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비교 연구: 5・18의 가해자/피해자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전두영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감성연구 Vol.- No.25

        Lee Chong-jun’s “The Story of a Worm” in 1985 does not include the contents of “The May 18.” The readers and the critics at the time, however, read the novel a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May 18. The novel later received the public attention as it became known as the origin of Lee Chang-dong’s movie The Secret Sunshine (2007). However, much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works has been done without the relevance of the May 18. Studies discuss forgiveness and salvation, loss and mourning as the subject that two works have in common, but they pay no attention to the May 18. In particular, researches in the case of The Secret Sunshine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es of the content of the movie, which means that the director’s consciousness as a writer is not dealt properly. This study argues that Lee Chang-dong has a guilty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ists in the 80s, and this consciousness was finally turned into a work as the movie The Secret Sunshine. This paper argues that Lee Chang-dong writes an allegorical text about the perpetrator/victim of the May 18 with The Secret Sunshine. As for how Lee Chang-dong expresses his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I use two methodologies. First, I follow details outside the text. Tracking down Lee Chang-dong’s career as a novelist and film director, I show that Lee Chang-dong tried to give a hint to the audience that his movie was about the May 18, especially with the title of the movie and the release date. Second, I try to reconstruct the stories by analyzing the main event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in order to show that they express a similar consciousness. In particular, I analyze these two texts through the narrative style of allegory. My analysis of the two texts are based on two allegory theories. One is Walter Benjamin’s theory. According to the theory, the last step that the reader understands the author’s intention completes the allegory. On the other hand, Paul de Man stresses that although it is the author who creates the allegory, how the meaning is conveyed to the reader is outside of the author’s hands. Regardless of which allegory theory we buy, I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the allegorie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shows that both texts expres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there can be no real reconciliation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without the victim’s side of forgivenes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Secret Sunshine shows a deeper perspective on the community. Just as the May 18 community resisted the false state’s authority, the community formed by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e movie represents a community resisting God who forces the false kind of forgiveness. My analysis of these allegories shares a certain point with Stanley Fish’s ‘interpretive communities.’ According to Fish, the communities have a consistent perspective, forming the worldview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 in a sense keeps writing a text together. Lee Chang-dong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pretive community which maintains a certain position on the May 18, interpreting “The Story of a Worm” in a certain way and writing his own text with the creation of The Secret Sunshine. The interpretive communities theory further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accept the May 18 as an open text and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text for the May 18. Considering that there could be many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ies, what I am arguing in this paper may be a position of a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y from the one who shows the viewpoint of The Secret Sunshine and its extended text such as “The Story of a Worm.” However, I believe that this paper’s discussion can be an interpretation of the same interpretive community, revealing the hidden viewpoint of the text that Lee Ch... 1985년에 발표된 이청준의 단편소설 「벌레 이야기」는 ‘오월 광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의 독자들과 평자들은 그 소설을 오월 광주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었다. 이후 이창동의 영화 <밀양>(2007)의 원작으로 알려지면서 이 소설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두 작품의 비교 연구는 오월 광주에 대한 재현이 탈색된 채 이루어져 왔다. 용서와 구원, 상실과 애도가 두 작품의 주제 의식임을 지적한 연구는 있지만 그 주제 의식의 바탕으로 5·18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특히 이창동의 <밀양>의 경우 영화의 내용에 관한 분석에 연구가 국한됨으로써 감독의 작가 의식에 접근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창동이 8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서 오월 광주에 대해 죄의식을 가졌으며 이러한 죄의식이 영화 <밀양>에서 비로소 표현되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창동이 <밀양>을 통해 5·18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알레고리적 텍스트를 쓰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창동이 5·18이라는 주제 의식을 어떤 식으로 표현하는지에 대해 필자는 두 가지 방법론을 사용한다. 첫째, 필자는 창작자의 주제 의식 표현을 짐작할 수 있는 텍스트 외적 사항들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창동이 지닌 소설가로서의 이력과 영화감독 필모그래피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창동이 영화 제목과 개봉일 선정 등을 통해 5·18에 대한 문제의식을 관객에게 전달코자 했다고 주장한다. 둘째, 필자는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핵심적 사건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점에서 두 텍스트가 유사한 주제 의식을 표현하는지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두 텍스트를 알레고리라는 서사 양식을 통해 분석한다. 필자는 두 가지 알레고리론에 주목해 두 텍스트를 분석한다. 한 가지는 발터 벤야민이 주장한 알레고리론으로서, 그것에 따르면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전달되어 독자가 작가의 의중을 파악함으로써 알레고리의 완성이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폴 드 만은 알레고리를 창조하는 것은 작가의 몫이지만 그것이 독자에게 이르렀을 때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즉, 독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는지는 창작자의 권한 밖의 일이다. 이 두 알레고리론의 어느 입장을 받아들이든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알레고리 분석에 따르면, 두 텍스트 모두 피해자의 용서가 없이는 진정한 화해가 있을 수 없다는 주제 의식을 그 이면에 깔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러한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밀양>은 두 주인공이 새로운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공동체에 대한 진일보한 시각을 보여준다. 5·18공동체가 거짓 국가에 저항했듯이 영화의 두 주인공이 형성한 공동체는 거짓 용서를 강요하는 신에 저항하는 공동체이다. 필자의 이러한 알레고리 분석은 스탠리 피쉬의 ‘해석의 공동체’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 피쉬에 따르면 이 공동체는 일관성의 관점을 갖고 그들만의 공통된 세계관을 형성해가며 텍스트를 쓰는 특징을 갖는데, 이창동은 「벌레 이야기」 해석과 <밀양>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5·18에 관한 일정한 입장을 견지하는 해석의 공동체의 특성을 보여준다. 해석의 공동체 개념은 더 나아가 우리에게 5·18을 열린 텍스트로서 받아들일 기회와 5·18에 대한 새로운 텍스트 창작의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밀양>이 「벌레 이야기」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 의식, 곧5·18에 ...

