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박연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This article recounts the literary discussion on the backwardness of Korea after hearing the news that Korea's international status has been upgraded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developed countries in 2021.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us of developed countries in Korea is the result of the categories and standards of UNTAD (UNTAD) member states, and since then, the concept of "third world" has been commercialized and the psychological geography of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solidified. In order to examine the boom phenomenon of the third world theory, the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discourse have been examined so far. This overlaps with the process of preparing discourses and media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after liberation as foreign literature majors began to criticize Korean literature in earnest since the 1960s.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and perspectiv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academic journal, cannot be irrelevant to the prosperity of the branch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70s, after liberation, first-generation Korean writers such as Kim Dong-wook created an opportunity to systematize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foreign literature research through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Society (1959). The institutional search and practice of renew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t of comparative literature was due to the judgment that the complex of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has been overcome to some extent. In the history of Korean intelligence, the sad imagination and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were possible by a third world perspective. From the center of Western literature,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can only be discussed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propagation and acceptance, but from a third world perspective, Korea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have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Baek Nak-cheong explained that literature in developed countries is part of potential third-world literature, and then stressed that what is popular is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However, for Kim Woo-chang, the inherent universality assumed in the third world theory is only an aesthetic imagination.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is understood as a totality that is not fixed than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itself. The literature theory of those who aimed for world literature and its issues persisted as a possibility and method of universalizing the backwardness of Korean literatur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fforts to converge into totality and institutional and discourse practices that resist structural contradictions were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backwardness. 이 글은 2021년에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격상되었다는 소식을 접하며 (탈)후진성에 대한 문학적 논의를 재론한 것이다. 한국에 대한 선진국의 지위 결정은 운크타드(UNTAD, 유엔무역개발회의) 회원국의 범주와 기준에 따른 결과인데, 이후부터 ‘제3세계’ 개념이 상용되고 (탈)후진국의 심상지리가 공고해졌다. 이러한 제3세계론의 붐 현상을 살피기 위해 지금까지 민족문학과 외국문학 담론의 지형과 성격을 살폈다. 이는 1960년대 이후 외국문학 전공자들의 한국문학 비평이 본격화되면서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와 외국문학자들이 한국문학의 탈후진성의 과제에 천착해 담론과 매체를 마련하는 과정과 중첩된다. 특히 학술장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된 민족문학-세계문학의 구도 및 시각은 비교문학이라는 분과 학문의 번성과 무관할 수 없는데, 1970년대에 이르러 김동욱 등의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들은 <한국비교문학회>(1959)을 통해 외국문학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계기를 만든다. 비교문학의 단위에서 국문학의 위상을 갱신하는 제도적 모색과 실천은 외국문학의 수용에 대한 콤플렉스가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한국 지성사에서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의 유비적 상상 및 담론은 제3세계적 시각에 의해 가능한 일이었다. 서구문학 중심에서 보면 전파와 수용의 수직적 관계에서만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지만, 제3세계적 시각에서 보면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은 수평적인 관계를 이룬다. 그런 까닭에 백낙청은 선진국의 문학을 잠재적인 제3세계 문학의 일부라고 설명한 후 민중적인 것이야말로 세계문학의 보편성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김우창에게 제3세계론에서 상정된 내재하는 보편성이란 하나의 미적 가상에 불과하다. 세계문학을 지향한 이들의 문학론과 그 쟁점은 한국문학의 후진성을 보편화의 가능성이자 방법으로서 지속되었다. 전체성으로 수렴되기 위한 노력과 구조적인 모순에 저항하는 제도적, 담론적 실천이란 탈후진성의 시각에서 작동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KCI등재

