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거주기가 범죄검거율에 미치는 영향

        전대성 ( Daesung Jun ),최낙범 ( Nakbum Choi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최근 급증하는 범죄율과 이에 따른 시민들의 사회 불안감의 증가는 정치인들과 정책결정자들에게는 중요한 관심거리가 된다. 왜냐하면 사회 범죄율의 증가는 정부성과의 명백 한 실패에 대한 신호이기 때문에 대통령과 정책결정자들이 범죄율의 증가에 어떻게 대처 하는지에 따라 정부신뢰나 불신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죄 율과 정치인들 및 정책결정자들의 행태에 대해서 살펴본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인들이 재선을 위하여 유권자들의 선호에 반응하는 정책을 선택하게 된다는 정치적 경기주기가설(political business cycle) 이론을 사용하여 선거주기에 따라 범죄검거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 대통령 선거주기에 따라서 범죄검거율이 영향을 받는 선거주기 효과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선거주기에 따른 범죄검거율은 정권 집권 초반에는 증가하다가 집권 말기인 선거가 다가올수록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통령 단임제라는 한국적 정치상황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거주기에 따른 범죄검거율에서 정당이념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선거주기에 따른 정치인들의 기회주의적 행태가 경제정책뿐만이 아니라 범죄 와 관련된 사회 안전영역 분야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Increased crime rate and fear of crime may attract politicians and policy makers’ attention. Because, crime in our society indicates apparent failure of the government and whether the president or policy makers can implement proper strategies to control crime influences on trust in government. Unfortunately,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rest rates for crime and behaviors of politicians or policy makers. According to the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 politicians prefer policies that can respond well to the voter’s preferences for their reelection. Based on the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election cycle and arrest rat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sidential election cycle may influence on arrest rates. Results show that arrest rates increase in the initial stages of a new administration and decrease towards the end of the presidency. We assume that this is attributed to the single-term system for the presidency of Korea. In addition,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political beliefs given by different political parties also influence arrest rates.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pportunistic behaviors of politicians are likely to occur regarding not only economic policies but also social security policies to control crime.

      • KCI등재

        정보공개의 효과분석 -서울시 종합병원, 병원, 의원의 감기항생제 처방률을 중심으로-

        전대성 ( Daesung Jun ),정광호 ( Kwangho Jung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2

        그동안 정보공개의 당위성에 대한 연구 또는 정보공개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행태적 요인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반면 정보공개의 실제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도 정보공개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적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개인의원, 병원,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감기항생제 처방률을 공개할 경우 실제 이들 의료기관들에서 얼마나 항생제 처방률이 감소하는지 다층모형(Multi-level Model)과 집단간 비교분석(Difference-in-Difference: DID)을 이용해 분석하고 있다. 첫째,본 연구는 항생제 처방률 정보공개 전후로 개인의원, 병원, 종합병원별로 항생제 처방률 감소정도를 분석했다. 둘째, 분석대상을 개인의원으로만 한정하여 항생제 처방률 비공개 집단(분기당 100건 미만 항생제 처방의원)과 공개집단(분기당 100건 이상 항생제 처방의원)을 구분한 후 항생제 처방률 공개 전후로 두 집단간 항생제 처방률 변화를 비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다층분석모형에 따르면, 항생제 처방률을 공개한 이후 개인의원의 경우 9.53퍼센트 포인트, 병원의 경우 8.32퍼센트 포인트, 종합병원의 경우 9.88퍼센트 포인트만큼 처방률이 감소했다. 한편 개인의원의 항생제 처방률을 공개집단과 비공개집단을 중심으로 비교한 DID분석결과 비공개집단에 비해 공개집단이 약 6.49퍼센트 포인트만큼 항생제 처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추가연구를 통해 개별 환자들과 의료기관들이 어떤 상호작용을 거쳐 항생제 처방이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항생제 처방률 공개가 이 상호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the antibiotic prescription rates of general hospitals, hospitals, and clinics in Seoul. Public information about health care quality has achieved a significant quality improvement in most developed countries. There are, however,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this topic in Korea. This study compares the antibiotic prescription rat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formation disclosure. In order to explore the causal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antibiotic prescription rates, this study uses a hierarchical linear model with controlling variables including the type of organizational status such as clinics and general hospitals and various regional social economic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reports DID estimates about average differences in the antibiotic prescription rates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which differ in the regul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Using the data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HIRA), this study found a significant effect of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The prescription rate for antibiotics decreased by approximately 9.53%, 8.32%, and 9.88% respectively in the clinics,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addition, the rate of the treatment group is lower 6.49%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imply that information disclosure can reduce the antibiotic prescribing rat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xplore how information disclosure constrain the degree of the antibiotic prescription.

