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국언론과 지역언론의 취재원 활용 관행 비교 연구: "원전 마피아 사건"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최진호 ( Jin Ho Choi ),곽은아 ( Eun A Kwak ),한동섭 ( Dong Sub Ha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6 언론과학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전국언론과 지역언론의 취재원 활용 관행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전 마피아 사건 보도에 나타난 취재원의 유형, 명시성, 인용방식이 지역(전국/지역) 및 미디어 유형(신문/방송)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국언론은 원자력기관관계자, 정부기관, 검찰/경찰 등 엘리트 취재원을, 지역언론은 정부기관, 검찰/경찰에 더해 시민단체 취재원 등을 활용하고 있다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지역언론은 시민단체 및 원전인근지역주민을 취재원으로 활용하는 비율이 전국언론보다 약 2배 높았다. 취재원 명시성은 지역적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미디어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방송은 실명, 신문은 익명 취재원이 많았다. 이는 방송이 신문보다 보도 가능한 분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수용자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실명 취재원을 등장시키는 등의 매체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취재원 인용방식은 전반적으로 직접인용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간접인용만 살펴보면 지역언론이 전국언론보다 약 3~4배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언론의 현실 구성과 취재원 활용 관행의 관계를 논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 및 미디어 유형을 교차시켜 분석 대상매체를 확장하고 세분화함으로써 취재원 활용 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 uses of news sources between national and local journalism. For this, we examine the coverage of the South Korean nuclear scandal, the so-called ‘nuclear power mafia scandal,’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source type, attribution, and qu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cope of coverage(national/local) and type of media( newspaper/televis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sources used: national press utilized elite sources such as nuclear agency officials, government agencies, and the prosecution/police, while local press, in addition to these sources, also made use of civic organizations. In particular, local journalism’s utilization of civic organizations and the nearby inhabitants of the nuclear power plant was almost twice that of national journalism.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urce attribution depending on the media type but not the scope of coverage. Specifically, newspapers tended to rely on anonymous sources, while television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Finally, although direct quotation was used overwhelmingly compared to indirect quotation, the use of the latter in local press was three to four times that of national pres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s of news sources and the construction of reality by the press.

      • KCI등재

        지역에서 대안적 독립언론 상상하기 : 급진적 민주주의와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

        남궁협 한국지역언론학회 2018 언론과학연구 Vol.18 No.4

        In Korea overall reconstruction of society has been required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Media are no exception to this context. Especially considering local media in danger, it is required that there be metaphorical flight and radical reflec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North-South problems and regional issues are emerging as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improving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Of these two problems regional issues are related to better democracy, demanding that we should consider imagination of new democratic system and local media.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focus on only media in treating the problems of local media. Instead, it is suggested that we discuss how local community should be formed and how the media should be existed. This paper proposes that we should seek out emotional mode of journalism contributing to disclosure of social contradictions rather than such traditional values as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촛불혁명 이후 한국사회는 총체적인 재구조화를 요구받고 있다. 여기서 언론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지역 언론 상황은 매우 절망적이어서 본질적이고 대담한 상상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변혁하려면 남북문제와 지역문제의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한 과제다. 이 중 지역문제는 더 나은 민주주의와 관련된 것이어서 새로운 민주주의에 대한 상상과 그에 걸맞는 새로운 언론의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 언론의 문제는 언론에만 국한하여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신에 새로운 민주주의의 구도 속에서 지역공동체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맥락에서 언론의 존재방식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기존의 보도 양식, 즉 객관성과 중립성을 폐기하고 사회모순을 적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감성적 저널리즘의 실천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미 지난 세월호 참사 때 보여준 SNS와 팟캐스트 등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들이 주류 미디어의 감성적 보도 양식을 통해 대안적 미디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지역이라는 작은 공간은 대안적 독립언론이 활동하기에 적합한 생태조건이다. 따라서 지역과 언론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역 언론을 새삼스럽게 고치려는 노력보다는 대안적인 독립언론을 창설해서 새로운 보도양식을 적극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대언론 지출과 보도경향 분석: 지역 언론의 시정 관련 기사를 대상으로

