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연부조직종양에서 고선량율 조직내 방사선치료: 기술적 측면에서의 고찰

        전미선,강승희,김병석,오영택,Chun Mison,Kang Seunghee,Kim Byoung-Suck,Oh Young-Tae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1

        목적 : 연부조직종양을 제거한 직후 조직내 방사선치료용 도관을 삽입하여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했던 증례들을 토대로 고선량율 조직내 방사선치료의 시술방법, 치료시기, 선량,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1995년 5월에서 1997년 12월까지 10명의 원발성 혹은 재발성의 연부조직종양 환자가 종양의 제한적 절제술 후에 조직내 방사선치료 및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종양을 제거한 직후 도관을 종양이 있었던 자리에 1~l.5cm 간격으로 삽입하였고 종양 가까이에 신경혈관속 혹은 뼈가 있었던 경우에는 젤폼, 근육, 혹은 tissue expander로 덮어 이들 중요 구조물들과 도관이 적어도 0.5cm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조직내 방사선치료는 이리디움-192가 장착된 고선량율 근접방사선치료기를 사용하여 수술 후 6일째부터 시작하였고 동위원소의 중심축으로부터 1cm 거리에 총 12~15Gy(2~2.SGy/fraction)를 일일 2회씩 3일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한 달 이내에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총 50~55Gy를 조사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가 감염이나 출혈과 같은 근접방사선치료와 직접 관련된 부작용 없이 계획되어진 조직내 방사선치료를 마쳤다. 중앙 추적관찰기간 25개월째(범위 12~41개월)까지 국소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RTOG/EORTC 등급 3 혹은 4의 만성 부작용도 없었다. 결론 : 주위정상조직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하면서 수술 후 단기간 내에 시행할 수 있는 고선량율 조직내 방사선치료는 연부조직종양의 제한적 수술 후의 치료방법으로써 안전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효과 및 부작용 측면에서도 우수한 치료방법이다. Purpose : To discuss the technical aspect of interstitial brachytherapy including method of implant, insertion time of radioactive source, total radiation dose, and complication, we reviewed patients who had diagnoses of soft tissue sarcoma and were treated by conservative surgery, interstitial implant an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y 1995 and Dec. 1997, ten patients with primary or recurrent soft tissue sarcoma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wide margin excision) and received radiotherapy including interstitial brachytherapy. Catheters were placed with regular intervals of 1 ~l.5 cm immediately after tumor removal and covering the critical structures, such as neurovascular bundle or bone, with gelform, muscle, or tissue expander in the cases where the tumors were close to those structures. Brachytherapy consisted of high dose rate, iridium-192 implant which delivered 12~15 Gy to 1 c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source axis with 2~2.5 Gy/fraction, twice a day, starting on 6th day after the surgery, Within one month after the surgery, total dose of 50~55 Gy was delivered to the tumor bed with wide margin by the external beam radiotherapy. Results : All patients completed planned interstitial brachytherapy without acute side effects directly related with catheter implantation such as infection or bleeding. With median follow up duration of 25 months (range 12~41 months), no local recurrences were observed. And there was no severe form of chronic complication (RTOGIEORTC grade 3 or 4). Conclusion : The high dose rate interstitial brachytherapy is easy and safe way to minimize the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adjacent normal tissue and to decrease radiation induced chronic morbidity such as fibrosis by reducing the total dose of external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oft tissue sarcoma with conservative surgery.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에 발생한 직장출혈과 치료

