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성형 AI 시대,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의 향방

        성태제(Tae-Je Seong),시기자(Kija Si),최윤정(Youn-Jeng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4 교육평가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생성형 AI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과 기술의 접점에서 교육평가 패러다임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미래 교육평가의 향방을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생성형 AI 시대에 대응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동향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성형 AI가 보편화 됨에 따라 교사의 역할은 지식 전달자보다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안내자,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AI와의 협업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교사의 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의 적성과 흥미, 진로⋅직업과 관련된 개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모든 구성원이 교육과정 설계의 주체가 되는 다중심성 교육과정 생성ㆍ공유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AI 디지털 교과서 및 AI 디지털 교과 서와 연계한 AI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 구축 등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에듀테크 기반 교수⋅ 학습 방법의 교육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육 현장과의 소통 및 지속적 연구와 지원 이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학습분석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개인 맞춤형 평 가의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개별 학생의 전인적 성장 지원을 위한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 등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실제적 맥락에 기반한 수행평가와 게임이 재조명되고 있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AI 기반 평가 체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교육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와 교수학습 및 학생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살펴 봄으로써, 교육 현장에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in response to the era of generative AI for educat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s generative AI becomes more prevalent, the role of teachers is poised to shift from being mere knowledge transmitters to becoming guides and counselors, actively fostering the holistic development of student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s anticipated to witness a substantial rise. Second, as the demand for personalized education-based on individual aptitude, interests, career paths, and vocational relevance grow,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and shared system for creating and sharing a multi-perspective curriculum that involve all stakeholders in the school curriculum. Third, the digit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such as AI digital textbooks and AI-integrated personalized teaching platforms, is accelerating. Therefore, ongoing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continuous research, and support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technolog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urth,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here has been a renewed focus on ability-referenced assessments, growth-referenced assessments, and performance assessments and games based on real-world contexts. This requires research into AI-based assessment system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and its influence on instructional methods and student evaluations in the era of generative AI,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into 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공학과 경영학을 사례로 하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을 분석하고 그 발전 과제를 논의한 연구다. 연구문제는 평가인증제의 도입 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결과 및 효과, 발전 과제로 범주화하였다. 우선 도입 배경을 ‘교육에의 관심 촉구’, ‘professional school에 걸맞는 견고한 커리큘럼으로의 재편’, ‘self-regulation을 통한 교육의 질 관리와 구조조정’, ‘교육에 관한 systematic approach’로 나눠보았다.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과정은 공통적으로 ‘해외 인증기준의 벤치마킹과 한국형 인증기준의 수립’으로 요약되었다. 인증제의 결과 및 효과로는 ‘교육장면에서의 긴장감 요구’와 ‘지속적 수업 개선 유도’, ‘교수들 간의 의사소통 활성화 및 공동체 의식 증대’, ‘교육공동체로서의 협동 체제 구축’, ‘전문가로 단련시키고 훈련한다는 면에서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음’을 들었다. 또한 특히 경영학에서는 교수 충원 유도를 통한 교육여건의 개선을 가져왔다. 향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발전 과제로는 먼저 대학 차원에서 ‘인증받은 대학교육 시스템이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작동하고 움직여 나갈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는 것’, ‘교육에 관한 관심과 평가 필요’, 다음으로 인증원 차원에서 ‘각각 평가자와 피평가자인 인증원 운영주체와 해당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이분화 방지’, ‘인증기준 작성시 stage를 고려하고, 각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의견수렴 절차를 적절하게 밟는 것’, 마지막으로 대학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지속적 networking과 공생’으로 분류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troduction and steering of Education Accreditation, concentrated on the cas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discuss a few tasks for its improvement. The subjects of our research are categorized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ccreditation,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results and effects, and tasks for improvement.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re classified as ‘stimulating the interest in education’, ‘reorganization into a solid curriculum well-matched with professional school’,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self-regulation’,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 The procedure of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can be summarized commonly as the bench-marking of the foreign accreditation criteria. The results and effects are listed as ‘formation of the tens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requirement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lectures’, ‘active communication of professors and community spirit’, ‘cooperation system as educational community’, ‘training of the students as specialists’. In particula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enable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by inducing supplement of professors. As for the task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following list is suggested. For the universities, ‘activation of the already accredite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interes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for the Association of Accreditation, ‘prevention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accredit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tages in frami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by collecting opin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ach discipline’, finally for the society level, ‘continuous networking and coexistence of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e university’.

