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과 지방, 중심도시와 주변도시의미디어 갈등 담론 : 원주지역 언론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임종석 한국지역언론학회 2024 언론과학연구 Vol.24 No.4

        한국사회에서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는 해가 갈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항대립구조에 미디어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 이들 사이의 미디어 담론연구는 주로 미디어의 재현방식과 내용분석에 치중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담론구조가 지역언론사들이 지역뉴스와 콘텐츠를 보도 제작하는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중앙과 지방은 물론 도청소재지 등 지방 중심도시와 주변 중소도시의 지역언론사 간에 어떠한 갈등구조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지역에서 인구(수용자)와 경제규모 등 최대 도시지만 언론 현실은 소외돼 주변 중소도시에 해당하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의 일선 취재기자와 PD 등 지역언론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앙언론과의 갈등구조는 지역사회에서 취재 보도해 왔음에도 중앙언론사가 취재에 나설 경우 지역언론사들은 뒤로 물러나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원주혁신도시에 이전한 지방이전 공공기관들도 지역에 대한 관심이 소홀하고 형식적으로만 지역언론사를 상대할 뿐이다. KBS원주방송처럼 지역국은 본사 경영난을 이유로 언제든지 구조조정의 대상이 되면서 지역공영방송의 가치와 저널리즘 실천이 훼손될 수 있다. 둘째, 중심도시와 주변도시 언론의 갈등구조는 출입처 기자단 운영의 폐쇄성, 도청소재지 중심의 보도와 이슈독점 현상이었다. 도내 최대도시인 원주와 도청소재지인 춘천의 지역언론사 사이에는 지역간 입장이 갈리는 이슈에 대한 선명한 보도 갈등 양상을 보였다. 셋째,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생존 방안과 관련하여 지역언론인들은 그동안 지역언론이 쌓아온 정보와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민의 삶에 더욱 밀착하는 보도와 저널리즘의 회복을 제시하였다. 중앙언론의 폐단을 답습하거나 중앙뉴스를 중계하면서 안주하는 관행을 타파하고 지역민이 참여하도록 하는 공익적 기능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주변 중소도시(기초자치단체)의 지역언론인은 뉴스보도 및 방송제작 환경에서 중앙언론과 지방 중심도시(도청소재지) 언론으로부터 타자 또는 주변화된 존재로서 이중적 차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존립의 위기감 속에서도 지역언론으로서 지역민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고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강화해 나갈 때 지역공동체를 위한 지속적인 역할에 이바지할 수 있다.

      • KCI등재

        통합신공항 건설을 둘러싼 지역 언론사 보도 태도 비교 연구

        권장원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porting attitudes between regional and inter-regional media outlets on the conflict situation in the process of attracting a new integrated airport in Daegu and Gyeongbu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dia companies in Daegu-Gyeongsangbuk area are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information and voices from local governments and political circles lead the overall public opinion situation through local media reports. On the other hand, national newspapers report overall facts surrounding conflict and compromise, and media companies in neighboring areas of Busan-Ulsan-Gyeongnam deal with the integrated new airport issue in terms of interests based on local government perspective rather than overall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editorial shows limitations in seeking mutual understanding and win-win measures between local governments by using expressions that can stimulate competition or conflict. 본 연구는 대구경북의 통합신공항 유치 과정에서의 갈등 상황에 대한 지역 내, 지역 간 언론사 간 보도 태도에 따른 특징과 문제점을 전체 보도와 사설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 언론사의 공적 역할 수행에 따른 보도 지향점을 모색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대구경북 지역에서의 언론사들은 전반적인 차원에서 지자체와 정치권에서 비롯된 정보와 목소리가 지역 언론사 보도를 통해 전체적인 여론 상황을 이끌어가는 형국을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중앙 언론사들은 갈등과 타협을 둘러싼 전반적인 사실 보도에, 인접 지역인 부울경 지역에서의 언론사들은 통합신공항 사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보다 지자체의 이익 여부에 따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와 함께, 사설에서는 대구 및 부울경 지역 공히, 통합신공항 사안에 대해 ‘관문공항’, ‘동네공항’, ‘딴죽걸기’, ‘발목잡기’ 등과 같은 경쟁이나 갈등을 정서적인 차원에서 자극할 수 있는 표현들을 사용해, 지자체 간의 상호 이해와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언론협동조합 기반의 지역 주간신문 성과와 과제에 관한 시론적 연구 :거창지역 ‘한들신문’을 중심으로

