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의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아미(Amie Kim)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유튜브라는 공간에서 어떠한 경험과 인식을 키워가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표현, 소통,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초등학생이 어떠한 소통의 양식을 익히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실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디어 문화에 대한 교육적 대응은 어떠해야 할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속한 2개 초등학교를 섭외하여, 5-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점그룹면담을 진행하였고,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사용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와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유튜브를 감정을 주고받는 공간이자, 비공식적 학습의 공간, 정체성 구현 및 실험의 공간으로 경험하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 사용 경험을 통해 유튜브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축적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교사나 학교, 가정 차원의 교육적 개입 및 대응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ltural experience of children in YouTube. This study aims to find explaination about the ways in which children communicate with others and oneself in YouTube, which is a platform afford users to express, communicate and network.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how education should response to the media culture that has a great impact on the children"s real lif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s placed in the Gyeonggi province were chose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hildren in grades 5-6 were conducted. In addi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xt of media use of children,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teachers and experts.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experience and perceive YouTube as a place to exchange emotions, a space of informal learning, a space of identity building and experimentation. At the same time, children are accumulating empirical knowledge about YouTube through their trial and error in YouTube. This study suggests that to support children’s active and healthy usage of YouTube and eventually digital media, teachers’ and parents’ interventions based on appropriate understandings of young people’s meaning-making of the media are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아미(Kim, Ami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ltural experience of children in YouTube. This study aims to find explaination about the ways in which children communicate with others and oneself in YouTube, which is a platform afford users to express, communicate and network.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how education should response to the media culture that has a great impact on the children s real lif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s placed in the Gyeonggi province were chose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hildren in grades 5-6 were conducted. In addi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xt of media use of children,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teachers and experts.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experience and perceive YouTube as a place to exchange emotions, a space of informal learning, a space of identity building and experimentation. At the same time, children are accumulating empirical knowledge about YouTube through their trial and error in YouTube. This study suggests that to support children’s active and healthy usage of YouTube and eventually digital media, teachers’ and parents’ interventions based on appropriate understandings of young people’s meaning-making of the media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유튜브라는 소셜 미디어 기반 공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떠한 인식을 키워가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표현, 소통,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초등학생이 어떠한 소통의 양식을 익히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실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디어 문화에 대한 교육적 대응은 어떠해야 할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관내 5-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점그룹면담을 진행하였고,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사용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와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유튜브를 감정을 주고받는 공간이자, 비공식적 학습의 공간, 정체성 구현 및 실험의 공간으로 경험하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 사용 경험을 통해 유튜브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축적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교사나 학교, 가정 차원의 교육적 개입 및 대응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시각적 연구방법에 대한 인식론적·방법론적 고찰

        김아미 ( Kim Ami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시각적 연구방법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시각적 연구방법론이 교육학 연구에 가지는 함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가 주도적으로 수집 혹은 생산한 시각 자료(예를 들어, 사진, 영상, 그림 등)와 그것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해석을 주 자료로 삼는 시각적 연구방법은 어린이와 청소년 관련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연구 참여자의 목소리를 강조하는 최근의 질적 연구 경향에의 적합성이나, 어린이·청소년 연구 참여자들이 처해있는 문화 환경에 대한 보다 유효한 접근을 돕는다는 점에서 시각적 연구방법은 강점을 지닌다. 그러나 실제 연구에 시각적 연구방법을 활용했을 때 자료의 수집과 해석의 과정에서 언어기반 연구방법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난점이 존재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 연구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시각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시각적 연구방법이 내포하고 있는 인식론적 함의를 살펴보고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의는 시각적 연구방법이 가지는 유효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시각적 연구방법을 활용하는 연구자의 형성적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visual methodology in educational research by discussing its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Recently, visual methodology is actively us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looking into children and the youth. Visual methods they use focuses on what research participants themselves produced (e.g. photograph, moving images, picture, etc.) instead of discussing over the visual materials that are chosen by the researcher. Visual methods have strengths as they enable the emic perspective, which recent qualitative research emphasize, and enable researchers to access the `authentic`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e. However, when visual methods are used in actual research,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which are not revealed in language-based research methods. Examining the literature about visual methodology as well as previous studies based on visual methodology, this study discusses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visual methodology and analyzes it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Ultimately, in addition to discussing the advantage of using visual methods, this study argues the importance of the formative role of researchers using visual research methods.