        전미선,강승희,길훈종,오영택,손정혜,정혜영,유희석,이광재,Chun Mison,Kang Seunghee,Kil Hoon-Jong,Oh Young-Taek,Sohn Jeong-Hye,Jung Hye-Young,Ryu Hee Suk,Lee Kwang-Ja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자궁경부암의 경우 종양에 충분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직장도 고선량의 방사선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직장염을 비롯한 만성부작용이 발생하며 직장 출혈 빈도를 $5\~30\%$ 보고하고 있다. 저자는 완치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장 출혈 빈도와 그와 관련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고 치료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과 1999년 12월 사이에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213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90명이 외부 방사선치료의 일부를 하루 2회씩 받았다(변형된 다분할 방사선치료). 자궁주위조직의 외부 방사선량은 총 $51\~59\;Gy$였고 근접방사선치료로 A점에 총 $28\~30\;Gy$ (4 Gy씩 7회 혹은 5 Gy씩 6회)를 조사하였다. 직장에 조사된 선량은 ICRU 38에서 정한 위치와, 모의촬영필름에서 바리움에 의해 구분되는 직장 앞쪽 벽의 한 점을 선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장출혈의 정도는 LENT/SOMA에 따라 분류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12\~86$개월(중앙값 39개월)이었다. 결과 : 27명$(12.7\%)$의 환자에서 직장출혈이 발생하였다(등급 2와 3:각각 16명과 2명, $8.5\%$). 이들 중에서 추적관찰 기간동안 질-직장루 또는 폐쇄로 진행된 경우는 없었다 발생시기는 대부분의 환자에서$(92.6\%)$ 치료 종료 후 2년 이내였다(중앙값 16개월). 단변량분석에서 위험인자로 icruCRBED (직장이 받은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 자궁주위조직의 방사선량, 및 병기였다. icruCRBED가 100 미만인 경우와 100 이상인 경우 $4.2\%$ 대 $19.7\%$, 자궁주위조직에 대한 조사선량 55 Gy 미만과 그 이상인 경우가 $5.1\%$ 대 $22.1\%$, 병기 II 이하인 경우와 III 이상인 경우가 $10.5\%$ 대 $31.8\%$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icruCREED 만이 유의하였다(0=0.0432). 등급 1 출혈은 자연적으로 소실되거나(3명) $1\~2$개월의 sucralfate 관장으로 멈추었다. 등급 2의 환자 6명은 $1\~2$개월 동안 sucralfate 관장으로 출혈의 빈도와 양이 줄어들었고 이 중 4명은 전기응고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다른 9명은 전기응고술을 먼저 시행하였다(4명; sucralfate 관장 병행). 모두 $3\~10$개월 내에 정지되었다. 등급 3의 출혈은 잦은 전기응고술과 수혈을 요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중등도 이상의 직장출혈빈도가 $8.5\%$로 타 문헌에서 보고된 빈도와 유사한 결과였다. 직장에 조사된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이 100 Gy 이상인 경우에 직장출혈이 유의하게 증가하므로, 치료계획시 생물학적 동등선량을 고려함으로써 휴유증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직장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출혈로 인한 불편함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이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Radiotherapy is the main treatment modality for uterine cervix cancer. Since the rectum is in the radiation target volume, rectal bleeding is a common late side effect. This study evaluates the risk factors of radiation induced rectal bleeding and discusses its optimal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of 213 patients who complete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CR)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199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 patient had undergon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Ninety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ccording to a modified hyperfractionated schedule. A midline block was placed at a pelvic dose of between 30.6 Gy to 39.6 Gy.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was 51 to 59 Gy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ir disease. The Point A dose from the HDR brachytherapy was 28 Gy to 30 Gy $(4\;Gy\times7,\;or\;5\;Gy\times6)$. The rectal point dose was calculated either by the ICRU 38 guideline, or by anterior rectal wall point seen on radiographs, with barium contrast. Rectal bleeding was scored by the LENT/SOMA criteria. For the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e opted for observation, sucralfate enema or coagul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9 months $(12\~86\;months)$. Results : The incidence of rectal bleeding was $12.7\%$ (27/213); graded as 1 in 9 patients, grade 2 in 16 and grade 3 in 2. The overall moderate and severe rectal complication rate was $8.5\%$. Most complications $(92.6\%)$ developed within 2 years following completion of radiotherapy (median 16 months). No patient progressed to rectal fistula or obstru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ree factors correlated with a high incidence of bleeding an icruCRBED greater than 100 Gy $(19.7\%\;vs.\;4.2\%)$, an EBRT dose to the parametrium over 55 Gy $(22.1\%\;vs.\;5.1\%)$ and higher stages of III and IV $(31.8\%\;vs.\;1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cruCRBED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p>0.0432).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had borderline significance (p=0.0546). Grade 1 bleeding was controlled without further management (3 patients), or with sucralfate enema 1 to 2 months after treatment. For grade 2 bleeding, sucralfate enema for 1 to 2 months reduced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but for residual bleeding, additional coagulation was peformed, where immediate cessation of bleeding was achieved (symptom duration of 3 to 10 months). Grade 3 bleeding lasted for 1 year even with multiple transfusions and coagulations. Conclusion : Moderate and several rectal bleeding occurred in $8.5\%$ of patients, which is comparable with other report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tal bleeding was the accumulated dose to the rectum (icruCRBED), which corrected with consideration to biological equivalence. Prompt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ith a combination of sucralfate enema and coagulation, reduced the duration of the symptom, and minimized the anxiety/discomfort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관련 및 심리사회적 요인

