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영상 UCC의 텍스트적 특징과 문화적 함의에 관한 연구

        전경란(Gyongran Jeo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2

        본 연구는 동영상 UCC를 제작하고 소비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 자체도 중요하지만 이용자들이 생산해내는 동영상 UCC는 과연 무엇인가, 어떤 속성을 지니고 있는가하는 점에 먼저 주목하였다. 동영상 UCC는 기존의 영상에서는 배제되어 왔던 사적이고 일상적인 삶의 모습이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표현 방식에 있어서도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열고 있다. 동영상 UCC는 그 구성에서 있어 기존의 관습이 무시되거나 전복되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으며, 다른 영상에서 보기 어려운 동영상 UCC만의 스펙터클을 구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동영상 UCC는 디지털 시대의 영상은 이용자가 가지고 놀 수 있는 유희물이자, 시각적 즐거움을 창조하기 위한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The new forms of contents evolved to accommodate the peculiar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of new media. The advent of digital media will give rise to another kind of visual text, video UCC(User Created Contents). Video UCC became so popular that it is not difficult at all to find them in the internet portal site. In the supply of digital instruments, the development of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UCC have the unprecedented popul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xtual aspects of UCC. Unlike in other narrative image, video UCC does not unfold its stories using logical flow of scenes and sequences in a linear manner, it presents its stories in somewhat scattered manner focusing on spectacular and vivid images. The participation in the UCC has mostly been for recreational purposes.

      • KCI등재후보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에 대한 연구

        전경란(Gyongran J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0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입체영상 콘텐츠의 중요한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주요 애니메이션기업들이 앞으로 모든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입체 방식으로 제작하기로 하는 등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기존 3D 애니메이션 콘텐츠 영역을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영상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을 고찰하고, 그것이 지닌 미학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스크린 밖의 공간은 물론 스크린 안의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입체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야기 소재, 이야기 구조, 캐릭터 디자인, 장면의 구성 등의 차원에서 입체 효과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가상현실 체험의 강조, 시각 경험을 넘어서는 육체적 다감각성을 구현하는 영상미학을 구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입체기술이 영상에 어떤 시사점을 안고 있는지 정리하고, 3D 애니메이션의 특정한 속성과 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며, 나아가 실제 3D 입체 애니메이션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3D 입체 애니메이션이 지닌 영상 특징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미학은 무엇이며, 어떤 사회문화적 함의를 안고 있는지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Stereoscopic 3D animation contents are in the rise as a key part of contents market. Major animation studios are planning to produce 3D animations in a stereoscopic process.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visual textuality of 3D animation contents at its early stage. To understand 3D animation, 〈Monster vs. Alien〉, 〈How to train your dragon〉 are analyzed. Stereoscopic 3D animations are exploring the new visual aesthetics using the specific storytelling, sequence ordering, camera working, shot size and camera angles etc. Based on these visual textualities, stereoscopic 3D animations are constructing telepresence, multi-senses of individual spectators. Stereoscopic 3D animations have formed their own aesthetics and cultural meanings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전경란(Gyongran Jeon),김영철(Young-Chul Kim)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게임의 특징이 스토리텔링 요소로 어떻게 활용, 변환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를 논의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통해 게임이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으로 확장, 변형되는 방식을 도출하였으며,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모드>가 원작 게임의 재현 요소와 콘셉트, 기본 설정을 활용하고, 캐릭터 설정 및 공간의 연결에 기반한 이야기를 구성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을 확인하였다. The research studies how features of games can be utilized and converted into storytelling elements by analyzing specific transmedia storytelling cases. For the research, <Minecraft: Story Mode> was selected for subjects of analysis. From the analysis conducted, first, how game can be expanded and transformed into interactive animations was observed. Also, use of representative elements of the original game, concepts and basic settings in <Minecraft: Story Mode> was seen. And lastly, implement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strategies that constitute narratives based on character creation and connection between spaces was also observed.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전경란(Gyongran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디지털기술은 콘텐츠의 제작과정을 매우 유연하게 하고, 그와 동시에 디지털화된 미디어는 동일 콘텐츠 혹은 동일 콘텐츠에서 변형, 수정, 가공된 콘텐츠가 자유롭게 호환될 수 있는 트랜스미디어 현상을 추동하고 있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다차원적인 속성을 지님으로써 각각의 콘텐츠 판본이 독자적인 세계를 구현하는 동시에 하나의 전체 콘텐츠 세계를 창조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들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 기반한 여러 판본의 콘텐츠를 접하면서 콘텐츠 체험을 창조하고 심화할 수 있다.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는 독자적인 미학과 존재의의를 구축하면서 콘텐츠의 텍스트적 특징, 제작원리, 소비행위등 콘텐츠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With the help of digital technology, contents production process has become flexible and transmedia situation has been in the rise. Transmedia contents is a new type of contents being based on the various media platform and establishes a consistent story world. They are newly appeared mode of contents in the age of digital convergence. Users reading and watching the several versions of story in the transmedia contents can create a comprehensive contents experience and deepen it. Developing their own aesthetics and meaning of media text, transmedia contents is changing the textuality of digital contents, contents production process and contents using behaviors and contexts.

