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애니메이션 재원조달 활성화 방안 연구

        김영재(Young Jae Kim)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애니메이션의 제작비 재원조달을 활성화하고, 궁극적으로 산업의 선순환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방영된 한국 애니메이션의 재원조달구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애니메이션의 국내 재원은 그 한계점에 이르렀음을 확인하였다. 공적자금의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한국 애니메이션의 산업은 더욱 위축되고 해외자본 의존도는 심화되어, 독자적 작품 경쟁력을 상실해갈 것으로 우려된다. 이는 애니메이션 산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한국 아동용, 가족용 콘텐츠의 부재(不在)와 질적 저하, 나아가 국가 문화정체성의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한국 애니메이션의 주요 공동제작국인 캐나다와 프랑스는 기금제도를 통한 적극적인 지원으로 한국에 비해 월등히 유리한 조건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는데, 이는 애니메이션이 지니는 자국 문화정체성과 다양성에 기여하는 가치가 공적기금의 공익성 목적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한국 애니메이션 재원조달 활성화는 단순히 제작비를 더 많이 지원하는 차원이 아니라, 한국 애니메이션 수익성 개선을 통한 민간 영역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애니메이션 제작 및 유통을 함께 지원하는 연간 250억 원 규모의 애니메이션 지원기금을 통해 실현 가능하며, 기금의 신설 또는 기존 기금의 활용 등 재원마련을 위한 다양한 검토와 실행방안의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 to improve the funding system of Korean animation, which will lead the establishment of virtuous circle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The funding structure of Korean animations in the period of 2005-2009 is analyzed to find out that the funding surveyed to find out that the domestic funding source for Korean animation has reached its limitation. Without any active involvement of public fund, this will result in the shrink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with heavy reliance on foreign capital and limited quality of Korean animation. This is not only a serious problem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but also the problem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variety because it is related with the diminish and degradation of Korean children and family content. Meanwhile, in France and Canada, which are the major co-production partners of Korean animation, the animation production is being activated by the full support of government fund system, because the animation is regarded as the important genre which plays a critical public role in establishing the cultural identity and variety of such countries. Improvement of Korean animation funding system is not pursued by more injection of public fund into the industry. It should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investment from the private sector by improving the profitability of Korean animation.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public fund with annual budget of 25 billion Korean Won supporting the distribu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animation. Discussion should be needed for securing the funding resources such as establishment of new animation fund or utilization of existing fund.

      • KCI등재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과 미국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공정의 차이

        박석원(Suk Won Par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2

        한국은 2D 애니메이션의 튼튼한 기반아래에 좋은 인적 자원들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시장이 활발하지 못하여, 좋은 인력들이 해외 또는 다른 분야로 빠져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용 애니메이션시장에 집중되어 있는 특수적인 국내 환경을 생각했을 때, 우수한 장편 애니메이션의 제작은 한국 애니메이션의 균형적인 발전과 글로벌 시장의 진출로 인한 시장 확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어떤 발전이 필요한가라는 고민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2014년에 한국에서 디즈니의 <겨울왕국>이 천만관객을 넘어서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는 한국에서도 극장용 애니메이션 관객층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직 한국에서 제작되어 온 장편 애니메이션의 질적인 수준이 글로벌 시장인 할리우드에 진출할 만큼 충분하지 못한 것 또한 사실이다. 한국에서 제작하는 장편 애니메이션이 글로벌 시장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서는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어떤 제작 시스템을 갖고 있는지, 우리와 무엇이 다른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에서 장편을 제작하는 회사의 시스템을 보면 프리프로덕션 과정에서 스토리 부서가 프로덕션 과정에서는 레이아웃 부서가 부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야기를 개발하는 과정과 연출을 발전시키는 단계가 거의 형식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높은 퀄리티의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 부서와 레이아웃 부서를 중심으로 할리우드 메이저 제작사에서는 어떻게 스토리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지 살펴보고 아울러 레이아웃 부서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연출을 발전시키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제작 과정이 좀 더 선진화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높은 수준의 장편 애니메이션이 제작이 한국애니메이션 시장의 발전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how to develop Korean animation industry. As we know,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has concentrated its attention on infant TV animation. Although, TV animation series creates enormous benefits, the manufacture of feature animation should be increased to open new global market. However, it is true that the quality level of Korean feature animation is not as high as that of global market. Korean animation should carry out radical reforms to upgrade quality level of Korean feature animation and study w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pipeline and hollywood.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the story station and layout station of major animation studios in America and analyze their pipeline. This study maybe very useful to establish more efficient operatin procedure in Korean animation industry.

