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

        정윤경(Chung, Yun-Kyoung)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고는 현재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타당한지 분석하고,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준거는 ‘교육내용의 다양성’, ‘학습자의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Ⅱ, Ⅲ장에서 교육내용, 학습자의 마음의 발달 과정, 교사의 가르침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관련지어 논의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의 특성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라는 준거에 비추어 볼 때, 현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해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또한 교사의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와 신설 교과가 과연 교사의 인성교육 발달을 위해 적합한 것인지 분석 준거에 비추어 논의할 것이다. 분석에 따르면,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은 행위 습관 형성을 위한 실습, 이성 능력 외 마음(가슴)의 발달, 실천적 지식,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사의 사람됨(인성)이 중시되어 교육되어야할 것이다. 교사의 사람됨을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은 도구적이고 기능적 접근에서 특정 과목의 신설이 아니라, 교사의 인성이 곧 교사의 전문성임을 인식하고 교사교육이 직업인 훈련의 과정이 아니라 다방면의 균형 잡힌 관점을 지닌 사람됨의 인간교육임을 분명히 하는 데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사 교육은 교사의 사람됨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적 교양교육의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an analysis of whether the teacher education is proper for teachers character development and of an investigation of desirable teacher education. There are three criteria in the analysis, which are ‘diversity of subject-matter’, ‘mind integrity of learners’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charac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eaching as a practice’. To this end, I examined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related to the diversity of subject-matter, mind integrity of learners and the characteristic of teaching in ch.Ⅱ, Ⅲ. I analysed the teach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in ch. Ⅳ. According to the analysis, teacher education should reinforce the practice for building conduct habit, development of heart(not only mind focusing on reason) and practical knowledge. These could not be done by organizing a new course or program but by forming the culture of education which considers teaching as a practice and education as a building the character of human being. In short,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one as an approach of cultivating the humanity of promising teachers.

      • KCI등재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탐색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학이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수용하여 포스트휴먼 감응교육(posthuman affect education)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낯선 질문을 통해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대두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포스트휴먼교육학적 시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필요성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의 의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으로의 변화를 탐색하고,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한 조건을 논의하였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이 만나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Deleuze의 사유에 기초한 ‘감응’(affect)개념을 결합하여 구성한 개념이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먼 조건이 야기한 차이와 다양성, 이질성과 상호교차성 등의 변화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고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교육 가능성을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첫째, 지속적 되기와 상호관계성 교육으로 고립된 실체로서 개인의 번영을 강조한 발달주의 교육 너머의 교육을 보여준다. 둘째, 사물(장치)의 능동적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학습 활동의 의미를 확장한다. 셋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사물(기술)의 능동성을 고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의 변화와 사물(장치)의 행위성이 가져올,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결과에 대해서도 감응케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관계’에서 다시 비판적 성찰을 요청한다. 넷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비의도적 우연성 교육의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보편적이고 표준화된 이론에 포착되지 않는, 교육의 복합성과 다양성에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제한된 변수들의 인과관계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 대신, 교육이 변용 과정에서 낯설고 이질적인 다양성을 만나 새로움을 창안해갈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해서는 열린 휴머니즘과 규범의 지향, 상호관계성 안의 생명과 지속가능성 추구, 지속적 되기 과정에서 관계항에 대한 책임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to expl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s posthuman conditions and the emergence of posthumanism by raising unfamiliar questions; Chapter III examine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Based on this, Chapter Ⅳ discusses the necessity of posthuman sensitivity, the meaning of posthuman affect education, and the changes having made in education toward posthuman affec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ditions necessary to realize a posthuman affect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responds to changes triggered by posthuman conditions. The concept of ‘affect’ based on Gilles Deleuze's thoughts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connections with unfamiliar beings and variations in the continuing process of becoming. Posthuman affect education, first of all, reveals becoming and interrelated education, overcoming developmentalism that emphasizes the prosperity of an individual subject as an isolated entity. Second, by considering the active role of objects(devices), meanings of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to be extended. Third, whil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akes into account the activeness of things(technology), it also allows us to affect to potential consequences that are yet to be realized. Theref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calls again for critical reflection on ‘interrelationships.’ Fourth, by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accidental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presents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and diversity in education, which can hardly be captured by universal and standardized theories. Finally, posthuman affect education, instead of presenting the confidence that education can be explained in a causal relationship with limited variables, suggests that education be dedicated in creating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becoming by encountering the unfamiliar and heterogeneous diversities.