      • KCI등재

        『화두』에 나타난 독서 행위와 상호텍스트성 양상 연구 -주인공의 『머나먼 고향』(A Long Way from Home) 독서 행위를 중심으로-

        전두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8 No.-

        이 글은 화두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의 양상을 논한다. 특히 소설의 주인공이미국 체류 시절 주목해 읽은 영어소설 머나먼 고향에 대한 독서 행위를 분석한다. 화두의 주인공은 작가이자 독자로서 텍스트를 생산하는 동시에 텍스트를 수용한다. 이 두 역할을 수행할 때 그는 이민을 두고 내적 갈등을 겪는다. 삶의 대부분을고향을 떠나 망명자로 살아온 그가 이민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할 때, 이민을 소재로 한 영어소설 머나먼 고향을 아일랜드 출신의 이민작가로부터 선물 받고 두번에 걸쳐 읽는다. 이민에 관한 생각이 진지해져 갈수록 머나먼 고향이 던져 주는의미가 그에게 다르게 다가온다. 자신과 상관없는 소설로만 읽었던 이 소설은 이제그에게 중요한 의미를 던지는 소설이 되었다. 새로운 독자가 된 주인공은 머나먼 고향의 주인공 존에게 자신을 대입하며그와의 공통점을 적극적으로 찾는다. 상호텍스트적 독자가 된 주인공은 기대를 지니고 머나먼 고향을 독해하며 해석의 구조화를 수행한다. 망명자로서 자신을 인식했던 주인공은 망명 작가인 머나먼 고향의 저자 머레이와 또 다른 망명 작가인제임스 조이스를 연결하는데 그가 갖는 이민에 대한 내적 갈등도 이에 따라 고조된다. 주인공은 머나먼 고향이 단순한 이민소설이 아니라는 독창적인 해석을 수행하는데 이는 이 소설이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고민을 보여준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상호텍스트성 이론에 기반할 때 머나먼 고향은 화두를 이해하고 구조화하는중요한 모눈종이 눈금 역할을 한다. 화두의 주제 의식 가운데 하나가 망명 의식이라 전제할 때 머나먼 고향은 망명, 난민, 이민을 중심으로 한 주인공의 고민과상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회색인』에 나타난 독서 행위와 탈식민주의적 양상 연구 - 독고준의 「제물로 바쳐진 알」과 「아프리카의 조각」 독서를 중심으로 -