        김열규의 『한국문학사』 기술의 특수성

        류정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0 No.-

        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연결고리를 추적하는, 일종의 상호텍스트성의 궤적을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 ‘김열규’를 욕망하고 행동하는 주체이자, 기호체계에 귀속될 수밖에 없는 주체로 전제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열리는 길이 어떤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사』의 특수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지는 시학적이며 구조적인 측면을, 다른 하나는 각 텍스트가 연계되는 다소 무질서해 보이는 리좀적 측면을 살피는 것이다. 『한국문학사』를 이루는 세 장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연계되는데, 그 개별 텍스트(가령 <단군신화>) 분석에서 특히 시학적이며 구조적 시각은 두드러진다. 텍스트 세부를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읽어냄으로써 참신하고도 풍부한 논의를 생산한다. 또한 『삼국유사』가 현대 텍스트에까지 잇달아 있는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통합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한국문학사』는 『삼국유사』뿐 아니라 현대문학 및 문화 콘텐츠들로 대상을 확대하면서 주 텍스트와 부 텍스트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 텍스트에서 저 텍스트로, ‘그리고-그리고-그리고’로 무수히 확장되는 수평적 연결망은 마치 리좀과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이러한 두 측면의 관계를 밝히면서 결국 문학 작품의 유기성을 전제하는 통합과 종합의 의지가 리좀적 방향으로 견인된다고 본다. 『한국문학사』는 단순히 강의실 밖으로의 공간적 탈주 혹은 고전에서 현대로의 시간적 탈주뿐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요청하는 인식적 탈주를 감행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는 한국문학을 봉쇄가 불가능한 대상으로 재영토화한다. 『한국문학사』는 ‘문학사 아닌’-‘새로운 문학사’의 사이에 있는 텍스트이며, 그 담론적 저자로서 김열규는 탈주선을 그리는, 당대로서는 유표화된 유목적 주체라 하겠다.

      • KCI등재

        1970년대 초 한국소설의 미군기지(촌) 재현 양상 연구

        오창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In the early 1970s, Korean novelists actively wrote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They narrated U.S. Army bases (villages) so as to conduct cultural politics pointing to the center from the recent-modern peripheral areas. In the 1970s,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and women in the U.S. Army base villages represented the recent modern peripherals of Korea, and showed the recent-modern negative ideologies of Korea which was then at the bottom of the world system. Korean male novelists, when they looked at the women, showed strong desire for equality as recent-modern ideology as well as revealing anxiety and sense inferiority of intellectuals. Noteworthy Korean novels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clude Jo Jeong-rae’s 「Tiger Major」(1973), Sin Sang-ung’s 「Diary of Wrath」(1972), and Jo Hae-il’s 「America」(1972). Jo Jeong-rae, in「Tiger Major」, illustrated Korean troops who had equal competence and rights with American soldiers by presenting Korean army officers and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Jo Jeong-rae tried to romantically overcome their sense of inferiority and inequality through the theory of excellent ability and the theory of heroic leaders. Sin Sang-ung, in 「Diary of Wrath」, criticized Koreans’ inner colonialist perception and U.S. military’s occupation unit viewpoint. Sin Sang-ung responded to U.S. military stationing in Korea which disgraced the equalitarian world view as recent-modern universality with the emotion of ‘anger and wrath.’ Jo Hae-il, in「America」(1972), attempted to overcome Korean males’ helplessness feeling about women in the Army bases with sympathy. Jo Hae-il, in describing the situations of residents in Army base villages, defined them as surviving cowards. They endured the hidden darkness of Korean modernization by taking on the share of suffering. Jo Jeong-rae, Sin Sang-ung, Jo Hae-il, etc. were young writers who were born in the second half of 1930s to early 1940s. They underwent April 19 Revolution and June 3 Korea-Japan Talks Opposition, thus allowing themselves to be inclined to be nationalist democratic. Relatively autonomous print media such as 『Hanyang』, 『Sanghwang』, and『Sedae』were published, offering a wider range of stage for writers to publish works critical of recent-modern system and Korean reality. In this context, the writers in the 1970s began to see the stationing of U.S. Army bases as the intrusion on recent-modern equality. They also saw the history of Korea as the history of disgrace, reinforcing their relative and objective preception of U.S. This movemen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explosive spread of anti-America perception in Korea in the 1980s. Intellectual writers in the 1970s illustrated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a bid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U.S. as the central nation and Korea as the peripheral nation. This enabled them to own the center again from the peripheral area and thus to fully describe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exclusivity and violence of the recent-modern system. In particular, the writers’ illustration of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the 1970s led to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emotion, then prompting intellectual writers to reinforce the relative objection and subjection of the U.S. and the U.S. Army. 1970년대초 한국 작가들은 미군기지(촌)을 서사화함으로써 근대의 주변에서 중심을 가리키는 문화정치를 수행했다. 1970년대 미군기지 내의 카투사 및 미군기지촌 여성들은 한국 근대의 주변부성을 현시할 뿐만 아니라, 세계체제의 하위체제에 위치한 한국 근대의 부정적 이데올로기를 내파하는 존재들이었다. 이들을 바라보는 한국 남성 작가들의 시선은 지식인의 불안의식과 열등감, 그리고 근대 이데올로기로서의 평등권에 대한 강한 열망을 드러냈다. 미군기지(촌)을 형상화한 주목할 만한 소설로 조정래의 「타이거 메이져」(1973), 신상웅의 「분노의 일기」(1972), 조해일의 「아메리카」(1972)를 꼽을 수 있다. 조정래는 「타이거 메이져」에서 한국군 장교와 카투사를 내세워 미군과 대등한 능력과 권리를 지닌 한국군을 형상화했다. 조정래는 열등감과 실재하는 불평등을 ‘실력론’과 ‘영웅적 지도자론’을 통해 낭만적으로 극복하려 했다. 신상웅은 「분노의 일기」에서 한국인의 내면에 자리한 식민주의적 인식과 미군의 점령군적 관점을 동시에 비판했다. 신상웅은 근대적 보편성으로서 평등주의적 세계관이 한국 내 미군 주둔으로 인해 짓밟히는 상황에 대해 ‘화와 분노’의 감정으로 대응했다. 조해일은 「아메리카」(1972)에서 기지촌 여성의 상황에 대해 한국 남성으로서 느끼는 ‘무력감’을 ‘공감’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했다. 조해일은 기지촌 거주민의 상황을 ‘살아남은 자의 비겁함’으로 규정했고, 그들은 ‘고난의 몫’을 감당함으로써 ‘한국 근대화’의 은폐된 어둠을 견뎌내고 있다고 했다. 조정래·신상웅·조해일 등은 1930년대 후반과 40년대초에 출생한 젊은 작가들이었다. 이들은 4·19혁명과 6·3 한일회담반대투쟁을 경험함으로써 민족주의적 성향을 갖고 있었다. 매체 환경적 측면에서는 『한양』, 『상황』, 『세대』 등과 같은 잡지들이 간행됨으로써, 작가들이 근대체제와 한국현실을 비판하는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넓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1970년대 작가들은 미군기지 주둔을 근대적 평등권의 침해로 바라보기 시작했고, 한국의 역사를 ‘오욕의 역사’로 바라봄으로써 ‘미국에 대한 상대적이면서도 객관적인 인식’을 강화해나갔다. 이것이 1980년대 한국내 반미인식의 폭발적 환산의 출발점이 되었다. 1970년대 지식인 작가들은 미군 기지(촌)을 형상화함으로써 중심국인 미국과 주변국인 한국의 관계를 재구성하려 했다. 이는 주변에서 중심을 다시 사유함으로써, 근대체제의 ‘배제와 폭력’의 작동양상을 묘파하는 효과를 낳기도 했다. 특히, 1970년대 작가들의 미군 기지(촌) 형상화는 민족적 정서의 강화로 이어져, 지식인 작가들의 ‘미국과 미군’의 상대적 객관화와 주체성의 강화로 이어졌다.