        이희성 ( Hee Sung L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언론 대상 홍보비와 지역 언론인 대상 시책업무 추진비 지출이 지역 언론의 지자체 시정(또는 군정 및 구정) 관련 보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지방자치단체 시정에 대한 보도 경향은 연구 대상으로 삼은 지자체(총 105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소재 최대 지역 언론사(총 105개사)의 시정 관련 전체 기사 1만5841건을 통해 분석됐다. 연구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언론 대상 홍보비 지출과 지역 언론인 대상 시책업무추진비 지출이 지자체 시정에 대한 긍정적 기사 보도의 비율을 높이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언론의 근본적 기능인 정부활동의 비판과 견제 역할에 충실하지 못함을 의미하며, 언론이 자원 제공을 하는 지방자치단체에 포섭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자체 및 지역 언론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홍보비 내역과 시책업무추진비 내역의 공개가 필요하며, 언론인의 윤리의식에 대한 강조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amount of local governments` policy propulsion expenses disbursed towards local journalists and the amount of local governments` promotional expenses disbursed towards local media. It also analyzes how such financial resources affect the propensity of media reports on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The propensity of media reports on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is analyzed based on a positivity ratio of administration-related new articles reported by major local media agencies in corresponding regions. The results show that policy propulsion expenses disbursed towards local journalists and promotional expenses disbursed towards local media raise the ratio of positive reporting regard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dia is not faithful to its role of monitoring and checking government performance. It is implied that preventing moral hazard and enhanc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require disclosure of the details of promotional expenses and policy propulsion expenses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언론협동조합 기반의 지역 주간신문 성과와 과제에 관한 시론적 연구 :거창지역 ‘한들신문’을 중심으로

        송준섭,김연식 한국지역언론학회 2019 언론과학연구 Vol.19 No.1

        Recently, local weekly newspapers established by a cooperative association have been released and they are gaining a high reputation in terms of its achievement for the good journalism during a short period. Handeul Newspaper is sure to be a good example of this. Cooperative members of Handeul Newspaper have felt proud, in that they participate to make their own local newspaper. More specifically, the members do multiple-roles: paying monthly membership fees as members and covering stories for the newspaper as reporters. Also, they join in group activities such as small group discu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spaper and in recreation events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These activities have helped revitalize locality, which seemed to have been declining gradually in local journalism field. Cooperative members are running their newspaper in a more democratic way compared to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 Handuel Newspaper established by a cooperative association provided a new model for successful local newspapers in the field of civic and public journalism. 언론협동조합으로 세운 지역 주간신문은 아직 발전 단계에 있지만 설립 취지에 맞게 조합원 중심의 참여 그리고 지역성 실현, 편집권과 경영의 독립에 초점을 맞추어활동하고 있다. 언론협동조합 조합원은 단지 조합비만 내는 것이 아니라 무급 기자나 시민 기자 등의 자격으로 직접 취재와 기사 쓰기를 하고 있으며 지면 광고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재정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도움으로써 외부 자본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준다. 이 외에 소모임 활동, 체육대회 등을 통해 조합원간의 친목과 단결을 다지면서 ‘우리 지역’ 신문을 발행한다고 자부한다. 이와 같은 언론협동조합 활동은 지역 주간신문이 민주적으로 운영되고 지역성을 충분히 구현하는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언론협동조합 기반의 지역 주간신문은 공공저널리즘이나 시민 저널리즘의 실천 영역에서 기존 지역 언론사들이 맞닥뜨렸던 벽을 넘어새로운 지역 언론의 모델을 만들고 있다.

