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소 스포츠 교류에 나타난 소비에트 한인 스포츠인들의 초국가적 정체성 연구-넬리 김과 유리 채를 중심으로-

        양민아(Yang, Mina)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0 슬라브학보 Vol.35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gress and achievements of Korea-USSR sports exchanges until the dissolution of the USSR in 1991 after the Korean sports delegation first visited Moscow to participate in the Universiade in 1973 and found out the meaning in Korean sports history. In addition, it examined the role of Soviet Korean sportsmen and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identity in this process. As a research method, a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rticles of the monthly Physical Education published by the Korean Sports & Olympic Committee since 1966 as the main text and the daily newspapers’ articles as the subtext. Before the dissolution of the USSR, Korea-USSR sports exchanges showed different aspects before and after the 24th Seoul Olympics and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Embryonic Period (1973~1984), Growth Period (1985~1988.8.), Mature Period (1988.9.~1991). The Korea-USSR Sports exchange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uccess stories of sports diplomacy that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re-establishment of the Korean-Soviet diplomatic relations on September 30, 1990. In this process, Among the Soviet Korean sportsmen, Nellie Kim and Yuriy Tskha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ports in Korea through the Koreanization of Soviet sports techniques and were able to experience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identity by serving as a bridge between Korea-USSR sports exchanges.

      • KCI등재

        1920~30년대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의 ‘고려분과’ 설립과 한명세의 문화예술 활동 연구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중앙 문학·예술 아카이브(ЦГАЛИ СПб) 자료를 중심으로

        양민아(Mina Y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3

        본 연구는 192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동방 민족의 집(Дом просвещения народов Востока 또는 Дом народов Востока, 약칭_ДПНВ 또는 ДНВ)’내에 설립된 ‘고려분과(Корейская Секция)’를 중심으로 한 1920~30년대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의 문화예술 활동과 사회주의운동가였던 한명세(韓明世, Хан Андрей Абрамович, 1894~1937)의 1933~37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고려분과’에서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현지조사를 통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국립 중앙 문학·예술 아카이브(ЦГАЛИ СПб)자료들을 중심으로 국립 중앙 역사 아카이브(ЦГАИ) 그리고 국립중앙아카이브(ЦГА)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인들과 한명세의 문화예술 활동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고려분과’는 1921년 설립된 ‘고려클럽’을 기반으로 초기 소비에트 시기에 다민족·다문화 공간인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민족문화를 꽃피울 수 있었던 민족문화정책 안에서 활동한 기관이었다. 한명세는 1933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2년간(1936~1937) 고려분과의 사업을 이끌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한인들의 민족문화 소개와 민족정체성 확립 그리고 민족의식 고취를 위해 한인들의 연극, 무용, 음악 등 문화예술 활동을 장려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Section established in 1928 in the House of the Eastern Peoples in St. Petersburg(formerly Leningrad) and Learn about th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Korean Russians in St. Petersburg. The methodologies of this study were used literature analysis and fieldwork, focusing on the materials of the National Central Literary and Art Archive (ЦГАЛИ СПб) located in St. Petersburg, Koreans and Han Myung-se who are owned by the National Central Historical Archive (ЦГАИ) and the National Central Archive (ЦГА) Data related t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Korean Section’ was an institution that was active in the national cultural policy that allowed the national culture to blossom in St. Petersburg,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pace, during the early Soviet period based on the ‘Korean Club’ established in 1921. Han Myung-se moved to St. Petersburg in 1933 and led the business of the ‘Korean Section’ for 2 years (1936-1937). He encouraged Koreans to engage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uch as national theater, dances, and music to introduce Koreans to their national culture, form a national identity, and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in St. Petersburg.

      • KCI등재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의 소련 순회공연과 공연작품들의 글로컬리티 연구