        전미선(Mi Son Chun),이은현(Eun-Hyun Lee),문성미(Seong Mi Moon),강승희(Seung Hee Kang),유희석(Hee-Sug Ryu)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4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관련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경기도 A 대학병원에서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거나 추후관리 중인 환자 147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심리사회적 변수(기분장애, 삶의 성향, 사회적 지지)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그리고 치료관련 변수로 암의 병기, 치료방법, 추후관리기간은 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고 증상 경험은 설문조사하였다. 결 과: 치료관련 변수들과 심리사회적 변수들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전체 삶의 질의 63.3%를 설명하였다(R2=0.633,F=16.969, p=.000). 암의 병기, 증상 경험, 기분장애정도, 사회적지지 중 가족지지, 그리고 삶의 성향은 자궁경부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이었으며 이 중 가족지지가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였다.결 론: 자궁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관리 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중재가 치료와 함께 병행되어야 하며 그 내용으로 기분조절, 사회적 지지,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 Purpos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may be influenced by various kinds of variables, such as personal, environmental, and medic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forty seven patients, who were taking medical therapy or following up after surgery for cervix cancer,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Quality of life, medical variables (cancer stage, types of treatment, follow-up status, and symptom distress), and psychosocial variables (mood disturbance, orientation to lif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The obtained data were compu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medical-and-psychosocial variables explained 63.3%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quality of life (R2=0.633, F=16.969, p=.000). Cancer stage, symptom distress, mood disturbance, social support (family), and optimistic orientation to life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ervix cancer. Conclusion: An integrative care program which includes medical - and -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s essential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ervix cancer.

