, we proposed to prepare an ethical and legal system for AI, activate an AI education system, and to expand support for creation using AI. This study constitut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explored, developed, and verified a desirable future vision based on a participation of creators and stakeholders. In addition, it presents guidelines for the future scenarios that respond to the expansion of AI artists by reflecting the needs of various stakeholders, and is expected to lead to practical and policy significance from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creative AI platform services to mid- and long-term policies for AI. 인공지능 기술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인간의 창작과 예술 영역에 AI의 형태가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혁신적 변화가 창작의 본질 왜곡, 창작자의 입지 우려 등 새로운 위협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선제적 대응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창작자와 인공지능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미래비전 시나리오를 융복합적인 관점에서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백캐스팅 관점과 미래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바탕으로 미래연구를 이행하였으며, 창작자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공동디자인 워크숍을 수행하여 미래상을 수립하고, 그 실행안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작자를 위한 AI 노먼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둘째, 퍼소나 중심의 AI 노먼 활용 2035년 미래비전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셋째, 미래비전 시나리오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적 방향성으로써 인공 지능 윤리적·법적 체계 마련, 인공지능 교육 체계 활성화, 인공지능 활용 창작에 대한 지원 확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창작자와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바람직한 미래비전을 함께 탐색, 개발과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이는 다양한 이해 주체의 니즈를 실제 반영하여 AI 아티스트 확장에 대응하는 미래 시나리오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차세대 창작 AI 플랫폼 서비스 개발부터 인공지능 중장기 정책 마련까지 실무적, 정책적 의의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생물다양성의 가치 증진 및 실천을 위한 생태발자국 기록 플랫폼 제안

        구현희,이한진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 2023 적정기술 Vol.15 No.1

        세계자연기금, 세계자연보전연맹 등 주요 국제기구와 연구단체에 따르면 매해 생물다양성은 급속도로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 중 특히, 생태계 구성의 최정점에 위치한 조류의 멸종에 따른 생태적 소실과 부정 영향은 기존 연구의 범위를 훨씬 뛰어넘어 그 위험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인류의 삶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생태적 안전망은 예측보다 더 빨리, 광범위하게 무너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전 세계 시민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매일의 삶에서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입니다. 즉, UN SDGs에서도 제시한 지속가능한 환경보호와 실천, 교육을 이어 나가기 위해 즉각적이고 협력적이며,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들의 보편적인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생태발자국 기록 방안을 안내하고, 실천형 플랫폼 활용을 제안합니다. 바로 도심과 생태환경 속 조류의 모습을 관찰하고, 소리와 주변환경을 기록하여 디지털 조류 DB 구축에 참여할 수 있는 통합 탐조(Birding) 활동이 그것입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탐조활동과 기후환경 교육, 세미나와 관련된 정보를 습득하여 언제든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 연계를 통해 관심사 기반의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메타버스 기반의 확장현실에서 탐조 관련 전 세계 여행지와 주요 장소 추천 목록을 두고 상호교류할 수 있고, 실감형 지도를 재구성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컨대 생물다양성은 인간을 포함한 지구상의 모든 생명의 생존과 번영을 책임지는 ‘안전망’을 제공하는 중요한 가치입니다. 본 플랫폼을 통해 인류의 삶을 지탱하는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할 수 있는 마중물의 역할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 KCI등재

