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린교육의 실현을 위한 책무성 체제의 정립에 관한 논의

        최상근(Choi Sang k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5 열린교육연구 Vol.13 No.1

        이 논문에서는 열린교육 실전 교사의 책무성에 관한 문제와 열린교육의 실현을 위한 책무성 체제의 정립에 관하여 논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며보면 다음과 같다. 열린교육과 교육적 책무성은 선택과 책임이라는 이념적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열린교육에서의 교육적 책무성은 고객지향적 책무성, 전문적 책무성, 도덕적 책무성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행정적 책무성은 열린교육의 실천의 범위와 한계를 규정짓는 측면이 있었다. 열린교육의 실현을 위한 교육적 책무성 체제의 정립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주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① 책무성은 경제 논리가 아니라 교육 논리를 따라야 한다. ② 열린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책무의 소재가 단위학교 또는 그 이하로 정립 되어야 한다. ② 열린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책무범위는 학교 현장 중심이어야 한다. ④ 책무의 기준은 열린교육의 이념에서 정하고 있는 10대 강령이 참고되어야 하며, 교원의 전문성을 계발, 지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⑤ 열린교육에서의 책무성 체제는 교윈의 도덕적 실천을 강화하는 체제이여야 한다. ⑥ 열린교육의 실현을 위한 책무성은 학교 운영의 틀과 기준을 전제로 하는 체제이어야 한다.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하고 있는 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열린교육의 실현 위한 책무성 체제의 정립에 관한 논의가 보다 종합적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인 기준과 절차 조치 등과 관련한 조사연구 등이 기대된다. This paper concerned on the accountability systems of teachers who performed Yeolin Education in the classroom and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① to find the conceptual relations between Yeolin Education and teachers' accountability, ② to search the accountability types appropriate for the concepts of Yeolin Education, and ③ to discuss and establish the accountability system for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Yeolin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Yeolin Education and educational accountability had the same base of choice and responsibility within their concepts. Yeolin Education had deeply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concepts of the client-oriented, professional, and moral accountability, which could be performed basically on the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 For the realization of Yeolin Education, the accountability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follows. ① The accoun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and established by educational logics, not by the economic logics ② The location of the accountability should be set to the school and/or the small level of the school ③ The range of the accountability should be centered on the real school site. ④ The criteria of the accountability should refer to the Ten-code of Yeolin Education, develop and support the professionality of the teachers ⑤ The accountability system should reenforce the orientation which the teachers practise morally. ⑥ The accountability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condition of the present rules and criteria in the school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dependent only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discussion. The complex study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accountability system, including the problems of concrete accountability criteria, procedure, and treatment, could be followingly expected by using the diverse study methods.

      • KCI등재

        열린교육의 발전적 방안 탐색

        전용환(Chun Yong 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5 열린교육연구 Vol.13 No.2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열린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당시, 열린교육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나, 교수 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자료, 교육여건 등이 충분히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선학교 교사들은 열린교육을 전개하면서 많은 오류를 범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열린교육은 매스컴을 타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후 10여년이 지난 오늘날, 열린교육은 사라져버렸고, 심지어 일선학교에서는 열린교육이라는 용어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왜? 무엇이 문제인가?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열린교육의 필요성을 찾아내고, 앞으로 열린교육이 보다 발전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는데 있다.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교육은 우리 교육에 매우 필요한 교육방법이다. 그리고 열린교육은 사라지지 않았으며, 열린교육의 기본 철학은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다만, 열린교수-학습방법이 우리 교육현장에 접목되지 못했을 뿐이다. 둘째, 앞으로 열린교육, 열린교수방법, 열린학습방법 등의 개념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앞으로 열린교육을 평생교육체제 그리고 학교경영에서 열린경영 체제까지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Since 1980s, many tea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Yeolin Education and it has been expanded very fast in our classroom and school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that time, many problems were pointed out by teachers, that is, without much preparation in terms of teaching training, teaching environment, educational contents, curriculum, instructional method, etc. So, many teachers didn't know how to teach students with Yeolin Educational Methods. As a result, many teachers were making trial errors many times. But Yeolin Education has been expanded very fast by TV or mass communication. After 10 years over, these days Yeolin Education is faded away in our classroom, in our mind, and even silent on it. Why? What 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cessity of Yeolin Education. If it is necessary to our schooling, What should we do? In this point, I'd like to suggest advanced tasks to carry out Yeolin Education successfull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First, Yeolin Education is very necessary to our classroom and schooling. It is not end in a failure, its basic philosophy is the connection of 6th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It is not merely grafted on the present our classroom and schooling. Second, it is necessary exactly to define the concept of Yeolin Education, and more concretely to define the concept of Yeolin-teaching methods, Yeolin-learning methods. Third, we should try to extend the concept of Yeolin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open school-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열린교육의 재정립을 위한 회고와 전망