      • KCI등재

        지역언론 시장세분화를 위한 속성: 지역성과 공중상황변수를 중심으로

        배지양 ( Jiyang Bae ),황성욱 ( Sungwook Hwang ),최홍림 ( Honglim Choi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지역성과 지역언론의 위기에 대한 상황적 인식이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라, 대전/충청 4개 권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지역언론 시장의 새로운 세분화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단위(서울/경기/강원지역 제외)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하는 지역민의 지역만족도는 대구경북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중상황이론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비공중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다른 권역보다 지역신문위기에 대한 문제인식, 관여도가 높고 제약인식이 낮아 지역언론과 관련된 행동변화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은 다른 지역보다 지역을 덜 자랑스러워하며,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하더라도 계속 대구경북에 살고 싶다고 응답한 정도도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지역언론 이슈와 관련하여 대구경북 지역민은 광주전남 지역민보다 낮은 문제인식과 낮은 관여도를 가졌으며, 높은 제약 인식을 갖고 있어 지역언론과 관련한 행동변화의 가능성이 낮은 공중으로 판단된다. 광주/전라 지역민들은 지역에 대한 애향심이 타 지역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았다. 지역언론 이슈와 관련하여 광주전라 지역민은 타 지역보다 높은 문제인식과 낮은 제약 인식을 가졌으며, 부울경 다음으로 높은 관여도를 갖고 있어 타 지역에 비해 지역언론과 관련한 행동변화의 가능성이 높은 공중으로 판단된다. 대전/충청 지역민들은 지역에 대한 애향심이 부울경, 광주전남지역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대구경북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지역신문위기에 대한 문제인식, 관여도가 광주전남이나 부울경에 비해 낮고 제약인식이 높아 지역언론과 관련된 행동변화에 있어 소극적인 경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공중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언론산업의 시장세분화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new market segmentation attributes for local newspapers, especially focused on local citizen’s localism, and situational aspects in four different local regions. Through the national-level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Busan/Ulsan/Gyeungnam and Gwangju/Jeonnam citizen’s loc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aegu/Gyengbuk citizen. Although they were non-public, their problem recognition and involvement were high and their constraint recognition was low, compared to other regions. So, the possibility that local citizen become local newspaper readers is higher than other regions. However, Daegu/Gyeungbuk and Daejeon/Chungcheng citizen’s loc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regions. And their problem recognition and involvement were low and their problem recognition was high, compared to other regions. So, their possibility that local citizen become local newspaper readers is very low.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communication implications were proposed.

      • KCI등재

        통합신공항 건설을 둘러싼 지역 언론사 보도 태도 비교 연구

        권장원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porting attitudes between regional and inter-regional media outlets on the conflict situation in the process of attracting a new integrated airport in Daegu and Gyeongbu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dia companies in Daegu-Gyeongsangbuk area are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information and voices from local governments and political circles lead the overall public opinion situation through local media reports. On the other hand, national newspapers report overall facts surrounding conflict and compromise, and media companies in neighboring areas of Busan-Ulsan-Gyeongnam deal with the integrated new airport issue in terms of interests based on local government perspective rather than overall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editorial shows limitations in seeking mutual understanding and win-win measures between local governments by using expressions that can stimulate competition or conflict. 본 연구는 대구경북의 통합신공항 유치 과정에서의 갈등 상황에 대한 지역 내, 지역 간 언론사 간 보도 태도에 따른 특징과 문제점을 전체 보도와 사설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 언론사의 공적 역할 수행에 따른 보도 지향점을 모색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대구경북 지역에서의 언론사들은 전반적인 차원에서 지자체와 정치권에서 비롯된 정보와 목소리가 지역 언론사 보도를 통해 전체적인 여론 상황을 이끌어가는 형국을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중앙 언론사들은 갈등과 타협을 둘러싼 전반적인 사실 보도에, 인접 지역인 부울경 지역에서의 언론사들은 통합신공항 사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보다 지자체의 이익 여부에 따른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와 함께, 사설에서는 대구 및 부울경 지역 공히, 통합신공항 사안에 대해 ‘관문공항’, ‘동네공항’, ‘딴죽걸기’, ‘발목잡기’ 등과 같은 경쟁이나 갈등을 정서적인 차원에서 자극할 수 있는 표현들을 사용해, 지자체 간의 상호 이해와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지역 언론 유튜브 채널의 특징과 개선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역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 사례를 중심으로