        양민아 ( Yang¸ Mina )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1956년 9월 최승희와 안성희를 필두로 동유럽 순회공연에 파견된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 단원을 포함한 107명의 대규모 북한예술단의 마지막 일정이었던 소련 순회공연의 세부 일정을 밝히고, 그 목적과 의의 그리고 공연 작품들을 알아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이 작품들을 통해 1950년대 최승희의 작품창작 경향과 소련의 예술가들 및 관객들의 수용양상을 바탕으로 공연작품들에 나타난 최승희식 글로컬리티 현상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는 1956년 11월 30일-1957년 1월 12일까지 약 44일간 소련 순회공연을 가졌다. 이번 순회공연에서 무용극 <사도성의 이야기>, <맑은 하늘 아래서>, <조선의 어머니>와 25개의 민속무용 소품을 공연하였다. 이번 공연을 통해서 최승희는 자신의 예술성을 세계무대에서 인정받고자 했으며, 북한 정부는 사회주의 국가들 사이에서 북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우방 국가들과의 결속력을 강화하려는 정치적인 목적이 있었다. 월북 이후, 최승희는 현대의 무용 예술양식에 한민족의 특수성을 녹여내어 세계무대에서 북한무용을 세계적인 예술의 반열에 올리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그녀는 북한무용을 형식 면에서는 소련의 발레의 형식과 연출 기법을 활용하고, 내용과 주제 면에서는 사회주의 국가들의 예술창작방법론인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표방하여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다룬 민족무용극 “북한 발레”를 개척했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사도성의 이야기>(1954)이다. 무용소품에서는 한민족의 슬기롭고 낙천적이며 근면한 생활상을 형상화하여 북한의 모범적인 사회주의 민중들의 모습을 선보였다. 이 작품들은 최승희의 방식으로 글로컬리티를 표현한 무용작품들로 해외 관객들의 수용양상은 다르지만 소련을 위시한 동유럽의 예술무대에서 그 예술성을 인정받고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The first is to clarify the detailed schedule of the concert tour of the USSR, which was the last schedule of the Choi Seung-hee’s National Dance Studio, dispatched to the Eastern Europe tour in September 1956. This clarifica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of the purpose, signification of this concert tour and the dance works.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Choi Seung-hee’s glocality in her dance works based on the trends of her creation in the 1950s and the Soviet audiences’ reception of her works. The Choi Seung-hee’s National Dance Studio held a concert tour of the Soviet Union for 44 days from November 30, 1956 to January 12, 1957. In this tou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d a political purpose to advocate North Korea's position among socialist countries an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among them. After Choi Seung-hee’s return to North Korea, in the form of her works she used the stagecraft of Soviet ballet for her choreographies of North Korean dance. And In the content and subject of her works, she pioneered the North Korean dance drama “North Korean Ballet”, which dealt with socialist patriotism and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following socialist realism. In her other dance works, she portrayed the North Koreans’ wise, optimistic, and diligent lives and showed the model of North Korean socialists. Although foreign audiences’ reception was different, her artistry was recognized in Eastern Europe, including the USSR, and caused a great repercussion.

      • KCI등재

        문화 허브로서 유라시아 한인 예술단체의 역할과 비전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

        양민아(Yang, Mina)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1 No.-

        카자흐스탄에 소재한 국립 공화국아카데미 고려희가극 극장(이하 고려극장)은 1932년 9월 9일 연해주에서 창립되어 2022년은 창립 90주년을 맞는 해이다. 고려극장은 1세기 가까운 시간동안 중앙아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화적 구심점으로 남·북한춤을 비롯하여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의 민속춤 등 다양한 춤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극장은 러시아 한인들의 역사적 조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의 정체성을 가시화하며, 그들의 마음의 고향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은 총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 원동변강조 선극장의 탄생: 조선춤 유입기(1932~1937); 제2기 주립 고려 음악-드라마 극장: 중앙아시아와 북한춤 유입기(1937~1968); 제3기 공화국 고려 희가극 극장: 자체레퍼토리확립기(1968~1990); 제4기 국립공화국 아카데미 고려 희가극 극장: 한국춤 유입기(1991~현재) 고려극장은 한 발 더 나아가 전 세계 한민족의 문화와 예술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교류하여 새로운 작품들로 재탄생될 수 있는 확장된 개념의 문화 허브, 즉 한민족 문화창조의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문화허브로서 유라시아한인 단체인 고려극장의 역할과 비전은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북한 춤문화 교류의 교두보; 둘째, 디아스포라 예술인들의 화합의장; 셋째, 세계 한인문화예술의 멜팅팟(melting pot); 넷째, 차세대러시아 한인 예술인 양성의 인큐베이터이다.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Abbr. the Korean Theater), was founded on September 9, 1932 in Primorsky Krai, USSR. The Korean Theater had been deported to Kazakhstan in 1937, it will celebrate its 90<SUP>th</SUP> anniversary in 2022. For nearly a century, The Korean Theater as a cultural center for the Korean diaspora in the CIS countries, has various dance cultural assets, from North and South Korean dances to Russian, Kazakh and Uzbek folk dances. The Korean Theater arises the nostalgia for Korean-Russians’ historical homeland and visualizes their identity, and serves as the hometown of their hearts. The dance art activities of the Korean Theater can be divided into the four periods. First, The Birth of Far East Maritime Provincial Joseon Theater: Influx of Joseon Dance (1932~1937); Second, The Regional Korean Music and Drama Theater: Central Asian and North Korean Dance Inflow (1937~1968); Third, the Republican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Establishment of its own repertoire (1968~1990); Fourth,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Introduction of South Korean Dance (1991~Present) In the future, the Korean Theater should play a role as a cultural hub with an expanded concept that can freely connect and exchange the culture and art of the Korean people around the world and re-created as new works, that is, a platform for creating Korean Culture. As such, the role and vision of the Korean Theater, an Eurasian Korean art organization as a cultural hub,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ur categories. First, a bridgehead for inter-Korean dance culture exchange; Second, a Field of harmony among Korean diaspora artists; Third, the melting pot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the world; Fourth, an incubator for nurturing next-generation Korean-Russian artists.