      • KCI등재후보

        유방암 환자의 상지 부작용과 관련 요인

        전미선(Mi Son Chun),문성미(Seong Mi Moon),이혜진(Hye Jin Lee),이은현(Eun-Hyun Lee),송영숙(Yeoung Suk Song),정용식(Yong Sik Chung),박희붕(Hee Bung Park),강승희(Seung Hee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1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치료 후 상지의 림프부종,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 주관적 증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본 대학 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고 수술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159명을 대상으로 림프부종 정도와 어깨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하였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주관적 증상을 측정하였다.대상 환자의 47.2%인 75명이 40대였으며 89%의 환자가 병기 I 또는 II 이었다.결 과: 림프부종(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 cm 이상)은 52명(32.7%)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상지 하부 림프부종은 3명, 상지 상부 림프부종은 34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상지 상부와 하부 모두 림프부종이 발생한 경우는 15명이었다. 각 부위별 발생 빈도는 손목으로부터 10 cm 지점에서 6.3%, 20 cm 지점에서 10.7%, 30 cm 지점에서 22.6%,40 cm 지점에서 23.3%이었다.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건측과 환측의 차이가 20o 이상)의 빈도는 굴곡에서 37.2%,외전에서 37.7%, 내회전에서 48.4%, 외회전에서 24.5%이었다. 이 중 내회전의 경우 정상운동범위의 50% 이상 감소되는 경우도 흔하였다. 주관적 증상으로 통증 호소가 63.5%, 팔을 움직이기 힘들다고 하는 경우가 48.4%, 팔저림호소가 69.8%, 뻣뻣함(stiffness) 호소가 69.2%이었다. 특히 림프부종이 없는 108명의 환자 중 66명(61.1%)이 통증을 호소하였다. 림프부종의 발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질량지수(BMI), 치료방법 및 수술 후 경과기간이 있었고, 어깨관절 운동범위 감소의 경우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이었다. 주관적 증상의 경우는 치료방법과 수술 후 경과기간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종류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요인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체질량지수(BMI)와 수술 후 경과기간이 림프부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림프부종은 수술 후 기간이 경과되어도 계속 진행되며 특히 체질량지수가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지속적인 체중관리를 포함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깨관절 운동범위의 감소도 환자의 약 1/3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굴곡, 외전, 내회전 운동범위의 감소가 빈번하였고 내회전의 경우 그 정도가 심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한 치료 후 재활관리 프로그램이 환자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arm morbidity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including axillary dissection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 nine patients were studi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 clinical examination. Lymphedema, reduction of range of motion in shoulder joint and subjective symptoms (pain, impaired arm movement, numbness, stiffness) were evaluated. As related factors , demo graphic, oncologic characteristics and types at treatment were analysed. Results: The Incidence of lymphedema (?2 cm difference comparing to unaffected arm) was 6,3%, 10,7%,22,6% and 23,3% at each 10 cm, 20 cm, 30 cm, and 40 cm from wrist. Reduction of range of motion in shoulder joint (?20 degree difference comparing to unaffected arm) was noted in more than 1/3 patients for flexion, ab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Especially the reduction of range of motion in internal rotation was severe (> 50% reduction) In 1β patients. Approximately 50 to 60% of patients complained impaired arm movement, numbness , stiffness and pain. Body mass index (BMI) was the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ymphedema. Conclusion: Lymphedema was present in 1/3 of patients and the common sites of edema were 30 cm 40 cm proximal from the wrist. also most severe reduction of range of motion in shoulder joint was with Internal rotation , There needs weight control for lymphedema because BMI was the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ymphedema, Also rehabilitation program for range of motion especially internal rotation In shoulder joint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고령 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전미선(Mison Chun),조선미(Sunmi J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1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고, 보다 고령의 환자가 많아졌다. 자연적으로 고령의 암 환자는 장기 기능이 퇴화되고 동반질환을 갖는 경우가 흔하다. 사회적인 지지부족이나 조기진단의 부족으로 고령 암 환자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빈약하다. 그러나 발표된 논문들을 바탕으로 하였을 때 신중히 환자 선택을 하여 암 치료기간 동안 적극적인 지지치료를 한다면 대부분의 고령환자는 표준 치료를 잘 견디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각각의 암에 대한 고령 환자의 치료 순응도와 치료 결과에 대한 논문들을 리뷰해 보았다. Due to improved life spans, cancer incidence has increased with more aged patients presenting with cancer. Elderly cancer patients could have compromised organ function and/or comorbidities. Due to poor social support or lack of early diagnosis, treatment outcomes for elderly cancer patients are poor in general. However, with aggressive support during cancer management as well as careful selection, most elderly cancer patients can tolerate standard radiation therapy with good results based on published articles. Here, we reviewed existing articles regarding compliance and treatment results in elderly cancer patients based on tumor site.

      • KCI등재

        방사선치료를 받는 말기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완요법

        김상원,전미선,김효신,Kim, Sang-Won,Chun, Mison,Kim, Hyo Sh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3

        방사선치료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정확하고 안전한 방사선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방사선이 나오는 동안 치료 테이블 위에 가만히 누워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기질적인 문제 외에 심리적인 문제에서 기인한 증상으로 인해 가만히 누워 있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의치료 단계 전부터 치료 테이블에 바로 누워 있지 못했지만 별 다른 장소에서의 교육 참여 없이 침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이완요법을 배워 방사선치료 하는 동안 가만히 누워 있는 게 가능했던 두 명의 말기암환자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Radiation therapy is an effective modality to alleviate cancer-related symptoms. To deliver radiation accurately, it is essential to secure stability of the treatment position in patients during each treatment time. However, some patients could be less cooperative due to their psychoemotional issues. We present two cases of terminal-stage cancer patients who were initially unable to lie still on the treatment table before simulation. A relaxation technique was taught to them on the bed, and they could relax and undergo radiation therapy with effective symptom relief.

