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성적증명서 개선을 위한 수요자 인식 조사 : 채용 상황을 중심으로

        정윤숙(Chung, Yoonsook),유지원(You, Ji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1

        대학 성적증명서는 학생들의 최소 4년의 공식적인 교육성과 기록이자 채용과 진학에 활용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교과목명, 이수시간, 학점으로 요약된 현재 성적증명서는 오랜 기간 그 형식을 유지해왔다. 본 연구는 사회적 요구와 교육적 상황이 변화한 가운데, 성적증명서의 개선 필요성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수요자라 할 수 있는 기업 및 기관이 채용 상황에서 대학 성적증명서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함으로써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16명의 기업 및 기관의 채용 경험이 있는 실무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채용시 대학의 성적증명서가 어떠한 비중으로 활용되는지 우선순위와 성적증명서에 대한 인식 및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채용시 지원자의 인성과 태도 등을 파악하고 싶으나 성적증명서로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다른 증빙자료에 비해 활용 우선순위가 낮게 나타났다. 기존 성적증명서를 보완할 수 있는 확장된 성적증명서(extended transcript)로 역량기반성적표 사례를 제시하고, 확장된 성적증명서가 기존 성적증명서를 보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질문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지원자의 구체적인 경험을 드러내고 수행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확장된 성적증명서의 잠재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적증명서 확장 방향을 제시하였고, 대학에서 성적증명서 개선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략을 제언하였다. University transcripts are an official record of a student s four year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are an important resource for recruitment and entering graduate school. The current transcript, which summarizes the titles of the courses taken, the number of hours completed, and the grades, has maintained its form for a long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raditional transcripts by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transcripts according to changes in social demands and educational purposes. The primary user group for university transcripts are thepersonnelof companies and institu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university transcripts in recruitment process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16 experts with experience in hiring at companies and institutions participated, and opinions on the priority of transcripts among documents used in the hiring process, perceptions of university transcripts, an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ranscripts were collected. As a result, although employers were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applicant s characters and attitude in the hiring process, the university transcripts did not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on showing the applicant s character and attitude, so they showed a low preference towards it compared to other documents. Competency-based transcripts were presented as an example of extended transcripts, a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and discuss opinions on the possibility of extended transcripts. Study participants discussed the potential of extended transcripts in terms of showing the experiences of applicants and providing rich information about their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extended transcripts were discussed, and strategies of implementing the extended transcripts at univers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평가를 위한 프로젝트 수행 역량 평가틀 개발 : 설계기반연구

        정윤숙(Yoonsook Chung),손나영(Nayoung Son),유지원(Ji Won You)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역량 함양에 효과적이라 논의되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프로젝트 수업에서의 학습성과를 학생의 프로젝트 수행 능력으로 정의하고, 학습자가 실제 수행과정에서 보인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틀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는 설계기반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업에서 평가를 실행할 교수자들이 함께 평가도구 개발 과정에 참여하였다. 먼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역량모델을 도출하고 관련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도출한 역량모델 구성안과 역량 평가지표는 총 4차의 형성적 순환과정을 거치면서 개선하여 도구의 현장적용성과 타당도를 높였다. 최종 확정된 평가틀은 5개 역량과 총 49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었으며, 2019학년도 2학기 33개의 프로젝트 교과에 실제 적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평가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정규 교육과정에서 학생의 실제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역량 평가를 실천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valuation framework for assessing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 Project-based learning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to promote students’ competencies. In this study, design-based research approach was used to develop the evaluation framework, and several professors teaching project course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valuation tool. The developed competency model and evaluation standards were reviewed by the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process occurred four times recursively and the evaluation framework modified accordingly. The final evaluation framework consisted of 5 competencies and a total of 49 observational indicators, and was applied to 33 project co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of conducting competency based evaluation were discussed. This study contributed to promoting competency based evaluation at higher education.