        이성은(Lee Sung-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열린교육이 시작되어 뿌리 내린지 20여년이 되었다. 본 연구는 20년간의 열린교육의 변천을 살펴보고, 일린교육의 핵심인 열린교육의 정의를 현대과학이론에 기초하여 새롭게 해석하여 앞으로 열린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일린교육의 변천은 열린교육연구소에 비치되어 있는 문서와 자료 그리고 관련자들의 면담에 터하여 (1)풀뿌리운동에서 (2)국가차원 5. 31교육과 시ㆍ도교육청명가 (3) 혼동기 교실수업개선으로 (4)변혁기 학회활동의 양적ㆍ질적 성장으로 정리하였다. 열린교육의 정의는 열린교육강령 중 열린교육이 지향하는 5가지를 현대과학의 패러다임인 ‘불확정성 원리’, ‘홀론이론’ ‘카오스이론’의 시각에서 재정립 하였다. 열린교육의 나아갈 방향으로는 학문적 재정립과 생태주의 관점에서의 협력체제를 제시하였다. 초창기의 열린교육이 제7차 교육괴정을 이끌어 내었다면, 열린교육이 사반세기를 맞이하면서 열린 교육의 재정립을 통해 지속적인 지도력을 발휘할 때만이 또 다른 한국교육개혁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It has been 20 years since Yeolin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roo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transformation of Yeolin Education throughout the past 20 years, and will attempt to newly define what Yeolin Education via contemporary scientific paradigms in order to provide novel directions that Yeolin Education may advance toward. For the this study The documents and material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Yeolin Education are situated at The Korean Institute of Yeolin Education and I have relied on these in addition to interviews with those who are related to trace the history of Yeolin Education.<BR>  I have classified the results of this inqui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1) The grass root movement (2) The perspective of the 5ㆍ31 education reform and city and province evaluations (3) The chaotic period: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s (4) The innovation perio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nhancement of academic activities. I have redefined the 5 objectives that Yeolin Education aspires toward via three contemporary scientific notions: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holon theory" and "chaos theory". In addition to this I have presented new collaborative systems that Yeolin Education can advance toward by means of ecological paradigm and reestablishment of academic theories.<BR>  In conclusion, early Yeolin Education has successfully brought abou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is only with continuous endeavor to reestablish Yeolin education with the leadership that is needed for this can Yeolin education continue to contribute as a leading renovator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 초등학교 열린 교육 개혁의 정당성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임현식,신은희 한국열린교육학회 2003 열린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에서 실시된 열린 교육의 문제를 현장교사들과의 면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문제의 원인을 교육원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전반부에서는 열린 교육에 대한 현장교사들의 인식을 교육개혁의 전개 과정과 관련하여 다섯 항목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체계화하였다. 첫째, 열린 교육 도입 단계에서 교사들은 열린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표명하였다. 둘째, 관주도적인 열린 교육의 실행은 교사의 일장에서 낯선 교육방식의 강요로 인식되었다. 셋째, 급격한 변화 속에서 교사들은 역할의 혼란을 겪었다. 넷째, 교사들은 열린 교육을 실시하였으나 열린 교육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워 하였다. 다섯째, 결국엔 열린 교육에 대해 득보다 실이 많은 교육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만연하게 되었다. 교육철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열린 교육이 한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뿌리내리지 못한 원인은 열린 교육의 의미에 대한 교육철학적 이해의 부족이라고 파악된다. 열린 교육이 정책화되는 과정에서 교육적 의미가 퇴색하여 이데올로기화 되었고, 열린 교육 활동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교사들은 교육으로부터 소외당하는 문제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열린 교육의 이념을 교육철학적 사고로 이해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간과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겠다. 이 연구의 후반부는 열린 교육에 대해 제기되는 교육철학적 논의를 통해 열린 교육의 정착을 위해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교육철학적 사고의 특성화 가치를 밝혔다.

