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주제어 분석 연구

        유정아(Yoo, Jung-Ah),최예린(Choi, Ye-Lin),김금희(Kim, Keum-Hee)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4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학술지인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논문 주제어(Keywords) 분석을 통해 어린이문학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미래 어린이문학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 발표된 어린이문학교육 관련 논문 434편의 주제어를 분석하였고, 5년 단위로 연구 시기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린이문학교육과 관련한 논문의 주제어 1,626개(중복 포함)는 5개의 상위범주(도서, 교육, 주제, 연구, 발달)와 43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었다. 주제어 출현 빈도는 상위범주에서 도서(573회), 교육(327회), 주제(277회), 연구(235회), 발달(211회) 순으로, 하위범주에서는 유형(326), 문학교육(141), 대상(94), 텍스트 요소(84), 사회성(82), 철학/종교/사조(71) 순으로 나타났다. 단일 주제어로 가장 많이 출현한 주제어는 ‘그림책’(155회)이었다. 둘째, 주기별 분석결과, 5개의 상위범주는 주기에 따라 출현 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 중 ‘도서’ 범주는 1-4주기에 걸쳐 일관되게 가장 많이 출현하는 상위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문학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keywords in th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keywords of 434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related to the papers published for 20 years in the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ver the period (2000-2019), it was divided into five-year units from the time of publication(1st period: 2000-2004, 2nd period: 2005-2009, 3rd period: 2010-2014, and 4th period: 2015-2019).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626 keywords(including duplicates) in the journal article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are divided into 5 higher categories(Books, Education, Subject,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43 subcategories. The higher category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was Books(573 times), followed by Education(327 times), Subject(277 times), Research(235 times), and Development(211 times). The subcategories are Type(326 times), Literary Education(141 times), Object(94 times), Text Element (84 times), Sociality(82 times) and Philosophy/Religion/Things(71 times) in that order. The keyword that appeared the most as a single topic was Picture Book(155 time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period, the five higher categories showed a difference in appear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eriod (p<0.01). However, the ‘book’ category was found to be the top category that consistently appeared the most over period 1-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ix directions for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관련학회 학술지」와「어린이문학전문 학술지」-

        백경순 ( Kyung Sun Bac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문학 연구의 수준 향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아교육연구』,『아동학회지』,『열린유아교육연구』,『미래유아교육학회지』,『유아교육학논집』와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 게재된 242편의 유아문학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작성된 유아문학 관련 논문은 12편에 불과한데 비해 2000년을 기점으로 2008년까지 게재된 논문은 230편으로 늘어나 약 20배 정도의 괄목할만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연구유형은 『유아교육의 5개 학술지』의 경우 "양적연구"에만 치우치고 있으나,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서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가 서로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문헌연구의 등장은 그림책을 단지 교육 매개체로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양적 연구에서 벗어나, 유아문학의 원론적인 문학성과 예술성을 분석하려는 의도라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유아문학 관련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그림책(2041편)이었다. 구체적으로 "교육내용으로 활용"과 연관된 논문에서는 문학성에 대해 가장 많이 연구하였고, "교수활동으로 활용"과 연관된 논문에서는 그림책을 읽고 문학관련 활동을 경험한 후에 유아들의 언어발달(62편), 창의성발달(20편), 사회성발달(15편) 등의 효과 여부를 검증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유아교육의 5개 학술지』에서는 "실험법"과 "차이분석"을 많이 사용하였고, 『어린이문학교육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문헌분석이나 기술통계"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림책의 장르는 환상동화가 949편(46.5%)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양적 성장과 함께 다양한 연구주제와 관점으로 유아문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의 필요성과 유아교육에서 유아문학의 공헌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42 pie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by『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and 『Korea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thesis on young children`s literature between 1996 and 1999 is 12, the number between 2000 and 2008 is 230 and the increase is noticeable with 20 times. The type of study in 5 jour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leans on quantity research, but the study in young children`s literature is quantity research and books, so the number of book research is remarkable with other journals compared. The instrument of studie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was picture books, whose number was 2041. In details the study of literacy in case of using the picture books as a text was the most and the studies for language development(62), creative development(20), and social development(15) appeared strongly when it was used as activities. In 5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ment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methods of study, and books research and book analysis or statistics in the children literatures. In conclusi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the journal of young children literature published in 2000 has become an stimulating tool to develop and expand the research of young children` literature.