        송준섭,김연식 한국지역언론학회 2019 언론과학연구 Vol.19 No.1

        Recently, local weekly newspapers established by a cooperative association have been released and they are gaining a high reputation in terms of its achievement for the good journalism during a short period. Handeul Newspaper is sure to be a good example of this. Cooperative members of Handeul Newspaper have felt proud, in that they participate to make their own local newspaper. More specifically, the members do multiple-roles: paying monthly membership fees as members and covering stories for the newspaper as reporters. Also, they join in group activities such as small group discu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spaper and in recreation events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These activities have helped revitalize locality, which seemed to have been declining gradually in local journalism field. Cooperative members are running their newspaper in a more democratic way compared to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 Handuel Newspaper established by a cooperative association provided a new model for successful local newspapers in the field of civic and public journalism. 언론협동조합으로 세운 지역 주간신문은 아직 발전 단계에 있지만 설립 취지에 맞게 조합원 중심의 참여 그리고 지역성 실현, 편집권과 경영의 독립에 초점을 맞추어활동하고 있다. 언론협동조합 조합원은 단지 조합비만 내는 것이 아니라 무급 기자나 시민 기자 등의 자격으로 직접 취재와 기사 쓰기를 하고 있으며 지면 광고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재정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도움으로써 외부 자본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준다. 이 외에 소모임 활동, 체육대회 등을 통해 조합원간의 친목과 단결을 다지면서 ‘우리 지역’ 신문을 발행한다고 자부한다. 이와 같은 언론협동조합 활동은 지역 주간신문이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지역성을 충분히 구현하는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언론협동조합 기반의 지역 주간신문은 공공저널리즘이나 시민 저널리즘의 실천 영역에서 기존 지역 언론사들이 맞닥뜨렸던 벽을 넘어새로운 지역 언론의 모델을 만들고 있다.

      • KCI등재

        지역 언론 유튜브 채널의 특징과 개선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역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 사례를 중심으로

        주은신 한국지역언론학회 2020 언론과학연구 Vol.20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ibilities of local media utilizing and developing YouTube as a way to secure new distribution networks and enhance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new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local media’s YouTube news chanels were reviewed through YouTube API data,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experts in the field of digital media contents production to discus characteristics, improvement direction, and limitations of chanel operation. Curently, many companies had made numerical outcomes with digital-only content reflecting local colors or using their own video archive system, but most of them were focusing more on expanding the chanel’s external or short-term performances through TV replay videos. One notable feature was that despite the relatively por infrastructure, some local dailies had distinct chanel identity and customized digital content, making them even more competitive tha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lthough the interaction betwen users and media companies was above a certain level, there were stil many pasive forms. Digital media experts stresed that the YouTube chanel of local media should establish its’ own identity and have the ability to produce content based on users’ neds and desires. Also, the two-way communication cap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to become a public forum for regional isues that anyone can easily participate in, and that such voices should be reflected through content. This shows the posibility of local media’s YouTube chanel developing as a modified community journalism in the new media era beyond the perception of one of news distribution chanels.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지역 언론의 유튜브 진출 사례를 주목하고 새로운 유통망 확보와 온라인 콘텐츠 역량 강화의 방안으로서 유튜브 활용과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의 유튜브 채널의 현황을 유튜브 API 데이터로 살펴보고, 뉴미디어 분야의 시사․뉴스 콘텐츠 제작실무진들을 대상으로 채널 운영 특징과, 경쟁력 개선 방안, 한계점 등을 검토하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재 많은 지역의 언론사들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수치적인 성과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색을 반영하고 영상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이슈를따라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 전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대부분이 방송 다시보기 서비스에 치중하는 형태로 채널 외연의 확장과 단기적 성과에 더욱 치중하고 있었다. 눈에 띄는 특징은 몇몇의 지역 일간지는 상대적으로 열약한 인프라에도 뚜렷한 정체성과 맞춤형 콘텐츠로 지역 방송사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용자와 언론사 간의 상호작용은 각 언론사의 여건에 맞게 일정 수준 이루어지고있었으나 소극적인 형태가 많았다. 지역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진들은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로서 정체성과 중장기적 비전의 확립이 선행되어야하며, 유튜브에 맞는 콘텐츠 소구력을 갖춰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쌍방향적 소통 역량을 강화하여 누구나쉽게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이슈의 공론장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소리는 콘텐츠를 통해 발현되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이 뉴스 유통 채널의 다변화수단이라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뉴미디어 시대의 변형된 커뮤니티 저널리즘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그러나 저예산과 제한된 인력만으로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만 지향하는 언론사의 내부 분위기는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 KCI등재