      • KCI등재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활성화 방안

        오동일(Dong Il Oh)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4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기술적으로나 예술적으로 충분히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독자적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캐릭터 및 완구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의 동력을 찾고 있는 애니메이션 산업은 보이지 않는 힘의 논리에 좌우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주요 타깃 층이 영 · 유아로 한정되고, 애니메이션 작품의 주제와 소재에 있어서도 빈곤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편향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는 산업 생태계의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그것은 순기능을 할 수 있는 바람직한 경쟁이 결여된 독과점 상태로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이 처해있는 이러한 현실속에서 안정된 질적 성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산업적 다양성의 확보라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다양성 확보는 관객층, 작품의 주제와 소재, 형식 등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반절충주의적인 순수 애니메이션의 미학과 기법을 지향하는 ‘가난한 애니메이션’의 저변 확대를 통해 생명력의 창조를 위한 초월적인 행위를 자유롭고 다양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가난한 애니메이션’의 개념과 특징은 먼저 애니메이션 제작의 경향 및 형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애니메이션의 리얼리티를 구현하기 위해 다른 창조분야의 요소를 일관성 없이 작품에 구성하는 절충적인 접근보다는 군더더기 없는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한 초월적 행위를 지향함으로써, 애니메이션 표현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난한 애니메이션’이 지니고 있는 이와 같은 개념적 의미와 특징을 살펴볼 때,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이 처해있는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대안들 중 하나로서 충분히 실용적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nimation industry in Korea has a considerable potential, both technique and artistic qualities. However, the industry is yet to succeed in forming its own, independent industrial ecosystem. In fact, the animation industry, which has to rely on the character and the toy industry to secure its driving force for growth, is subject to the influence of an invisible force. The majority of the target population is limited to toddlers or children, and the objects and the themes of the animation works reveal poor qualities, as well. Therefore, one could say that the most urgently needed thing for the animation industry of Korea to realize stable, qualitative growth is to secure industrial diversity. The diversification of the animation industry shall mean being balanced in terms of the target population, the themes, the objects, and the genres, while maintaining industrial diversity in its existence. For this, Korean animation industry would need to proliferate "poor animation" which is based on anti-compromise and pursues the aesthetics and techniques of artistic animations, so that it would show the transitional behaviors for generating livelihood. The concepts of these "poor anim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attitude and forms of production of animation. Instead of compromises for reality in the animation, borrowing elements of other creative fields without consistency, it would be more desirable for the animation works to secure diversity in their expression by pursuing transcendent behaviors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s without unnecessary sophistication. Based on the conceptu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or animation" it could be said that it has sufficient practical values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realistic problems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 KCI등재

        방송영상 콘텐츠로서의 애니메이션 지원제도 연구

        김영재(Kim, Young-Ja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9

        수익성 악화와 재원조달의 어려움은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방송사 광고 수익과 방영권료가 감소하였고,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이 다양한 매체로 분산됨에 따라 미국의 거대 메이저 스튜디오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는 국가를 제외하고는, 전 세계적으로 애니메이션 기업의 생존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해외 많은 국가들이 경쟁적으로 자국 애니메이션 산업을 지원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도약을 위한 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 중심적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관점에서 문화산업, 방송영상산업, 콘텐츠 산업 정책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1)산업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유기적 지원체계를 통한 생태계 선순환 구조 구축, 2)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자동지원제도와, 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선별지원제도 병행을 통한 재정지원, 3)세제지원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4)방송사 의무 부여를 통한 국산 콘텐츠 방영 시스템 구축이 정부의 중요 역할임을 확인하였다. 한국과 유사한 규모의 산업을 보유하고, 미국 애니메이션과의 경쟁 속에서 정부주도형 산업발전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프랑스와 캐나다는 본 연구가 확인한바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방송 애니메이션 지원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 결과, 자국산 프로그램의 인기, 재원조달 환경 등에서 이들 경쟁국들과 한국의 애니메이션 산업 환경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한국 애니메이션 지원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1)재정지원을 위한 안정적 공공기금의 확보, 2)콘텐츠 재생산 구조 구축을 위한 자동지원제도 도입, 3)국산 애니메이션 방영 의무규정의 개선, 4)방영실적에 따른 방송사 방영권료 지원 및 제작비 쿼터 도입, 5)간접지원으로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지원의 도입이 필요하며, 산업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유기적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유관부처 간의 협조와 역할 분담이 필수적인 선결조건일 것이다. The crisis in profit and funding for animation is in evidence around the world. The change in media environment has forced broadcasting advertising revenue down and animation viewers spread out. Now, animation players in the strongest position are either the US major studios, or producers benefiting from domestic support schemes. Government support is available in many countries because many governments believe that support for domestic animation carries both economic and cultural benefits. This paper is designed to suggest new policy schemes for Korean animation industry. The new paradigm of animation policy needs a new perspective on content industry as a whole, not centered on the animation itself. The researchers on public policy for culture, audiovisual and content industry argu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 play the role of facilitator for virtuous cycle of industry value chain, (ii) provide fiscal support through automatic and selective schemes, (iii) provide tax benefit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y, and (ⅳ) enforce the broadcasters to contribute to domestic programming and financing. Comparative analysis on French and Canadian audiovisual policy supports such arguments, and animation industry of two countries are enjoying the high audience ratings and sustainable production volume. From the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the new government schemes for Korean animation industry, which are, (i) securing the public funding for fiscal support, (ii) introduction of automatic production support, (iii) modification of broadcasting quota, (ⅳ) broadcaster’s performance envelope and production quota, and (v) tax benefit as indirect support.

