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 집단에 따른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의 잠재평균 비교

        유지원(You, Ji Won),송윤희(Song, Yunh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최근 대학은 대학생의 진로 역량과 취업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현장실습교육은 학생의 전공 관련 현장체험을 통해 학습한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며 실무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학생이 인지하는 실무역량과 진로동기의 3 구성요소인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3,126명을 대상으로 현장실습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지를 묻고, 응답자의 지각하는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을 측정하였다. 현장실습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현장실습교육 유(有)경험 집단(n=1,483)과 무(無)경험 집단(n=1,433)으로 구분한 후, 두 집단의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 간의 잠재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장실습교육을 경험한 학생 집단의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 잠재평균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현장실습교육이 학생의 실무역량과 진로동기를 촉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실습교육의 효과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colleges and universities endeavor to increase students’ employment rate and career development skills. Therefore, schools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field experience because having real job experience in the major related fields would advance students’ job competencies and expand their career motiva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difference on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career identity and job competencies between students’ having field experience and students’ without field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3,126 college students, and d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tatus of field experience. The latent mea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As a result, a group with field experience (n=1,483)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values than a group without field experience (n=1,433) on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career identity and job competenci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field experience enhanced students’ job competencies and career motivation including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환경과 학습자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유지원(You Ji won),강명희(Kang M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학습참여가 교육성과를 대변할 수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 생의 학습참여를 수업환경 및 학습자 요인으로 설명하는 모델을 상정하고 선정된 변 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수업환경 요인에는 지각 된 교수자의 자율성지지와 수업목표구조를 선정하였고, 학습자 요인에는 자율적 동 기와 학업적 의지통제를 선정하였다. 국내 대학생 28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수업환경 요인이 학 습자 요인을 매개로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 체적으로 학습자가 지각하는 자율성지지는 자율적 동기와 학업적 의지통제를 촉진 하여 학습참여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가 지각하는 수업목표구조 에 따라 자율적 동기에는 미치는 영향력은 상이하였으나, 학업적 의지통제는 모두 강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율적 동기는 학업적 의지통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 쳤으며 자율적 동기와 학업적 의지통제는 학습참여에 직접적인 선행요인으로 밝혀 졌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참여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나아가 대학생의 학습참여 향상을 위한 촉진전략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learning engage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classroom goal structure were chosen as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and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volition control were determined as individual factors.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posits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classroom goal structure influence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volition control which in turn influence learning engagement. The model was tested with 282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to validate the model an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s results,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positively influenced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volition control. However, classroom performance-approach goal structure negatively influenced autonomous motivation and positively influenced academic volition control, and classroom performance-avoid goal structure positively influenced academic volition control. Furthermore, autonomous motivation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academic volition control and learning engagement, and academic volition control also positively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volition control were important predictors to promote learning engagement, and they were mediators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and learning engagement. Some implications to promote learning engagement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정서 척도(e-AES) 개발 및 타당화

        유지원(You, Jiwon),김혜정(Kim, Hyejeong),박성희(Park, Sung 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이러닝 수업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업정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수행되었다. 도구개발을 위하여 학업정서 연구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성취정서질문지(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를 검토하고 이러닝 수업상황에 적합한 문항을 선별하여 번역하였으며, 이러닝환경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정서 측정문항을 추가하여 예비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척도의 문항을 선별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는 1차 연구와 1차 연구에서 최종 선정된 도구의 타당도를 다른 표본에서 재검증하는 2차 연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러닝을 수강하는 대학생 992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3개의 표본으로 분리하여 1차와 2차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35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6요인(즐거움, 자신감, 두려움, 화와 절망감, 지루함, 학습환경불안감)으로 이루어진 26문항이 선정되었다. 이어서 앞선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334명의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22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도구는 타당한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 선정된 도구를 e-AES(e-learning Academic Emotions Scale)로 명명한 뒤, 2차 연구에서는 e-AES의 타당도를 재확인하고자 1차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300명의 이러닝 수강생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e-AES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emotions in academic settings; however, the role of emotions in e-learning has been hard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cademic emotions scale which measured the students’ academic emotions during e-learning. For this study, the survey items relevant to e-learning were chosen from AEQ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nd then a few items newly constructed were added to the survey items. Students enrolled in two e-learning courses in a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992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as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Firstly, bo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wo groups to find the dimension of the construct of the scale and to test its construct validity. As a result, 22-items were determined for the scale, e-AES(e-learning Academic Emotions Scale), and the six dimensions of e-learning academic emotions were included: enjoyment, confidence, anxiety, frustration, boredom, and learning environment anxiety. Secondly, to confirm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hird group. The result indicated that e-AES was reliable and valid.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교수자의 피드백에 따른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 변화 분석