      • KCI등재

        이민의 역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전대성 ( Daesung Jun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이 연구는 이민자들의 이민국에 대한 빠른 적용이 오히려 이민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민의 역설(Immigration Paradox) 현상이 한국사회에서도 나타나고 있는지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고 있다. 이민의 역설 현상에 따르면 이민자 부모가 본국 문화를 유지할수록 이민자 자녀들에게 성장하면서 겪게 되는 차별과 불리한 상황들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다문화 청소년들의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문화 청소년들이 외국인 부모와 의사소통시 외국인 부모의 나라말을 더 많이 사용할수록(이중언어사회화 정도가 높을수록)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분석결과는 한국의 동화주의 위주의 다문화 지원정책의 한계가 존재할 가능성과 함께 한국사회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민의 역설에 따른 부정적인 요인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학문적ㆍ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Although faster acculturation to a host society is thought to be beneficial for immigrant families, culminating research evidences point to a troubling pattern that higher acculturation is associated with more negative developmental outcomes. This paradoxical phenomenon has been named The Immigrant Paradox. Using data from the Multu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Immigration Parado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self-esteem. This study found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This paper also tests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factors in bilingual socialization. The bilingual socializ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self-esteem.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directions for policy development that will focus on integrative acculturation approaches.

      • KCI등재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 비교를 중심으로-

        전대성 ( Daesung Jun ),권일웅 ( Illoong Kwon ),정광호 ( Kwangho Jung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2

        민주화 이후 정부신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대통령 개인에 대한 신뢰와 정부의 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정부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한 실증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Miller(1974)와 Citrin(1974)의 논쟁에서 Miller(1974)는 정부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평가가 정부신뢰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고 있다. 반면 Citrin(1974)은 대통령에 대한 이미지와 지지가 정부신뢰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부신뢰를 구성하는 함수에 있어서,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서로 경쟁적 관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양자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평가한 국내연구는 아직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종합 사회조사(KGSS)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시민들의 정부정책 평가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보다 대통령 개인에 대한 신뢰가 정부신뢰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Citrin의 논의가 상대적으로 더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ing post-democratization era in Korea, few comparat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the major determinant of trust in government between trust in President and citizen’s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y. Based on Miller-Citrin debate, Miller claimed that citizen’s evaluation of government poli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However, Citrin argued that trust in Presiden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ust in government. Therefore, trust in President and citizen’s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y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in determining public trust in government. Using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10, this paper found that Citrin’s argument seems better suited for Korea. Namely, trust in President is the major determinant of trust in government in Korea.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비행실태에 미치는 영향: 일반가정과 다문화 가정 청소년 비교를 중심으로

        전대성(Jun, Daesung),김동욱(Kim, Dongwook)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1

        그동안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정폭력이 청소년들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일반가정 청소년들과에 다문화가정 청소년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비행실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다문화가정 청소년들과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비행실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정폭력 피해경험은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 모두에서 비행실태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가정폭력 피해경험은 일반가정 청소년들보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비행실태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지지로서 학교의 지지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서만 가정폭력 피해경험에 따른 비행실태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조절변수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들의 경우 학교지지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familial violence-delinquency relationship,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delinquent behavior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juvenile delinquency, comparing betwee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in Korean families. The empirical evidences suggest that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than those in Korean families. Moreover,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supports by schools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 KCI등재

        도구변수 분석을 통한 공공봉사동기(PSM)의 특성에 관한 연구

        전대성 ( Daesung Jun ),이수영 ( Soo-You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3

        지난 이십 여 년 동안 20여 개국에서 약 120여개의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고, 또한 많은 선행연구 결과들은 공공봉사동기의 존재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봉사동기가 동태적 특성(dynamic state)을 가지는지 혹은 천천히 변하거나 쉽게 변하기가 어려운 고정적 특성(static trait)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의 특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동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횡단분석(cross-sectional survey)에 의한 설문조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변수들 간에 존재하는 내생성(endogeneity) 문제를 고려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횡단면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도구변수분석(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단순회귀분석에서는 목표명확성, 상사와의 관계, 조직문화, 그리고 직무만족 등의 조직특성 요인이 유의미하게 공공봉사동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직요인에 의해서 공공봉사동기가 증가하는 동태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도구변수 분석을 실시한 이후에는 목표명확성, 상사와의 관계, 조직문화, 그리고 직무만족이 공공봉사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결과는 공공봉사동기의 경우 조직요인에 의해서 변하는 동태적 특성보다는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이들이 공직을 선택하기 때문에 쉽게 변하기 어려운 고정적 특성(static trait)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 수 있다.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hundreds of studies have examined PSM and have supported its existence among individual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whether individuals' PSM is in itself a dynamic trait that can be easily changed, or a static trait that can be s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assumption that individuals' PSM is a dynamic trait that can be affected by the aspects of their organizations. This research employs an instrumental variable analysis to overcome the statistical weakness of cross-sectional data with the issue of endogeneity.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PSM is not affected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oal clarity,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boss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e authors argue that the static trait of PSM may result from the fact that highly motivated individuals tend to be in public service careers.