      • KCI등재

        초기 소비에트 연방의 민중문화로서의 춤 공연예술 현상연구

        양민아 ( Yang Mina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9 No.-

        본 연구에서는 1920~30년대 초기 소비에트 연방이 국가로서 기틀을 다지기 위해 민중계몽, 사회주의이념 확산, 민족통합을 목적으로 예술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며 나타난 민중문화로서의 춤 공연예술현상을 살펴보려고 한다. 1920~30년대는 레닌의 예술대중화 사상에 의해 신생국가 소비에트 연방을 이끌어 갈 다양한 사회계층의 국민들이 향유하고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예술의 모습을 찾고 있던 시기였다. 따라서 이 시기는 소비에트 연방의 공연예술의 특징과 형식 그리고 방향성이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는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비전문인들의 예술단인 소인예술단(素人藝術團)의 활동. 일반 대중들이 공연 예술의 생산과 향유의 주체로 등장한다. 둘째, 에스트라다(Эстрада)와 민속춤의 활성화. 이는 다민족·다문화 민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공연예술의 형식과 장르로 자리 잡는다. 발레안무가들에 의한 민속예술단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소비에트 발레의 탄생. 1934년에 열린 `전소련 작가동맹회의`에서 고리끼 M.이 소비에트 예술창작원리로써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선포하였고, 이에 따라 젊은 소비에트 안무가들은 소비에트 연방 정권이 추구하는 주제와 내용에 부합하는 소비에트 발레를 창안한다. 초기 소비에트 연방에서 형성된 민중공연예술의 형식과 레닌의 예술사상은 여타 사회주의국가들의 예술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1980~90년대 활발했던 민족·민중춤 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소비에트 연방 초기에 형성된 민중문화로서의 춤 공연예술의 형식과 특징들이 민족·민중춤 활동에서 어떠한 경로로 수용되고,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related to dance as a performance art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Soviet Union, a time in which art was broadly used for public enlightenment, the promotion of socialist ideology, and national integration and establishment in the 1920s and 1930s. Dance in this period will be investigated with the aim of determining who produced and appreciated dance performance, the format and genre of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themes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Throughout the 1920s and 30s, efforts were made to develop a new form of art that would be appreciated and accepted by Soviet people from various social classes and would help to lead the newly born country, based on Lenin`s idea of popularizing art for the general public. It was a critical period that shaped the characteristics, format, and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in the Soviet Union. In looking at this period, three phenomena stand out. First, ordinary people emerged as both producers and viewers of the performing arts, and an amateur performing arts group (Soin Yesuldan) became popular. Second, Estrada and folk dance became popular during this period among the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people of the Soviet Union,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birth of a folk dance company with ballet choreographers. Third, at a meeting of the Pan-Soviet Writers Alliance held in 1934, Gor`kii M. declared that socialist realism should be the principle for creating Soviet art. Subsequently, young Soviet ballet masters developed new forms of ballet in which the themes and contents were in accord with the government agenda. Dance as a performing art in the early period of the Soviet Union greatly influenced not only the art movements in other socialist countries but also Minjok and Minjung chum in Korea in the 1980s and 1990s. In this regard,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how dance formats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Soviet Union have been accommodated and reflected in Korean Minjok and Minjung chum.