        전두영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The author Choi In-hoon who thought that the various problems in modern Korea were largely related to colonialism. His novels, published in the 1960s, deal with the issue of colonialism in his unique style. His 1964 work, “The Gray Man”, follows Dok Go-jun, the main character, as he constantly questions the mainstream frame of thought, within which the only way to overcome division is a certain kind of nationalism. While reading a novel about Africa, Dok Go-jun realizes that he is like an exile in his own country. He then develops a sense of familiarity for the protagonist in this African novel. Once we look at the novel that Dok Go-jun was reading, we find a leading sense of world citizenship. As he thinks about Africa, Dok Go-jun finds a sense of self-awareness as a global citizen. He then comes to the realization that the problem of reality cannot be solved through an exclusive ideology, such as nationalism. Dok Go-jun, who chose the life of an exile as a victim of the great discourse (imperialism), knows that another great discourse (nationalism) cannot be a solution and tries instead to save souls through love and time. 이 글은 회색인에 제시된 탈식민주의적 분단 극복 방안을 논한다. 특히 당시의 주류사유 체계에 끊임없이 의문을 던지는 주인공 독고준의 독서 행위에 주목한다. 독고준을 탈식민주의와 연결해 이해하되 대안 없는 소극적 인물로 보는 기존 논의에 이의를 제기한다. 논자는 독고준이 아프리카 탈식민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치누아 아체베의 소설을 읽고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사실이 함축하는 의미를 논한다. 독고준은 아프리카에 대한 독서를 통해 망명자로서 자신을 인식하며 아체베의 소설 속 주인공에게 동류의식을 보인다. 아프리카에 대한 사유에서 잇달아 보이는 것은 세계시민으로서의 자기 인식이며 민족주의와 같은 배타적인 이념을 통해서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깨달음이다. 논자는거대 담론(제국주의)의 희생양으로서 망명자의 삶을 선택한 독고준이 또 다른 거대 담론(민족주의)이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알고 사랑과 시간을 통해 영혼을 구하려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탈식민성 양상과 전쟁의 본질 연구-영화 <저 깃발을 쏘아라>와 <솔저 블루> 분석을 중심으로

        전두영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8 No.-

        This paper sheds light on Mr. Gubo’s world of consciousness from a new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movie reviews performed by Mr. Gubo in A Day of Mr. Gubo a Novelist (1970-1972). If the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intertextual aspects of Choi In-hoon’s novels were studies that revealed the related aspects between Choi In-hoon’s novel and another literature text in this tex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of the films in Choi In-hoon’s novel in terms of expanding intertextuality. This paper analyzes Japanese film Shoot That Flag (1944) and American film Soldier Blue (1970) that appear in Choi In-hoon’s novel A Day of Mr. Gubo a Novelist. Mr. Gubo remembers Shoot That Flag, which is actually based on the Asia-Pacific War, as a film about the Anglo-Boer War in Africa. It is an intentional act by the author not only to expose Africa as a representative victim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but also to expand the scope of the colonized experience from Asia to Africa. Although Soldier Blue is based on the 1864 Sand Creek massacre of Native Americans, Mr. Gubo realizes that it is an allegory to the “My Lai Massacre” in Vietnam War which was happening at that time. When he associates two massacres, he finds presentness of the film. Shoot That Flag and Soldier Blue are set in different wars, but Mr. Gubo pays attention to the common massacre of civilians in both films. Mr. Gubo recognizes that the massacre of civilians during war is an event that reveals human savagery and madness, and at the same time clearly points out that the responsible agent of the massacre is the country that put combatants into the battlefield. Mr. Gubo is angry at the fact that the country does not apologize to civilians who are victims of the war, and his anger is directed not only to Japan, the perpetrator of the Asia-Pacific War, but also to other countries that dominated the Korean Peninsula, the Americas and Africa. This paper argues that Mr. Gubo’s perspective of the present and global simultaneity of war and civilian massacres through movie reviews is original, and argues that his self-awareness as a global citizen and an exile criticizes nationalism. 이 글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1970~1972)에서 구보 씨가 수행하는 영화비평을 분석함으로써 구보 씨가 드러내는 의식 세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한다. 최인훈 소설의 상호텍스트성 양상을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가 최인훈의 소설과 이 텍스트에 등장하는 또 다른 문학 텍스트 간의 관련 양상을 드러내는 연구였다면 이 글은 상호텍스트성의 확장 측면에서 최인훈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영화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구보 씨는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소재로 한 일본 영화 <저 깃발을 쏘아라>(1944)를 아프리카의 보어 전쟁을 다룬 영화로 기억하는데 두 전쟁의 치환은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대표적 피해자인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최인훈의 관심을 보여주는 동시에 피식민 경험의 반경을 아프리카까지 넓히려는 작가의 의도적인 행위이다. 구보 씨는 1864년 미국 원주민 학살을 소재로 한 미국 영화 <솔저 블루>(1970)를 자신의 당대 사건인 베트남 ‘미라이 학살’의 알레고리로 본다. 두 영화는 각각 다른 전쟁을 배경으로 하지만 구보 씨는 두 영화에 공통으로 보이는 민간인 학살에 주목하고 거기서 드러난 인간의 야만과 광기의 책임 주체를 다름 아닌 국가로 규정한다. 국가는 전쟁의 피해자인 민간인에게 어떤 형태의 사과나 배상도 하지 않는데 이러한 현실에 대해 구보 씨는 전쟁의 책임 국가들을 향한 분노를 표한다. 본고는 영화비평을 통해 전쟁과 민간인 학살의 현재성과 전 세계적 동시성을 밝히는 구보 씨의 시각이 독창적임을 주장하고 구보 씨의 세계시민주의와 망명자로서의 정체성이 국가주의를 비판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장수지역 전통된장의 미생물 군집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길항 효과