      • KCI등재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에 관한 탐색

        정윤숙(Chung Yoon sook),문공주(Moon Kong ju),김성원(Kim Su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과 관련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 SSI)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SSI의 주제 및 소재, 맥락, 학습 활동 유형은 다음과 같다. 현행 교과서에 나타난 SSI 학습활동의 수는 총 61가지였다. 지구와 우주 단원에서 SSI 학습활동을 많이 다루었으며, 운동 과 에너지 단원에서는 많이 다루지 않았다. 교과서에 나타난 SSI 주제는 인위적 지 형변화, 생태계의 보존, 다양성의 보존, 생명공학, 환경오염, 연구윤리, 우주 공학, 대체 에너지, 혐오시설의 9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SSI 학습활동이 제시된 맥락 을 분석한 결과는 개인적 맥락, 사회적 맥락, 세계적 맥락이 각각 7%, 54%, 16%로 나타났으며 맥락을 파악하기 어려운 SSI를 이용한 학습활동은 23%이었다. SSI를 이용한 학습활동은 탐구활동, 읽기자료, 본문, 평가문항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었으 며, 토의, 토론, 글쓰기, 역할놀이 등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결정을 이끄는 학습활동 은 전체의 61%였다. 본 연구 결과,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SSI는 그 수와 주제가 제 한적이며 최근의 다양한 이슈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적극적인 의사결정 활동을 자극하기에는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보다 다양한 이슈를 제시하도록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며, 과학교사들은 다양한 이슈에 관심을 갖고 학교 현장에서 SSI를 활용하는 학습 활동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켜야 할 것이다. SSI에 대한 본 연구는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증 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연구이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글로벌 사회를 살 아가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과학적 소양의 함양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초록 Socioscientific issues-based learning activity is essential fo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and it could be used for analyzing problems be applied to each situation for more successful and suitable. Therefore, we explored socioscientific issues in 17 Korean science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of scientific literacy relating to decision making. In this study, we found out 61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textbook and classified that by subjects, and context levels. We also investigated what learning activity used to represent socioscientific issues for student learning science. As a result we found 9 subj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science textbooks as followings: artificial geological change, ecosystem preservation, biological diversity preservation, biotechnology,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ethics, space technology, alternative energy, construction of obnoxious facilities. We classified socioscientific issues into three context levels. Personal context, social context, global context, not classified were recorded respectively 7%, 54%, 16%, and 23%. Four learning activities for leading students decision making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textbook were discussion, debate, writing, and role play leading. In the textbook socioscientific issues represented by inquiry, reading, text, questions.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lack of variety in subj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Researchers, science teachers and textbook developers should pay efforts to develop new teaching materials and programs include various socioscientific issues.

      • KCI등재

        비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해커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도전성향 동기에 따른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정윤숙(Chung, Yoonsook),유지원(You, Ji Wo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비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해커톤 프로그램의 성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해커톤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은 팀을 이루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앱인벤터로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활동을 1박2일에 걸쳐 수행하였다. 해커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검증하고자 해커톤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문제해결역량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학생의 도전 동기성향에 따라 도전지향, 안전지향, 지향없음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도전 동기성향 집단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비이공계열 신입생으로 해커톤 프로그램에 참여한총 5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첫째, 대응표본 t-test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문제해결역량에 대한 차이를검증한 결과, 해커톤 프로그램 참여 후 학습자의 문제해결역량이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전-사후 문제해결역량의 변화 양상이 도전 동기성향 집단에 따라 다른지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분석한 결과, 세 집단과 시점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여 도전 동기성향 집단에 따라 문제해결역량변화 양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사후 자기효능감 차이 분석에서는 해커톤 프로그램을통해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넷째, 동기지향에 따른 세 집단 간에 사전-사후 자기효능감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세 집단 중 안전지향 집단에서 문제해결역량과 자기효능감 향상이 가장큰 폭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해커톤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alled “hackathon” program for first year students in the arts and humanities. The students in the hackathon program worked to derive ideas for solving the proposed problems, and to create outcomes with “App Inventor” over a two day perio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ackathon program,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The motivational disposition of the students was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hallenge-oriented, safety-oriented, and neutral. After this, we analyzed whether there was a measurable difference among the students thanks to this program. A total of 575 dat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 problem-solving capabilities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problem-solving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degree of changes in their problem-solving competency.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 self-efficacy, the self-efficacy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hackathon program, and fourth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motivational orientation groups in their changes to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in the three groups, those who had safety-oriented motivation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정윤숙 ( Yoonsook Chung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과학 교육의 목표로 둘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서 빠뜨릴 수 없는 요소중 하나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학습전략이 논의되는 가운데, 다수의 연구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접근이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라는 결과가 제시된다. 과학관련 사회쟁점(SSI)은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여 발생하며, 발달하고 있는 현대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단 하나의 확실한 해결책이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논의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완전하지 않은 과학지식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쟁점에 대한 주장과 근거를 마련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수업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훌륭한 학습 전략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SSI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SI를 이용한 학습활동과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존재한다. 이것은 과학의 본성을 일반화된 맥락에서 명시적으로 접근하고 과학관련 사회쟁점과 관련된 맥락에서 반성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SSI를 통한 학습 환경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기 위해서는 맥락화된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충분히 제공한 후, 맥락화된 상황에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일반화된 상황으로 전이될 수있는지 탐색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SI 학습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해 충분히 반성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71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SI 프로그램 적용 전과후에 VNOS-C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하여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맥락화된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화된 상황에서도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나타냈다. SSI 자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향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적으로 반성할 수 있는 기회와 학습 자료를 제공한 것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전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Citizens should be sensitive to the complex and controversial SSIs (Socioscientific Issues), be able to make a responsible decision with evidence and empathy, and furthermore take political action for the larger welfare. 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a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takes an important role when students and adults participate in the discourse on SSIs because SSI reasoning requires individuals to examine information and counter-information with skepticism. We therefore designed SSI programs that were incorporated with NOS by adapting a contextualized-reflective approach. The leading research question was to what extent SSI contexts contributed to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NOS. A total of 71 11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 school was located in an urban city near the capital city of Seoul, South Korea. We designed SSI programs to cover the issues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climate change, and nuclear energy. Each issue required four to six class periods to complete. We conducted pre- and post-program tests using the revised VNOS-C, recorded group discussions or debates and collected student worksheets to observe the increase of student NOS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this program, students showed moderate improvement in their understanding of NOS.