      • KCI등재

        아동도서 서평 분석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최예린,김금희,홍옥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1

        The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KSCL&E) is the only one who provides an online book review section on the homepage among the many research association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284 book reviews on the homepage of the KSCL&E from 2002 to 2016. The categories to analyze the online children's book reviews include general bibliographic information, descriptive reviews, and critical reviews. A total of 27 items for the children's book review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Not all of the names of the reviewers as well as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reviewers, names of the authors and illustrators, publishing companies, publishing dates, and title page images were provided. The review statements of the literary elements were provided in order of summaries of the texts, characters, themes, settings, plots, and genres. The review statements of the art elements were provided in order of colors, art mediums, shapes, lines, and textures. The frequency of artistic elements in the online reviews was quite low compared to the literary comments of the online reviews. In critical reviews, the personal comments of reviewers and the strength of the books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statements; followed by the compatibility of the text and illustrations, comparisons between books by the same authors as well as illustrators, comparisons between books with similar themes, and the weaknesses of the books. Providing thorough and accurate information, professionality to critical reviews, cultivation of arts expertise, and consistent management following the review standards of KSCL&E are needed for quality online reviews of children's books. 뉴미디어 시대에 우리나라 아동문학 관련 학회 중 회원 여부에 상관없이 누구나 검색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정기적으로 서평을 올리고 있는 단체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가 유일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홈페이지에 탑재된 추천도서 서평 28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영역은 서지정보, 기술적 서평, 비평적 서평이며, 각 영역을 세분화하여 총 27개 항목에 따라 서평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평자 및 서지에서는 도서명, 글작가, 그림작가, 출판사, 표지 이미지, 서평자 이름, 서평자 직업, 번역자 순으로 정보의 제공 여부가 다루어졌다. 문학적 서평 항목에서는 책 내용 개요, 인물, 주제, 배경, 사건, 장르 순으로 서평이 주로 이루어졌다. 예술적 서평 항목에서는 색, 매체, 모양, 선, 질감 순으로 서평이 이루어졌으나 문학적 서평에 비해 그 빈도는 낮다. 비평적 서평에서는 서평자 견해, 도서의 우수성을 중심으로 서평이 기술되었고, 글/그림의 적합성, 같은 글/그림 작가 비교, 같은 주제 간 비교, 도서의 단점 순으로 서평 내용이 제공되었다. 앞으로 양질의 서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평자의 충실한 정보 제공에 대한 의지, 비평적 서평 쓰기에 대한 전문성 증진, 문학뿐 아니라 그림에 대한 전문지식 함양, 그리고 학회 차원의 그림 전문 서평자 확보, 학회 서평 기준에 따른 일관성 있는 관리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유아문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1995년~2003년을 중심으로-

        이대균 ( Dae Kyun Lee ),백경순 ( Kyung Sun Bac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5 No.1

        1980년대 들어 총체적 언어교육 이론이 확산되면서 유아교육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려는 노력이 확대되어왔다. 문학을 이용한 언어교육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도되어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문학을 활용한 과학교육, 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 등 여러 방면으로 확산되어왔다. 그리고 2000년도부터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에서 독립적으로 별도의 학회지를 출판하는 등 1990년대 후반에 비해 2000년도 들어서는 유아문학 교육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활성화 되어 논문 편수가 3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유아문학교육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유아문학교육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30 articles, such as master, doctoral thesises and journa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article, such as master, doctoral thesises and journal has increased three times than 5years ago. Seco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is usually used as a resource of literature itself, as well as a tool to teach other subject. But the research trend should be changed to teach the contents of literature.

      • KCI등재

        동요의 문학성에 따른 어린이 수용양상과 교육적 함의 -신현득의 동요문학선언과 동요시집을 중심으로-

        신정아 ( Jung A Shi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4

        한국아동문학의 역사는 동요에서 시작되었다. 글이 없던 시대에도 어린이들은 노래를 흥얼거렸으며, 그들의 입을 통해 전해져온 구전동요는 어린이문학교육의 시발점이었다. 이러한 동요는 격변기를 거쳐 왔는데, 1960년대 동시작가로 불리던 시인들은 문학성을 잣대로 예술성이 떨어지는 동요를 짓지 않았다. 이 시기 아동문학의 출발이 동요에서 시작되었고, 어린이들에게 동요가 뗄 수 없는 장르라는 것을 인식한 신현득은 몇 동시작가들과 함께 동요문학선언을 공표하여 동요부흥운동을 전개해 나간다. 또한 그가 출간한 동요시집에 실린 작품들은 그가 동요를 시적 경지에까지 끌어올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후 동요시는 어린이들이 읽고 마는 시에서 문학적인 감동을 주는 성격의 것으로 변화한다. 어린이들은 언어적 표현에 의한 시적 형상화를 직접 체험하면서, 시의 아름다움을 맛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연물을 통한 잔잔하면서도 동심의 색채가 강한 어조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정서적 몰입을 가능케 하며, 안정되고 풍요로운 살아갈 수 있는 힘도 안겨준다. 이처럼 동요는 어린이의 정서 또는 가치관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동요의 문학성 정립을 위한 꾸준한 노력은, 어린이문학 교육적 측면에서도 분명한 발전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한다.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tarted from children`s songs. When there were no letters, children sang a song, and children`s folk songs passed on by word of mouth was the starting point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se children`s songs endured sudden changes, and the poets who were called writers of children`s poems did not compose children`s songs with low artistic quality with criteria of literarity. At that time, the starting point of children`s literature began from children`s songs, and Shin Hyeon Deuk who recognized it as a children`s genre, published a declaration of children`s songs as literature with other writers of children`s poems and conducted a children`s song revival movement. And the pieces in his own collection of children`s song showsraised the genre up to the poetic level. Since then, children`s songs changed from just poems read by children to those thatprovide literary impression. Children experience poetic formation through lingual expressions and enjoy the beauty of poems. Also, a calm but strong child-like tone with nature makes children emotionally immersed and provides a stable and abundant life force. Therefore, children`s songs have a hug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hildren`s emotions or sense of values. Continuous efforts to build literarity of children`s songs is expect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aspect of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탐색: 로젠블렛의 교류이론에 근거한 고찰