      • KCI등재

        유라시아 춤 문화 교류의 시원(始原) - 1920년대 경성의 〈예술학원(藝術學院)〉 을 중심으로

        양민아(Yang, Min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3 No.-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서양의 무도 열풍의 시원이라고 할 수 있는 1920년대 〈예술학원(藝術學院)〉의 강습활동과 무도회 및 공연 활동을 통해 1920∼30년대 대표적인 유럽 문화인 무도문화의 근대 경성으로의 유입경로와 그 향유공간이자 유흥공간이었던 카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경성에서 유라시아 춤문화의 교류현황과 대중화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당시 우리사회에서 유행하던 카페와 경성의 신세대들의 유라시아 춤문화의 소비패턴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근대시기 우리사회에서 유라시아 춤문화의 현황과 위치 그리고 그 내재된 의미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1920∼30년대 발행된 신문『동아일보』, 『매일신보』, 『조선일보』 및 잡지 『개벽』, 『삼천리』, 『조광』 그리고 당시 문화를 연구한 논문과 저서 등의 관련 학술연구물들의 문헌분석을 사용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ow of European ballroom dance culture, the situations of cafes as commercial entertainment venues and the role of popularization in modern ballroom dance and the process of Eurasian dance and cultural interchange through the activities of Yesulhakwon (the Academy of Arts) in Seoul in 1920s-30s. The author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ltural consumption pattern of Seoul’s new modern generations and the culture of modern cafe which was enjoyed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and understand the implicit meaning of ballroom culture in Korean culture.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and library research including academic works and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daily newspapers (Donga Ilbo, Maeil Shinbo, Chosun Ilbo) and magazines (Gaebeok, Samchulli, Jogwang) in 1920s-30s.

      • KCI등재

        1950년대 북-소 공동제작 영화에 나타난 북한무용의 트랜스 컬처성 연구 - <사도성의 이야기>와 <형제들>을 중심으로 -

        양민아(Yang, Min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8 No.-

        본 연구는1950년대 북한과 소련의 영화교류의 역사를 통해 트랜스 컬처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북-소 공동제작 영화인 <사도성의 이야기>와 <형제들>에 등장하는 북한무용의 트랜스 컬처성과 역사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발레영화 <사도성의 이야기>(1956)는 1954년 최승희가 창작한 같은 제목의 무용극을 영화한 작품으로 북한 최초의 총천연색 예술영화이다. 영화 <형제들>(1957)은 최초의 북-소 공동제작영화로 영화사적 의미가 있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그동안 북한영화사에서 평가절하 되었다. <사도성의 이야기>는 소련 발레 문화가 북한의 최승희 방식으로 형상화 된 무용극으로, 최승희가 직접 여자 주인공 금희를 맡아 열연하였다. <형제들>에서는 최승희와 그녀의 딸 안성희가 출연하여 여러 무용작품을 통해서 남한과 북한 사회가 추구하는 문화와 이데올로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이 영화에 등장하는 한민족을 대표하는 민속무용소품들인<농악>, <부채춤>, <장고춤>은 최승희가 한민족의 독특한 춤문화를 소련의 사회주의 무용예술과 결합시켜 유럽식의 무대에 적합하도록 재창조한 트랜스 컬처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트랜스 컬처의 1차 산물인 최승희의 북한무용작품들은 다시 이 두 영화 안에서 소련의 영향을 받은 북한의 영화언어로 재탄생 된 이중적인 트랜스 컬처성을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cultural influence through the history of film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1950s and explores the transculturalit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North Korean dance in <The Story of Sado Castle> and <Brothers>, North Korean-Soviet co-produced films. The film <The Story of Sado Castle> (1956), the first North Korean full-color art film, is a film of a dance drama of the same title created by Choi Seung-hee in 1954. The film <Brothers> (1957) is the first North Korean-Soviet co-produced film, which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but has been devalued in North Korean film history for political reasons. <The Story of Sado Castle> is a dance drama that embodies the Soviet ballet culture in North Korean Choi Seung-hee‘s style, and she plays the main character Guem-hee. In <Brothers>, Choi Seung-hee and her daughter, Ahn Sung-hee appear and symbolically show the culture and ideology pursued by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y through various dance works. In particular, <Nongak>, <Buchaechum> and <Janggochum>, which are folk dance works representing the Korean culture, are the result of transculture that Choi Seung-hee recreated and reconstructed to fit the European stage with combining the unique Korean dance culture and Soviet socialist dance art. Choi Seung-hee"s North Korean dance works, the primary transcultural product, show a dual transculturality that was reborn in the North Korean film language influenced by the Soviet Union in these two films.