      • KCI등재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측정 도구 타당화 및 신입생 데이터 리터러시 진단

        정윤숙(Yoonsook Chung),유지원(Ji Won You)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중심에는 데이터가 있다. 데이터로 문제를 발견하고 의미를 해석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데이터 기반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현대 사회의 필수 소양으로 논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타당화하고 신입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향후 관련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수도권 소재 A 대학의 신입생 3,510명으로부터 이루어졌으며, 진단 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 19문항이 선정되었고, 도구는 양호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이후 기술통계로 신입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리터러시가 성별, 계열별 차이가 있는지 t-test, ANOVA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입생의 데이터 리터러시는 높지 않았고, 세부적으로 데이터 분석과 데이터 도구 활용 하위요인에서 특히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성별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계열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공계에 비해 인문⋅사회 및 예체능 계열이 낮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초교양교육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도구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역량 함양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key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related to data. Data literacy, which can uncover various problems from raw data, interpret meanings, lead to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allow for people to make more rational decisions, is discussed as an essential skill in modern socie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need for data literacy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validate a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students, to analyze the data literacy level of freshme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from 3,510 freshmen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validity of the diagnostic tool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19 items were finalized, and the instrument showe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Following this, the level of data literacy of freshmen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se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ta literacy according to gender and colle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ata literacy of freshmen was not high, and the results were particularly low in data analysis and the utilization of the data analysis to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lleges. Data literacy of students in the arts, physical education, the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was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in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cessity of data literacy education was discussed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develop data analysis capabilities using certain tools.

      • SCOPUSKCI등재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기관염이 확인되면서 진단된 혈관륜 1례

        김수현,정윤숙,오성희,김남수,김혁,Kim, Su Hyun,Chung, Yoon Sook,Oh, Sung Hee,Kim, Nam Su,Kim, Hyuc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2

        저자들은 출생 후 호흡기 증상이 지속되어 오던 여아가 respiratory syncytial virus와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하기도 감염에 이환되면서 생후 4개월에 혈관륜으로 진단된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출생 후 협착음과 천명음 등의 잦은 호흡기 증상을 보였고, 3개월에 호흡 곤란을 주소로 입원하였으며 respiratory syncytial virus에 의한 세기관지염으로 치료받고 호전되었다. 퇴원 후 증상이 다시 악화되어 재입원 하였으며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기관염 및 폐렴이 확인되었고, 치료를 위해 기관내 튜브에 도관 삽입을 시도하였을 때 하부 기도에서 저항감이 감지되어 기도 부위의 해부학적 기형을 의심하게 되었다. 3차원 흉부 단층 촬영에서 이중 대동맥궁으로 인한 혈관륜이 확인되었고, 교정 수술을 시행한 후 좋은 경과를 보이고 있다. Vascular ring, originating from abnormal regression of the aortic arch during fetal life, can cause prolonged and recurrent respiratory symptoms and dysphagia when the diagnosis is delayed. We report a 4 month old girl with vascular ring, who had been treated for persistent respiratory symptoms including stridor, wheezing, and dyspnea soon after birth. Initially her respiratory symptoms were thought to be due to bronchiolitis, for whic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was confirmed by immunofluorescent staining. Her clinical course was again complicated with tracheitis and pneumonia due to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The possibility of anatomical anomaly was investigated when it was felt to be difficult to insert a suction catheter deep down through a endotracheal tube which was placed for adequate ventilatory management. A three-dimensional chest CT revealed a vascular ring consisting of a double aortic arch. For 5 months following surgery, her respiratory symptoms have slowly been improving. She developed another episode of pneumonia which was milder than the one which occurred before the surgery.