        전두영(Doo-Young Jeon),윤기복(Gi-Bok Yoon),윤연희(Yeon-Hee Yoon),양수인(Soo-In Yang),김중범(Jung-Beom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7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수지역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을 수거하여 식중독세균 오염도와 미생물 군집 현황을 분석하고, 분리된 미생물 군집의 Bacillus cereus 길항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전통된장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통된장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세균, 대장균군, 식중독세균을 실험한 결과 일반세균수는 10<SUP>6</SUP> ~10<SUP>9</SUP>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대장균군은 불검출 되었다. 식중독세균 중 B. cereus는 전통된장 10개 중 7개에서 검출되었으나 기타 식중독균은 불검출 되었다. 실험 결과 장수지역 전통된장에 가장 문제가 되는 미생물은 B. cereus로 나타나 전통된장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B. cereus 제어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통된장의 미생물 군집 분석결과 Bacillus subtilis가 155균주(47.4%)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B. licheniformis 68균주(20.8%), B. amyloliquefaciens 46균주(14.1%)로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등 총 327균주가 동정되었다. B. cereus에 대한 길항 효과를 평가한 결과 분리균주 327균주 중 20균주(6.1%)에서 9~12 mm 생육저지환이 관찰되었으며, B. subtilis가 12균주로 가장 많았고, B. amyloliquefaciens 5균주, B. licheniformis 3균주 순으로 분포하였다. 전통된장의 경우 B. cereus 오염도가 식품공장 제조 된장에 비해 높지만 B. cereus 길항효과를 나타내는 균주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통된장에 오염된 B. cereus 위험성은 기존의 생각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다수의 전통된장을 대상으로 한 B. cereus 길항 효과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and the bacterial community of traditional Doenjang collected from a longevity area in Korea as well as the antagonistic effect of traditional Doenjang isolates against Bacillus cereus to estimat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raditional Doenjang. Aerobic bacteria showed 10<SUP>6</SUP>∼10<SUP>9</SUP> CFU/g, whereas coliform bacteria was not detected. Foodborne pathogens were not detected except B. cereus, which was detected in seven samples out of 10 Doenjang samples. A total of 327 isolates were identified from traditional Doenjang. The isolates consisted of Bacillus subtilis 155 (47.4%), Bacillus licheniformis 68 (20.8%), Bacillus amyloliquefaciens 46 (14.1%), and Bacillus pumilus 18 (5.5%). Antagonistic effect against B. cereus was detected in 20 (6.1%) of 327 isolates, which consisted of B. subtilis (12 strains), B. amyloliquefaciens (5 strains), and B. licheniformis (3 strains). The inhibitory zone for the antagonistic effect was 9.0∼12.0 mm in diameter. Although a small amount of traditional Doenjang was test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tential risk of B. cereus in traditional Doenjang is lower than generally presumed.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antagonistic effect of traditional Doenjang isolates against B. cereus.