      • KCI등재

        제5공화국 시기 한국사립유치원의 변천과정

        심은희(Shim, Eu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논문은 유아교육진흥정책 시행 이후인 제5공화국(1980년-1988년)시기의 한국사립 유치원의 변천과정을 교육규모, 제도적, 행?재정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결과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논의함으로써 이 시기 한국사립유치원의 공헌점과 제한점을 재조명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면담연구와 문헌연구로 이루어졌으며, 면담연구의 대상은 1980년 이후 사립유치원의 역사에 대해 증언해 줄 전문가 및 관계자로서 교육부 관계자, 장학사, 유아교육이나 유치원 관련 정부정책 및 유관단체와 직?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유아교육 전문가, 사립유치원에 재직했던 교원 및 기타 사립유치원과 관계가 있는 이들로 구성하였다. 문헌연구는 사립유치원과 관련된 학위논문, 소논문, 사립유치원 관련 국회회의록, 한국교육신문, 한국교육연감, 교육 관련 통계자료와 교육부 미출간 내부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자료, 한국어린이육영회 자료, 서울교육연수원 자료, 사립유치원연합회 자료, 각종 간행물 및 보고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제5공화국(1980년-1988년)시기는 한국사립유치원이 다수의 유아를 위한 보편적 교육기관, 제도적, 행?재정적 지원의 대상이 되는 한국사립유치원 역사상 전환점의 시기였다는 중요한 의미와 공헌점이 있으나, 사립유치원 정책이 전문가와 교육부 관계자에 의해 일관성 있게 계획되지 않고, 정권 최고 책임자의 정치적 이념에 따라 결정되는 제한점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private kindergartens in Korea during the 5th Republic Government (from 1980 to 1988). The subjects selected were persons familiar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ivate kindergartens since 1980 in their activity fields.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various publications and reports.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 in the seven years from 1980 to 1987, the explosive, quantitative growth of private kindergarten education became a very important turning point that changed from special education for small numbers of young children to a comprehensive one for many young children, the policies on private kindergartens during the 5th Republic Government was decided according to the power and authority. Therefore stable and long lasting, essentially-based education policies for private kindergartens must be implemented.

      •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 워싱턴 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실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재외 한국학교의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 교사교육 및 지원방안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재미 한국학교 워싱턴지역 협의회에 소속된 한국학교의 유아반 교사 89명이다. 자료 수집 및 절차는 유아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0년 8월 15일 워싱턴지역 협의회 가을학기 교사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사 89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어려움은 유아측면에서는 주의집중 42명(47.2%), 동기유발과 흥미유지 15명(16.9%), 유아의 한국어 능력 차이 8명(9.0%), 교사측면에서는 수업자료 및 교재교구 제작 11명(12.4%), 의사소통 5명(5.6%), 교사의 영어능력 3명(3.4%), 부모 측면에서는 부모협조 2명(2.2%)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워싱턴 지역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요구는 크게 교사교육과 교사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23명(26.0%), 유아교육과 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 20명(22.5%), 교수학습방법 8명(9.0%), 정체성 및 인성교육 5명(5.6%)이 교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는 교수학습 및 수업자료 14명(15.7%),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10명(11.2%), 부모 협조 2명(2.2%)이 교사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 유아반 교사들이 느끼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요구 내용을 반영한 바람직한 교사 교육과 지원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Bridging Home and School : U. S. Teachers" Perspectives of Korean Parents and ESL Education