      • KCI등재후보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 비교 : 교육혁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윤경(Chung, Yun Ky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레지오(Reggio Emilia)와 발도르프(Waldorf) 유아교육이 지닌 교육 혁신적 특성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사용하여,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이 갖는 교육 혁신적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유아교육은 모두 유아 존재를 유아교육의 출발점이자 목적으로 강조한다. 둘째, 두 유아교육은 이성 중심 주체, 완비된 실체로서 개별 주체라는 근대적 주체 개념 대신, 대안적 주체로서의 유아관을 보여줌으로써, 근대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두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과 수용이 아닌 새로움의 창발을 강조하면서 창의적 교육을 지향한다. 넷째, 두 유아교육은 교사-유아 간 관계의 중요성과 교사의 지속적인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은 모두 교육(학)에서의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이라는 오래된 난제를 극복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innovativ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Reggio Emilia approach and Waldor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both educations was that both of the tw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related literatur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of the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pproach emphasized the children themselves as the starting point and purpose of education. This is in line with the ‘child-centered innovation plan advocated in the「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Second, the two education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by showing child as an alternative subject. Reggio Emilia approach regarded child as a changeable subject which is open to a continuous mutual process with meaningful others, and Waldorf education considered a child as a integrated existence of body, soul, and spirit. Third, the two education aimed for creative education, emphasizing the emergence of novelty, not the transfer and acceptance of knowledge. Fourth, the two educa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child and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growth of teachers. Finally, Reggio and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old difficulty of the dichotomy of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

      • KCI등재

        미국 여성 시청자의 한류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정윤경(Yoon-Kyung Chung),유세경(Sae-Kyung Yu),이혜은(Hye Eun Lee),김지하(Ji-H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에서는 해외 프로그램 수용 모델을 도입, 한류를 소비하는 이질 문화권 수용자 특성과 노출, 평가가 지속적인 시청 의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미국의 젊은 여성 수용자 176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한국 인지도, 일반적인 드라마 노출이 한국 드라마 노출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드라마 평가, 지속 시청 의향에도 간접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드라마 노출은 드라마에 대한 평가와 지속 소비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드라마 평가가 지속 시청 의향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인 네트워크는 종속 변인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질 문화권 수용자의 문화적 자산이 한국 드라마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드라마 소비 성향이 이질 드라마의 소비로 연장된다는 본 연구의 결과 역시 의미 있는 발견으로, 한류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mploys model of susceptibility to imported media to examine Korean drama exposure, evaluation and viewing intention among viewers living in foreign cultural background.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176 female viewers in the U.S., it founds knowledge about Korea and general drama exposure give direct effect on the future viewing intention. Korean drama exposure directly affects drama evaluation and viewing intention. Korean network, however,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cultural capital of foreign viewers has effects on Korean drama consumption. Another result that behavior of general drama consumption has contributed to Korean drama consumption gives meaningful implication for the policy of Korean television export.

      • KCI등재후보

        교사의 인성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정윤경(Chung Yun-kyo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25 No.2

        본 연구는 교사교육기관에서 교사교육을 하는 이들의 경험을 면담을 통해 교사의 인성 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천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교사교육자 6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는 교사의 인성교육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수업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하고 있다. 한편, 인성교육의 필 요성을 별로 인식하지 못했다고 한 연구참여자는 수업에서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노력 에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자의 노력은 다 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담당교과목의 목표가 곧 인성교육이라고 가정하는 것에서부터 교 과목 내용과 인성발달을 관련짓기, 교과 특성에 맞게 교수방법의 다양화, 그리고 평가방 법과 과제 형식도 인성 발달을 위해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그런데 강의계획서 상에 ‘인성교육’관련 내용은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넷째, 교사의 인성교육의 중요성 을 강조한 것에 비해서 교사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인성교육은 비중 있고 체계적으로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참여자들은 교사교육자의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성 발달을 위한 교양교육의 확대, 봉사활동 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의 기회제공, 교육봉사활동의 내실화, 그리고 인성교육 강화를 위 한 시스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of six educators at an institution for teacher train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n-site observat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perceived character education as important and practiced it in various ways in their classes. One participant, however, stated that she did not perceive a great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displayed a passive attitude toward it in practice. Second, teacher educators endeavor to develop teachers’ characters in various ways such as presenting character education as the goal of the lecture, relating the curriculum contents to character development, diversifying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evaluation methods and tasks for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syllabus, however, did not explicitly state any words and content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Fourth, compared to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haracter eduction, institutions for teacher training are not providing such eduction in a significant and systematic manner . Fifth, as a solutions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 participants suggested raising awareness of teacher educator, expanding liberal arts education for character development,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including volunteer activities, enrichment of teaching volunteer, and using a systematic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탈학교담론을 통해 본 학교교육의 의미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4

        코로나19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일상화를 경험했다. 비대면 교육의 일상화가 교육격차 확대, 돌봄 공백, 사회적ㆍ정서적 관계의 어려움 등을 야기하면서, 우리는 다시 ‘학교’와 ‘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성찰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것은 90년대 후반 ‘학교붕괴’ 라는 논쟁의 대두 속에서 학교교육의 위기를 고민했던 것과는 또 다른 상황에서 학교교육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미래 학교교육 방향 탐색의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제도 비판과 대안적 교육을 모색해 온 탈학교(대안교육)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학교교육 비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개관하며, Ⅲ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탈학교담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고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탈학교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학교담론은 공교육제도의 모순을 비판하고 교육의 본질 회복을 촉구한다. 둘째, 탈학교담론은 노작의 교육적 가치를 포함한 전인교육, 생태적 교육과 공동체 교육의 가치를 역설한다. 셋째, 탈학교담론의 전개과정은 의무교육을 모든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권리로 간주해야 함을 강조하며, 교육의 공공성의 의미를 제고한다. 넷째, 탈학교담론은 국가의 교육독점을 비판하고 학교밖 다양한 배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탈학교담론은 학교가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따라서 교육이 시대변화에 따라 혁신해갈 것을 촉구한다. We have experienced the new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As the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has widened educational gaps, gaps in care, and difficulties in social and emotional relations, we need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and "education" again. This presented the need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a different situation from through criticism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nd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that has sought alternative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d the meaning of deschooling discourseo and outlined the history of criticism of school education, and Chapter II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apter IV reflected on the meaning of school education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hooling discourse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urged the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econd,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e values of whole education inclu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labor, ecological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Thir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at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right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for all people and enhanced the meaning of the publicity of education. Fourth,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criticized the nation's monopoly 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learning outside of school. Finally,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presupposed that schools are historical products, and therefore urged education to innovate as the times change.