        유지원(You, Ji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해 대학생의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에 나타나는 변화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에서는 교수자의 학습 촉진 역할이 중요하므로 교수자의 피드백 빈도에 따라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팀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 참여한 471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첫째,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한 학습자의 사후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은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제공한 피드백 빈도에 따라 5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5개 집단 간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의 사전-사후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의 사전-사후 변화 양상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거의 없는 집단에서는 사전-사후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많은 집단일수록 실무역량과 기업가정신의 사전-사후 향상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based learning for improving job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in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it is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through providing feedback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job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according to the feedback frequency provided by instructors to students dur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The scores of job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team project-based learning, and 471 studen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 based on the frequency of instructors’ feedback.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e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students’ job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after the team project-based lear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ve groups in changes in job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Among five groups, students with no feedback and students with little feedback from their instru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job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However, students who had frequent feedback from their instructors did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job competency and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지원(You, Ji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성과인 팀 창의성, 프로젝트 학습만족도, 지각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선행요인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과제실제성, 과제가치, 팀 효능감, 팀 태만, 교수자의 피드백을 선행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A대학의 2019년도 2학기 실무 프로젝트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으로부터 수업 첫 주와 종료 시점에서 2회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최종 39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팀 창의성에는 과제실제성, 팀 효능감, 교수자의 피드백이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고 팀 태만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학습만족도 향상에는 과제실제성과 팀 효능감이 정적으로 유의한 반면, 팀 태만은 만족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학습에 대해서는 과제실제성, 과제가치, 팀 효능감이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팀 창의성을 비롯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다양한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선행요인을 밝히고, 교육현장에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촉진하고 지원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mportant predictors of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at universities. Team creativity,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were chosen as learning outcomes, and task authenticity, task value, team efficacy, team loafing, and instructor’ feedback were chosen as predi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397 college students registered in team project-based courses at an A university, and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wic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ourse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ask authenticity, team efficacy, and instructor’ feedbac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creativity, whereas team loafing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 addition, task authenticity and team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arning satisfaction, whereas team loaf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it. Last, task authenticity, task value, and team 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ived learn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suggestions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학생이 인식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수준에 따라 팀 상호작용, 태만,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유지원(Ji Won Y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대학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정도가 팀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팀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보여주는 요인으로 팀 상호작용과 태만을 선정하였고, 학습성과는 팀 차원의 성과와 개인 차원의 성과로 선정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수준에 따라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에 따라 팀 상호작용, 태만, 학습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2020학년도 2학기에 3학년을 대상으로 운영된 프로젝트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총 500명의 수집된 자료를 일원분산분석(Kruskal-Wallis 비모수 통계)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정도에 따라 분류된 세 집단 간에 팀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었으며, 교수자 피드백이 활발히 제공되었다고 인식한 집단에서 팀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피드백이 활발히 이루어졌다고 인식한 집단에서 팀 내 태만이 발생했다고 지각하는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자신이 팀 프로젝트 수행에 태만했다고 보고한 수준 역시 낮았다. 셋째, 교수자의 피드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인식한 집단일수록 팀 차원의 학습성과와 개인 차원의 학습성과를 더욱 높이 인식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프로젝트 학습과정 참여와 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 교수자의 학습촉진 역량 강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instructor feedback on the team learning process and performanc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at universities. Methods Team interaction and loafing were chosen as factors that reflect the team learning process, and team achievement and individual achievement were selected as project learning outcome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upon how much instructor’s feedbacks were perceived in during the project courses. Data were collected at an A university in the 2nd semester of 2020, and 500 cases were used in the study.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was employed to test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structor’s feedback frequency.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m interaction between three groups, and the group with frequent instructor feedback showed the highest team interaction. Second, the group that had frequent instructor feedback reported the least perceived loafing and social loafing. Third, the more perceived instructor feedback had, the higher team and individual learning outcomes were achiev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effect of providing instructor feedback on the project learning experience and performance, and strategies of improving instructors’ competency of learning facilit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유지원(You, Ji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현장에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 간의 직·간접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 변인은 팀 학습 만족도와 팀 성취로 구분하였고, 선 행요인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을 선정하여 가설적 경로모형을 상정하였다. 특히 팀 효능감과 팀 상호작용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4년제 여자대학 교에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한 6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팀 효능감은 팀 학습 만족도(β = .47)와 팀 성취(β = .29)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상호작용은 팀 학습 만족도(β = .22)와 팀 성취(β = .42)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직접적으로 팀 효능감 강화(β = .32)에 유의했으며, 간접적으로 팀 학습 만족도(β = .20)와 팀 성취도(β = .18)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를 제고하는데 팀원들이 지각하는 팀 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프로젝트 결과물 산출에 상호작용이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협력에 의한 학습활동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학습과정 요인과 성과 요인에 유의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필요성과 역할을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m efficacy,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and team performanc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e individual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team achievement of project outcome were determined for team performance. The proposed path model posited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fluenced team efficacy and the level of team interaction, and team efficacy and team interaction influenced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The model was tested with 66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team project-based learning at a four-year traditional university in Korea.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eam efficacy and inter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both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Furthermor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as a significant predictor to team efficacy and indirectly influenced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of enhancing team performan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문제해결역량, 의사소통역량,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유지원(You, Ji Won),류다현(Ryoo, Da-Hyeon),이미나(Lee, Mi-Na)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5 교육과학연구 Vol.46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or students in a college of natural sciences. Gender, grade, and GPA were determined as an individual stude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hours spent studying outside of classes, hours spent working,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faculty, peer, and staff in colleg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determined as college experienc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552 college stud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As a result, working in major-related study groups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volvement in a career-related study group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Furthermore, frequent interaction with peers was significant for promot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requent interaction with faculty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GPA and hours spent study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all three competencies. From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enhancing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