        지역에서 대안적 독립언론 상상하기 : 급진적 민주주의와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

        남궁협 한국지역언론학회 2018 언론과학연구 Vol.18 No.4

        In Korea overall reconstruction of society has been required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Media are no exception to this context. Especially considering local media in danger, it is required that there be metaphorical flight and radical reflec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North-South problems and regional issues are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improving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Of these two problems regional issues are related to better democracy, demanding that we should consider imagination of new democratic system and local media.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focus on only media in treating the problems of local media. Instead, it is suggested that we discuss how local community should be formed and how the media should be existed. This paper proposes that we should seek out emotional mode of journalism contributing to disclosure of social contradictions rather than such traditional values as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촛불혁명 이후 한국사회는 총체적인 재구조화를 요구받고 있다. 여기서 언론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지역 언론 상황은 매우 절망적이어서 본질적이고 대담한 상상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변혁하려면 남북문제와 지역문제의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한 과제다. 이 중 지역문제는 더 나은 민주주의와 관련된 것이어서 새로운 민주주의에 대한 상상과 그에 걸맞는 새로운 언론의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 언론의 문제는 언론에만 국한하여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신에 새로운 민주주의의 구도 속에서 지역공동체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맥락에서 언론의 존재방식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기존의 보도 양식, 즉 객관성과 중립성을 폐기하고 사회모순을 적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감성적 저널리즘의 실천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미 지난 세월호 참사 때 보여준 SNS와 팟캐스트 등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들이 주류 미디어의 감성적 보도 양식을 통해 대안적 미디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지역이라는 작은 공간은 대안적 독립언론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생태조건이다. 따라서 지역과 언론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역 언론을 새삼스럽게 고치려는 노력보다는 대안적인 독립언론을 창설해서 새로운 보도양식을 적극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성향에 관한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한웅,엄기열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appropriateness of the use of the term 'regionalism' and the methodological validity of the content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es done by communication scholars who have argued that regionalistic reporting of the local daily press has instigated, or at least has contributed to, regional antagonistic feeling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researches have relied solely on the negative aspect of the term regionalism although the concept of regionalism has a positive and dynamic element in that it gives a social and historical identity to the constituents of a particular region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the basic foundation on which the local economy and grass roots democracy can flourished.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rough which these previous researches have drawn their conclusion was problematic because the analytical period of their research mostly coincides with the volatile times of the local or the presidential elections and also because mostly the headlines, not the whole contents, of the local press reports were analyzed. In identifying serious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y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chosen three examplary researches that claimed that they identified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ies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that previous researches, including M.A. theses and Ph. D. dissertations, have failed to consider the positive role of the local press in the region both economically and socio-politically. Also on the methodological level, these researches have not had comprehensive categories for data analysis that often require categories for implied meaning of particular words or phrases in news reports as well as in opinionated columns. 본 논문은 기존의 언론학자들이 지역언론 특히 지역일간지들이 지역이기주의와 지역패권주의 등 부정적 의미에서의 지역주의적 보도를 양산하고 있다는 논문을 1990년대 초에 발표한 원로급 언론학자 3명의 논문을 검토하여 이러한 기존 연구의 지역주의에 대한 개념의 편협성 및 방법적 한계성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주의의 기원에 대한 논의 및 고착화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지역주의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차원의 의미 또한 엄밀히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지역주의에 대한 이러한 담론 및 의미 분석을 토대로 본 논문은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에 관한 기존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지역언론의 현실에 대한 인식부족은 물론 지역주의의 개념의 편협성과 내용분석기법의 한계 및 일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지역언론이 현재 잘못된 관행의 타파 및 재정적 안정의 확보 등의 다양한 문제를 극복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지만 지역언론은 기존 연구자들의 시각처럼 부정적인 의미의 지역주의를 양산하는 존재만은 아니며 오히려 지역사회의 원동력으로서 지방자치제의 성공적인 정착의 필수매체이자 지역발전의 구심점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향후 연구자들이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역주의에 대한 중층적 의미의 개념을 이해하고 보다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네이버 뉴스 판 기사에 나타난 투명성 장치의 단면 분석