      • KCI등재

        ‘민중’과 ‘다중’의 관계론(/내재)적 함의 -1960년대 이후 한국문학장에서의 ‘민중’ 논의의 현재적 의미-

        전상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e discussion of “people” in the Korean literature has been a major ideological coordinator of the national literature movement, and has been the mainstay of the solidarity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resistance. After the collapse of the colonial era, the ‘National Literature’, which encompasses progressive literary people, including Imhwa, is a period of confrontation between left and right after liberation, careful and passive discussions of postwar literature and finally, Since the 1960s, he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full-scale reform of Korean society and advocacy and progressive transformation programs. Baek Nak - chung and ‘Changbi Group’ raised the task as ‘Citizens Literature’. 4.19 The entry into the paragraphs of the generations made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their historical task and made them have an abnormal and superior position of literature. Despite the weakness of other fields and oppressive dictatorship power, the people of Korean society, whose symbolic and emotional literary power is changing rapidly, strongly imprinted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and resolution of the contemporary problems of modernization and Korean modern history . In the course of ‘Citizen Literature’, Baek Nak - chung, who was trying to emphasize the historical role of ‘citizen’, turned to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filled ‘the people literature’ with the core contents of national literature. It became a concern. Of course, it was because of the long-term power of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the conspiracy to strengthen the persistence of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hostile symbiotic relationship”. The ‘people’ as a universal and practical being that unifies class and class with the resistance of the ruling class to the ruling class has just emerged as an icon symbolizing resistance. At one time, it was pushed to the concept of ‘mass’ or ‘nation’, but ‘people’ was recognized as the third world version of historical reality as the master of history and the value it should aim for. However, in the 2000s, the ambiguous and conceptual dimension of the concept of ‘people’ was criticized as the philosophy of identity, and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multitude’ was newly highlighted. In addition to the spontaneity and autonomy of the individual subject and the tendency to change,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age of network power, there is a time when a reason for competing is sought and commonality is found in the commonality of I think that the motive strategy of ‘multitude’ which seeks a new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is meaningful. 한국문학장에서 ‘민중’ 논의는 민족문학운동의 중요한 이념적 좌표이자 저항세력의 연대성, 역사 발전의 주역으로 자리해왔다. 식민지 시대의 카프 해산 이후에 임화를 위시로 하여 진보적인 문학인들을 망라하여 전개한 ‘민족문학’은 해방 직후의 좌우익 대립 시기, 전후 문학 시기의 조심스럽고 소극적인 논의들, 그리고 마침내 독재자를 권좌에서 끌어내린 1960년대부터 한국사회의 전면적인 개조와 진보적인 변혁 프로그램의 주창, 시행의 한 축을 담당했다. 백낙청과 ‘창비그룹’은 그 과제를 ‘시민문학론’으로 제기하였다. 4.19세대의 문단 진출은 한국사회의 근대화를 자신들의 역사적 과제로 삼아 문학의 비정상적인 특별하고 우월한 위치를 점하게 하였다. 다른 여타 분야의 저조와 폭압적인 독재권력도 한몫을 했지만 상징적이고 감성적인 문학 특유의 힘이 급변하는 한국사회의 민중들에게 근대화와 한국근대사의 미해결 과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의 필요성을 강렬하게 각인시켰다. ‘시민문학론’을 통하여 ‘시민’의 역사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던 백낙청이 ‘민족문학론’으로 선회하고 다시 ‘민중문학’을 민족문학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채워넣으면서 ‘민중’ 논의는 한국문학사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물론 그렇게 되기까지는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과 ‘적대적 공생관계’로써 냉전의 한반도적 지속성을 강화하고자 한 음모가 노골적이었기 때문이었다. 지배계급에 대한 피지배계급의 저항과 계급과 계층을 연합하는 보편적이고 실제적인 존재로서의 ‘민중’은 바야흐로 저항세력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한때는 ‘대중’ 개념이나 ‘민족’ 범주에 밀리기도 했으나 ‘민중’은 역사의 주인이자 지향해야 할 가치로서 역사적 실체의 제3세계적 버전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민중’ 개념이 지닌 모호하고 관념적인 차원이 동일성의 철학으로 비판, ‘다중’의 문제의식이 새롭게 조명되었다. 네트워크 권력 시대에 걸맞는 개인 주체의 자발성과 자율성, 변화무쌍한 성향과 더불어 사안과 상황에 따라 무수히 변수가 많고 변화 생성하는 ‘무위의 공동체’의 어떤 공통성을 모색, 경합하는 사유가 전개될 때라야 ‘민중’과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다중’의 운동전략이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한다.

      • KCI등재

        최인훈의 에세이에 나타난 문학론 연구

        권성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소설가 최인훈(崔仁勳: 1936~)은 『광장』, 『회색인』 등의 탁월한 소설, 그리고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로 대변되는 희곡집 외에도 『문학과 이데올로기』, 『유토피아의 꿈』, 『길에 관한 명상』 등의 문학론과 에세이를 남겼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최인훈의 에세이와 문학론이다. 그의 문학적 에세이에는 문학과 정치, 다른 예술과 구별되는 문학의 본질, 문학적 자의식에 대한 섬세하고 치밀한 사유가 개진되어 있다. 이를테면 최인훈의 문학적 에세이를 통해 순수주의의 미망과 정치적 환원론의 오류로부터 탈피한 문학의 고유한 자리를 상상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최인훈의 문학과 정치에 대한 사유는 최근의 ‘문학과 정치’에 관한 논쟁의 선구적 통찰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인훈은 다른 예술과 구별되는 문학의 고유하고 독특한 특성, 즉 다른 예술에 비해 사상이나 논리, 역사, 이념과 무관할 수 없는 문학의 성격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한다. 동시에 ‘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남다른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최인훈의 문학적 에세이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최인훈의 문학론과 비평적 에세이에 대한 탐구를 통해, 뛰어난 소설가는 동시에 뛰어난 에세이스트이자 문학이론가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on Choi Inhoon(a novelist, 崔仁勳)’s literary essays. He is not only an excellent writer but also an essayist who published a number of outstanding essays on literature and art more than any novelist. His excellent essays and proses are included in the books, Literature and Ideology, Dream of Utopia, Meditation on the Way. Choi Inhoon’s essays are an precious attempt to research on essence of Literature and Art. And through his essays, he has elaborately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and the literary sense of identity. Choi Inhoon regards the political role of literature as important, but at the same time, he takes a stand against its being dependent on the politics. Choi shows the peculiar role of literature compared with the ones of other arts. He expresses intense, impressive “literary self-consciousness” more than any other writers.