        주은신 한국지역언론학회 2020 언론과학연구 Vol.20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ibilities of local media utilizing and developing YouTube as a way to secure new distribution networks and enhance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in the rapidly changing new media environment. To this end, local media’s YouTube news chanels were reviewed through YouTube API data,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experts in the field of digital media contents production to discus characteristics, improvement direction, and limitations of chanel operation. Curently, many companies had made numerical outcomes with digital-only content reflecting local colors or using their own video archive system, but most of them were focusing more on expanding the chanel’s external or short-term performances through TV replay videos. One notable feature was that despite the relatively por infrastructure, some local dailies had distinct chanel identity and customized digital content, making them even more competitive tha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lthough the interaction betwen users and media companies was above a certain level, there were stil many pasive forms. Digital media experts stresed that the YouTube chanel of local media should establish its’ own identity and have the ability to produce content based on users’ neds and desires. Also, the two-way communication cap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to become a public forum for regional isues that anyone can easily participate in, and that such voices should be reflected through content. This shows the posibility of local media’s YouTube chanel developing as a modified community journalism in the new media era beyond the perception of one of news distribution chanels.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지역 언론의 유튜브 진출 사례를 주목하고 새로운 유통망 확보와 온라인 콘텐츠 역량 강화의 방안으로서 유튜브 활용과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의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의 유튜브 채널의 현황을 유튜브 API 데이터로 살펴보고, 뉴미디어 분야의 시사․뉴스 콘텐츠 제작실무진들을 대상으로 채널 운영 특징과, 경쟁력 개선 방안, 한계점 등을 검토하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재 많은 지역의 언론사들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수치적인 성과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색을 반영하고 영상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이슈를따라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지털 전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대부분이 방송 다시보기 서비스에 치중하는 형태로 채널 외연의 확장과 단기적 성과에 더욱 치중하고 있었다. 눈에 띄는 특징은 몇몇의 지역 일간지는 상대적으로 열약한 인프라에도 뚜렷한 정체성과 맞춤형 콘텐츠로 지역 방송사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용자와 언론사 간의 상호작용은 각 언론사의 여건에 맞게 일정 수준 이루어지고있었으나 소극적인 형태가 많았다. 지역 뉴미디어 콘텐츠 제작진들은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로서 정체성과 중장기적 비전의 확립이 선행되어야하며, 유튜브에 맞는 콘텐츠 소구력을 갖춰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쌍방향적 소통 역량을 강화하여 누구나쉽게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이슈의 공론장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목소리는 콘텐츠를 통해 발현되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지역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이 뉴스 유통 채널의 다변화수단이라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뉴미디어 시대의 변형된 커뮤니티 저널리즘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그러나 저예산과 제한된 인력만으로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만 지향하는 언론사의 내부 분위기는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 KCI등재

        지역언론과 지역대학간 상생적 산학협력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일보 인턴 제도를 중심으로

        김영수 ( Young So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부산일보의 대학생 인턴십 사례분석을 통해서 지역언론과 지역대학간 상생적 산학협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부산일보의 입장에서 대학생 인턴십은 부산일보의 부족한 경영자원을 강화하고, 조직의 활력을 불어 넣는 긍정적 역할을 했다. 대학생 인턴들은 부산일보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산의 조력자로서 자리매김하면서, 자신들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능력을 키워가고 있었다. 또한, 부산일보와 대학생 인턴들은 대학생 인턴십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역 언론학과 교수들은 부산일보 대학생 인턴십에서 역할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생 인턴십은 현장 활용형 저널리즘 교육으로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고, 부산일보 취업과 연계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언론과 지역대학의 상생적 산학협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대학 학생들을 단기적으로 활용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지역언론 취업과 연계를 강화시키고, 지역대학 언론학과의 현장 중심 저널리즘 교육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대학 언론학과 교수들이 지역언론의 콘텐츠 역량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researched win-wi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ossibilities between local medias and local universities. For Busan-Ilbo`s side, the university students internship reinforced the shortage of management resources and invigorated the cooperate cultures of Busan-Ilbovigorize. For University interns`side, they developed their multimedia production competences and played a assistant role in multimedia contents productions. Busan-Ilbo and University interns mostly satisfied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internship. However, local universities media professors almost have no role in the university students internship. It has no connection with field related journalism education and Busan-Ilbo full time employment. Therefore, to improve win-wi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ossibilities between local medias and local Universities, the cooperation is beyond short-term usage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has a strong connect with local media recruitment system for student`s side. For university side, the collaboration contributes on-the-spot journalism training and local media faculties give an advice to strengthen local media contents capabilities.

