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에 기초한 감각적 탐색활동이 2세 영아의 감각처리 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채영란(Chae, Young 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그림책에 기초한 감각적 탐색활동이 2세 영아의 감각처리 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세 영아 27명(실험집단 13명, 비교집단 14명)이고, 실험집단은 그림책 읽기 활동 후 감각적 탐색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그림책 읽기 활동 후 자유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영아의 언어능력 검사도구와 감각처리능력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검사하고 실험처치 후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에 기초한 감각적 탐색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영아가 비교집단 영아 보다 감각처리 능력과 언어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타나났다. 이는 영아를 위한 다양한 감각적 탐색활동이 영아 발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on sensory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ies of 2 year old infa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 infants aged 2 years (13 experimental groups, 14 comparativ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ensational exploration activities after reading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free play activities after reading picture books. Pre-tests were conducted using an infant s language proficiency test tool and sensory processing test tool, and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nfants who performed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had improved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fants. It is thought that various sensory exploration activities for infant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nfant development.

      • KCI등재

        성인 환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채영란(Chae Young Ran),이선희(Lee Sun Hee) 한국기초간호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s for adult patients. Methods: Six databases (PubMed, Cochrane library, CiNii, PsychoInFO, AGRICOL, EMBASE) and six domestic databases were systematicallysearched with language restrictions of Korean, English, and Japanese. The systematic review was based on the Preferred ReportingItems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flow diagram. Results: Twenty five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 systematic review identified adult patients classified as 1) disease of the circulatory system, 2)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3)malignant neoplasms, 4) etc. (diabetes mellitus, chronic pain). This integrative review showed a positive effect of the forest therapyprogram for adult patients on physiological indices such as blood pressure, heart rate, heart rate variability, level of stress hormone,and natural killer cells as well as social · psychological indices such as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of lif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key principl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the forest therapy programsin nursing intervention.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the forest therapy programs suitable for each patientgroup and measur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가정에서의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 및 어머니의 요구 분석