        Keun Huh(허근)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한국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미국 초등학교 교사가 가진 한국 부모에 대한 인식 및 ESL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5명의 미국 공립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두 세 차례에 걸친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인터뷰내용은 녹음되어 그대로 전사된 후 목록화 되었다. 자료의 계속적인 분석 작업을 통해 도출된 주제들은: (1) 미국교사들의 한국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2) 그들 자신이 인식하는 교사로서의 역할; (3) 한국부모와의 관계; (4) ESL교육에 관한 인식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 미국의 초등교사들은 한국 ESL학생의 부모에 대해 긍정적이며 호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국 부모들이 그들의 자녀와 교사ㆍ학교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알고 싶어 하였다. ESL학생을 가르치는 담임교사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하여는 한국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내용을 제공함과 동시에 한국 문화를 수용하는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있어서는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한국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 교사들은 의사소통 및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ESL교육과 관련한 교사교육 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초등학생 자녀를 미국에서 교육시키고 있는 한국 부모들에게 미국교사들과의 보다 발전된 관계형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 가정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한국의 초등교사들에게 외국인 부모와 그 자녀들이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United States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parents of Korean students. Five first grade teachers who worked at three public elementary schools were Interviewed by open-ended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Interview data were tape-recorded and later transcribed verbatim Throughout the data analysis process four major themes emerged In terms of the teachers" perspectives of. (1) Korean parents, (2) their roles as a teacher of Korean ESL students, (3)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Korean parents, and (4) ESL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had positive and favorable perceptions on their Korean parents and wanted to know and meet the parents" expectation on them. Second, the teachers perceived their role as a provider of scaffolded lessons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s for Korean students. Next, they were aware of the gaps In communication and culture with the Korean parents Finally, they perceived the need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ESL students and families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nd suggestions for Korean parents who educate their children In the U S In addition, Implications are made for Korean teachers who have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난민 교육 내용 분석

        박선운(Sunun Park),안소현(Sohyun An),박윤경(Yun-Kyoung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난민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사회』와 『통합사회』 교과서, 미국의 50개 주 사회과 교육과정 및 주요 출판사의 교과서에 대해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 교육과정 모두에서 난민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었다. 소수 언급되고 있는 난민 교육 내용은 두 국가에서 모두 국제 사회 문제, 인구 이동과 관련된 단원에서 나타나고 있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국제 사회 및 세계적 인구 이동과 관련된 내용으로, 미국에서는 미국 안보 및 미국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으로도 다루어지고 있었다. 난민은 주로 국제 사회의 지원을 요구하는 집단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최근 난민의 삶을 보여주는 자료를 활용하도록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명시하고, 미국 특정 주에서 난민의 사회 기여에 대해 서술하고 있었으나, 난민의 인권과 삶을 다루는 내용은 두 국가 모두에서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에서의 난민 교육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난민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며, 난민과 함께하는 통합적인 교육으로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presentation of refugee-related content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The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ocial Studies”,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South Korea. It also examined the social studies curricula of 50 states in the U.S.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major U.S. publis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fugees are scarcely mentioned in both the Korean and the U.S. social studies curricula. Second, in South Korean curricula, refugees were predominantly addressed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problems and global population movements. In contrast, U.S. curricula covered refugees concerning U.S. security, U.S. history, and global and domestic population movements. Third, refugees were commonly depicted as a group requiring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le there were some efforts in South Korea to incorporate learning materials depicting the lives of refugees and in the U.S. to highlight the contributions of refugees to society, there is a limited number of contents addressing the human rights and lives of refugees in both countries' curricul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increased attention to refuge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mphasizing in-depth discussions on the content of refugee education. Furthermore, the study recommends shifting the direction of refugee-rela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oward education 'with' refugees.