        김정원 ( Jung Wo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2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현재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의 문학적 접근에 관한 관심이 부각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로젠블렛의 교류이론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의 문학적 접근의 의미와 적용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찾으려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교육, 다문화문학, 그리고 로젠블렛의 교류이론 등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학에 관한 로젠블렛의 전반적인 아이디어는 다문화문학의 의미를 찾고 다문화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탐색을 시작하는데 유용한 기반이 된다. 다음으로 로젠블렛의 교류 이론에서 강조하는 독자의 정당한 위치에 대한 이해와 수용은 민주적인 평화공동체 구축이라는 다문화교육의 궁극적인 지향점을 이루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그리고 로젠블렛이 제안하는 심미적 읽기는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성취를 이루는데 반드시 필요한 비판적 사고를 발달시키는 시작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로젠블렛의 교류이론에서 제안하는 독자와 문학작품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해석적인 공동체로서의 교실의 중요성은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이상이 성취되는 민주적인 교실 분위기와 일맥상통한다. In today`s global and multicultural society, it is important to develop multiple perspectives in the mind of our future generation and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m. So in this article it is examined that the meaning and possibilit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literature based on the Rosenblatt`s transactional theory. From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s were revealed. First, Rosenblatt`s general idea about literature is useful to start the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and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literature. Second,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rightful stance of reader which is emphasized in Rosenblatt`s transactional theory has the significant meaning for the completion of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formation of the peaceful democratic communities. Third, Rosenblatt`s aesthetic reading is the significant first step for the critical thinking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the classroom in which Rosenblatt`s dynamic transaction between text and reader is activated is consistent with the democratic classroom in which the educational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accomplished.

      • KCI등재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박영기(Young Ki Park)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2

        전쟁기(1950. 6. 25.~1955. 7.)는 해방기와 정부 수립기 아동문학교육의 연속적인 흐름 속에서 아동문학교육의 맥을 이어가는 시기였다. 해방기의 혼란 못지않게 크나큰 정치적 변화와 처절한 전쟁의 상처를 경험하는 역사적 격동기로서 아동문학교육 또한 변혁기를 맞이하는 시기였다. 전쟁으로 인해 휴교와 개교가 반복되는 파행적인 교육의 상황 속에서 원조에 의해 제공된 교과서『국어』와 민간에서 발행된 잡지 『소년세계』, 『어린이 다이제스트』를 통해 문학교육의 맥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졌다. 이 시기 국어 교과서에는 전쟁 교과서의 특징이 나타나며 반공주의의 이념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잡지에서는 피난 학교를 탐방하여 어린이의 생활을 알려주기도 하였고, 아동문학교육과 관련된 좋은 기사들을 수록하여 활발한 아동문학교육을 진행하였고 ‘전쟁’이라는 엄정한 현실 속에서도 민간 차원에서 독서교육, 문학 교육을 담당했던 민간 운동지의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The war period (6/25/1950-7/1955) continued the tradition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fter the last stage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e liberation perio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was also faced with large changes because of the big political change and turbulent historical period. Although education was struggling during the war, textbooks in the Korean language, and journals, such as “Boys` World” and “Children`s Digest”, kept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aliv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war textbooks and start to show anticommunism. These journalists visited refuge schools and reported on children`s lives there. These journals also contained very activ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by including good article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ese journals had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journals which revealed reading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during the harsh war period.

