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삼위일체개혁의 추진과정과 특성

        최낙범(Choi Nak-Bum) 한국지방정부학회 2005 지방정부연구 Vol.9 No.1

        일본은 1990년대에 지방분권을 추진하여 기관위임사무제도를 폐지하고, 지방정부에 대한 중앙정부의 관여를 폐지ㆍ축소하는 등의 분권개혁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이 제1차 분권개혁은 미완성이었다. 제2차 분권개혁은 고이즈미 정부의 구조개혁하에서 삼위일체개혁이란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다. 삼위일체개혁은 세원이양, 국고보조부담금, 지방교부세의 문제를 삼위일체로 개혁하는 것을 말한다. 이 논문은 삼위일체개혁의 추진과정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삼위일체개혁은 구조개혁정책에 의해 결정되고, 그 내용은 지방분권개혁을 표방하면서 재정재건을 위한 구조개혁에 경사되어 있다. In 1990s, Japan promoted the decentralization and accomplished the decentralization reform by abolishing or reducing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over the local government. But this 1st decentralization reform was unfinished. The 2nd decentralization reform is being promoted as the name of the trinity reform under the structural reform of Koizumi Cabinet. The trinity reform is to reform simultaneously the problems about the transfer tax sources to the local government, the state subsidies and local allocation tax. This paper analyzed the promotion process of the trinity reform and studied its characteristics. The trinity reform is decided by the structural reform policy and its contents are biased to the structural reform for the financial reconstruction putting up the decentralization reform.

      • KCI등재

        소득불평등과 범죄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최낙범 ( Nak Bum Choi ),금현섭 ( Hyun Sub Kum ),오윤이 ( Yu Ni Oh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2

        Socio-structural causes of crime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years and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one of the suspects, income ineq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many different types of crime has been studied within different contexts and through different approaches. In spite of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this issu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explores several possible links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crimes across 13 regions.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many different types of crime using a fixed-effect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ith a control of unobserved group effects and other determinants of crime such as poverty and policing. Several findings emerge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crime and income inequality as measured by the Gini coefficient. Theft, in particular among property crimes, showed a stronger relationship that leads us to expect that increased income inequality in a region may induce a person to commit a crime due to profit-seeking motives. Furthermore, assault seems to be related to poverty rather than inequality, which suggests different motivations work differently across crime types. These results are not sensitive to an alternative model using crime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 KCI등재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낙범 ( Nakbum Choi ),전대성 ( Daesung Jun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본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하여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을 중심으로 조절변수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청 내부포털을 활용하여 총 1,87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대표성 있는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결과의 외적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공공봉사동기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명확성, 업무량 적정성, 상관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목표명확성은 부(-)의 효과를 갖고 동료와의 관계는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moderating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job satisfaction. Using an Internet survey from the portal system of Korean Police Agency, represen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1,875 police officers. This considerably increases external validity of our findings. Results show that enhanced PSM ha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tests moderating effects of goal clarity, work load, and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co-worker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is found to be positive and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goal clarity show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job satisfaction which goes against our previous assump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박지선(Jisun Park),최낙범(Nakbum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점차 지능화 되어 가는 범죄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사 기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경찰 지휘관 및 일선 수사관들의 이해 부족과 회의적인 태도로 인하여 효율적인 활용과 실질적 수사 지원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대학 재학생 총 156명을 대상으로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일반인들의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일반대학 재학생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파일링의 필요성이나 효과성, 신뢰성에 있어서는 모두 비교적 높은 평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 사건 해결에 있어 프로파일러의 주도성이나 현재 경찰 조직에서 프로파일링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경찰대 학생들 가운데 장래 프로파일러가 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반응이 약 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이 중 대다수가 어떻게 해야 프로파일러가 될 수 있는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Offender profiling, as a crime investigation technique, aims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violent crimes. However, attitude that police investigators hold toward offender profiling is quite skeptical, which prevents offender profiling from making effective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police investiga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plored development strategies of offender profiling by examining perceptions of offender profiling among 156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a total of 166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also participated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offender profiling, in terms of its necessity,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However, they believed that Korean police agencies are not making the good use of offender profiling and that profilers are not necessarily taking the lead in solving cases. In terms of the profiler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showed interest in becoming a profiler did not know what to learn and how to prepare for becoming one.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경찰 디지털 포렌식 조직구조와 업무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지호(Shin, Ji Ho),최낙범(Choi Nak Bum)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6 경찰학연구 Vol.16 No.3

