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서경현(Kyung-Hyun Suh),안우리(Woo-Lee A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2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반응이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부양자의 스트레스 반응과 건강에 대한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가족부양자 192명(여: 142) 이었으며, 그들의 연령 평균은 52.35 (SD=12.41)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반응, 건강지각, 신체증상, 우울, 자아존중감, 주관안녕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이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건강지각이나 자아존중감과 관계하고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부양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자기효능감이 부양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신체증상 및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완충작용을 하고 있었다. 스트레스반응이나 신체증상과 같은 부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가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 더 적었으며, 주관안녕과 같은 긍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치매환자 부양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과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With quickly becoming an ageing society in Korea,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family dementia caregivers" stresses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to their stress responses and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caregiving stresses and self-efficacy on caregivers" stress responses and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192 family caregivers (142 females) of demented patients lived in Seoul, whose average of age were 52.35 (SD=12.41).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caregivers" stresses, self-efficacy, stress responses, perceived health,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indicated that caregiving stres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ress respons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givers"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health and self-estee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moderat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s" stresses and stress responses or physical/mental health. These results indicated buffer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negative results in stress responses, physical symptom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aregiving stresses with demented patients. For negative results of caregivers" stresses, such as stress responses or physical symptoms, differences by caregivers" stresses were less explicit in group with low self-efficacy, whil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was only significant in group with high self-efficac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phenomenologic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with focusing on the promotion and intervention of dementia caregiv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Str Res 2009;17:111∼120)

      • KCI등재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Kyung-Hyun Suh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362명(여: 183)이었고, 그들의 연령은 17세에서 33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평균연령은 20.08 (SD=2.45)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부정/긍정 정서, 삶의 동기 및 삶의 기대를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독립적으로 자아탄력성은 생활스트레스보다 주관적 웰빙의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하고 있었는데, 생활 스트레스에 더해 주관적 웰빙을 예언하는 자아탄력성의 추가적 설명량도 유의하였다. 한편,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지만,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대학생이 적게 경험하는 대학생보다 삶의 기대 수준이 낮았는데, 이는 약한 자아탄력성을 가진 대학생들에게서만 유의했다.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의 자아탄력성의 완충작용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26 college students (183 females) living in Seoul and suburb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3, and average was 20.08 (SD=2.45).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life stresses, ego-resilience,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negative/positive emotion, lif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raditional variables of well-being. Ego-resilience accounted independently more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life stress, and additional accountability of ego-resilience for variances of subjective well-being variables with life stress was significant as well. Although it was failed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traditional variables of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life expectancy was found. Students in stressful circumstances had significant lower level of life expectancy than those in less stressful circumstance. But this was only for students with lower ego-resilience. The present study reiterates roles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suggests buffer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Korean J Str Res 2009;17:379∼387)

      • KCI등재

        설문조사와 생리적 지표를 이용한 스트레스지수의 개발

        이종선(Chong Sun Lee),박병강(Byung Kang Park),정인욱(In Wook Chung),이성일(Sung Il Yi),소병록(Byung Rok So)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스트레스를 알아내기 위하여 설문에 의한 점수와 측정에 의한 점수를 합쳐서 산출되는 스트레스지수를 개발하였다. 스트레스설문은 일반인을 위하여 병원 및 보건소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스트레스설문 중에서 뽑아내서 신체, 행동, 심리/감정과 관련된 20개의 질문을 활용하여 재구성하였다. 스트레스측정 점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심박수변이도의 퓨리어 스펙트럼의 저주파와 고주파 성분에 대한 적분값들의 크기를 사용하여 점수화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스트레스지수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종합병원에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지수는 보건소에서 활용하는 스트레스 설문지의 점수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트레스설문 점수는 나이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개인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측정 점수는 나이에 따라 큰 기울기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상관계수도 높았다. 그러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자율신경의 활동이 약화되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스트레스 측정점수는 IEMBIO(주)의 Canopy7에서 제공하는 스트레스지수와 0.868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상용의료기기에서 산출되는 스트레스지수는 자율신경 활동도와 관련된 스트레스 저항력을 나타내며, 본 연구의 스트레스 상태를 알아보는 설문과 심박수변이도의 측정으로 나타나는 스트레스 저항력을 각각 50%씩 반영하여 산출하는 스트레스지수와는 차별된다. In order to identify personal stress, we developed a stress index calculated by combining scores from survey and measurement. Stress survey utilized 20 questions related to physical, behavior, and psychology/emotion chosen from existing stress surveys being used in the hospital or public health center. Stress measurement score was estimated by developing a method of scoring by using the integrated values of the low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Fourier spectrum of the hearth rate variability (HRV). A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in a general hospital to evaluate validity of the developed stress index. The stress index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the existing stress survey score available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stress survey score showed very large variations among individuals with little correlation with age. However, the stress measurement score decreased with a large slope with age, and the ag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 Therefore, we were able to observe that as age progresses, stress is accumulated and the autonomic nerve activity weakens resulting in the decrease in the stress resistance. The stress measurement score calculated in this study show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68 with the stress index provided by Canopy7 of IEMBIO. Therefore, the stress index calculated from the employed equipment indicates stress resistance related to the autonomic nerve activity, and therefore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stress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calculated by reflecting both the current stress state through the survey and the stress resistance through the HRV measurement. (Korean J Str Res 2011;19:11∼19)