      • KCI등재

        한국 독립 단편애니메이션의 현재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손국환(Son, Gook-Wh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8

        독립 단편애니메이션은 창의적이며 진보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젊은 애니메이션 창작자들을 위한 표현 방식이었으며 애니메이션의 탄생이후 애니메이션의 질적인 발전과 다양화를 가져오는 원동력이 되어왔다. 이것은 애니메이션의 발전과정과 함께 하며 실험성과 도전성을 강조하는 많은 작품을 세상에 등장시켰고 프랑스, 일본, 캐나다 등 애니메이션 자원이 풍부한 나라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치를 이어가기 위해 젊은 창작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어린이들로부터의 인기로 작품의 질을 평가받고 작품의 완성도 보다는 완구를 비롯한 제품개발과 판매에 주력하는 기업과 그것을 당연하게 수용하는 대중적 인식이 산업 전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런 점들로 인해 한국의 젊은 애니메이션 창작자들은 미래를 위한 창의적인 시각과 철학적인 문제의식을 표현하지 못하고 상업 애니메이션 시장의 한계에 갇혀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아용 애니메이션으로 포화상태에 이른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재도약과 확장을 위해서는 좋은 기획과 스토리 개발, 기술혁신을 통한 상업적 목표달성과 더불어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성격의 독립 단편애니메이션 대한 가치를 재정립하고 다양화를 중심으로 하는 창작환경과 지원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국 독립 단편애니메이션의 제작 및 상영, 배급, 정부지원 등의 현황을 분석하고 구조적 문제점과 해결을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Independent short animation was the expression method for young animation creators through creative and progressive representation. Since the birth of animation, independent short animation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qualitativ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animation. This has brought many works to the world that emphasize experimentation and challenges in the history of animation and in countries that have the rich animation resources such as France, Japan, and Canada, they recognize its importance and supports young creators in order to maintain the value of it. However, Korean animations are evaluated the quality of works by the popularity of the children, moreover, companies that focus on developing and selling products, including toys, rather than animation works themselves and public awareness that accepts them are formed throughout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Because of these points, Korean animation creators can not express the creative vision for the future and philosophical awareness of the problem and they are trapped in commercial animation markets. In order to re-leap and expand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which has reached the saturation level with infant animation,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value of independent short animations with challenging and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s the creative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for the diversity of Korean animation industries, including the achieving commercial goals through good planning, story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production, screening, distribution, and government support of independent short animation in Korea, and explores the structural problems and solutions.

      • KCI등재후보

        한국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박기수(Park, Ki-Soo)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7 애니메이션연구 Vol.3 No.2