      • KCI등재

        혁신학교인 K중학교를 통해 본 자유학년제 운영 특징에 대한 사례 연구

        김아람 ( Kim Aram ),김아미 ( Kim Ami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를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난 2017년 경기도교육청을 비롯한 몇몇 시도교육청에서 전면 시행되었다. 이후 2018년도에는 교육부의 적극적인 권고로 전국 중학교의 절반에 해당하는 1500여교에서 자유학년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난 2017년도에 자유학년제를 시행한 K중학교를 중심으로 자유학년제 운영사례를 소개하고, 혁신학교인 K중학교의 문화적 맥락이 자유학년제 실천에서 어떠한 특징으로 드러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와 연계 자유학기의 일반 교과수업 및 자유학기 프로그램 수업을 참여관찰하였고, 교사(5명), 학생(9명), 학부모(2명)를 대상으로 개별 또는 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혁신학교인 K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실천에서는 크게 세 가지 특징이 드러났다. 첫째, 교사 중심으로 형성된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혁신학교 문화가 자유학년제가 잘 운영될 수 있는 핵심적인 토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K중학교 교사들은 자유학년제 도입 이전부터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수업개선을 꾸준히 실천하며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구성해나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학년제에서 요구되는 수업이나 활동이 K중학교 교사들에게는 기존에 해오던 수업개선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학생들 또한 일반 교과수업과 자유학기 프로그램의 차이를 크게 느끼지 못하였다. 셋째, K중학교의 자유학년제는 매우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 학부모에게는 행복과 불안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사들에게는 과도한 업무로 인한 부담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고, 학생과 학부모에게는 대학입시를 비록한 평가제도의 변화 없는 자유학년이 마냥 즐거울 수 없는 기간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년제와 혁신학교가 확대되는 최근 한국교육의 정책적 흐름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Free Year program is an educational policy introduced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a few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17. It expands the free semester program into a year-long program by including free semester programs into the following semester. In 2018, the Ministry of Education actively promotes a Free Year program in 1,500 schools, half of the nation's middle school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ase of Free Year program run by K middle school in 2017. It focuses on how K middle school’s school culture as an innovative school contributed to its implementation of the Free Year program. Researchers observed classes throughout the year,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5 teachers and 2 parents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9 students. This study reveals three characteristics of K middle school when implementing the Free Year program. First, the teacher-centered, open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the innovative school supported its implementation of the new program. Secondly, K middle school teachers have already been constructing professional identities as experts who autonomously redesign curriculum. These experiences supported teachers when introducing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for the Free Year. Students followed teachers’ innov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hich lessen their burdens of accepting new programs during the Free Year. Lastly, despite of its stable operation of the Free Yea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K middle school showed both satisfaction and anxieties. Teachers had to endure excessive workloads. Parents and students could not enBoy the Free Year programs whole-heartedly as they still face the entrance exam for universit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on the recent educational policy trends in Korea which focus on expanding innovative schools and the Free Year program.

      • KCI등재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주혜(Joohye Park),김아미(Ami Kim),홍경화(Kyungwha Ho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5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과 이들의 공통성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년 이상의 신앙 경력을 가진 전업주부로 초기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선정하였고 총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양육 경험에 대해 72개의 주제와 20개의 주제군, 6개의 범주로 도출이 되었다. 6개의 범주는 각각 ‘양육 중 훈육과 교육,’‘양육의 어려움,’‘양육에 동반되는 감정들,’‘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양육과 함께 경험하는 자신의 변화,’ ‘도움과 필요들’로 나타났다. 자녀양육 경험의 신앙적 공통점에 대한 결과는 17개의 주제와 9개의 주제군, 6개의 범주로 도출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볼 수 있었고, 향후 부모교육 및 자녀양육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commonalities of mothers with Christian faith in their child rearing experience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five participants who were full-time housewives with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All five participants had been Christians for more than 16 years.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72 themes, 20 theme clusters, and six categories were derived regarding participants" child rearing experiences. The six categories were "discipline and education during child rearing," "difficulties in child rearing," "emotions accompanying child rearing," "copying with challenges to child rearing," "changes in their own experience with child rearing" and "areas of needs." In addition, there were 17 themes, 9 theme clusters, and six categories regarding faith related child rearing experiences. This study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in understanding Christian mothers"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depth and can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arent education and parenting programs.

      • KCI등재

        중학생 대상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전경란 ( Gyongran Jeon ),김양은 ( Yangeun Kim ),김아미 ( Amie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미디어교육을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교 미디어교육 관계자들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은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과 인재상을 양성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 자원의 미비 및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문제, 그리고 학교 교육으로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이 지닌 현실적인 제약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제도가 학교미디어교육의 기반으로서 그 의의와 중요성이 공유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은 의미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한편,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교사 및 미디어교육 강사가 제시한 교육적 의의와는 달리 학생들은 실제 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결국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이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서 미디어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요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환경의 변화에 진정으로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 교육은 물론 미디어교육의 틀을 넘어서는 실험이 요구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새로운 교육적 시도와 실험의 장으로서 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dia education practice which takes place in schools as part of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s in schools. Based on experts’ opinions, this study shows that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has potential to nurture students into creative talents that the digital era requires. Despite of its limits caused by the lack of resources and social recognition as well as the practical restric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s perceiv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amongst educators and experts. However, different from experts’ positive opinions, stu-dents we interviewed made negative comments about media education programs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thorough consideration of students’ wants and need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n schools. Furthermore, for the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to respond to rapid change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it needs to transcend the boundary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existing media education practice. This study concludes that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can provide media educators with a space to try out new media education program and explore its new possi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