      • KCI등재

        N스크린 시대 온라인 비디오 콘텐츠 유통 비즈니스 모델 비교를 위한 넷플릭스(Netflix)와 훌루(Hulu) 연구

        정윤경(Yoon-Kyung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콘텐츠 유통 사업자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기 위하여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의 넷플릭스와 훌루를 분석하였다. STOF분석 틀을 도입, 두 사업자의 외부 환경, 서비스 영역, 조직 영역, 재무 영역을 분석하여 본 결과, 초기 비즈니스 모델은 분명하게 차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는 저렴한 비용으로 온, 오프라인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성장할 수 있었던 반면, 훌루는 유료 방송과의 경쟁에 직면하여 수용자 락인을 목적으로 무료 서비스를 시작함으로써 광고 없이 TV 콘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수용자를 끌어들일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두 사업자의 비즈니스 모델은 동질화되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장의 경쟁 심화와 서비스 영역의 동질화가 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경쟁 심화라는 외부 환경적 요인은 콘텐츠 소싱 비용의 증가 및 수익률 감소로 직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콘텐츠 및 수용자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차별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number of online video content distributors are rapidly increasing in N-scree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siness model of these distributors, especially Netflix and Hulu. Basis on STOF model, environmental domain, service domain, organization domain and financial domain of each company are analyzed and compared. This study finds that each companys business model had distinct characters in earlier stage. Netflix offered online and offline service in low cost, while Hulu offered up-to-date TV contents without fees. However, two companies business models are getting simila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and increasing content budget affect two companies to adopt similar business model to survive.

      • KCI등재후보

        한국교육의 역사 속에서 살펴본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

        정윤경 ( Yun Kyoung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본고는 초등교육의 의미가 한국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은 교육대상인 아동, 교육과정(교육목적과 내용),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본고의 시기 구분은 초등교육을 담당한 학교 명칭의 변화를 준거로 하여, 서당시기(조선), 소학교 시기(갑오개혁∼1906년), 보통학교 시기(1906년 보통학교령∼1941년 초등학교령 이전), 국민 학교 시기(1941년 국민학교령∼1996년), 초등학교 시기(1996년 이후)로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Ⅱ장에서는 초등교육 대상인 아동을 보는 관점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과정(또는 교재)에 나타난 초등 교육목적과 내용, 그리고 시대사회적 배경 속에서 초등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한국 역사 속에서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초등교육의 과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have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Korean history. The analysis is done with focusing on the meaning of child(subject of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aims & content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social percep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he period of analysis is classified on the basis of change of elementary school names. The period of analysis is as follows: Seodang period(Chosun Dynasty), the Gabo Reformation -1906, 1906-1941 elementary education rules, 1941-1996(the year of changing school name into elementary school), after 1996.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meaning of a child through Korean history was analyzed in ch. Ⅱ. The aims, contents, and social percep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period were searched in ch. Ⅲ. Based on the discussion so far,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discussed and the tasks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방송 외주정책의 제작인력 동기구축 성과

        정윤경(Yoon Kyung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지난 25년 동안 외주 정책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제작 인력에 대한 성과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외주 정책 논의에서 배제되었던 제작 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만족도와 동기 부여에 외주 정책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업인과 예비 방송인은 모두 외주정책이 제작시장이나 인력 시장의 왜곡을 가져왔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주정책은 현업인들의 제작 동기부여를 위축시키고, 예비인력이 제작 현장을 기피하고 나아가 일치감치 꿈을 접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제작 인력의 창의력이 문화 산업의 핵심 가치로 인식되고 있는 오늘날의 규제 패러다임에 비추어 볼 때, 외주 정책은 제작 인력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적극적 유인과 보상 정책으로 선회할 필요가 있다. During the last 25 years, independent TV production programing quota policy has been actively evaluated in various aspects except in the field of production personnel. This study focuses on production personnel who has been neglected among the debate of independent TV production programing policy.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effect that the policy has brought to production personnel’s motivation.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4 professionals and 6 media major seni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finds that both broadcasting and independent company professionals evaluated the policy performance in negative way. They insist the policy constricts their motivation for production. College students agreed they become unwilling to entering the production filed. The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and turn to positive incentives and rewards to motivate production perso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