      • KCI등재후보

        Flash를 이용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개발

        하양숙(Yang-Sook Hah)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20대∼50대 성인을 위한 웹기반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도 확인 및 개발과정과 검증 및 적용단계를 거쳤다. 문헌고찰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요구도 확인을 위한 면담과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사용자의 요구에 기초하여 [stressdown]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평가와 프로그램 사용자들의 만족도 평가를 시행하였고, 수정보완 단계를 거쳤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크게 4개의 스트레스 관련 사전검사와 스트레스 관리 클리닉으로 구성하였다. 사전검사 부분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증상, 대처방식, 스트레스 취약성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이며, 스트레스 관리 클리닉은 사전검사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적합하고 유용한 관리방법이 소개되는 과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맞춤형 중재시스템을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스트레스 관리방법을 추천해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플래시 형태로 http://www.stressdown.net으로 접속하여 웹상에서 구현할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한국 성인의 스트레스관리와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함은 물론 스트레스 관련 연구자와 전문가들에게 웹기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정보공유에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stress management system for 20"s∼50"s Korean adults. To identify user"s information needs, research process includes needs assessment analysis, design, development/testing, and application release. For needs assessment included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surveys. Based on the user"s needs, a「Stress-down」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user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by experts for the quality of the program. 「Stress-down」 program was consists of 4 stress tests and stress management clinic. In the stress test section, 4 tests was used to find the user"s stress, symptom, coping style, and personal vulnerability to stress. In the stress management clinic, useful management method was introduced. This program recommend the adequate management method by tailored intervention system. The「Stress-down」program was released using URL:http://www.stressdown.net. It is expected that this web-based stress management system will contribute to the mental health promotion on Korean adults as well as provide a community for the stress related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to share information on the web-based stress management. (Korean J Str Res 2010;18:379∼387)

      • KCI등재후보

        자기자비, 대학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 관계

        박지선(Jisun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14 스트레스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대학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2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자비척도, 대학생활스트레스척도, 대처전략척도를 실시한 후, 22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는 대학생활스트레스와 회피중심의 스트레스대처 전략과 부적 상관이, 문제해결중심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자비의 하위 요인을 알아본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에는 인간 삶의 보편성에 대한 이해 요인이, 회피중심 대처전략에는 마음챙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자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 문제해결중심과 회피중심 대처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self-compassion on university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y. The researcher has performed questionnaire on the self-compassion, university life stress and coping strategy for 232 university students. Finally, resources of 228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university life stress, and avoidance focused coping strategy. Bu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roblem solving focused coping strategy. Second, common huma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upon the problem solving stress coping strategy. Also, mindfulness of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upon the avoidance stress coping strategy. Finally,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score of self-compassion was less university life stress and used less avoidance focused coping strategy, more problem focused coping strateg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불면증 환자의 스트레스, 심리적 강인성,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김유진(You Jin Kim),이혜미(Hye Mi Lee),이승연(Seung Yeon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불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변수 간에 심리적 강인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1개 종합병원 신경과 수면장애 클리닉에 2009년 11월부터 2010년 4월에 내원하여, 수면전문의의 판단 하에 연구 참여기준에 적합한 146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척도, 스트레스 척도, 심리적 강인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삶의 질과 그 하위변인인 신체적 건강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그 하위변인인 가족 지지에서 유의하지만 경미한 성차가 확인되었다. 더불어, 불면증 환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강인성의 하위변인 중 투신과 통제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 총점 및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전반적 영역의 하위변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의 주효과 및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들의 상호작용 항에 대한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친구 지지가 삶의 질 하위변인 중 사회적 관계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중요한 타인 지지가 환경차원의 삶의 질 하위변인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들의 상호작용 항에 대한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 모든 사회적 지지 하위변인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불면증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연구 변인간 상이한 영향 패턴을 확인하고, 이에 부합하는 정서적 어려움과 관련된 치료적 접근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insomnia, and examines the possible mediating and regul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ocial support, respectively, on these variabl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09 to April 2010 with patients from a sleep disorders clinic in the department of neurology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subjects that were deemed suitable to participate by a sleep specialist via a questionnaire measuring their quality of life, stress, psychological hardiness, and social support. We foun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nd its sub-factor physical health, and significant but mino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nd its sub-factor family support. Furthermore,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found for control and challenge attitudes - both of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hardiness -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insomnia. The total scores of quality of lif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as well as their respective sub-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 or its sub-factors, even when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stress and its sub-factors. Although friend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lations, and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measures regarding one’s environment, not all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regulating effects; for instance, social support showed no relationship with stress or its sub-factors.