      • KCI등재

        100권의 세계문학과 그 적들- 식민/탈식민 세계문학전집의 조건과 가능성

        박숙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2 No.-

        This paper aims to analyse cultural-historical nature of world literature collectionhaving popularly read in Korea. World literature collection in the colonial times wasa list of refinement that generalized ‘Western literature’ into classic throughdiscriminative hierarchies of empire/colony and of West/East. Although fundamentallyexcluded from the globality imprinted in this collection, Chosŏn people read theworld literature collection, regarding it as must-read, with a desire for universality. While the cultural status of the world literature collection continued after the liberation,a difference lied in that matters of contemporary values were treated more importantlythan study of classic was. Origins and ripening times built in world literature collectionwere dissolved, and the collection instead contained spatial order of production andproliferation that infinitely expanded. World literature collection in this period focusedon division of world scope and on the process of refining translation values, therebyrevealing ideals of cultural politics that Cold-War-system literature in translationconnoted. In Korea world literature collection has been must-read educational booksas ‘classic’ of Western literature and ‘canon’ for post-secondary students. Yet in factclassical value or role as the canon imprinted in world literature collection wereeffects of cultural politics granted as a quid pro quo for colonial/underdevelopedKorea (Chosŏn)’s desire for globality. What is necessary now is a network of experience, reproduction and memory in which diverse reading experience can be shared, escaping from paranoid system of world literature collection. 이 글은 1950년대 발간된 <세계문학전집>의 문화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세계문학전집은 1958년, 1959년 정음사, 을유문화사 등을 시작으로 1960년대에 이르러 100권에 이르는 대규모 기획도서로 출판된다. 이를 통해 식민지 시기부터 이어져 온 독서열기를 승계하며 대표적인 대중 교양 도서로정착하게 된다. 다만 해방이후 발간된 세계문학전집의 구성원리는 식민지의 것과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식민지 시기 세계문학전집이 제국/식민, 서양/동양의 차별적 위계를 통해 서양문학을 ‘고전’으로 정당화한 교양의 목록으로, ‘조선’의 기호가 세계문학전집에서 원천적으로 배제되었음에도 보편적인 것에 대한 열망을 통해세계문학전집을 필독서로 인식했다면, 해방 이후에는 고전에 대한 탐구보다 당대적 가치를 좀더 중요하게 다루어냈다. 해방이후 세계문학전집은 기원과 성숙의 시간적 질서 대신 팽창과 증식의 공간적 질서를 구성원리로 하며 세계의 범위를 분할․번역해내는 문화정치의 이상을 담아내었다. 이는 미국중심의 세계 질서를 보편적인 것으로 가시화시켜내는 효과를 야기했다. 한국에서 세계문학전집은 서구문학의 ‘고전’이자, 중등학생 이상의 ‘정전’으로오랫동안 필독해야 되는 교양서였으나, 세계문학전집에 각인된 고전의 가치나 정전으로서의 역할은 식민지/저개발 한국(조선)이 세계성을 열망한 대가로 주어진것이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러한 세계문학전집의 편집증적 시스템에서 나아가다양한 읽기 경험이 공유될 수 있는 경험, 재현, 기억의 네트워크일 것이다.