      • KCI등재

        일반논문 : 사회참여가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에 미치는 영향

        전대성 ( Daesung Jun ),이주실 ( Jusil Lee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3

        국내에서 이주민들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이주민들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주로 내국인들의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수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한정되어 연구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민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내국인들과 이주민들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의 핵심요소인 사회참여가 이주민들의 수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종교모임, 문화단체, 기타 모 임이나 단체활동 등 연계형 사회참여는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동창모임이나 친목단체 같은 결속형 사회참여는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오히려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이민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사회통합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내국인들의 사회참여를 통한 이주민들에 대한 수용에서 사회참여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study of Korea immigration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the growing number of immigrants coming to South Korea. A noticeable trend in the research on Korea immigration is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may influence Korean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living in South Korea. Yet, little is known about ways of decreasing social distance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engagement on social distance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living in South Korea. The authors find that bridging social engagement decreases social distance between Koreans and immigrants while bonding social engagement increases it. The research findings offer implications for generating social integration and developing Korea``s immigration policy, especially emphasizing that the types of social engage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facilitating immigrant participation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재한 외국인들의 한국사회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대성 ( Daesung Jun ),길강묵 ( Kangmuk Ghil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1

        최근 국내 거주 외국인들의 증가에 따라 내국인과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회자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주민들의 사회적응과 통합을 살펴보는데 매우 유용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민들의 사회자본에 대해서 살펴본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자본의 대표적인 요소인 신뢰를 중심으로 재한 외국인들의 한국사회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재한 외국인들의 소속감과 사회참여는 한국사회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차별경험과 범죄피해 경험은 한국사회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속감과 사회참여와 차별경험과 범죄피해 경험의 교차항 분석결과 차별경험과 범죄피해 경험은 소속감과 사회참여에 따른 한국사회 신뢰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부정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재한 외국인들의 한국사회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이민사회로 접어든 현 시점에서 사회통합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for the study of immigration in recent years with the growing number of immigrants entering South Korea. However, a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mmigrants’ social capital and their adjustment into a new society. Using data from a survey of 991 respon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factors for immigrants perception of social trust in South Korea. We found that immigrants’ sense of belonging to the Korean society and social particip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trust while thei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crime victim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trust. This paper also tests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factors and negative factors in social trust. The negative effect of social trust cause crowding out effect on positive effect of social trust. The research findings further suggest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경로분석을 이용한 전문외국인력의 장기체류 영향요인들 간 인과관계 연구

        이주실 ( Jusil Lee ),전대성 ( Daesung Jun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3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해외 고급전문인력 유치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국가 간 전문인재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나, 한국의 인재유치실적은 안타깝게도 저조한 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거주하고 있는 전문외국인력(E1~E5, E7)을 대상으로 그들의 장기체류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치-기대이론(Value-expectancy theory)에 기초하여 De Jong과 Fawcett (1981)이 제시한 이민의 사결정모델(Model of Migration Decision-Making)을 적용하여 이민동기요인, 삶의 만족도, 이주의사 및 장기체류결정 변수들 간 인과관계분석 및 경로의 유의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사회에서 전문외국인력의 삶의 만족도는 그들의 사회적 지위 및 소속감, 주변 이웃이나 친구와의 친밀감, 안락한 생활여건 등의 이민동기와, 언어의 유창성 및 한국사회로의 편입장벽 등 기회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삶의 만족도는 한국으로의 이주의사를 통해 국내 장기체류결정으로 간접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언어유창성, 한국상황인지도, 국적취득절차, 한국사회로의 편입장벽 및 내국인과의 차별경험 등의 기회구조는 국내 장기체류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De Jong과 Fawcett의 모델이 한국의 맥락적 상황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해외 우수인재확보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높이려는 정책적 노력에 비해 저조한 전문외국인력 유치실적을 보이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의미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에서 관련연구가 전무한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가 이민동기 관점에서의 이민의사결정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luring foreign professional manpower, Korea’s performance in this area has fallen far short of expec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immigrants`` long-term stay in Korea, targeting foreign professional immigrants with visa types such as E1∼E5 and E7. This study employs the model of migration decision-making suggested by De Jong and Fawcett in 1981, which is based on value-expectancy theory.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the life satisfaction of foreign professional manpower in Korea falls under the influence of a variety of motivational factors for immigration and opportunity structures. Moreover, it turns out that the immigration intention of foreign professional immigrant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ecisions on the long-term stay in Korea(i.e. acquisition of Korean nationality). Meanwhile, the opportunity structure variables such as fluency in Korean are likely to influence the immigrants`` decision on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De Jong and Fawcett``s model is applicable to the Korean context,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for attracting foreign brains.

      • KCI등재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PSM)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직무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낙범 ( Nakbum Choi ),전대성 ( Daesung Jun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1

        본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하여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을 중심으로 조절변수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청 내부포털을 활용하여 총 1,87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대표성 있는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결과의 외적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공공봉사동기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명확성, 업무량 적정성, 상관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목표명확성은 부(-)의 효과를 갖고 동료와의 관계는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moderating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job satisfaction. Using an Internet survey from the portal system of Korean Police Agency, represen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1,875 police officers. This considerably increases external validity of our findings. Results show that enhanced PSM ha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tests moderating effects of goal clarity, work load, and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co-worker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is found to be positive and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goal clarity show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M and job satisfaction which goes against our previous assump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