      • SCOPUSKCI등재

        Henoch-Sch$\"{o}$nlein 자반증 환아에서 동반된 공장-공장형 장중첩증 1례

        박현경,정윤숙,김기중,김용주,이항,임현철,Park, Hyun-Kyung,Chung, Yoon-Sook,Kim, Ki-Joong,Kim, Yong-Joo,Lee, Hahng,Rhim, Hyun-Chul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2

        저자들은 복부 통증 및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HSP를 진단받은 5세의 남아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공장-공장형 장중첩증을 진단하였으며 그 후 자연감압으로 증세가 호전되었고,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검사로 자연정복되었음을 확인한 환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occurs in two thirds of children with Henoch-Sch$\"{o}$nlein purpura (HSP) and intussusception is by far the most common abdominal complication. Intussusception in HSP almost originates in the small bowel, which is in contrast with idiopathic intussusception. Earlier diagnosis and prompt treatment of intra-abdominal complications can reduce the mortality and ultrasound is the imaging modality of choice in evaluation the bowel manifestations of HSP. We report a case of jejuno-jejunal intussusception associated with HSP in a 5-year-old boy who presented with diffuse abdominal pain and vomiting after a few days of HSP onset. Abdominal ultrasound demonstrated intussusception in the jejunum with well defined target appearance because of the thickened intussusceptum, which disappeared on the computerized tomographic examination checked approximately 24 hours later.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was made.

      • KCI등재

        한국 성인의 미충족 치과 치료와 DMFT index와의 관련성

        정선영 ( Sun-Young Chung ),조자원 ( Ja-Won Cho ),정윤숙 ( Yun-Sook Jung ),김혜영 ( Hye-Young Kim ),김지영 ( Ji-Young Kim ),최연희 ( Youn-Hee Choi ),송근배 ( Keun-Bae Song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7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1 No.4

        Objectives: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re one of the potential contributing factors to poor oral health because oral health problems worsen if left untreated.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prevalence of and the causes for unmet dental needs,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nd oral health status. Methods: Data on 3,883 subjects aged ≥18 years from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were analyzed. Information regarding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as obtained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Eight trained dentists examined decayed, missing, or filled teeth (DMFT).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nd the DMFT scores. Results: The prevalence of perceived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as 34.7% among the adult Korean population. Economic constraints were the main cause (38.6%) for unmet dental needs. The average DMFT scores were higher in the subjects with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than in those without. In individuals with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ithin the past 1 year, the number of decayed teeth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was likely to be greater by 0.58 and that of missing teeth by 0.27 compared to that in their counterparts with no unmet dental needs in the past 1 year. Conclusions: Perceived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oral health status among the adult Korean popul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on an individual’s oral health status by investigating critical variables of the causal pathways among perceived dental needs, dental care utilization, and oral health status.

      • KCI등재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장정은 ( Jyungeun Jang ),정윤숙 ( Yoonsook Chung ),최양희 ( Yanghee Choi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들이 과제집착력을 보이며 활동한 경험을 분석하야 과제집착력을 나타내는 영재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영재들이 자기 소개서에 원인이나 원리를 깊이 있게 탐구 했던 경험을 구체적으로 서술해보게 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으로부터 과제집착력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 특징만을 코드로 추출하고 분석하여 과제 집착력을 나타내는 과학 영재의 특성을 귀납적으로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영재들이 기술한 내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바탕으로 자신감, 도전적 목표설정, 과제해결을 위한 도전적 접근, 통제감, 자의식 상실, 시간 개념의 변형, 고된 작업의 감수, 주도성, 계속성(끈기, 인내)의 9가지 특성들을 분류하였다. 영재교육 경력이 있는 3명의 전문가 합의 과정을 통해 9가지 특성을 다시 도전성, 몰입, 적극서의 세 가지 특성으로 범주화 시킬 수 있었다. 도전성, 몰입, 적극성의 세 가지 특성은 과제집착력의 정의를 잘 표현해주는 것으로 영재들의 과제집착력을 설명해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과제집착력을 나타내는 영재들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과제집착력 판별을 위한 준거 틀 및 도구 개발이 가능하다.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 in showing task commitment. In order to do this we asked science gifted students to specifically describe their experiences while deeply experimenting on a scientific cause or theory. From their responses we inductivel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that show task commitment. Consequent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ar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which are confidence setting a challenging goal challenging approach for solving problems sense of potential control loss of self-consciousness time distortion submission to difficult task initiative and endurance all of which appear repeatedly among the gifted students. With consensus among three experts who have experience in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these nine characteristics can be categorized into 3 characteristics; challenge flow and willingness. The three characteristics such as challenge flow and willingness well represent a definition of task commitment. These characteristics can explain the level of task commitment exhibited by science gifted students.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tool and framework for judging the task commitment of gifted students on the basis of their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