      • KCI등재

        중국에서 조선족의 정착과 그 문학 연구의 현황 일고찰

        남춘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The Study on Chinese Korean literature begins with the study of Jin Xuetie's literature study, but its research line is interrupted by the movements in modern China, especially the unstable factors caused 10 years’ Cultural Revolution. Not until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does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begin to rise. This paper titled “Chinese Korean and Its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makes a thorough review on Korean literature. In order to give a clear pictur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introduces the formation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nation, The second part is divided into six stages, introducing the origin of Chinese Korean ethnic group, and The third part analyzes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before and after liberation respectively. Then the thesis introduces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Chinese Korean literature. It is believed that Chinese Korean ethnic group maintains a perfect national language and integrateswith the majority well in China. In China, the history of Korean ethnic literature has been more than 100 years and has made its du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minority literature. In the number of minority population, there is no big gap between the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Chinese Korean, but their ethnic language and ethnic literature has been stranded and assimilated to a far more serious degree than Chinese Korean. And Russian Korean is even worse in this aspect. Korean literature is the witness of Korean life since it is loaded with the Korean national history, sorrows and joys of life and. As a member of Korean ethnic group, it is lucky for me to study Korean literature. 중국 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는 최초로는 김학철 문학에 대한 연구로부터 서막이 열린다. 그러나 운동과 동란기 속에서 연구의 맥은 거의 끊어지다시피 하다가 1980대말 90년대 초반 사회적 안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새롭게 활기를 띄기 시작한다. 현재 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의 한 갈래로서의 조선족 문학이라 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데, 중국의 조선족학자뿐만 아니라 중국인 학자들에 의해서도 연구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의 시원으로부터 입각하여 55개 중국 소주민족중 천입민족으로서의 조선족의 우래를 간단히 밝히면서 이민의 시말과, 이민이 이루질 수 밖에 없었던 그 역사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짚어보았다. 현재 중국에 살고 있는 200만 조선족의 뿌리, 말하자면 조선족은 뿌리를 갖고 있는 민족임을 먼저 살펴보았다. 다음은 조선족의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 중국의 일원으로 되기까지는 조선족이 겪은 고난과 중국 항일에 대한 공헌, 당당한 일원으로서 개국 직전인 9월에 조선족이란 이름을 갖게 된 것에 대해 논술했다. 이어서 조선족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족문학의 기점에 대해서는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특히 해방 후의 기점은 1949년 중국의 개국이 아닌 1945년, 말하자면 조선족은 8.15 해방을 받은 그때부터 자기의 문학을 갖고 있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조선족이 중국 이주는 백년에 이르고 조선족이 중국땅에서 소수민족으로 살기 시작한 지는 64년이 된다. 그러나 조선족은 대중국이라는 거대환경하에서도 한인의 문화와 혈통을 가장 잘 이어가고 있고 또 민족의 언어를 굳건히 지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영역에서도 자기의 민족을 지켜가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족문학 연구는 역사시기를 막론하고 필요이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족문학연구에 대한 현황을 간단히 짚어보기에 주력했고 향후로의 조선족 문학 연구에서 해야 할 일들에 대해서도 간단히 살펴보았다. 상술했다시피 조선족은 자기적인 문학을 보유하고 발전시켜 온지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유랑이민으로 살아야 했던 민족의 과거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해방 후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조선족의 희비극이 교감하는 생존의 현장이 바로 조선족 소설에 투영되어 있다. 조선족으로서 학자로서 조선족 문학의 맥을 짚어보는 일은 조선족 연구의 맥을 이어감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주체사상 시기 북한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양상 - 1960~1990년대 북한 서정시를 중심으로 -