      • KCI등재후보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임영심 ( Young Sim L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유아문학교육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봄으로써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2005, 여성부)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2008, 교육과학기술부) 및 유치원교육과정해설III(2008)로 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 예술경험영역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영역과 표현생활영역의 성격, 목표, 내용으로 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현재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 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의 성격, 목표, 내용에 반영되어 있는 유아문학교육은 유아언어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충분할지 모르지만 유아문학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달성하기엔 미흡하며 문학 예술적 기능을 소홀히 다루게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은 아동중심교육철학을 실천하기 위한 좋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을 지원하는 좋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1969년 1차 유치원교육과정의 탄생 이후 최초로 유아교육과정내용에 ‘문학’의 용어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정 내에서 유아문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아문학의 의미해석을 시도하는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아교사가 유아문학교육의 본질적 목표와 내용을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유아교육과정은 의사소통영역 및 언어생활과 예술경험영역 및 표현생활이 유기적이고도 통합적으로 연결되도록 재정립하여 유아들의 문학교육활동이 문학예술활동이면서 동시에 언어 예술활동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Young children`s literature could present a direction for a reconstruction of aesthetic appreciational experiences on a basis of literate imagination rather than a simple delivery of their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by analyzing how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Kindergarten Curriculum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The objects of analysis are Standard Educare Curriculum(200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 Introduc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ed in 2007 (200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ommentary of Kindergarten Curriculum III (2008). The category of analysis is including a field of communication and art experience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s much as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a field of linguistic life and expressional life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field of communication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linguistic life might be a sufficient function of reaching a goal of young children`s linguistic education. But they are insufficient for achieving a essential goal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l artistic function is thought to be worried over neglecting its value. Seco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may be an excellent resources to practice a child-focusing education philosophy and is emphasizing to support a field of communication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a linguistic life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ird, the term of "Literature" is used first on young children`s curriculum after the born of first Young Children`s Curriculum in 1969. It is seems to be encouraging to make an implication of analyzing a meaning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young children`s education. Young children`s education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for connecting a field of communication with that of art experience systematically and coordinately. It will be so useful for teachers to coordinate an essential goals and content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activitie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manifested and enjoyed as both literal artistic and linguistic artistic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김정화 ( Jung Wha Kim ),서정숙 ( Jeong Sook Seo ),이영애 ( Young Ae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1

        유아교육에서 문학교육을 독립된 교과 영역으로 보고자 하는 연구가 늘어남에 따라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여러 교사 변인에 따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향후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126명이다. 설문 항목은 유아문학교육의 목표 및 성격, 유아문학 작품 및 작가, 유아에 대한 이해 및 문학작품의 적합성, 유아문학교육의 교수방법,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유능감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대체로 높았지만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유아문학작품 및 작가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았다. 교사의 변인별로는 유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높았지만, 교사의 관련 과목 수강 여부나 현직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는 전체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유아문학교육을 위해 유아문학교육 평가, 유아문학작품 및 작가에 대한 교육의 강화를 비롯하여 좀 더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운영 될 필요가 있다. The necessity of a program to educat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been recently raised as there are increasing investigations based on the notion that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an be a separat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there is no investigation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literature teach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depth investigation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eacher variables. The subject consists of 12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The survey items are the goal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literature and writers, the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and the suitability of children`s literature, the teaching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competence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n literature education is generally high but that the levels of their perceptions on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literature and writers are relatively low.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variables shows that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n literature education is higher as the level of their education is higher but that literature-related course taking or teaching experiences do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operate a more effective, improved teacher program in every aspect including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education on literature and writers.

      • KCI등재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 이미지- 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을 중심으로 -

        곽영미 ( Young Mi Kwak ),현은자 ( Eun Ja Hyun ),권영희 ( Young Hee Kwon ),이신애 ( Shi Nae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다문화 그림책에 그려진 한국계 미국 어린이의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미국 사회에서 한국계 미국 어린이를 바라보는 시각이 그림책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분석의 대상이 된 도서는 미국에서 출간된, 한국계 미국 어린이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 그림책 27권이다. 분석도구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들이 수정한 체크리스트였으며, 이에 따라 한국계 미국 어린이의 인구학적 배경과 캐릭터, 공간적 배경으로서의 한국 문화, 플롯을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한국계 미국 어린이의 인구학적 배경과 캐릭터에서 여자 어린이가 남자 어린이보다 더 많이 그려졌으며, 행동에서는 놀이 행동보다 일상생활 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공간적 배경으로서의 한국 문화 요소는 사회 및 생활 상징, 민족 상징이 많이 그려졌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미지의 오류와 아시안 문화 요소 간의 중첩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해 가는 우리나라에서의 다문화 교육뿐만 아니라 다문화 그림책 창작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 of Korean-American children represented in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published in the USA. For this purpose 27 picture book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online bookstores, web sites and Publishers Weekly, etc.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demographic background and characters, spatial background as the Korean culture and plot.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ults showed that 1) Female Korean-American child characters appeared much more frequently than male. 2) Korean-American children were drawn to engage in non-play activities in daily life more than play activities. 3) Inaccurate images of Korean cultural elements were represented and images of Korea or Koreans overlapped with other Asian nations’ images.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icture books in Korea, in the process of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