        황도순 수택본(手澤本) 『연행일기(燕行日記)』의 발굴과 의의

        구현희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2

        <Yeonhang-ilgee (燕行日記)>, which is part of The Oriental Library collection in Japan, is a record that Hwang Dosoon (黃道淳) visited China in 1894. In this paper, several facts have proved that the author of the <Yeonhang-ilgee> is Hwang Dosoon. First, the records in the <Doctor list of the Joseon Dynasty> and <Yeonhang-ilgee> coincide with each other. Second, I found Hwang Dosoon on the list of the <Yeonhangrok (燕行錄)> written by Shim Donyoung and confirmed that one of the characters in his name was mis-spelled. Third, I confirmed that the date and place of the reports in <Yeonhang-ilgee> coincided with the <Suengjeongwon-ilgee (承政院日記)>. Fourth, the name on the ownership stamp in the <Yeonhang-ilgee> has been identified as Hwang Dosoon. The <Yeonhang-ilgee> consists of five parts. They are preface, diary, appendix, list, and itinerary. The records are from August 7, 1849 to October 16, but briefly mentions the contents of the itinerary from July 17 to December 1. This book is a book written by Hwang Dosoon himself kept in his own collection, and is highly valuable because it is the only relic of Hwang Dosoon.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된 《연행일기》는 《방약합편(方藥合編)》의 저자 황도순(黃道淳)이 1894년 중국에 다녀온 기록이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가지 사실로 《연행일기》의 저자가 황도순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첫째, 《조선시대 의생총목록》의 황도순 연보에서 중국에 다녀온 연도와 《연행일기》의 저작 연도가 일치한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심돈영이 쓴 《연행록》의 〈일행총록〉에서 ‘御醫 黃度淳’을 찾았고 이름의 글자가 오기라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연행일기》에서 서계를 올린 날짜와 장소가 《승정원일기》 기록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넷째, 결정적으로 《연행일기》에 찍힌 장서인의 글자가 ‘황도순인(黃道淳印)’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연행일기』는 서문ㆍ연행일기ㆍ부록ㆍ일행목록ㆍ노정기의 5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기의 내용은 1849년 8월 7일부터 10월 16일까지의 기록이지만, 노정기에는 7월 17일부터 12월 1일까지의 내용을 간단하게 기록해 놓았다. 황도순 《연행일기》의 발굴은 그가 직접 수기로 작성한 연행 기록이자 장서(藏書)하고 있던 수택본이라는 점, 또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황도순의 친필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유물이라는 점에서 의사학이나 서지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다.

      • 공공안전에 적용된 5G국제표준기술

        구현희 한국통신학회 2020 정보와 통신 Vol.37 No.6

        5G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은 여러 산업 영역에서 일어나는 디지털화와 이동화 추세와 함께 국제표준기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기존과 달라질 공공안전을 위한 통신 도구들의 변화상을 예측하고자 3GPP국제표준기구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공안전에 대한 5G국제표준기술 중에서 1)정부 당국자와 정부당국자 간 통신서비스, 2) 정부기관이 국민에게 정보를 보내는 통신서비스, 3) 해양 안전과 연관된 해양ICT융합서비스, 4) 철도 ICT 융합 서비스에 대한 5G국제표준기술 개발동향을 알아본다.

      • KCI등재

        황도순 수택본(手澤本) 『연행일기(燕行日記)』의 발굴과 의의

        구현희,Ku, HyunHee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2

        <Yeonhang-ilgee (燕行日記)>, which is part of The Oriental Library collection in Japan, is a record that Hwang Dosoon (黃道淳) visited China in 1894. In this paper, several facts have proved that the author of the <Yeonhang-ilgee> is Hwang Dosoon. First, the records in the <Doctor list of the Joseon Dynasty> and <Yeonhang-ilgee> coincide with each other. Second, I found Hwang Dosoon on the list of the <Yeonhangrok (燕行錄)> written by Shim Donyoung and confirmed that one of the characters in his name was mis-spelled. Third, I confirmed that the date and place of the reports in <Yeonhang-ilgee> coincided with the <Suengjeongwon-ilgee (承政院日記)>. Fourth, the name on the ownership stamp in the <Yeonhang-ilgee> has been identified as Hwang Dosoon. The <Yeonhang-ilgee> consists of five parts. They are preface, diary, appendix, list, and itinerary. The records are from August 7, 1849 to October 16, but briefly mentions the contents of the itinerary from July 17 to December 1. This book is a book written by Hwang Dosoon himself kept in his own collection, and is highly valuable because it is the only relic of Hwang Dos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