      • KCI등재

        「교육평가」 수업 사례 분석

        권순달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mprove instruction of the subject 「educational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educational evaluation」 classes for 3 semesters at E University and analyzed the results of students' achievement and lecture evaluations. During the three semesters, the textbook, lecture plan, achievement test, and lecture evaluation items were the same. He got the feedback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emester lecture, and lectured more easily in the second semester lecture with many exam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ents' achievement improved as the semester progressed.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grade B) in the first semester showed a low score in the lecture but in the second semester it was very hi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students with high credit scores (grade A) and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of low students(grade B).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or need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lectur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and to make the clas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교직이론 과목인「교육평가」수업을 사례 분석하여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E사범대학 및 교직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3학기 동안 직접「교육평가」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성취도 및 강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3학기 동안 교재, 강의계획서, 성취도 검사지, 강의 평가 문항이 동일하였다. 1학기 강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학기 강의에서 예를 많이 들어 보다 쉽게 강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기가 거듭될수록 학생들의 성취도가 향상되었다. 1학기에서 성취도가 낮은(B학점) 학생들의 강의 평가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나, 2학기에서는 매우 높아졌다. 강의 평가 점수 1, 2학기별 비교에서 성취도가 높은(A학점) 학생들의 점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낮은(B학점) 학생들의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업자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따른 강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육평가연구」의 최근 연구경향 분석

        양길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the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over a recent 10 year period by utiliz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1,295 key words of 450 papers from Journal of Educational published in 2009~2018 were analyzed by NetMiner 4.0. through keyword refinement proce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e keywords for the research topic were N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al Achievement, IRT, educational achievement, equating, PISA, DIF, and Rasch model. Second, expanding and deepening IRT, activating research in conjunction with educational practice, and incorporating the latest measurement theories and methodologies are key features of this period. In order to systematize the academic structure of the field of educational evaluatio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cademic exploration, research trend analysis will have to be more specialized and activated.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최근 교육평가 분야의 연구 경향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평가학회에서 발간하는 「교육평가연구」에 2009년(22권 1호)부터 2018년(31권 4호)까지 게재된 총 450편 논문의 키워드 2,043개를 수집하였다. 정제과정을 거쳐 1,295개의 키워드로 정비한 후 NetMiner4.0프로그램을 이용, 키워드의 논문 출현 빈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네트워크 시각화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반응이론’, ‘학업성취도’, ‘동등화’, ‘PISA’, ‘차별기능문항’, ‘Rasch 모형’ 등이 교육평가 연구의 중심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문항반응이론의 확장 및 심화, 교육평가 실제(데이터 기반 정책추진,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개선 및 정보 공개, 학생평가의 혁신 등)와 연계된 연구의 활성화라는 시기적 특징도 살펴볼 수 있었다. 끝으로, 교육평가 분야의 학술적 구조를 체계화하고 후속 학문 탐구의 방향을 조망하기 위해 연구 경향성 분석이 전문화,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육 프로그램 메타평가 기준 개발

        김성훈(Sung-Hoon Kim),김신영(Shinyoung Kim),서민원(Minwon Seo),양길석(Gilseok Y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질을 제고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한 메타평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평가는 평가대상을 조형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교육 프로그램 평가가 타당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을 교육답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실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대학평가와 외국의 메타평가기준을 검토하고,교육의 본위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교육평가활동의 특성을 살펴보았다.이 연구에서 제안한 메타평가 기준은 목적부합성,실천적합성,정보정확성,보고충실성,교육본위성 등 5개 평가 준거와 각 준거별 3-4개의 하위준거로 구성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ta-evalu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with an aim to enhance the quality of a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which in sequel may secure quality of education. Given that evalu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nd shape the process of educational program, we intended to develop meta-evaluation standards to enhance the validity of program evaluation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long run. For the study, we examined various types of domestic and overseas higher education evaluation standards and reports to draw the standard swhich suited our context, and reviewed the literatures on the fundamental values of education to postulate the meta-evaluation standards which may make such values be taken into account at a program evaluation. The meta-evaluation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 of 5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goal-correspondence’, ‘practicality’, ‘accuracy’, ‘report-fidelity’ and ‘education-orientedness’,and each of which has 3-4 subordinate criteria.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 2주기 평가 모형 분석과 과제