      • KCI등재

        다큐멘터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전경란(Gyongran Jeon),이정훈(Jung Hoon Le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다양한 다큐멘터리 장르가 각각 3.1운동과 임시정부의 역사를 어떻게 스토리텔링하는지 분석하였다. 내용의 측면은 물론 스토리텔링의 양식이라는 형식적 차원에 주목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구성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큐멘터리 장르 5개 콘텐츠의 총 120편의 에피소드를 검토하였다. 이들 텍스트들은 3.1운동과 임시정부의 이야기를 서로 다른 소재를 중심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 다양한 스토리텔링 방식을 통해 각각의 이야기가 전체 큰 이야기로 구성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는 점에서 분석의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분석 결과, 다큐멘터리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스토리 차원에서 이야기의 확장성에 기반한 구성으로, 그리고 담론의 차원에서는 이용자의 경험과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는 방식으로 실재에 대한 이해를 강화한다. 이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통해 다큐멘터리가 서로 다른 이용자들의 주관적인 인식과 체험이 교차하는 참여와 성찰의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큐멘터리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이용자가 역사적 사건을 비롯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각자 나름의 결론을 내릴 수 있고 실재에 대한 의미를 스스로 구성해낼 수 있다고 기대하면서 다른 양식의 다큐멘터리에서보다 훨씬 적극적인 역할을 이용자에게 맡기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storytelling of various genres of documentaries narrating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The research focused on not only the aspect of contents but also on the aspect of form and looked into how transmedia storytelling organized in each documentary. In this research, 120 episodes of 5 genres of documentaries were examined. The documentaries had significance to analyze as they represented stories of independence movement with different sub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ocumentaries are based on narrative’s expandability in terms of story. Also, in terms of discourse, they reinforce users’ understandings on reality by expanding users’ experience and comprehension. This implies that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 documentaries could be a space of participation and introspection where different users’ subjective recognition and experience intersect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transmedia storytelling of documentaries expects that users are able to make their own conclusions on social issues including historic events and to constitute meanings of reality while it grants far much more active roles to users compared to other types of documentaries.

      • KCI등재

        중학생 대상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전경란 ( Gyongran Jeon ),김양은 ( Yangeun Kim ),김아미 ( Amie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미디어교육을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교 미디어교육 관계자들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은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과 인재상을 양성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 자원의 미비 및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문제, 그리고 학교 교육으로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이 지닌 현실적인 제약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제도가 학교미디어교육의 기반으로서 그 의의와 중요성이 공유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은 의미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한편,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교사 및 미디어교육 강사가 제시한 교육적 의의와는 달리 학생들은 실제 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결국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이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서 미디어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요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환경의 변화에 진정으로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 교육은 물론 미디어교육의 틀을 넘어서는 실험이 요구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새로운 교육적 시도와 실험의 장으로서 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dia education practice which takes place in schools as part of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s in schools. Based on experts’ opinions, this study shows that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has potential to nurture students into creative talents that the digital era requires. Despite of its limits caused by the lack of resources and social recognition as well as the practical restric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s perceiv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amongst educators and experts. However, different from experts’ positive opinions, stu-dents we interviewed made negative comments about media education programs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thorough consideration of students’ wants and need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n schools. Furthermore, for the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to respond to rapid change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it needs to transcend the boundary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existing media education practice. This study concludes that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can provide media educators with a space to try out new media education program and explore its new possi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웹다큐멘터리의 재현양식과 리얼리티에 관한 연구

        전경란(Jeon, Gyongr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다큐멘터리는 영화에서 텔레비전,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거치며 새로운 장르 형식으로 재탄생되고 있으며, 웹다큐멘터리는 그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웹다큐멘터리는 제작자와 이용자에 의해 구성되는 다큐멘터리로, 이용자의 상호작용이 절대적인 새로운 유형의 텍스트이다. 이 연구에서는 <석탄 끝으로의 여행(Journey to the End of Coal)>과 <프리즌 밸리(Prison Valley)> 등 두 편의 웹 다큐멘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웹다큐멘터리가 웹이 표현매체로서 지닌 특징들을 어떻게 활용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현실을 체험하도록 유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웹다큐멘터리는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이중적, 공간적 구조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백과사전적 특징과 같은 특징을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현실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에 직접 대면토록 한다. 또한 웹다큐멘터리는 이용자에게 다큐멘터리를 진행시키고 텍스트를 확장하는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현실을 탐구해가는 주체로서의 의식을 자극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웹다큐멘터리의 이용자는 다큐멘터리가 제안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이면의 의미를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들은 웹다큐멘터리를 현실을 추구하는 방식은 물론 그것이 지닌 의미에 있어서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와 차별화된 텍스트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웹다큐멘터리 현상의 혁신적인 지위는 분명해지며, 웹다큐멘터리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웹다큐멘터리는 단순히 새로운 미디어 기술 현상을 넘어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Documentaries are being recreated into a new genre and the Web Documentary is the typical case. Web Documentaries are the documentaries those comprise creators and users and they are the novel type of text that the interaction with users is absolute. In this research, two Web Documentaries <Journey to the End of Coal> and <Prison Valley> are analyzed for examining how Web utilizes its features as expressive media inducing users to experience reality. Web Documentaries have dual and spatial structure that allows user interaction and make users to face with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reality by its encyclopedic characteristics. Also, Web Documentaries give the role of progressing documentary and expanding text to users and that is, they stimulate users’ consciousness reminding that they are the ones who explore through reality. In this process, users of Web Documentaries get potentiality of critically examining the reality suggested by documentaries and grasping the meanings beneath it. These features make Web Documentaries special contrast to traditional documentaries not only with their way of pursuing the reality but also with their meanings. This makes the innovative position of Web Documentaries phenomenon clear, issuing the necessity of the discussion about Web Documentaries more strongly. Web Documentaries are not just new media technological phenomenon, and they have their significance as a fundamental challenge toward traditional document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