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과 직업적응의 관계 분석

        김양은 ( Kim Yangeun ),최연화 ( Choi Yeunhwa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이 초임 보육교사의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임 보육교사의 직업적응 수준에 따라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이 직업적응의 하위변인(역할 명확성, 과업숙달,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현재 재직 중인 어린이집이 첫 직장인 경력 3년 미만 초임교사 196명 이었으며 웹 기반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SNS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임 보육교사의 직업적응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이 인식하는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원장의 의사소통은 초임 보육교사의 직업적응 하위변인 중 사회적 통합을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으며 역할 명확성, 과업숙달의 순서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장의 협력적 의사소통은 초임 보육교사의 직업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역할 명확성, 과업숙달, 사회적 통합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적 의사소통은 역할 명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반면 원장의 통제적 의사소통은 초임 보육교사의 사회적 통합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초임 보육교사들의 성공적인 기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을 규명하고, 어린이집의 민주적 조직문화 형성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교사의 적응을 돕는 지원방법을 모색하고 원장의 조직관리 전략을 위한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communication style and the beginning teacher’s job adaption. For this purpose, it was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director’s communication style according to the level of beginning teacher’s job adap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director's communication style on the sub-variables of job adaptation(role clarity, task mastery, and social integr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6 beginning teachers, who are currently employed in a child-care center for less than 3 years, and collected data through SNS using a web-based driv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rector’s communication style perceived by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the beginning teachers on their job adaptation. Second, the director’s communication was the most explanatory of the social integration among sub-variables of beginning teacher’s job adap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shown in the order of role clarity and task mastery. Looking specifically, the director’s cooperative communication increased the role clarity, task mastery,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 and the professional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ole clarity. In contrast, the director's controlled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was identified the communication style of the director who influences the successful institutional adaptation of beginning teachers and revealed the necessity of forming the demo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in child-care cente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e support method for teacher’s job adaption and suggested the communication style for director’s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y.

      • KCI등재

        취학 전 유아의 사회적 규범이해와 의사결정능력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병렬매개분석

        김양은(Kim, Yangeun),이경돈(Yi, Kyungd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유아의 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고, 변인 간의 관계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213명 이었으며 적응기간을 완료한 2019년 4월부터 2주간 교사의 관찰 및 유아면담을 통한 설문지로 유아의 의사결정능력, 사회적 규범이해, 회복탄력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규범이해와 회복탄력성은 의사결정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규범이해와 의사결정능력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을 병렬매개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원인분석능력과 적극적 도전성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의사결정능력은 사회적 규범이해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원인분석능력과 적극적 도전성을 통해 영향을 받는 것이라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과 기관에서는 사회적으로 전수할 수 있는 사회적 규범에 대한 지식과 함께 당면한 문제에 대해 원인을 찾고 적극성을 갖고 새로운 시도를 장려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서 유아의 의사결정능력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decision-making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3 children aged 5, and the data on their decision-making ability,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resilience were collected based on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interview with the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by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resil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cision making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Second, there was partial mediation effect found between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resilience of preschool children. Third, in the parallel analysis of subvariables of resilience, which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cause analysis and proactive attitude had significant effects. In other words, while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children are influenced by their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it is also influenced by their cause analysis ability and proactive attitude.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homes and organizations must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an gain an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grow the ability to find the cause of problems facing them and the attitude to try new things with proactive attitude in order to support development of their decision-making ability.

      • KCI등재

        초임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의 매개효과

        최연화(Yeunhwa Choi),김양은(Yangeun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would predict work adjustment,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regression,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when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work adjustment. Second,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the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Thir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ewly-appointed teachers had partial-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as well as on the complet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motivation and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The training institute should strengthen education that could foster active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workplace culture for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 KCI등재

        중학생 대상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전경란 ( Gyongran Jeon ),김양은 ( Yangeun Kim ),아미 ( Amie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미디어교육을 점검하고 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교 미디어교육 관계자들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은 디지털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과 인재상을 양성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 자원의 미비 및 미디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문제, 그리고 학교 교육으로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이 지닌 현실적인 제약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제도가 학교미디어교육의 기반으로서 그 의의와 중요성이 공유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은 의미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한편,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교사 및 미디어교육 강사가 제시한 교육적 의의와는 달리 학생들은 실제 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결국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이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서 미디어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요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 교육환경의 변화에 진정으로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 교육은 물론 미디어교육의 틀을 넘어서는 실험이 요구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새로운 교육적 시도와 실험의 장으로서 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dia education practice which takes place in schools as part of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s in schools. Based on experts’ opinions, this study shows that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has potential to nurture students into creative talents that the digital era requires. Despite of its limits caused by the lack of resources and social recognition as well as the practical restric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s perceiv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amongst educators and experts. However, different from experts’ positive opinions, stu-dents we interviewed made negative comments about media education programs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thorough consideration of students’ wants and need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in schools. Furthermore, for the media education as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to respond to rapid changes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it needs to transcend the boundary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existing media education practice. This study concludes that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can provide media educators with a space to try out new media education program and explore its new possi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