        범죄 수사에서 디지털 포렌식은 디지털기기에 남아있는 범행 관련 흔적을 찾아 범인추적, 범행입증 등 실체적 진실을 밝히고, 때로는 피의자의 결백을 입증하여 인권을 보호하는 등 다양한 기여를 하고 있다. 수사관들도 디지털 포렌식이 범죄수사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할 수사 절차로 인식하고 있다. 대부분의 범죄 발생을 인지하고 있는 경찰에서는 이러한 인식하에 2011년 디지털 포렌식 조직을 확대·개편하여 그 수요에 대응하였고 그 결과 많은 범죄수사에서 디지털 포렌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경찰청 위주로 구성된 디지털 포렌식 전담조직과 이에 소속된 인력은 관할 내 발생되는 모든 분석 요구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고 있지 않다. 이는 분석의 주체인 분석관과 의뢰자 간 상호 필요한 지식에 대한 격차가 발생하여 명확한 분석 범위 설정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고 더불어 분석 결과를 신속히 회신하지 못해 사건해결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포렌식 전담조직 운영 이래 조직 차원에서 수행되었던 분석 장비의 보급 확대, 분석 인력의 보강과 같은 양적 지원을 넘어 이제는 디지털 포렌식 수요 분석 및 포렌식 업무 절차 개선 등을 통한 효율적 대응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디지털 포렌식 거점분석실 설치를 통한 신속 회신구조 마련과 전문상담관과 분석관의 명확한 업무분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증거분석 전문상담관을 운영하여 상담, 접수, 배당 등의 업무를 전담시켜 접점(point-of-contact) 역할을 하도록 하고, 관할 지역을 합리적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이를 기반으로 권역별 거점분석실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수사관과 분석관 간의 물리적 거리를 축소하여 긴급분석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세분화하고 이에 맞는 업무절차를 새롭게 구성한 합리적인 절차를 도출해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디지털 포렌식 업무절차에 대한 현상 접근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상담관, 거점분석실을 이용한 디지털 포렌식 분석업무 절차를 제시한다. Digital forensic gives a variety of contributions to track criminals, find out the truth of crime scene, protect human rights of the accused through finding evidence using left on digital devices in criminal investigations. Investigators also have been recognized that digital forensic should be addressed in criminal investigation procedures. Police expanded and reorganized the digital forensic organization for responding to increasing demands.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recent provincial digital forensic organizations are not adequately responding to all the needs that occur within the jurisdiction. The main problems are delayed reply of the result and a vague range of analysis since there is a disparity about digital forensic knowledge between analysts and requesters(investigators). Therefore, it is time to investigate problems that organizations are faced and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procedure of digital forensic.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a stronghold digital forensic lab should be installed to respond quickly and a clear separation of duty should be prepared between specialized consultant managers and analysts. At first, specialized consultant manager must be responsible for consultant, reception, triage, and perform the role of point-of-contact of their digital forensic lab. Second, far distance between investigators and analysts must be reduced through establishing a stronghold digital forensic lab by clustering of their jurisdiction for emergency analysis. Based on this, we need to refin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organization and draw reasonable steps to configure a new procedure for this revised digital forensic work process.