      • KCI등재

        망명자 구보 씨의 혁명 백서, 『신곡』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신곡』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전두영 ( Jeon Dooyo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4

        이 글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70∼1972)에 나타난 『신곡』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함으로써 구보 씨의 망명자 의식과 현실에 대한 저항 의식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한다. 『신곡』의 애독자인 구보 씨는 단테가 주동 인물인 발자크의 소설 「추방자」를 찾아 읽고 마침내 꿈에서 단테가 되어 자신만의 『신곡』을 창작하는데 본고는 이 과정을 『신곡』의 상호텍스트적 독자가 상호텍스트적 작가가 되는 과정으로 분석한다. 망명자로서 구보 씨는 주류적인 해석을 거부하고 『신곡』을 망명자 단테의 삶을 중심으로 재해석하여 단테와 동류의식을 형성한다. 구보 씨에게 『신곡』은 종교적 텍스트보다는 단테를 비롯한 여러 인물의 삶과 14세기 유럽 사회를 드러내는 세속적 텍스트로 이해된다. 구보씨는 또한 발자크의 소설 「추방자」를 읽고 발자크가 망명자로서의 단테를 집중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본고는 이 집중적 묘사를 분석함으로써 「추방자」가 『신곡』에 대해 역동적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냄을 논증한다. 이 글은 또한 이러한 역동적 상호텍스트성이 꿈에서 단테가 된 구보 씨의 『신곡』 창작에서도 드러남을 보여준다. 『신곡』을 읽던 중 구보씨는 꿈에서 단테가 되어 『신곡』 창작을 둘러싼 세계로 가는데 이때 단테가 된 구보 씨는 구보 씨 당대인 1970년대의 정치 현실과 한반도의 지배 체제를 『신곡』과 단테에게 투사한다. 『신곡』과 단테의 삶에 대해 세속적 비평을 수행하는 구보 씨는 자신만의 『신곡』을 창작한다. 구보 씨가 현실에 대해 지녔던 저항성은 『신곡』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혁명임을 주장하는 것으로 드러나는데 이때 구보 씨의 『신곡』과 단테의 『신곡』 간의 상호텍스트성은 명시성을 벗어나 암시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본고는 『신곡』의 새로운 창작자로서의 구보 씨를 조명함으로써, 구보 씨가 망명자로서의 실존을 『신곡』의 단테와 작가 단테의 삶에 역동적으로 투사하여 상호텍스트적 작가의 위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한다. This article sheds light on Mr. Gubo’s sense of self-awareness as an exile and resistance to reality from a new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aspects of intertextuality of The Divine Comedy in A Day of Mr. Gubo a Novelist (1970-1972). Mr. Gubo, a favorite reader of The Divine Comedy, finds and reads the short story of Balzac, where Dante is the main character, and finally becomes Dante in his dream and creates his own The Divine Comedy. This paper analyzes this process as a process in which an intertextual reader of The Divine Comedy becomes an intertextual writer. As an exile, Mr. Gubo rejects Dante’s redemption history, a traditional and mainstream interpretation of The Divine Comedy, reinterprets The Divine Comedy around the life of Dante, forming a sense of familiarity for Dante. When Mr. Gubo conducts a secular criticism of The Divine Comedy, The Divine Comedy becomes a secular text that reveals human life including Dante and European society in the 14th century rather than a religious text. Mr. Gubo reads Balzac’s short story “The Exile,” and in his view, Balzac focuses on Dante’s life and world as an exile. By analyzing this intensive descrip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Exile” reveals dynamic intertextuality with The Divine Comedy. This article also shows that this dynamic intertextuality is revealed in the creation of The Divine Comedy by Mr. Gubo, who became Dante in a dream. In his dream, Mr. Gubo returns to society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 creation of The Divine Comedy, where he projects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1970s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Divine Comedy and Dante. Mr. Gubo, who carries out secular criticism of The Divine Comedy and Dante’s life, creates his own The Divine Comedy. Mr. Gubo’s resistance to reality is revealed in his insistence that the keyword that runs through The Divine Comedy is revolution. At this time, the intertextuality between Mr. Gubo’s The Divine Comedy and Dante’s The Divine Comedy is revealed implicitly rather than explicitly. By highlighting Mr. Gubo as a new creator of The Divine Comedy, this study understands that Mr. Gubo has the status of an intertextual writer by dynamically projecting his existence as an exile onto Dante of The Divine Comedy and the life of Dante the original author.