        김경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북한에서는 한국전쟁을 ‘조국해방전쟁’이라고 지칭하는데, 이 ‘조국해방전쟁주제’는 주체문학에서 문학적으로 형상화할 것이 요구되는 중요한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이 한국전쟁이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판단되는 양상을 구체적이면서도 일목요연하게 조망하기 위해서는 문학작품 속에 형상화된 한국전쟁의 다양한 양상을 역사적인 맥락에 따라 분석해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필자는 주체사상 시기 북한의 문학예술 가운데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을 통하여 한국전쟁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해석의 상관관계를 추적해보았다. 첫 번째 시기에, 북한은 ‘경제건설과 국방건설을 병진시켜야 한다.’는 당의 새로운 혁명노선을 채택하였고,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적극적인 창작을 통하여 인민에 대한 혁명교양사업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전쟁영웅’을 만들고 ‘전선미담’을 꾸미는 등의 방식으로 전쟁기억을 ‘각색’하였다. 두 번째 시기에, 북한은 새 세대의 청년들에 대한 혁명교양과 계급교양을 강화할 것을 당의 새로운 지침으로 채택하였고,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적극적인 창작을 통하여 이들을 당의 전투적 후비대로 튼튼히 준비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일반 인민’ 개개인을 집단화하는 방식으로 전쟁기억을 ‘전유’하였다. 세 번째 시기에, 북한은 ‘우리식 사회주의’를 해나가야 한다는 당의 새로운 혁명노선을 채택하였고,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적극적인 창작을 통하여 인민에 대한 혁명교양사업을 더욱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전쟁야사’를 공유하고 ‘전쟁승리’를 기념하는 등의 방식으로 전쟁기억을 ‘소환’하였다. 필자는 이처럼 한국전쟁에 대한 북한문학의 기억은 정치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사학을 구사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그것은 이데올로기적, 민족주의적, 정치적 입장에서 지배적이고 공식적인 성격으로 단일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억의 복수화’를 통하여 기존의 지배기억을 해체함으로써 탈이데올로기적이고 탈민족적이며 탈정치적인 기억으로 거듭날 때, 한국전쟁에 대한 북한의 기억은 남한의 기억과 접점을 찾을 수 있으며, 세계적인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have a clear and concrete view the aspect where the Korean War has been given different interpretation and judgment depending on the times, it is effective to analyze the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War embodied in the literary works based on historical context.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probed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historical facts and literary interpretations of the Korean War based on North Korea’s socialist literary works ‘on National Liberation War Theme.’ At the first era, North Korea has selected a new revolutionary line of party, “the economic construction and the defense construction shall be developed in parallel,” and through the active creation of “theme work of Great Fatherland Liberation War,” North Korea tended to reinforce the business of revolutionary campaign about the public. For this, the “war hero” has been made, and the “war story” has been made to dramatize the war memory. At the second era, North Korea has selected the reinforcement of revolutionary campaign and hierarchical campaign toward youth of a new generation as a new policy of party, and through the active creation of “theme work of Great Fatherland Liberation War,” North Korea has tended to firmly prepare them to be the military backup. Furthermore, as a method of collectivization of “regular citizen”, North Korea has “fully possessed” the war memory. At the third era, North Korea has selected a new revolutionary line of party, promotion of “socialism of our own style,” and through the active creation of “theme work of Great Fatherland Liberation War,” North Korea tended to reinforce the business of revolutionary campaign about the public. For this, North Korea has shared the “unofficial story of war” and commemorated the “victory of war” to “summon” the war memory. In conclusion, the author could confirm the dominant and formal characteristics and the unification of ideological, nationalistic, and political positions toward Korea War by North Korean society. Therefore, when the conventional dominant memory is disassembled through the “pluralization of memory” to be de-ideologized, de-nationalized, and de-politicized, the memory of North Korea and the memory of South Korea about Korean Wave may be converged, and the global universality may be obtained.