      • KCI우수등재

        절차적 정의와 행정대응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일선 경찰관의 재량권을 중심으로

        장재성 ( Jang Jaeseong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4

        본 연구는 일선 경찰관의 절차적 정의 인식이 행정대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절차적 정의는 시민과 경찰 간의 관계에서 인식되는 것으로 경찰활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절차적 정의는 참여, 중립성, 존중ㆍ대우, 신뢰로 구성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 기존 연구들이 시민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행정대응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선 경찰관 44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절차적 정의의 참여, 존중ㆍ대우, 신뢰는 행정 대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중립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인 재량권은 참여-행정대응성 관계에서는 정(+)의 영향을 갖고 신뢰-행정대응성 관계에서는 부(-)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절차적 정의의 분석대상과 인과구조를 규명함으로써 관련 이론의 확장을 시도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찰조직 차원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street-level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and their impact on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Research on police legitimacy has revealed the important role of procedural justice in shaping citizen trust in police.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justice regarding the police activity. This article approaches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e office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with regard to responsiveness to citizen’s interests and demand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respect, and trust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On the contrary, the effect of neutrality is significant and negative. The results also show that discretion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However, discretion diminishes the positive impact of trust on administrative responsiveness. These findings imply that management strategy and practice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procedural justice of policing.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대성(Jun, Dae Sung),최낙범(Choi, Nak Bum)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그동안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왔지만 특정지역에 국한된 경우가 많고 전국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일반화 측면에서는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의 부정적인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분석결과의 외적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상사, 동료와의 관계 및 시민들의 지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추가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시민들로부터의 지지만 유의미하게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동일한 결과를 제시해주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긍정적 요소로서 사회적 지지 요인을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분석의 틀을 확장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사나 동료 간의 관계적인 측면보다는 조직외부의 시민들로부터의 지지가 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의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요인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로서 시민들로부터의 지지가 경찰공무원들의 업무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운용에 있어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any studies on police officer’s stress and its result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most of them have only focused on specific regions or sub-groups. Therefore, results of former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generalization and external validity. In specific,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ttempts to overcome prior studies’ limitations by using representative sample and examine the impact of police officer’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moder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co-workers, and citizen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show that job satisfac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mong the social support factors, only citizen support ha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upports results of other studies that suggest a negativ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expands analytical framework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y exploring the positive impact of social support factors. More specifically, citizen support rather than relationship with superior/co-workers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which mitigates the negative effect of stress on job satisfaction.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stres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management and citizen support can help police officers’ performance by mitigating a negative effect of stress. Implications for police manager’s are suggest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범죄 행동을 통한 대인 강도 범죄자의 유형별 분류에 관한 연구

        박지선(Park Ji Sun),최낙범(Choi Nak Bum)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9 No.4

        본 연구는 대인 강도 범죄자들의 범행 시 행동 특성을 분석하고, 최소 공간분석을 통해 대인 강도 범죄자들을 유사한 범행 수법을 보이는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이를 각각의 유형의 범죄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상의 차이점과 연결시킴으로써 대인 강도 범죄자 프로파일링 분석을 하였다. 국내에서 발생한 대인 강도 범죄 총 79건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대인 강도 범죄자의 범행 수법이 크게 두 가지의 범죄 유형(계획형, 기회형)으로 분류되었다. 계획형의 대인 강도 범죄자들은 범행 시작 전 범행 대상을 사전에 선정하고 범행 전 범행 절차나 도주 방법까지 사전에 계획하는 등 고도의 치밀함을 보이는 경향이 많았고, 공범과 함께 범행을 저지른 경우가 많았으며, 범행에 가장 적합한 무기를 소지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피해자를 상대로 무기를 사용하여 폭력적으로 피해자를 제압하였고, 체포에 대한 두려움이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회형의 대인 강도 범죄자들은 범행 시 남의 눈에 띄지 않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조명이 어둡거나 인적이 드물고 주변에 숨을 곳이 있으며 순찰이 흔치 않은 장소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고, 미리 무기를 준비하여 피해자를 제압하기보다는 맨손으로 피해자를 구타하거나, 무기를 보이더라도 사용하기 보다는 상대를 위협하는 수준에서 그치는 행태를 보였다. 또한 이 유형의 범죄자들은 술에 취한 채로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으며, 사전에 치밀한 준비 없이 범행을 저지른 결과 현장에서 체포되는 미숙함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대인 강도 범행 수법 유형별로 배경 특성의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기회형 대인 강도 범죄자들의 경우 대부분 동종 전과가 없었고, 범행 전 마약을 사용하지 않으며, 노상에서 임의적으로 범행 대상을 택하는 경향이 높고, 공범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반면, 계획형 대인 강도범죄자들의 경우 동종 전과가 3회 이상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마약을 사용한 후 범행을 저지른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약취 강도를 저지르는 경향이 높았고, 공범 수에 있어서 기회형에 비해 훨씬 많은 수의 공범을 두고, 명품 등을 소지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계획적으로 범행을 저지르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In order to differentiate types of robbery based on crime-scene behaviors, a total of 79 robbery cases were examined. As a result, two types of robbery were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namely planners and opportunists. It turned out that planners were more likely to select the target in advance and consider crime procedures and route of escape before the offense, to commit offense with confederates, to display violence toward the victim by using a weapon, and to display no fear of getting caught. Meanwhile, opportunists were more likely to select offense site where is no light and no patrol around, hit the victim without a weapon, to commit offens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to get arrested at the crime scene. In terms of offender background characteristics, opportunists tend to have no previous conviction of robbery and not use drugs before the offense, whereas planners tend to have previous convictions of robbery and use drugs before the offense.