      • KCI등재

        재외한인을 위한 한국전통공연예술교육의현황과 과제 연구: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양민아 ( Mina Ya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전통무용을비롯하여 한국문화교육의 현황과 그 변화과정을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 난(蘭) >과 한국전통무용단< 소운(小雲) >의 활동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먼저,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의 한국전통무용 활동의 중요성과 특수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2012년 초연 한 러시아어로 하는 마당놀이 < 두 형제와 마술호박이야기 >의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현지화 교육모델로써의 가능성을 진단해 볼 것이다. 이와 함께, 다문화 사회에서 대한민국과 거주국 양국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양국의 발전을 위해서 활약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의 양성과 한국문화의 적극적 향유를 위한 재외한인들의 한국전통공연예술교육의 현황과 그 과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life and culture of ethic Koreans living in St. Petersburg, Russia. And also the current status and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well as Korean cultural education were studied with the activities of ‘Nan’ a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and ‘Soun’, a Korean traditional dance compan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and uniquen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ethic Koreans living in St. Petersburg. As an glocalizational educa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possibility of a Korean traditional outdoor performance ‘the story of two brothers and a magic pumpkin’ (premiere 2012) in the Russian language will be checked out. Furthermore,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cessity and task of the educa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overseas Koreans to foster global talents wh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oth Korea and the Russia as well as to arouse their interests in Korean culture.

      • KCI등재

        포스트 팬데믹 시대,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의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조미혜(Cho, Mihye),양민아(Yang,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맞아 대학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영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동영상 강의와 Zoom을 활용한 실시간 강의를 병행하며 진행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들의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와 보완점을 진단하여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I 대학교의 2020년도 2학기에 진행된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사례에서 수강생들의 강의 평가, 퀴즈와 과제 그리고 교수자의 강의 녹화기록과 수업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텍스트 분석과 내용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4회의 연구회를 진행하여 구성원간 검토와 동료간 협의, 다각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수강생들은 온라인 댄스스포츠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보았다. 첫째,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와 생활의 활력 증대; 둘째, 춤을 통한 사회적 연대감 유지; 셋째, 신체건강 증진; 넷째, 춤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이다. 결론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은 대면수업에서 적극적인 수강생들의 상호교류가 시너지를 일으켜 보다 높은 교육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업이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은 하나의 대안으로써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perate and analyze the case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for dance sports as liberal arts and sports in the post-pandemic era. Through this, we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concurrently conducting online video lectures and real-time lectures at Zoom and diagnose the effectivenes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program base on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The authors would like to share the experience of this case of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hel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s The methodologies were used text and content analysis for analyzing students’ feedback, answers to their quizzes and assignments and instructor’s self-records of lectures and class journals. In addition, four research meetings were held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experienced the following effects. First, relieving daily stress and increasing the vitality of life; second, maintaining social solidarity through dancing; third, promoting physical health; and last, forming a positive image for dancing. Conclusions In conclusion, as liberal arts and sports dance sports is a class that can lead to higher educational outcomes by creating synergy between active students in offline class. However in the post-pandemic era where online classes are required.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is meant as an alternative.

      • KCI등재후보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민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7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South-Korean culture and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was started from the Post-Soviettimes. Furthermore, when they contact and accept South-Korean culture, they can reproduce new korean culture. In this process, the glocalizaton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has occurred. This phenomenon can regard as one of the global model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o vitalize studies on Korean dance activities in the Korean diaspora’s cultur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mbers of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urg, Russia, who learn South-Korean culture(Korean, Korean traditional dance, Samulnori etc.). Including 9 adult dancers, who learn and perform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1 year to 10 years at the dance company <SOUN>, which was founded in 2003.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literature research, 2 questionnaire polls(2008, 2011) and 2 semi-structured interviews(2008, 2011).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한인들의 러시아로의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그리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의 특징을 통해 한국문화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한국문화 향유방식을 센터 <난>에서 한국문화(한국어, 전통무용, 사물놀이 등)를 배우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2회(2008, 2011)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2003년에 창단된 한국전통무용단 소운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한인 및 러시아인들과의 반 구조화된 면담 2회(2008, 2011)를 통해 한국 전통춤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 전통춤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그들만의 문화로 재생산 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전통춤 활동의 현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 현지화 모델의 한예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 전통춤의 중요성을 되집어 보고, 한국문화 연구에 있어서 재외한인들의 전통춤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