      • KCI등재

        학교현장교육에 대한 열린교육의 빛과 그림자

        황인수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1986년부터 2000년 초까지 우리나라 학교현장교육을 주도했던 열린교육이 학교현장교육에 미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6년부터 2013년까지의 열린교육 관련 학술논문, 도서, 언론보도, 기타자료 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열린교육의 긍정적 측면으로 학습권 확대, 교사의 전문적 자질 개선, 학부모의 참여 확대, 학습자 주도 학습의 변환 등이었으며,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개념의 모호성과 준비부족으로 인한 혼란, 평가와 연계한 부작용으로 전시위주의 교육, 학생의 자유확대로 인한 폐단 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교육현장에 열린교육이 끼친 긍정적인 요소들은 더욱 발전시키고, 부정적인 요소들을 줄여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 열린교육의 이념과 철학을 이루기 위해 새로운 방법으로 지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 of open education, which was dominant from 1986 to early 2000, on domestic school-site training. For this purpose, open education analysis and arrangement were made from resources dated 1986 to 2013 from the scholarly journals of Korea Association of Yeolin(Open) Education (KAYE) and Yeolin Education Research (YER), and data published by the press at that time. 20 years of published data from KAYE, interviews with the staff actively involved in the KAYE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previously and currently practicing open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rranged. As a result, the history of Korean open education, the concept of open education based on its main principle and the content of activity brought about serious change to the school site, such as discovering the merit of educational reformation from the ground up. Professors, principals, school inspectors and teachers who agreed with open education gathered and organized the KAYE research in 1991. They made efforts to develop student-centered school-site training, engaging themselve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open classes. Accordingly, open education expanded nationwide covering public, privat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ositive effect of open education on domestic school-site training and discussed a plan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school education reformation policy.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어머니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시 현황

        박순호(Park Soon Ho),변윤희(Buyn Youn Hee),정혜영(Jung Hye Young),서현아(Seo Hyun A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한중 어머니들의 경제 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 및 실태, 요구에 관한 문화적인 비교를 목적으로 하였다. 대한민국의 5개 도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와 중국의 3개 도시(심천, 광저우, 주하이) 소재 유치원에 재학 중인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1600명(한국 1000명, 중국 6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부터 2007년 1월 사이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501부(한국 912부, 중국 589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어머니 모두 유아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어머니가 중국의 어머니보다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았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어머니들 모두 유아경제교육의 목표를 ‘경제와 관련된 기본적인 생활습관의 형성’을 공통된 목표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의 어머니들은 한국의 어머니들보다 가정에서 유아경제교육을 더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경제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 한국의 어머니는 ‘대중매체를 통해서’ 주로 정보를 얻지만, 중국의 어머니는 ‘유치원의 부모교육이나 유인물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양국 어머니의 경제교육에 관한 인식과 요구는 양국의 경제 문화를 이해하고, 21세기의 아시아 공동체 사회를 주도해 나갈 경제인 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o beyond simply comparing economics incomes between Korea ans and Chinese, but to compare the general awareness, practices, and requirements of economics education of mothers seen as the primary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The data used consisted of 1501 surveys distributed(912 in Korea, 589 in China) to mothers of 3, 4, and 5-year old preschoolers in 5 Korean cities(Seoul, Busan, Daegu, Daejun, and Kwangju) and 3 Chinese cities(Shimchun, Kwangjugwoo, and Juhai) between December of 2006 and January of 2007.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ollowings. First, both Korean and Chinese mothers believed early childhood economics education was necessary and Korean mothers were very interested in the subject of economy. Second, Korean and Chinese mothers shared the opinion that the goal of early childhood economics education should have as its goal as basic life skills in economics. Third, it was found that Chinese mothers were practicing early childhood economics education at home more often than Korean mother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while Korean mothers learned of early childhood economics education materials and practices through mass media, Chinese mothers learned of them through parent education programs through preschools or through literature. The conclusions found through this study regarding the mothers' awareness and requirements of economics education in both countrie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economic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and as fundamental data in fostering the future economic leaders of the Asian community in the 21st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