      • KCI등재

        중족골에 발생한 전이암

        김병석,전미선,최진혁,조재현,이기범,김우식,안재인,Kim, Byoung-Suck,Chun, Mi-Son,Choi, Jin-Hyuk,Cho, Jae-Hyun,Lee, Kyi-Beom,Kim, Woo-Sig,Ahn, Jae-I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998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 No.1

        저자들은 43세된 여자 환자에서 직장암에 대하여 광범위 절제술 및 림프 절제술,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 후, 국소 재발없이 직장암 수술 20개월 후, 좌측 족부의 제2 중족골로 전이된 전이암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ulmonary metastasis and bony metastasis finally resulted from the malignant tumors as one of the inevitable problems. Among them, the bony metastasis, which frequently involved the vertebrae, pelvis, ribs, sternum, and skull, have had the frequencies over 30%. Metastasis to the distal part of the knee is rare. However, acrometastasis which occured in bones of the foot is even rarer(0.4%) and a late manifetation of a disseminated disease from the literature review. Acrometastasis should be considered in elderly patients with a history of the previous malignancy, complaint of foot pain and mass lesion. We are reporting one rectal carcinoma with acrometastasis to the second metatarsal bone.

      • KCI등재

        아주대학교병원에서의 전립선암에 대한 래피드아크 치료

        박혜진,김미화,전미선,오영택,서태석,Park, Hae-Jin,Kim, Mi-Hwa,Chun, Mi-Son,Oh, Young-Teak,Suh, Tae-Su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0 의학물리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이중회전(double arcs)을 통한 래피드아크 치료용 치료계획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선량분포와 DVH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정도관리를 통해 래피드아크 치료에 대한 신뢰도 및 정확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환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두 치료기술에 대한 치료계획 시 임상표적 용적(Clinical Target Volume, CTV)과 치료표적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과 직장에 동일한 최적화 조건을 적용하였고, 그 외 정상조직에 대하여 최적화 조건 없이 가장 단순화한 조건에서 최적화의 능력과 결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래피드아크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선량제한치 적용 후 결과는 종양에 전달되는 선량은 증가하고 손상위험장기에 대해서는 더 보호하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치료부피와 주변 장기의 부작용에 대하여 주변장기에 대한 조사선량은 줄이면서 종양에는 더 많은 선량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래피드아크 치료는 기존에 시행하고 있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 기법보다 더욱 최적의 선량 분포를 구현하고, 치료시간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밀한 치료 기법인 만큼 정확한 래피드아크 치료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치료 계획과 실제로 시행되는 치료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정도관리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patient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who had previously been treated at Ajou University Hospital was randomly selected since March, 2009. we performed IMRT and 2RA plans and the same dose objectives were used for CTVs, PTVs, rectum, bladder, and femoral head of the respective plans. Arc optimizations and dose calc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Eclipse versions 8.6.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IMRT and RA plan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 of RA for prostate cancer case. In our comparison of treatment techniques, RA was found to be superior to IMRT being better dose conformity of target volume. As for the rectum and bladder, RA was better than IMRT at decreasing the volume irradiated. RA has the ability to avoid critical organs selectively through applied same dose constraints while maximally treating the target dose.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less rectal toxicity with RA compared with IMRT, with no compromise in tumor margin. These findings, which show more favorable rectal, bladder, and femoral head DVHs with RA, imply that should not result in excess risk of toxicity when this technique is used. Many experiences with RA have shown not only dosimetric advantage, but also improved clinical toxicity when comparing with IMRT. The main drawbacks of RA are the more complex and time-consuming treatment planning process and the need for more exact physics quality assurance (QA).