        권순달(Soon-Dal, K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2

        교원양성기관들은 2010년 시행 예정인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교원양성기관 중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대학원이 2주기 평가 결과와 함께 향후 도입될 3주기 평가에 관심이 높다. 그 이유는 특히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를 통해 교원양성 기능을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2주기 평가를 분석하고, 향후 시행될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주기 교육대학원 평가를 일반적인 평가 설계에 따라 평가 방향, 평가 영역(준거), 평가 방법 및 절차, 평가 결과 및 활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틀을 가지고 30문항으로 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전국 134개 교육대학원에 배부하였으며, 이 중 52개 교육대학원에서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대학원의 평가 방향 즉 평가 목적은 교육대학원 질 향상과 책무성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원칙에서 피 평가기관의 업무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내용에서는 교육여건보다 교육과정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평가 영역과 항목에서 대해서는 정량적 평가 지표보다 정성적 평가 지표의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평가 기준을 지나치게 높게 설정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영역에서 시설보다 교육의 내용과 과정 중심으로 평가 지표를 개발할 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 방법 및 절차에서 평가 주기는 4년 또는 5년을 선호하고 있으며, 평가단은 상시 전문 인력의 구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 및 활용에서도 새로 도입하려는 ‘인정’보다 현재의 4단계를 선호하고 있으며, ‘인정’을 받을 경우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model for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 have experienced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wo times for 10 years. Through reviewing the second cycle of the evaluation o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analyzed critics and the issues. By making an analysis, 30-item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elivered to the 134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n was collected 90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goals and principles of the evaluation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s and accountability. Seco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as evidences in program evaluation. Third, methods and procedures of evaluation are made a revision according as characteristic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urth, outputs of evaluation are opened. And if evaluation standards are satisfied, feedback must be provided powerfully. It is appeared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ant to make profound study for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on and indicators in order to improv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

        시.도교육청 주관 학교평가 실태 분석

        김주후(Juhu Kim),정택희(Taek-hee Cheong),김주아(Juah Kim),김승훈(Seungho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학교평가에 대한 실태분석을 하고 학교평가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6개 시ㆍ도교육청에서 발간된 학교평가보고서를 분석하고 연구자들이 학교평가 담당자들을 면담하였다. 분석 결과 시ㆍ도교육청수준의 학교평가는 평가설계의 체계성 및 일관성, 평가방법의 과학성, 평가실시의 전문성, 평가결과의 활용성 측면에서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평가 실시상의 현실적인 제약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행 초기와 비교해 볼 때 긍정적인 방향의 변화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개별 시도교육청의 고유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가 반영된 평가모형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향한 진행형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시도교육청 수준의 학교평가의 발전을 위한 제언도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evaluation system at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nual school evaluation reports from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e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school evaluation system is not satisfactory in consistency of evaluation design, scientific approach of evaluation methods, quality of evaluation implementation, and utility of evaluation results. However, despite many barriers and limitations in implementation of school evaluation, the quality of school evaluation system has been improved compared to the early years of school evaluation. In particular, many school evaluation models considering uniquenes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developing, and showing continuous progress.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school evalua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형성평가와 교사교육

        박정(Chung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4

        본 논문은 학습을 위한 형성평가가 전통적 평가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 때, 형성평가를 실행해야 하는 교사의 평가 전문성 함양을 위해 필요한 교사교육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형성평가가 재등장한 배경과 개념의 특징을 고찰하고 둘째 형성평가를 수업에서 실행하기 위한 원리와 절차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형성평가를 실천하기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우리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recent years formative assessment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paradigm for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assessment.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teacher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student assessment literacy to practice formative assessment into practice. To do thi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story and the concept of formative assessmen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earches of the guiding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practicing FA.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teacher education for practice of formative assessment in class.