      • KCI등재

        문학좌담회로 읽는 광주전남 지역문학

        이동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This study is to bring out regional identity, literary status, and to suggest literary prospect through the round-table talks for the regional literature held in Gwangju-Chonnam. The literary talks make it possible to inspect some internal considerable thoughts, and to grasp some differences to the central literature, in addition literary directions after that talks. The talks, in some respects, as a domain of official dialogue and exchange of information was very political, so it had concerned historical directions of regional literature. Now, let’s try to summarize as below. Firstly, the literature of Gwangju-Chonnam was in a condition which is historically confused, but the talks tried to produce some discussions of identification with positive intentions. Particularly literary movements of the Chonnam branch of National Associ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National Salvation Unit were remarkably constructive during Korean war period,even if they could hardly be free from ideology. However there were very internal considerable thoughts and trans-historical tracks of the literati. Their literary directions not only coincided with pure literature’s but also ideological. It really had a big impact on literary history of Gwangju-Chonnam. Secondly, the talks with some central literati was likely to be bureaucratic acting for disseminating their central mechanism or literary discourse,which was to transit regional literature. Central literati who were in attendance at the talks had literary power centralized on Modern Literature 『現代文學』, and new literati were inevitably under the shadow of the former union. Such being the case, the invisible infiltration of literary cliques into regional literature had led to subordinate it upon central literature. Resultingly, the round-table talks of literary magazines and newspapers in Gwangju-Chonnam showed the own formational process of regional literature and the very actual status after liberation of colonial system, which 문학좌담회로 읽는 광주전남 지역문학 321lied in both political and literary power. Henceforth, these facts will raise up not only the need for solicitous researches on writing of the history of regional literature in Gwangju-Chonnam inclusive of other regions, but also that of modern literature. 본 논문은 문학좌담회를 통해서 지역문단의 내부적인 고민을 점검하고, 중앙문단과 지역문단의 차이와 문학좌담회 이후 광주전남 지역문학은 어떤 행보를 하였는지를 밝혔다. 문학좌담회는 문학을 매개로 한 공식적인 대화와 정보 교환의장으로 일면 대단히 정치적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1950년대 광주전남 지역문학의 자리 또한 역사적인 행보와 함께 하고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살핀 광주전남 지역문인들만의 좌담회를 통해서 광주전남 지역의문학은 역사적으로 혼란기였으나, 지역의 문학을 주제로 머리를 맞대고 동일화 담론을 생산해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전쟁기에는 문총구국대 전남지부의 활동에 적극적이었으며 문학담론 또한 이데올로기 안에서 자유롭지 못한 행태를 보여주었다. 이들이 생산한 담론이 중앙문단에 대한 추수적이고 다분히정치적인 의도와 목적을 가진 성격의 좌담회이기는 했지만 시대를 감당하는 문인들의 내적인 고민과 크게는 현대문학사의 변곡점을 넘는 문인들의 행보를 탐색할수 있었다. 이들의 문학적 행보, 즉 순문학을 전면에 내세우기는 했지만 이데올로기적인 행보였고, 이는 광주전남 지역문학사에 미친 영향이 사뭇 지대했다. 두 번째 살핀 중앙문인들과 지역문인들의 좌담회는 메커니즘을 확산시키기위한 절차적 행위일 가능성이 짙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문학담론은 중앙문학의 지역문학화에 역점을 둔 담론이었다. 중앙문인들로 참석한 이들이 문단권력을 쥐고 있었고, 신예문인들 또한 그들의 자장 안에 있었다는 점은 『현대문학』중심의 문단권력의 과시용이었다. 문단의 파벌이 비가시적인 형태로 침투할수 있었던 것도 지역문학이 중앙문학 추수적인 경향을 띠게 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광주전남의 문예지와 신문사의 문학좌담회는 해방이후 광주전남의 지역문학 형성과정과 정치와 문단권력 안의 광주전남 지역문학이 놓인 자리였다. 이는 광주전남 지역문학뿐만 아니라 타 지역의 문학, 또 현대문학사 기술에있어서 좀 더 세심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한국 문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의 교과과정 개선방안

        신윤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Recently,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came up in conversation and there have been extensive discussions. And, it’s very clear that Korean litera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the best teaching materials not only as a tool for communication but for individual growth. To strengthen the Korean literature statu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vitalize its usage activel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eachers. Because, diverse and creative Korean literature classes can be possible depending on capability and flexibility of teachers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a national level standard education course. Therefore, it’s the fastest way to review the course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generate better alternatives. First, I reviewed Korean literature classes in the degree and non-degree education programs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review results show that current classes in 4 categories ar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classes in the category, which are designed to provide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re rarely offered. Also, diverse study materials should have been developed and wide r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apability also should have been consid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s soon as possible and standardize systematic class curriculums by subjects in the category 3 and 4. Additionally, study material reflecting the above dire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there should be a separate education course for foreign prospective teachers. To realize all of the above, cooperation and active knowledge exchange with experts is very much required. 최근 문학의 위상이 화제로 떠오르고 여러 가지 논의가 오가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은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서 개인적 성장까지 이룰 수 있는 최고의 자료임은 확실하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의 위상을 좀 더 공고히 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집중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국어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아니라서 교사의 역량과 융통성에 따라 수업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을 양성하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점검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도 빠른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학위·비학위 과정의 문학 수업을 점검했다. 현재 4영역에 개설되는 수업은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마련되지 않았고, 실제 문학 교육론 수업을 할 수 있는 3영역의 과목은 개설이 드물었다. 또한, 학습자 편차의 문제와 적절하고 다양한 교재 개발이 미흡하다는 점도 있었다. 이에 문학 교육론의 이론적 체계를 시급히 마련하고, 3,4 영역의 과목별 교육 내용을 규범화해야 한다. 또한, 이런 내용이 반영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이 따로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전문가들의 협조와 의견 공유가 절실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