      • KCI등재후보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경(Kyung Park)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4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마음챙김과 낙관주의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426명(남자: 179명, 여자: 193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질문지, 마음챙김척도, 성향적 낙관주의척도, 우울척도 등이다. 자료 분석은 각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 및 부정적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낙관주의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생활 스트레스의 경우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성취관련 스트레스 모두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 경우 하위 요인 중 기술을 제외한 4개의 하위 요인이 우울과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또한 성향적 낙관주의는 우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 성향적 낙관주의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성향적 낙관주의의 상호작용이 우울의 변량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향적 낙관주의가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 작용함을 반영한 결과이다. 한편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상호작용의 경우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낮은 수준이기는 하나 의미있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성취관련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중재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life and depression. For this, a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 (179 male students, 193 female students) completed Negative Life stress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Five-factor Mindfulness Questionnaire, Life Orienting Test,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ent Depression. Correlation analysis was tested to address the relation among negative stress of life, mindfulness, dispositional optimism, and depression. Hierarchical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implemented for address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optimism on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stress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results about stress of life, both of stress for personal relations and stress on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test on the scale of five factor mindfulness, four factors except descrip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pecifically interaction effect of stress of personal relations and dispositional optimism explains the variable depression with significance. This means that dispositional optimism acts as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Even though it was weak for interaction effect of stress of personal relations and mindfulness to interpret depression, the interaction effect was impressed as a role of moderating variable because of the high significance level of the effec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of achievement and depression did not have significance. (Korean J Str Res 2009;17:369∼378)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

        서경현(Kyung-Hyun Suh),양승애(Seung-Ae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대생 45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3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자기애성 성격질문지,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그리고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성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에서 여성의 자기애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 중에 공격성 및 분노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더해 여성의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들 모두를 유의하게 정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영향을 보정할 경우 여성의 자기애가 스트레스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여성의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의 특성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narcissism and self-esteem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The participants were 454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osenberg"s Self-Esteem Scal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narcissistic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Women"s narcissis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some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such as aggressiveness and anger in correlational analysis, whil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However, if it was adjusted by self-esteem in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women"s narcissism accounted variance of interpersonal stresses and all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positively. This means women"s narcissism may aggravate some stresses if adjusted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factors.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women"s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It was discussed roles of women"s narcissism and self-esteem with previous studies. (Korean J Str Res 2010;18:371∼378)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삶에 대한 관여, 통제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반응