      • KCI등재

        공학교육프로그램 인증기준 비교 연구

        곽진숙(Jin-Sook Kwak),강소연(So-Yean Kang),최금진(Keum-Jin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에서 전제되고 있는 교육의 개념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초기 Washington Accord 가입국을 중심으로 공학교육프로그램 인증기준을 비교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증기준을 재구조화한 연구다 여기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교육의 개념은 ‘교육=학교태’, 기능주의적 교육관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공학교육프로그램의 평가기준을 분석하기 위해 평가영역을 교육의 결과, 교육의 환경, 교육의 과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평가기준을 교육의 내적인 구성요소와 교육의 환경이나 결과 등 교육의 외적인 관련 요소로 나누는 것은, 교육의 질을 높이고 개선해나가고자 하는 공학교육 인증제의 본래적 취지에 부합할 것이다 이는 공학교육인증제가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교육평가로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공학교육이나 교육평가 분야의 이론적인 안목을 확대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concept and its problems of the education which has been presupposed in the education evaluation program, compare the criteria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maintained by the members of the Washington Accord. Based on this study, we also reconstructed the accreditation criteria. Typically they assume the equality: 'education=schooling', or they have a functionalism. Next we divided the range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into the result, the surroundings and the procedure of education, in order to analys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We argue that this division into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onstituents better suits the original aim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to enhance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lso it will work positively to make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olve to the education accreditation. Finally, it is expected to enlarge the theoretical viewpoints on the area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education evaluation research.

      • KCI등재

        대학평가인증제 평가기준의 타당성 검토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그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한 연구다. 타당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지만, 특별히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기준 중 교육본위성 준거에 따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교육주체의 교육지향성, 교육방법의 적절성, 교육환경의 충실성, 교육성과의 본질성이 그 하위준거다. 인증실무경험자인 각 5개 공과대학, 경영대학 소속교수 10인, 5인과의 인터뷰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두 인증제는 교육주체가 현재의 교육에 만족하지 않고 개선하도록 권장하지만 시스템 구축에 더 초점이 있어 만족도를 확인하거나 향상시키게 하는 면은 자극을 제공하는 정도다. 교육방법의 적절성은 교수-학생의 역동적 상호작용, 학습과정에 관한 충실한 모니터링의 면에서 긍정적이지만, 학생수준에 맞는 교육방법과 매체 활용, 개인별 속도, 스타일에 따른 학습경험 제공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단계적, 순차적 학습경험의 배열은 공학 분야에서는 이수체계의 강조로 높은 관심을 보이나, 경영학에서는 주된 관심사가 아니다. 교육환경의 충실성은 확인하기는 하나 향후 현황보다 개선방향에 관한 관심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교육성과의 본질성은 학생 자신의 교육성과를 평가하거나 교수의 교육전문성 신장을 확인하게 하지만, 교육활동에 관한 긍정적 태도 확인은 취약해 교육평가 분야에서 이 기준에 관련한 구체적인 평가방법 등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two programs: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mong the various meta-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programs, we chose here the education-centered criteria. This includes the education-directivity,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as its sub-criteria. The basic research materials consist of the interview data for 10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engineering and 5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business who have experience in the working group for the accreditation. It was observed that both of the programs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But more emphasis are laid on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comparatively, the enhanc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 were taken care of on the level of providing certain stimulation. On the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they have positive aspects on the interaction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 monitoring on the education procedure, while also they have negative aspects on the education method proper to the students' level, usage of medium, progress for each individual, provid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th appropriate style. On the arrangement of the phased educational experience: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has much interest in the completion of the courses, while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doesn'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larly area. On the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y are checking the present situation, but it is required to advance into the improvement. On the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They are running the self-evaluating programs for students and they are checking the education-expertise of the professors. But we found certain weak points on the check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later studies on the education accreditation, it is required to provide concrete accreditation methods for the standards on this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