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망명자 구보 씨의 혁명 백서, 『신곡』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신곡』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전두영 ( Jeon Dooyo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4

        이 글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70∼1972)에 나타난 『신곡』의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함으로써 구보 씨의 망명자 의식과 현실에 대한 저항 의식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한다. 『신곡』의 애독자인 구보 씨는 단테가 주동 인물인 발자크의 소설 「추방자」를 찾아 읽고 마침내 꿈에서 단테가 되어 자신만의 『신곡』을 창작하는데 본고는 이 과정을 『신곡』의 상호텍스트적 독자가 상호텍스트적 작가가 되는 과정으로 분석한다. 망명자로서 구보 씨는 주류적인 해석을 거부하고 『신곡』을 망명자 단테의 삶을 중심으로 재해석하여 단테와 동류의식을 형성한다. 구보 씨에게 『신곡』은 종교적 텍스트보다는 단테를 비롯한 여러 인물의 삶과 14세기 유럽 사회를 드러내는 세속적 텍스트로 이해된다. 구보씨는 또한 발자크의 소설 「추방자」를 읽고 발자크가 망명자로서의 단테를 집중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본고는 이 집중적 묘사를 분석함으로써 「추방자」가 『신곡』에 대해 역동적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냄을 논증한다. 이 글은 또한 이러한 역동적 상호텍스트성이 꿈에서 단테가 된 구보 씨의 『신곡』 창작에서도 드러남을 보여준다. 『신곡』을 읽던 중 구보씨는 꿈에서 단테가 되어 『신곡』 창작을 둘러싼 세계로 가는데 이때 단테가 된 구보 씨는 구보 씨 당대인 1970년대의 정치 현실과 한반도의 지배 체제를 『신곡』과 단테에게 투사한다. 『신곡』과 단테의 삶에 대해 세속적 비평을 수행하는 구보 씨는 자신만의 『신곡』을 창작한다. 구보 씨가 현실에 대해 지녔던 저항성은 『신곡』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혁명임을 주장하는 것으로 드러나는데 이때 구보 씨의 『신곡』과 단테의 『신곡』 간의 상호텍스트성은 명시성을 벗어나 암시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본고는 『신곡』의 새로운 창작자로서의 구보 씨를 조명함으로써, 구보 씨가 망명자로서의 실존을 『신곡』의 단테와 작가 단테의 삶에 역동적으로 투사하여 상호텍스트적 작가의 위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한다. This article sheds light on Mr. Gubo’s sense of self-awareness as an exile and resistance to reality from a new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aspects of intertextuality of The Divine Comedy in A Day of Mr. Gubo a Novelist (1970-1972). Mr. Gubo, a favorite reader of The Divine Comedy, finds and reads the short story of Balzac, where Dante is the main character, and finally becomes Dante in his dream and creates his own The Divine Comedy. This paper analyzes this process as a process in which an intertextual reader of The Divine Comedy becomes an intertextual writer. As an exile, Mr. Gubo rejects Dante’s redemption history, a traditional and mainstream interpretation of The Divine Comedy, reinterprets The Divine Comedy around the life of Dante, forming a sense of familiarity for Dante. When Mr. Gubo conducts a secular criticism of The Divine Comedy, The Divine Comedy becomes a secular text that reveals human life including Dante and European society in the 14th century rather than a religious text. Mr. Gubo reads Balzac’s short story “The Exile,” and in his view, Balzac focuses on Dante’s life and world as an exile. By analyzing this intensive descrip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Exile” reveals dynamic intertextuality with The Divine Comedy. This article also shows that this dynamic intertextuality is revealed in the creation of The Divine Comedy by Mr. Gubo, who became Dante in a dream. In his dream, Mr. Gubo returns to society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 creation of The Divine Comedy, where he projects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1970s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Divine Comedy and Dante. Mr. Gubo, who carries out secular criticism of The Divine Comedy and Dante’s life, creates his own The Divine Comedy. Mr. Gubo’s resistance to reality is revealed in his insistence that the keyword that runs through The Divine Comedy is revolution. At this time, the intertextuality between Mr. Gubo’s The Divine Comedy and Dante’s The Divine Comedy is revealed implicitly rather than explicitly. By highlighting Mr. Gubo as a new creator of The Divine Comedy, this study understands that Mr. Gubo has the status of an intertextual writer by dynamically projecting his existence as an exile onto Dante of The Divine Comedy and the life of Dante the original auth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