        본고는 1990년대 이후 발표된 한국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전략의 성과와 한계를 파악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실천적인 논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한국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을 생산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변별적 자질과 각각의 구현 매체별 특성을 전제로 향유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이 침체된 한국 애니메이션이 진일보할 수 있는 결정적 기제가 된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애니메이션의 변별성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의 다양한 부면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논의를 세분화하여, 1)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원천소스 개발, 2)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환(adaptation) 전략, 3)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 4)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리터러시(literacy)의 네 가지 관점에서 1990년대 이후 한국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을 탐구하였다. 한국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이 보다 생산적인 양상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1)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에 대한 변별적 인식의 강화, 2) 스토리텔링을 통한 향유의 활성화 유도, 3) TV용과 극장용 등 매체별로 적합한 스토리텔링 전략 마련, 4) 소스 개발, 장르 간 전환, 구현전략, 리터러시 등의 유기적인 시스템 구축, 5) 수평적/수직적 One Source Multi Use가 강화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기획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실천적 전략을 중심으로 미시적인 전략은 장르, 매체, 향유자 등에 대한 섬세한 파악을 통하여 매우 구체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storytelling strategy"s result and limitation based on Korean animation released since 1990 and researching storytelling strategy of Korean animation productively, as enhancing the practical argument based on it. That is due to the fact storytelling strategy, which can revitalize enjoyment, is a keyword to enhance stagnant Korean animation, assuming discriminative disposition of animation storytelling and each specific quality by medium. Based on specific character of animation, for reflecting various part of it effectively, and approaching it strategically, I subdivided the argument and tried to research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Korean animation released since 1990 by from followed 4 angles. 1) Developing the original source of animation storytelling. 2) Strategy to adapt animation storytelling. 3) Animation storytelling strategy 4) Animation storytelling literacy. Followed are also necessities for storytelling strategy of Korean animation to be prosperous in more productive condition. 1) Understanding animation storytelling discriminately. 2) Trying to actualize enjoyment with storytelling, 3) Planning appropriate storytelling strategy discriminately by medium such as for TV, or theater. 4) Constructing organic system such as source development, adapting to each genre, strategy to realize, and literacy. 5) Planning storytelling to enhance parallel and vertical One Source Multi Use. Based on practical strategy of animation storytelling, micro strategy should be discussed so concretely, while researching genre, medium, and enjoyer.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정책 비교

        김영재(Kim Young Ja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3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외국 애니메이션 하청제작 중심의 제작 기반 산업에서 창작 기반 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해왔다. 유사한 성격의 산업적 배경과 역량을 보유하고, 수년 동안 정부의 적극적 산업 진흥정책을 거쳐 온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의 위상은 2008년 현재 시점에서 볼 때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 장작 애니메이션 생산량은 2004년 이후 매년 2배씩 성장하면서 중국을 세계적 규모의 창작 애니메이션 생산국으로 올려놓았으며, 중국 창작 애니메이션 시청자가 6억 명을 넘어서는 등 내수시장 기반도 확고해지고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의 창작 애니메이션 생산은 중국의 20% 수준에서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고, 국산 애니메이션 방송편성 차별로 인해 내수시장 기반을 상실하였다. 중국 정부는, 우선적으로 방송정책을 통한 애니메이션 방송 유통 시스템 확립과, 수입 애니메이션 배제를 통해 국내 수요 기반 확립에 주력하였고, 동만 기지 설립을 통한 생산기반 확보, 그리고 정부부처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단기간에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발전을 이룩하였다. 이에 비해 한국 정부는, 애니메이션의 유통, 수요기반 확립보다는 창작 애니메이션 개발 지원에 정책적 자원을 집중하였고, 효과적인 산업정책을 위해 반드시 필요 했던 정부 부처 간 협조체계 구축에도 실패하였다. 이는, 한국의 산업기반 확립을 도외시한 ‘생산자 마인드’ 정책, 그리고 그 원인이기도 한 정부 부처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의 부재에 따른 것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정책에 공통적으로 발견 되는 한국 정부의 정책적 오류이다. 2008년, 정부가 1조 5천억원의 콘텐츠진흥기금 조성, 콘텐츠산업기본법, 콘텐츠진흥위원회 설립 등 세계 5개 콘텐츠 강국 도약을 위한 산업진흥의 기치를 높이 든 시점에서, 과거 문화콘텐츠 산업정책의 오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시정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발전을 위해 반드시 일요한 일일 것이다. The animation industries of Korea and China shares the effort for transition from work-for-hire industry into creative industry. In spite of similar industry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and the aggressive government policy to support this industry transition at the same point of time, the current status of animation industries in Korea and China are showing very different statistics as of the end of 2007. The production amount of Chinese original animation has grown rapidly since 2004, which has made China the top class country in the world in original animation production amount, and more than 600 million audience of Chinese TV animation has firmly established the Chinese domestic animation market basis.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 original animation production of Korea has been showing a slow and sluggish growth, and Korean animations are losing the domestic market basis with only 1% TV ratings due to unfavourable Korean TV stations' programming practices against Korean animations. This different status of animation industries of two countries are the result of different government policies and the fallacy of Korean government. While the Chinese government has focused its industry policy on the facilitating the domestic market by establishing the stable broadcasting TV distribution and encouraging the animation production through organic cooperation between related government agencies, Korean government spent lots of effort into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original animation projects, without cooperative structure in the government, and without sincere consideration 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ment of domestic market consumer basi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애니메이션의 발전과 다양화를 위한 실험애니메이션의 역할