      • KCI등재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이수영 ( Lee Sooyoung ),최낙범 ( Choi Nakbum ) 한국행정연구원 2016 韓國行政硏究 Vol.25 No.1

        공공부문 종사자의 공공봉사동기에 관한 많은 경험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변수들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정책지식센터에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공무원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봉사 동기의 하위차원인 자기희생과 공익몰입은 각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자율성, 평가공정성, 목표명확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업무자율성만이 자기 희생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들을 토대로 직무설계 방식 등 정책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identifie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as an influential factor on job attitude and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outcome variables. Researchers need to recognized organizational contexts and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such as goal ambiguity and reward mechanisms of civil servants when exploring its complex relationships. Again, organizational circumstances or job characteristics may alter relationships between P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the`civil servant perception survey 2013`,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effects of P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Results show that PSM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autonomy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선거주기가 범죄검거율에 미치는 영향

        전대성 ( Daesung Jun ),최낙범 ( Nakbum Choi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최근 급증하는 범죄율과 이에 따른 시민들의 사회 불안감의 증가는 정치인들과 정책결정자들에게는 중요한 관심거리가 된다. 왜냐하면 사회 범죄율의 증가는 정부성과의 명백 한 실패에 대한 신호이기 때문에 대통령과 정책결정자들이 범죄율의 증가에 어떻게 대처 하는지에 따라 정부신뢰나 불신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죄 율과 정치인들 및 정책결정자들의 행태에 대해서 살펴본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인들이 재선을 위하여 유권자들의 선호에 반응하는 정책을 선택하게 된다는 정치적 경기주기가설(political business cycle) 이론을 사용하여 선거주기에 따라 범죄검거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 대통령 선거주기에 따라서 범죄검거율이 영향을 받는 선거주기 효과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선거주기에 따른 범죄검거율은 정권 집권 초반에는 증가하다가 집권 말기인 선거가 다가올수록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통령 단임제라는 한국적 정치상황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거주기에 따른 범죄검거율에서 정당이념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선거주기에 따른 정치인들의 기회주의적 행태가 경제정책뿐만이 아니라 범죄 와 관련된 사회 안전영역 분야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Increased crime rate and fear of crime may attract politicians and policy makers’ attention. Because, crime in our society indicates apparent failure of the government and whether the president or policy makers can implement proper strategies to control crime influences on trust in government. Unfortunately,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rest rates for crime and behaviors of politicians or policy makers. According to the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 politicians prefer policies that can respond well to the voter’s preferences for their reelection. Based on the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election cycle and arrest rat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sidential election cycle may influence on arrest rates. Results show that arrest rates increase in the initial stages of a new administration and decrease towards the end of the presidency. We assume that this is attributed to the single-term system for the presidency of Korea. In addition,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political beliefs given by different political parties also influence arrest rates.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pportunistic behaviors of politicians are likely to occur regarding not only economic policies but also social security policies to control cr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