        임종섭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suggests that news organizations need to make the news-making routines transparent to improve the problems of fake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in news coverage instead of legal punishment.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ice of transparency, which includes named sources, no-subject passive verb, and corrections in stories. From Naver news plate during a one-month from August 1 to August 31, 2021, stories about election and real estate were a major focus. For the period, 213 news media produced 1,380 stories on the news plate, and this study chose top 12 and bottom 12 news media in terms of popularity and coverage frequency. The bottom 12 news media served as a comparison group. By installing RSelenium and rvest packages into RStudio, this study automatically collected 290 stories from the top 12 news media and 29 from the bottom 12 news media. As a result, the top-tier news media used anonymous sources eight times more than named sources, and the bottom-tier news media showed similar patterns.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identifying anonymous sources dominant in news stories. No-subject passive verb appeared often in stories of the both type of news media, showing that journalists had the habit of using this verb. The number of corrections news media published remained 15, only 1.1% of the 1,380 stories about election and real estate. Prior research also found news media were reluctant to correct their mistakes and errors in reporting, which shows the tendency of making news-making processes less transparent by letting only professional journalists control the processes and justify their decisions. As a result, the present study reveals such transparency devices did not operate in the coverage. If news media would use named sources, restrain the usage of no-subject passive verb, and publish corrections, they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harms of fake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in the coverage. 언론 보도에 나타난 허위조작정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률로 처벌하기보다는 뉴스 제작 관행을 투명하게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연구는 투명성 장치로 실명 취재원 사용, 무주체 피동형 사용 자제, 정정보도를 제안한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네이버 뉴스 판에 2021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1개월간 게재된 선거와 부동산 관련 기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 기간에 213개 언론사가 기사 1,380건을 뉴스 판에 유통했으며, 이 중에 본 연구는 인지도와 기사 빈도에서 상위권 언론사 12개 사와 하위권 언론사 12개 사를 선택했다. 하위권 언론사는 비교 대상이다. RStudio에 RSelenium과 rvest 패키지를 설치해 상위권 언론사로부터 기사 290건, 하위권 언론사로부터 기사 29건을 자동 수집했다. 분석 결과, 상위권 언론사 대부분이 익명 취재원을 실명보다 최고 8배 많이 사용했으며 하위권 언론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는 익명 취재원이 기사에 다수를 차지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무주체 피동형 술어도 두 유형 언론사 기사에 자주 등장해 기자들이 이를 버릇처럼 쓴다고 볼 수 있다. 1개월 기간에 오보를 정정한 사례는 15건으로 선거와 부동산에 관한 전체 기사 1,380건에 겨우 1.1%에 머물렀다. 선행 연구도 언론사가 보도에서 잘못이나 오류를 정정하기를 꺼린다는 점을 확인했는데, 언론사가 전문 기자만이 뉴스를 제작한다고 주장하고 자신들이 보도한 결정을 정당화하는 탓에, 이처럼 낮은 수준의 정정보도는 뉴스 제작 과정에 투명성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이러한 투명성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점이 본 연구에서 드러난 만큼, 실명 취재원 명기, 무주체 피동형 사용 자제, 정정보도 활성화는 기사에서 허위조작정보 문제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관련 틱톡(TikTok) 영상 콘텐츠의 특성 연구 :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제준,진숭,이상훈 한국지역언론학회 2024 언론과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방문한 적이 없고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를 시청한 중국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틱톡 영상 콘텐츠 특성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의 이용만족도, 한류 콘텐츠 선호도, 한국의 국가 이미지, 그리고 한국 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틱톡 영상 콘텐츠의 특성 중 직관성, 간결성, 정보성과 오락성은 이용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용만족도는 한류 콘텐츠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틱톡 영상 콘텐츠 특성과 한류 콘텐츠 선호도 사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한류 콘텐츠 선호도는 국가 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용만족도와 국가 이미지 및 방문의도 사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국가 이미지는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조절변수로서 자민족중심주의가 한류 콘텐츠 선호도와 국가 이미지 및 방문의도 사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있는 중국 대학생들은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을 접한 후 한류 콘텐츠를 좋아하게 되더라도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문화 후광효과에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이 틱톡을 통해 한국 관련 영상 콘텐츠를 접한 후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대해 모순된 태도를 가지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지역뉴스의 온라인 유통 구조 연구: 제주지역 언론을 중심으로