        손국환(Kukan So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실험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의 탄생이후 애니메이션 작가 혹은 감독을 꿈꾸는 대부분의 창작자들을 위한 표현의 방식이었으며 창의적이며 진보적인 표현으로 인해 애니메이션의 질적 발전을 불러오는 원동력이 되어왔다. 뿐만 아니라 20세기 중반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추상성과 실험성이 강조되는 수많은 작품들이 제작되었고 이것은 애니메이션의 발전 과정과 함께 하였다.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영국, 미국, 일본, 캐나다 등의 풍부한 애니메이션 자원을 가진 나라들은 실험애니메이션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환경의 조성과 창작의욕의 고취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애니메이션 생태계를 살펴보면 상업적인 가치로 애니메이션의 질을 평가하고, 실험적 성격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교육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으며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젊은 창작자들 역시 상업적 활용도에 따른 성공여부로서 그들의 가치를 평가받는다. 그러므로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한국 영상 콘텐츠의 발전과 다양화를 위해서는 좋은 기획과 스토리 개발을 통한 상업적 목표의 달성뿐만 아니라, 예술적 실험적 성격의 독립 애니메이션과 실험 영상에 대한 가치를 재정립하고 교육환경 조성 및 창작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외 애니메니션 교육기관의 교육과정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실험애니메이션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교육자 인터뷰를 통해 교육에 있어서 실험애니메이션의 역할을 알아본다. 또한 이들 나라에서 활동하는 젊은 애니메이션 창작자와 한국 애니메이션 창작자 및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관련 전문가를 선별하여 인터뷰를 통해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실험애니메이션의 역할과 이를 통한 한국 애니메이션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Since the birth of experimental animation, Animation is a way of expression for the most creators who dream an animation writer or director and it has been the dynamics of qualitative development of animation due to the creative and progressive representation of experimental animation . As well as numerous abstract and experimental animation works are produced with the advent of computers in the mid-20th century and these animations are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imation. These days, countries with abundant animation resourc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anada recogniz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experimental animation and they are making efforts to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ncourage the creative will with experimental point of view. However, in the system of Korea Animation, the quality of the animation is evaluated by commercial valu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does not create for experimental animation, moreover, the value of young creators who create an animation is evaluated by the success of commercial utilization. Therefore, achieving commercial goals through good planning and story development, redefining the value for the independent animation and experimental video art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and creative environment a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Korea video content including animations.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urriculum of international animation education and Korea in terms of experimental animation, and interviews the educators as well. The role of experimental anim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is discussed through interview with Korea young animation creator and overseas, and animaition festival relevant experts.

      • KCI등재

        한-중 애니메이션산업 교류를 위한 지원정책 비교

        김진영(Kim Jin-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3

        21세기 영상산업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부상하면서 영상산업의 대표적인 장르인 애니메이션도 정부가 주목하는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한국과 중국 또한 2000년대 이후 정부가 애니메이션 산업진흥정책을 실행해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고 있지는 않다. 한국은 시장의 한계로 인해 중국시장진출을 희망하고 있고, 중국 또한 한국의 영상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어 함께 성장하고 싶은 시장중의 하나이다. 이에 아직 정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서로 신뢰하고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양국정부의 정책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한국은 창작기획을 중심으로 하는 제작지원정책이 주를 이루었던 반면, 중국은 애니메이션 수요시장을 확보하고, 제작할 수 있는 공간을 설립하는 지원정책에 주력하였다. 10여년이 지난 지금 한국은 애니메이션 수요시장이 불안정하고 창작공간이 부족해 새로운 인재의 배출이 어려워지고 있는 반면, 중국은 애니메이션 수요시장을 확보하고, 창작공간을 전국 각 지역에 성립했지만, 소재와 캐릭터의 제한과 기획, 창작요소의 결핍으로 원하는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런 한국과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의 특징을 살려 합작이나 공동제작을 하고 시장을 공유할 경우 양국은 더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hile visual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is becoming higher value-added industry, anim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genre of visual industry is also developed to the industry focused by government. Korea and China also pursue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as government executed animation industry promotion policy after the 2000s. However, its results are still under the expectation. Korea hopes advance of Chinese market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market and China is also one of the markets we want to grow together due to the vitalization of Korean visual market. Therefore, i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animation industry which is still influenced by government policy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policies of two countries so as to seek measures to exchange each other with mutual confidence, Korea showed manufacture supporting policies focusing on creation and design, but China focuses on support policies grasping markets of animation and establishing the space for production. Now, it has been about 10 years and Korean market of animation is unstable and it"s difficult to release new manpower because of the insufficient space of creation. But, China secured animation market and established creation space in every region of the whole country, but there are not desirable outcome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materials and characters and insufficient factors of designing and creation. If trying collaboration or joint production and sharing the market by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animation, both of two countries will obtain better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