        채영란 ( Chae Young-ran ),유승우 ( You Seung-w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본 연구는 가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안전교육 실태와 교육요구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 연구문제로 가정에서의 영유아안전교육 실태는 영유아연령 및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영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영유아의 어머니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교육의 주체는 ‘부모 둘 다’, 교육 시 주요 고려사항은 영유아의 ‘개인적 특성’과 ‘내용에 적절한 장소’로 나타났다. 안전교육 내용은 ‘놀이 시 안전’과 ‘일상생활관련’ 안전교육이고, 실시시기로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생각날 때’ 순으로 응답하였다. 안전교육 방법으로는 ‘말로 설명하기’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많이 활용하는 안전교육활동 형태로는 ‘그림자료/동화책’, ‘동영상자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희망하는 안전교육 내용으로는 ‘실종 및 유괴예방’을 가장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안전교육을 위해 어머니가 교육을 받기 원하는 곳으로는 ‘자녀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이 가장 많았다. 또한 가정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할 때 필요한 사항으로는 ‘동영상자료’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안전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운 점으로는 ‘설명방법을 몰라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적절한 자료를 구하기 어려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정에서도 안전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안전관련 부모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in households, and the educational needs as well. For this purpose, 239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in City of G were surveyed and analyzed. It showed that the educators were ‘both parents.’ ‘Individual traits’ and ‘proper place for contents’ were put into consideration for the safety education. ‘Playtime safety’ was the most prevalent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followed by ‘daily activity’, and ‘often in daily activities’ was the most prevalent in the time of education, followed by ‘when it comes to mind’, and ‘when encountering dangers.’ ‘Verbal instruction’ was the most prevalent for the medium of education, followed by ‘reading children’s book’, ‘reenactment and experience’, and ‘showing educational video.’ The most utilized form of safety education was ‘pictures/books’, followed by ‘video’, ‘instruction without materials’ and ‘physical material.’ The most desired contents for safety education was ‘missing and kidnapping’, followed by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and ‘traffic safety.’ The mothers’ preferred place to be educated were in the order of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children’, ‘public office of local community’, and ‘mass media.’ ‘Video material’ appeared to be most needed when educating, followed by ‘plaything related to safety’, and ‘educational material.’ In addition, the most prevalent difficulty was ‘not knowing how to explain’, followed by ‘hard to obtain proper materials’, and ‘difficulty handling emotions in emergenc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채영란 ( Chae Young-r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본 연구는 2000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논문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를 수집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논문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집된 1,168편으로, 언어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0-2020년까지 주요 키워드 빈도분석결과 다문화, 다문화교육, 교육, 프로그램, 한국 등의 단어 빈도가 높았으며, 연결 중심성에서는 다문화교육,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교사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토픽모델링 결과 2000-2010년은 프로그램, 경험, 교육이, 2011-2015년은 인식, 교육, 방향이, 2016-2020년은 교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둘째, N-gram 분석결과 다문화교육, 다문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20년까지 전체네트워크 분석결과에서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유아, 한국 등에 대한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난 20년동안 우리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면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향후 연구방향 모색에 도움이 될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by collecting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 research from journal papers at the level above ‘registration candidate journal’,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20. The research targets were 1,168 articles collected using the database of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language network.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from 2000 to 2020, the frequency of words such a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ducation, education, program, and Korea was high. In terms of connection centrality,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ism, education, programs, and teachers were mainly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abstract topics of 2000-2010 were program, experience and education; in 2011-2015, they were perception, education, and direction; and in 2016-2020, they were teache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gram. Second, as a result of N-gram analysis,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ism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the studies related to programs and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predominant.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ntire network from 2000 to 2020,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children, and Korea were prevalent. These results show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as our society has develop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find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전래동요를 활용한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또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채영란(Chae, Young-R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전래동요를 활용한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또래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H유치원의 만 4세 유아 2개 반으로 실험집단(20명)과 비교집단(20명)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유아의 사회적 기술척도와 또래상호작용 행동척도를 이용하여 실험처지를 실시하기 전과 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지된 자료는 SPSS Program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또래상호작용 행동에 대한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유아들의 협동적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래동요를 활용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또래상호 작용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physical activity using traditional songs 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and peer interaction behavior.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of one experimental(20 students) and one comparative(20 students) composed of 4-year-old children from H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For the study,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using social skills scale and peer interaction behavior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verification using SPSS Program 22.0 program.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 the pre-test,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post-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tilizing traditional songs to promote cooperative physical activity for children is not only meaningful, but it also brings positively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and peer interaction behaviors as a educational method to be applied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 KCI등재후보

        1세 영아의 보육시설 적응 프로그램 및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채영란(Chae Young-Ran),박희숙(Park Hee-Suk),김희정(Kim Hi J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 years Toddlers" Adaptation Program to Child Care Center and Adaptation Process by means of ethnographic study. Using a case study approach, qualitative data such as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teacher, her journal writing, parents and observation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made up familiarity, intimacy and separation to help 1 years toddlers" adaptation. The adaptation process were probing action, separation anxiety, rejection, depend on the teacher, attachment to teacher or peer.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suggeste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develop 1 years toddler"s adapta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를 위한 보육시설의 적응 프로그램 내용을 알아보고, 이러한 프로그램 속에서 l세 영아들이 보육시설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 대해 탐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G시의 C 영아전담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1세 영아 9명과 담임교사 2인 그리고 영아 부모님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은 영아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친숙기, 친밀기, 분리기를 기본 틀로 하여 적응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었다. 둘째, 영아들은 보육시설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낯선 환경에 대한 탐색을 거점으로 하여, 부모와의 분리불안을 보이고, 거부하는 행동을 보인 다음으로 교사에게 애착 관계 내에서가 아닌 의지하는 행동에서 애착을 찾는 행동 마지막으로 교사, 또래 그리고 다른 사물과의 애착 형성을 통해 점차 보육시설을 받아들이고 놀이 활동에 적응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인 고찰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영아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채영란 ( Chae Young-ra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해보고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유아안전교육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교수방법 등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G시에 위치한 C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개 반 39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유아의 안전지식과 문제해결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과 연계한 유아안전교육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safe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kindergarten-family partnership model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fter its application to a kindergarten.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a literature review and 3-5 age Nuricurriculum, and a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 in the field. The subjects were thirty 5-year-old child care center assigned to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Instruments for pre-and post-tests were the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kindergarten-family partnership model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8 week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with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and post-tests 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iso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