      • KCI등재

        일반인과 유방암 환자간의 식행동 및 영양정보에 관한 인식조사

        김경옥,박현진,전미선,이은현,김현숙,Kim, Kyoung-Ok,Park, Hyunjin,Chun, Mison,Lee, Eun Hyun,Kim, Hyun-Sook 한국영양학회 2013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6 No.3

        본 연구는 일반인과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식행동 및 영양정보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하여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식사지침서 자료와 보다 나은 정보 유용성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수원소재 아주대학교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내원자와 건강검진 센터에 방문한 여성 대상자 139명을 조사하였다. 식행동은 식사의 시간, 횟수, 형태 등을 통해 조사하였고, 유방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품 및 영양정보에 대한 인식조사를 살펴 보았다. 연구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행동에서 유방암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규칙적인 시간에 식사를 하고 있으며, 맛 선호도에서는 유방암 환자가 맵고 짠 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식품의 섭취빈도를 살펴본 결과, 유방암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쌀밥, 육류 및 가공품, 생선 및 조개류, 커피, 우유, 치즈의 섭취 빈도는 낮은 반면 잡곡밥, 채소, 해조류, 콩류, 된장 및 청국장, 요거트의 섭취빈도는 높게 나타났다. 3) 특정 식품이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정상인과 유방암 환자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인 항목은 쌀밥, 육류, 생선류 및 조개류, 우유 및 유제품이었다. 유의적 차이를 보인 식품군 모두에서 일반인이 유방암 환자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질병에 관련한 영양정보의 출처 선호도 및 신뢰도 조사에서는, 유방암 환자들과 정상인들 모두 언론매체를 통해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정상인이 가장 신뢰하는 정보 출처는 언론매체인 반면 유방암 환자는 전문가를 통한 정보출처를 가장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조사를 종합하면, 유방암 환자는 단백질 주요 급원식품인 육류 및 생선류와 우유 및 유제품 등을 일반인에 비하여 적게 섭취하고 있으며 인식 또한 부정적이다. 그러나 유방암 치료인 약물과 방사선 과정의 빠른 순응도 및 회복을 위해서는 적절한 단백질 섭취가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영양정보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실질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방사선 치료에 병행되어야 하는 영양소 및 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위하여 유방암 환자군이 가장 신뢰하는 정보획득수단인 전문가 및 임상 영양사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문가 그룹은 유방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채소, 과일 뿐만 아니라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 또한 현장 강좌 및 상담 시간에 강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환자들이 방사선 치료로 인하여 둔화된 미각과 약해진 소화력을 보임을 감안하여 다양한 메뉴 및 조리법 개발에 힘써야 할 것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정확한 영양정보를 전달하고, 일상생활에서도 올바른 식습관 지침을 구축할 수 있도록 영양 전문가 그룹은 보다 적극적으로 언론매체의 정보전달에 참여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eating behaviors and patterns in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a newly develop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2) to examine perception and use of nutritional information about breast cancer treatment amo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Sixty breast cancer patients (case group)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in Ajou University Hospital, Suwon, South Korea and 79 healthy women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n age of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as $46.00{\pm}7.88$ years and BMI was $23.12{\pm}2.85kg/m^2$, and that of the case group was $50.06{\pm}11.64$ years and $22.32{\pm}3.24kg/m^2$. The results of eating behaviors showed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case groups. Breast cancer patients ate meals on a more regular basis, on time, an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In addition, they preferred more salty or spicy and bland food compared to healthy women. According to answers from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reast cancer patients consumed significantly lower amounts of boiled white rice, meats and processed food, fish and shellfish, coffee, milk, and cheese, whereas they consumed a significantly large amount of boiled multigrain rice, vegetable, seaweeds, soybean and processed food, and yoghurt compared to healthy women. This study also observed the way in which cancer patients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obtain information about breast cancer treatment and its reliabilities. Results showed that healthy women did not hesitate to obtain information from mass media, while breast cancer patients would obtain nutritional information from specialists rather than mass media. Results of this survey confirmed that breast cancer patients avoided intake of red meat protein, even though they alrea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ietary protein intake for recuperation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future diet and nutrition guidelines for breast cancer patients.