      • KCI등재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성향에 관한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한웅,엄기열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appropriateness of the use of the term 'regionalism' and the methodological validity of the content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es done by communication scholars who have argued that regionalistic reporting of the local daily press has instigated, or at least has contributed to, regional antagonistic feeling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researches have relied solely on the negative aspect of the term regionalism although the concept of regionalism has a positive and dynamic element in that it gives a social and historical identity to the constituents of a particular region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the basic foundation on which the local economy and grass roots democracy can flourished.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rough which these previous researches have drawn their conclusion was problematic because the analytical period of their research mostly coincides with the volatile times of the local or the presidential elections and also because mostly the headlines, not the whole contents, of the local press reports were analyzed. In identifying serious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y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chosen three examplary researches that claimed that they identified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ies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that previous researches, including M.A. theses and Ph. D. dissertations, have failed to consider the positive role of the local press in the region both economically and socio-politically. Also on the methodological level, these researches have not had comprehensive categories for data analysis that often require categories for implied meaning of particular words or phrases in news reports as well as in opinionated columns. 본 논문은 기존의 언론학자들이 지역언론 특히 지역일간지들이 지역이기주의와 지역패권주의 등 부정적 의미에서의 지역주의적 보도를 양산하고 있다는 논문을 1990년대 초에 발표한 원로급 언론학자 3명의 논문을 검토하여 이러한 기존 연구의 지역주의에 대한 개념의 편협성 및 방법적 한계성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주의의 기원에 대한 논의 및 고착화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지역주의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차원의 의미 또한 엄밀히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지역주의에 대한 이러한 담론 및 의미 분석을 토대로 본 논문은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에 관한 기존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지역언론의 현실에 대한 인식부족은 물론 지역주의의 개념의 편협성과 내용분석기법의 한계 및 일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지역언론이 현재 잘못된 관행의 타파 및 재정적 안정의 확보 등의 다양한 문제를 극복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지만 지역언론은 기존 연구자들의 시각처럼 부정적인 의미의 지역주의를 양산하는 존재만은 아니며 오히려 지역사회의 원동력으로서 지방자치제의 성공적인 정착의 필수매체이자 지역발전의 구심점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향후 연구자들이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역주의에 대한 중층적 의미의 개념을 이해하고 보다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지역 언론의 경제 뉴스 특징과 담론 : 부산지역 언론의 경제 뉴스 내용 분석

        김보영,강주현 한국지역언론학회 2024 언론과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시기였던 2020년 상반기에 지역 언론이 경제 뉴스를 어떠한 내용으로 전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이 시기의 부산지역 5개 언론사의 경제 뉴스를 분석하였다. 지역 언론의 경제 뉴스가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산업(기업)의 피해와 대책’이었다. 산업 주제 보도는 부산의 주력 산업인 ‘관광/여행’, ‘자동차’, ‘항공’ 관련 기사가 많았다. 지역 언론의 경제 뉴스가 주요하게 다룬 이슈 대상은 산업(31%), 국민/시민/주민(15.3%), 소상공인/(영세)자영업자(13.3%)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 뉴스의 보도 태도는 재난 시기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우려가 기사에도 반영되어 부정적 기사가 40.9%로 가장 많았다. 어려운 경제 이슈를 쉽게 전할 수 있는 시각 자료 사용은 ‘없음’이 51.7%였고, 사진 게재가 있는 경우는 27.2%였다. 지역 언론의 경제 뉴스에 가장 많이 등장한 보도 프레임은 코로나19 피해를 강조한 ‘피해/위기’ 기사였다(41.3%). 다음으로 피해에 따른 정부의 대책 및 지원 내용을 담은 ‘대책/지원’ 프레임이 2위(18.9%), 정부 경제정책을 전하는 ‘정보전달’ 프레임이 3위(10.2%)를 차지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주민들의 입장에서 재난 시기에 필요한 지역 경제 뉴스를 지역 언론사가 제대로 제공하고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했다. This study examined how local media delivered economic news in the first half of 2020, when COVID-19 broke out and infections spread. The topic most frequently covered by local media economic news was ‘damage to industry (companies) and countermeasures’ (26.4%) throughout the period. Among industries, there were many articles related to ‘tourism/travel’, ‘automotive’, and ‘aviation’, which are Busan’s main fields. It is analyzed that the government’s role as the main agent in resolving damage and relief measures for companies and industrie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The main characters (issue targets) covered by local media’s economic news were industry (31%), people/citizens/residents (15.3%), and small business owners/(small) self-employed (13.3%). The articles in which citizens/small business owners appeared as the main sources accounted for only 3% and 6.9%. Regarding the reporting attitude of economic news, negative articles were the most common at 40.9%, as concerns about economic difficulties during disasters were also reflected in the articles. When it came to using visual materials to easily convey difficult economic issues, ‘none’ ranked first with 51.7%, and posting photos ranked second with 27.2%. The reporting frame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in local media’s economic news was ‘damage/crisis’ articles that emphasized damage from COVID-19 (41.3%). Next, the ‘measures/support’ frame, which contains the government’s measures and support in response to damage, ranked second (18.9%), and the ‘information delivery’ frame that conveys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y ranked third (1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