        서경현(Kyung-Hyun Suh)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노인병원 요양보호사의 삶에 대한 관여, 통제감 및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반응과 어떻게 관계하는 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병원에서 노인환자 요양보호사로 종사하고 있는 213명의 여성이었으며, 이들의 연령 분포는 만 35세에서 70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Batone의 단축형 강인성척도, Park"s 사회적 지지척도 및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요양보호사는 가족에 비해 직장 동료나 상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는 상대적으로 덜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삶에 대한 관여, 통제감, 사회적 지지 모두 스트레스 반응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세 가지 변인은 스트레스 반응의 변량을 16.1% 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스트레스 반응 하위변인별로 분석한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삶에 대한 관여와 직장 동료나 상사로부터의 정서적ㆍ정보적 지지, 및 가족의 평가적 지지가 결정적인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환자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적 변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관여와 통제감, 그리고 외부 변인으로서의 사회적 지지에 관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commitment, controll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s are related to stress responses of professional caregivers. The participants were 213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at a geriatric hospital, whose ages ranged from 35 to 70.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Bartone"s Hardiness Scale: Short-Form, Park"s Social Supports Scale,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geriatric caregivers perceived receiving little supports from co-workers and superiors. Commitment, controll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s of caregiver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stress responses. And, these three variables accounted 16.1% variance of stress responses.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for sub-variables of stress responses revealed that commitment, emotional and informative supports from co-workers and superiors, and evaluative supports from families were determinative. It was discussed roles of the commitment and controllability as intrapersonal variabl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s as a external variable in stress responses with previous studies.

      • KCI등재후보

        흰쥐에서 스트레스가 불안 및 공간지각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진훈(Jin Hoon Lee),이준호(Jun Ho Lee),최근한(Keun Han Choi),김원정(Won Jung Kim),이수진(Su Jean Lee),정지혜(Ji Hye Jung),문성근(Sung Keun Moon),정규용(Kyu Yong Jung),최봉규(Bong Kyu Choi),이서울(Seoul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2

        개체가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스트레스에 의한 감정과 신체의 대응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반복되어지는 구금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초래되는 행동변화를 관찰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의 대응양상으로서 선천적 행동(innate behavior)과 학습과 기억(learning and memory)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9주령 수컷 흰쥐(Sprague-Dawley)를 이용하여 7일 동안 연속적으로 하루 6시간씩 구금 스트레스(restraint stress) 환경에 노출시킨 스트레스군(Stressed group)은 정상적인 사육조건에서 사육된 대조군(Control group)에 비해 개체의 성장추세가 지연되었다. 구금 스트레스 노출 직후 흰쥐의 편도(amygdala)에서 NADPH-diaphorase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뇌 산화질소생성효소(nNOS) 활성을 관찰한 결과 스트레스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활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 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동일한 스트레스에 노출 직후 흰쥐의 개방공간 탐색행동 검사(open-field exploratory behavior test)를 시행하였다. 개방공간에 최초 노출된 경우 스트레스군의 보행활동도(ambulatory activity)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나, 개방장소 탐색활동도 측정을 통한 탐색 영역 분석 결과, 스트레스군의 경우 개장공간의 중앙영역에서 나타나는 탐색행동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이후 3일 동안 반복하여 동일한 탐색활동도 측정 장치에 노출시킨 경우, 스트레스군의 보행활동도는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스트레스 환경은 흰쥐에서 편도의 산화질소 생성효소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불안을 표출하는 행동양식의 변화를 수반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복되는 스트레스는 선천적 행동양식의 변화를 초래하였지만, 공간지각에 대한 학습과 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environmental stress may produce to behavioral changes. In this study using a rodent stress model that exposure to the repetitive restraint stress elicits behavioral alterations, especially changes the patterns of the innate behavior but not the contextual memory and learning abilities. Nine weeks ol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given the restraint stress (the stressed group) for 6 hours per day for seven consecutive days. The stressed rats were indicated the retarded development within the stressed-s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osure to restraint stress for seven days, the rats" brains were performed to the NADPH-diaphorase stain on the limbic region of the brain. In the stressed animals have increased the counts of the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active neurons in the central amygdala of the brain. For behavioral assessments, animals were subjected to the exposure to novel environment-open-field apparatus-in order to examining the exploratory behaviors especially the ambulatory activity after the stress paradigm. The stressed animals indicated a significantly higher ambulatory activity for 5 min compare to the control animals. Moreover, the zone analysis of the tracking of exploration in open-field monitoring system, the stressed rats were a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activities in the center of arena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However, the stressed rats were repetitively exposed to the same arena at once per day for 3 consecutive days, which ambulatory activity did attenuate to the control levels 3 days after explo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counts of the nNOS reactive neurons in the central amygdala area due to the experience of repetitive stress paradigm can alter the eliciting pattern of the innate behavior and which has not been modulate the contextual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of the brain. (Korean J Str Res 2011;19:107∼1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