      • KCI등재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에서 아크수 및 회전범위가 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김미화,전미선,오영택,서태석,Park, Hae-Jin,Kim, Mi-Hwa,Chun, Mi-Son,Oh, Yeong-Teak,Suh, Tae-Su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0 의학물리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3차원입체조형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3종류의 래피드아크 치료를 위한 치료계획을 수행하여 각각의 선량분포와 선량 체적 히스토그램(Dose Volume Histogram, DVH)의 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이를 통해 래피드아크 치료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갠트리 회전수의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치료계획은 작은 종양의 용적을 가지며 내부 장기 및 종양의 움직임이 비교적 작은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3차원입체조형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더블아크(double arcs)와 제한적인 트리플아크(limited triple arcs)와 멀티플아크(multiple arcs)치료에 대해 Eclipse 8.6 버전에서 시행하였다. 또한 치료계획 시 임상표적용적(Clinical Target Volume, CTV)과 치료표적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에 동일한 최적화 조건을 적용하였고, 각각의 정상조직에는 개별적인 선량 제한치 적용대신 종양 주변 정상조직에서의 선량 감소율을 일괄적으로 적용하였다. 임상표적용적과 치료표적용적의 전체 몸에 적용한 치료계획 선량 제한치에 대한 실제 계산결과의 만족도는 래피드아크가 세기조절방사선치료보다 높았으며 래피드아크에서 더블아크와 제한적인 트리플아크와 멀티플아크는 만족도가 거의 동일하였다. 또한 각 치료계획에서 치료표적용적에 계획한 선량 제한치에 따라 SALT group이 제안한 Conformity Index (CI)가 0.98인 선량 분포범위에 처방선량을 결정하였다. 이때 RTOG에서 제안한 CI, Homogeneity Index (HI), Quality of Coverage (QOC)와 Lomax and Scheib에서 제안한 Healthy tissue conformity index (HTCI) 등을 평가하였다. 항목별로 차이는 있지만 총체적인 평가 결과는 멀티플아크가 전체적으로 좋았으며 모니터 단위 값의 비교에서도 멀티플아크가 가장 작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래피드아크 치료는 기존에 시행하고 있는 3차원입체조형치료 또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 기법보다 더욱 최적의 선량 분포를 구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에서 멀티플아크 치료계획은 더블 또는 제한된 트리플아크 치료계획보다 모니터 단위 값이 작고, 선량의 균질성 및 종양내의 최소선량은 비슷하거나 좋아지는 동시에 주변 정상조직에는 선량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3D CRT, IMRT and three kind of RA planning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 of RA with liver cancer case. The patient undergoing liver cancer of small volume and somewhat constant motion were selected. We performed 3D CRT, IMRT and RA plannings such as 2RA, limited triple arcs (3RA) and 3MRA with Eclipse version 8.6.15. The same dose volume objectives were defined for only CTV, PTV and body except heart, liver and partial body in IMRT and RA plannings. The steepness of dose gradient around tumor was determined by the Normal Tissue Objective function with the same parameters in place of respective definitions of dose volume objectives for the normal organs. The approach between the defined dose constraints and the practical DVH of CTV, PTV and Body was the best in 3MRA and the worst in IMRT. The DVHs were almost the same among RAs. Plans were evaluated using Conformity Index (CI), Homogeneity Index (HI) and Quality of coverage (QoC) by RTOG after prescription with dose level surrounding 98% of PTV in the respective plans. As a result, 3MRA planning showed the better favorable indices than that of the others and achieved the lowest MUs. In this study, RA planning is a technique that is possible to obtain the faster and better dose distribution than 3D CRT or IMRT techniques. Our result suggest that 3MRA planning is able to reduce the MUs further, keeping a similar or better targer dose homogeneity, conformity and sparing normal tissue than 2RA or 3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