        정용복 한국지역언론학회 2023 언론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online distribution of news produced by local media by identify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nterviewing the individuals responsible for news distribution to gather their suggestion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online distribution structur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News managers prioritize a ‘portal first’ strateg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osting articles on Naver and Daum portals over social media and YouTube. The need for news coverage on port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influence of the media, profitability expectations when selecting content partnership companies, expanding the circulation routes of traditional journalism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and creating external effects. However, online distribution of local news was not active. The difficulties can be summarized as internal news production practices within organizations, lack of clear identity, and financial problems. The study suggests ways to revitalize the online distribution of local news, including restoring the basic principles of journalism, strengthening the internal capabilities of local media, improving the awareness of local media executives and journalists, and encouraging local media in the region to work together and support one an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언론 뉴스의 온라인 유통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현황을 파악하고, 뉴스 유통 책임자들을 인터뷰하여 온라인 유통 구조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제안점을 살피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스 책임자들은 소셜미디어와 유튜브보다는 다음과 네이버 포털 기사 게재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포털 퍼스트’ 전략이 우선시 되고 있었다. 포털에서의 뉴스 게재의 필요성은 언론사의 영향력 확대 가능성, 콘텐츠 제휴사 선정 때 수익성 기대효과, 신문과 방송 등 전통 저널리즘에서 기사 유통 경로의 확대, 외부효과의 발생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그런데도 지역뉴스의 온라인 유통은 활발하지 못했다. 어려움으로는 조직 내부에 굳어진 뉴스 생산 관행, 정체성의 위기, 재정상의 문제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지역뉴스의 온라인 유통을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저널리즘의 기본원칙 되찾기, 지역언론 내부 역량 강화, 지역언론 경영자와 기자의 의식개선, 권역 내 지역언론 간의 연대와 협력 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지역언론은 ‘균형발전’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이서현,최낙진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3

        The study explored how 9 local newspapers under the Local Press Korea Association have dealt with the 'balanced development' agenda.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Roh Moo-Hyunn government, which enacted policies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o the Moon Jae-In government. It analyzed 1,697 editorials, which included the topic words of "balanced development." Coding sheets are filled with the target audience, subject area, narrative style, and frame. The study finds that nine local newspapers took a “largely similar but slightly different” agenda approach that had one voice for balanced development in general and were different in detail according to regions and governments. All local newspapers were commonly based on a dist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ompetence of local governments, and anticipation for local residents and local civil society. More specifically, Kyeongin Ilbo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eight newspapers regarding “regulations on the metropolitan area.” By governments, both the expectations for and criticism against the Roh Moo-Hyun government had become weaker through the following governments. However, the narrative style urging a specific strategy in editorials was more and more from the Roh government to the Moon government. Although all nine newspapers discussed “balanced development” with various aspects and implications to some ext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discussion from the Roh government to the present. Given media’s reconstruction of reality, which means that press reconstruct reality by reflecting it, the discourse of “balanced development” has made no progress. 본 연구는 한국지방신문협회 소속 9개 지역신문에서 ‘균형발전’ 의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국가균형발전을 정책의제화한 노무현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 ‘균형발전’ 주제어가 포함된 사설 1,697건이다. 분석유목은 소구대상, 주제영역, 서술방식, 프레임이다. 연구 결과, 9개 지역신문들은 총론적으로 균형발전을 촉구하고 각론에서는 지역별, 정권 시기별로 차이가 드러나는 ‘대동소이(大同小異)형’ 의제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지역신문들 모두는 중앙정부에 대한 불신, 지방정부에 대한 무능, 지역민과 시민사회에 대한 기대 등을 담고 있었다. 각론에서는 경인일보와 8개 신문 간에 ‘수도권 규제’를 두고 명확한 입장 차이를 드러내었다. 정권별로는 노무현 정부에서 가졌던 기대와 그에 따른 비판들이 현 정권으로 올수록 약해지는 대신, 세부 실행을 촉구하는 읍소형 전략의 논조들은 많아지고 있었다. 종합하자면 9개 지역신문에서 다양한 층위와 함의를 갖고 ‘균형발전’ 논의가 전개되었다고 할 여지가 있기는 하나, 전체적으로는 초반에서 현재까지의 논의가 뚜렷한 진전없이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하겠다. 언론의 보도행위는 현실의 반영이라는 ‘언론의 현실구성론’에 견주어볼 때, 균형발전은 여전히 답보상태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