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50세 이하와 70세 이상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의근치적 수술 후 성적 비교

        이재익,김건우,박국양,박철현,전양빈,최창휴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2

        Background: Previous series have suggested that younger patients with primary lung cancer exhibit a more aggressive disease course with a worse prognosis, as compared to older patients, although this issue is still debatable.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79 patients (32 patients 50 years and younger (Group I) and 47 patients 70 years and older (Group II))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primary lung cancer between July 2000 and June 2008. Result: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46.5 years in Group I and this was 73 years in Group II. The older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major comorbidities (44% versus 77%, respectively; p=0.003). Histological examinations identified that the minor histological types (exclud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ere predominantly found in the Group I patients (16% versus 2%, respectively; p=0.037). For the TNM staging of the NSCLC, with excluding the minor histologic types,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had stage III disease in Group I (33% versus 13%, respectively; p=0.03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morbidity (16% versus 30%, respectively; p=0.148) and operative mortality (0% versus 4.3%; p=0.512) between the groups. The mean follow-up interval was 33 months (range: 1∼98 months) for patients in both groups. For the patients with NSCLC, the five-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52.3% for Group I and 53.7% for Group II (p=0.955). The rate of freedom from recurrence at five years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Group I patients than for the Group II patients (39.4% versus 70.4%, respectively; p=0.027), and only being a member of Group I impacted recurrence, based on the Cox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p=0.034). Of the patients who had recurrence, four patients in Group I underwent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 All of these patients exhibited long-term survival (range: 46∼87 months). Conclusion: In our study, the early outcome and long-term survival were similar for the younger and older patients after curative resection of primary lung cancer. However, we think that younger patients require meticulous follow-up as they had a tendency to proceed to surgery with advanced stage disease, a higher recurrence rate than did the older patients and the survival rates were improved, even for the recurred cases, with early aggressive treatment. 배경: 젊은 환자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폐암은 고령의 환자에 비해 악성도가 높고 예후가 나쁘다는 일부 연구자들의 보고가 있어 왔으나 여전히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본원에서 원발성 폐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79명의 환자(50세 이하 환자 32명과(1군)과 70세 이상 환자 47명(2군))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당시 연령의 중앙값은 1군이 46.5세(25∼50세), 2군이 73세(70∼82세)였다. 다른 주요 질병이 동반된 환자는 1군(44%)에 비해 2군(77%)에서 월등히 많았다(p=0.003). 비소세포 폐암을 제외한 기타 조직형(육종, 소세포암, 점액상피양암 등)은 주로 1군에서 발생하였다(16% vs. 2%, p=0.037). 기타 조직형을 제외한 비소세포 폐암 중 1군에서 3기 환자가 유의하게 많았다(33% vs. 13%, p=0.038). 주요 술 후 합병증은 1군에서 16%, 2군에서 30%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p=0.148), 술 후 사망 환자는 2군에서만 2명 발생하였다(0% vs 4.3%, p=0.512). 평균 33개월(1∼98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기타 조직형을 제외한 비소세포 폐암의 5년 생존율은 1군이 52.3%, 2군이 53.7%로 차이가 없었다(p=0.955). 5년 재발 회피율은 1군이 39.4%, 2군이 70.4%로 젊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재발이 많았으며(p=0.027), 다변량 분석에서도 유일한 재발의 위험 인자는 1군이었다(p=0.034). 1군 재발 환자 중 4명에서는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들 모두가 46∼87개월간 장기 생존하였다. 결론: 본원에서 원발성 폐암으로 수술 받은 50세 이하 환자들의 술 후 조기 성적과 장기 생존율은 고령의 환자들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젊은 환자들은 고령의 환자들에 비해 진행된 병기에서 수술을 하는 경향이 있었고, 상대적으로 재발율이 더 높았으며, 일단 재발한 경우라도 적극적인 조기 치료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므로 철저한 추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Nitric Oxide 및 Sphingosine 1-phosphate가 말초 호흡 단위에 미치는 영향의 생체 내 분석: 백서의 급성 폐 손상 모델에서 생체 접촉 현미경을 이용한 연구