      • KCI등재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

        하태만,전두영,임현철,윤연희,신미영,윤기복,김중범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7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The strains tested in the study were 28 V. vulnificus isolates originated from fish, seawater, mud flat and seawater in fish restaurant. The vvhA gene was detected using real-time PCR and biochemical identification expressed above good identification in 28 isolates of V. vulnificus. All of V. vulnificus used in this study was susceptible to tetracycline and chloramphenicol antibiotics. These two antibiotics were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Maesil extracts 2.5% and 5%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 cholerae NCCP 13589 and V. parahemolyticus NCCP 11143. V. vulnificus isolate and V. vulnificus NCCP 11135 showed growth inhibition at 1.25%, 2.5% and 5% of Maesil extract, respectively. Compared with V. cholerae and V. parahemolyticu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aesil extract against V. vulnificus was high.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Maesil extract for V. vulnificus was 1.6%. These results revealed that Maesil extract was found to be very useful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V. vulnificus and can be expected to prevent food poisoning caused by V. vulnificus.

      • KCI등재후보

        전남지역 주민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항체가 분포

        배송미,장미정,전두영,권순석,강연호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07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10 No.2

        Background: Mycoplasma pneumoniae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appropriate use of antibiotics, diagnosis of M. pneumoniae infection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has been based on serology using a single serum sample. We evaluated the seroprevalence of anti-M. pneumoniae-specific antibodies in 500 asymptomatic, healthy persons in Jeonnam Province. Methods: Sera were collected from 500 healthy persons in Jeonnam Province. Anti-M. pneumoniae antibody titer was measured using a microparticle agglutination assay Serodia Myco II (Fujirebio, Japan) and VIRCELL IgM Mycoplasma ELISA kits (Vircell, Granada, Spain). Results: Anti-M. pneumoniae antibody titers in 500 healthy individuals were 1:20 in 344 (68.8%), 1:40 in 16 (3.2%), 1:80 in 71 (14.2%), 1:160 in 45 (9.0%), 1:320 in 14 (2.8%), and >1:320 in 10 (2.0%). The positive rate of M. pneumoniae IgM antibodies was 3.2% (15/473). The prevalence of IgM was 10.0% in the 7∼9 years, 9.1% in the 10∼19 years, and 5.0% in the 20∼29 years old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elderly people. Conclusion: Some of healthy people showed a high anti-M. pneumoniae antibody titer (>1:160) and positive IgM, and an assessment of current infection with single serum serology has its limitation for the diagnosis of M. pneumoniae infections.

      • KCI등재후보

        국내에서 최초로 분리된 Shigella dysenteriae type 8에 의한 세균성 이질 환자 집단 발생

        김준영,김성한,전세미,강연호,전두영,김중범,이복권 대한임상미생물학회 2005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Vol.8 No.2

        Background: In May 2004, an outbreak of a diarrheal disease occurred among tourists returning from Mt. Geumgang in North Korea; Shigella dysenteriaetype 8 was isolated from 12 of the 36 patients who were suffering from diarrhea. We investigated the genetic relatedness of the isolates. Method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VITEK system and serotyped by a slide agglutination test.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was determined by the disk diffusion method and genetic relatedness was examined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Results: All 12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higella spp., and agglutinated by S. dysenteriae type 8 antisera. All of these isolates showed the same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 and were resistant to streptomycin, tetracycline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PFGE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2 types, sdx1 and sdx2, and the relatedness between these two types was 80.5%. Eleven isolates belonged to sdx1. Conclusio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 and genetic relatedness of the isolates strongly suggest that they were from the same origin. Becaus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 dysenteriae type 8 isolation in Korea, and all of these cases were related to foreign travel, the surveillance system and the ability of the clinical laboratory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the entry and spread of rare and hitherto not reported infectious agents into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