        이재익,전상훈,성숙환,김주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2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haled nitric oxide (NO) and sphingosine 1-phosphate (S1P)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of acute lung injury, we analyzed the morphology in vivo of the pulmonary microstructure using intravital videomicroscopy in a rat model of acute lung injury. Material and Method: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control group that underwent normal saline aspiration, an acute lung injury (ALI) group that underwent hydrochloric acid aspiration, and three treatment groups that underwent hydrochloric acid aspiration and were administered therapeutic agents- the S1P group, the NO group, and the S1P+NO group (n=7 per group). To quantify alveolar compliance and interstitial edema, the diameters of all measurable alveoli and interalveolar septa were averaged at one and two hours after aspiration. Alveolar complianc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diameter changes during the respiratory cycle and the change in tidal volume. Result: At two hours after aspiration, the mean alveolar compliance (% change) in the ALI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versus the control group of rats (respiratory cycle: 1.9% for the ALI group vs 6.5% for the control group, p=0.03; tidal volume: 3.2% for the ALI group vs 9.1% for the control group, p=0.003) and versus the NO group (tidal volume: 3.2% for the ALI group vs 16.9% for the NO group, p=0.001). At two hours after aspiration, the mean interalveolar septal thickness in the NO group tended to be smaller as compared to that in the ALI group (15.2μm for the ALI group vs 12.3μm for the NO group, p=0.06). S1P did not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lmonary microstructure of the injured rat lung. Conclusion: Improved alveolar compliance and reduced interstitial edema, observed by intravital videomicroscopy, suggest that inhaled NO ameliorates lung injury.

      • KCI등재후보

        폐와 식도에서 동시에 발견된 중복암의 수술적 치료 1예 보고

        이재익,우종수,이길수,노미숙,박미경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11

        식도암 환자에서 동시에 일차성 폐암이 발견되는 빈도는 2% 미만에 불과하며, 특히 두 질환 모두 예후가 나쁨으로 인해서 환자들이 근치적 절제술을 받을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환자를 신중히 선택한다면 폐와 식도의 중복암을 동시에 절제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들은 최근 식도와 폐의 일차성 중복암 환자 1예를 경험하였고, 쌍폐엽절제술과 Ivor Lewis 술식으로 일차성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국내 문헌상으로는 최초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우관상동맥 폐색을 초래한 심근 농양 -1례 보고-

        이재익,김기봉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8

        심근 농양은 대개 감염성 심내막염이나 패혈증의 합병증으로 생길 수 있다. 심근 농양이 관상 동맥을 압박 하여 심근 허혈을 초래한 경우는 1987년 Cripps 등이 보고한 이래 5-6례 있을뿐이다. 61세 남자 환자가 내원 6주 전부터 시작된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열과 오한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발열이 시작된지 2주후에 심실 세동 및 이로 인한 심장 마비로 심폐소생술을 시행받은 병력이 있었다. 심에코와 관상동맥 조영 결과 우측 방실구 부위의 심근 농양이 우관상동맥을 외부에서 압박하면서 심근 경색을 초래한 소견을 보였다. 수 술은 농양을 변연 절제하였으며 괴사된 심방벽을 절제한 후 생긴 결손은 자가 심낭을 이용한 patch로 폐쇄하 였고 우측 내유동맥을 우관상동맥의 원위부에 문합하였다. 환자는 합병증없이 퇴원하였으며 수술 중 검체에 서 시행한 농양배양 검사에서는 Salmonella arizona가 동정되었다. Myocardial abscess usually occurs as a complication of infective endocarditis or overwhelming septicemia. Coronary artery occlusion caused by myocardial abscess has been rarely reported. A 61-year-old man presented with fever and chill that developed 6 weeks prior to admission. He had a histor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cardiac arrest 4 weeks prior to admission. Echocardiography showed a 3xfcm sized mass in the area of the right atrioventricular groove and coronary angiography showed complete occlusion of the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Under the diagnosis of myocardial infarction complicating myocardial abscess, debridement of abscess an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with right internal mammary artery to distal right coronary artery was performed. Culture from the abscess cavity demonstrated Salmonella arizona.

      • KCI등재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재익,정수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사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개인특성에 대한 조절변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무불안정성은 개인적, 직무적 및 조직적 요인을, 조직성과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조절변수로는 자기효능감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불안정성은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직무불안정성 요인 중 조직적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직적 요인, 직무상황 및 성취감 저하의 순으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근로자의 직무불안정성과 관련된 기업의 정책수립 과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to measure the effect of mediator variable on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eac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hat regards, personal, posi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considered to measure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respectively. Self-efficacy has been designated as a mediator variabl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ll variables besides gender have revealed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on job insecurity.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factor has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In analyzing its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self-efficacy has revealed to have a highest controlling effect on organizational factor, followed by job status and lowering sense of accomplish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ill function as an useful foundation work for companies in setting its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