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퍼포먼스 아카이브의 현재성:<sup>+</sup> 컨템퍼러리 무용의 실천을 중심으로

        김재리 ( Kim Jaelee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7 무용역사기록학 Vol.44 No.-

        본 연구는 컨템퍼러리 무용에서 이루어지는 아카이브의 실천과 이론을 중심으로 무용의 역사성에 대해 재고하고 퍼포먼스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의미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컨템퍼러리 예술에서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론 및 담론을 탐색하고, 아카이브 적용 사례를 분석했다. 지난 20년간 컨템퍼러리 무용의 안무가들은 아카이브의 실천을 통해 무용의 동시대성과 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끌어내고 있다. 본 연구는 아카이브가 지니는 역사적 개념에 대해 인식하고, 퍼포먼스 아카이브를 단지 예술가가 사용하는 하나의 형식이 아니라 능동적인 역사적 행위로 바라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구성하기 위해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과 미셀 푸코(Michel Foucault)의 이론을 개념적 틀로 삼았다. 벤야민은 `현재성`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과거와 현재가 한 순간에 공존하는 이질적인 시간성을 통해 동시대를 인식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으며, 푸코는 역사의 단절과 불연속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선형적인 역사에서 드러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한 고고학적 탐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아카이브가 안무에 어떻게 적용되며, 무용의 현장과 안무적 매체의 특수성이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피기 위해 두 명의 안무가를 대상으로 그들의 작품을 분석했다. 먼저 미국의 안무가 이본느 레이너(Yvonne Rainer, 1934년생)의 < 트리오 에이(Trio A) >는 신체 간에 전달되고 반복되는 춤의 `재연(re-enactment)`을 통해 원본을 모방하고 복원하는 것이 아닌, 원본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춤의 발명과 생산이 이루어지는 수행적인 아카이빙을 제시했다. 둘째 프랑스의 안무가 보리스 샤르마츠(Boris Charmatz, 1973년생)의 아카이브 작업 < 20세기 20명의 무용수들(20 Dancers for the XX Century) >과 < 플립 북(Flip Book) >은 무용의 역사적 사건을 무용수의 개인의 역사와 교차 시킨다. 이 작업들에서 무용수는 역사와 기억을 담지한 아카이브의 주체로서 춤의 행위를 통해 고정된 역사의 지층을 흔들고 새로운 역사를 제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거의 작업들을 현재화하는 과정이 핵심인 퍼포먼스 아카이브는 단지 하나의 양식이나 스타일에 관한 것만은 아니다. 춤에 대한 질문, 참여, 관계, 또한 대상과 주체에 대한 실천적 행위, 즉 안무의 문제로 확장시켜 다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컨템퍼러리 무용에서 역사에 대한 인식과 현재에 대한 물음은 안무를 통해서 수행적으로 접근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mporaneity of performance archive and reconsider the historicality of dance, focusing on practice and theory in contemporary dance. For this, I explored theories and discourses that arose in contemporary arts, and I have analyzed the cases of archive practice. Over past two decades, choreographers in contemporary dance have experimented contemporaneity and history through archive practice. This study focuses on historical concepts of archive in order to find the meaning of the choreographer`s re-enactment. In this study, I refer to Walter Benjamin and Michel Foucault`s proposal on history and archive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frame of this study. “Actuality” in Walter Benjamin`s philosophy is heterogeneous time mod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n singular moments, and it presents reality. Foucault suggests archive as a system of transformation and severance. He exceeds common perception of linear history with an archeological approach. To examine how choreographers apply archive to their work in a level of choreography and body as medium of dance, I have chosen the works of two choreographer: Yvonne Rainer and Boris Charmatz. Rainer uses the methods of “repetition” and “representation”, which transmit from one body to others in her < Trio A >. She suggests performative archiving to produce new creation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Charmatz writes new history, which is established between dance history and a dancer`s memories in the present time. They both emphasized that a body is the subject of both dance and real life because every segment of history inhabits the body. Therefore, there are no distinctions between archive and body in dance. In this study, I discuss performance archive being toward embodied actualization with the choreographic approach. Performance archive is not only a form or style of dance but also questions, engagement, relationships, and enactment of th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of dance. In this light, the choreographic is the way to create both dance and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북조선의 무용연구 현황 고찰

        김해금 ( Jin¸ Hajin ),김영화 ( Jin¸ Yinghua )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0 No.-

        본 논문은 한국의 무용역사기록학회에서 개최한 국제학술심포지엄 “국경너머의 무용사”의 특별한 의미를 되새기며 무용사 연구, 무용 이론연구, 무용문화유산의 전승과 연구 등 세 가지 범주에서 그 연구현황을 살펴본 글이다. 북조선무용이 예술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목표나 미학은 무엇인지, 역사적 시대적 상황을 어떻게 구현했는지, 그와 연관하여 북조선무용의 역사적 정리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북조선무용의 발전사를 들여다봄으로써 좀 더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무용연구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그 춤이 담고 있는 사상, 사회와 문화적 맥락, 종합예술로서의 춤으로 다각적인 관점으로 여러 가지 이론체계와 미학적 특성, 원리와 방법 등의 연구가 반드시 상호병행을 해야 올바른 이해가 가능하다. 무용에 대한 기록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북조선에서는 옛 기록 자료만으로 해명할 수 없었던 무용의 역사와 문화를 과학적으로 밝혀내고 새롭게 정립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작업과 이를 바탕으로 조선민족의 우수한 전통과 무용문화유산이 대를 이어 계승하며 창조 발전해 나아가야 할 문제에 대한 “이론과 방법” 연구에 주력하였다. 이는 북조선의 무용예술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지침으로 된다. 또한 무용예술 발전의 과학적인 이론연구에 주력하여 무용교육 연구에 대한 중요도 인식으로 조선무용사를 비롯하여 조선민족무용기본, 무용 기초이론연구, 무용표기법 연구, 무용기법연구, 민속무용연구, 무용작품창작연구, 무대미술과 조명 연구 등 보다 다각적으로 체계적인 이론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무용기본으로부터 창작과 이론연구에 이르기까지 과학적인 이론을 토대로 체계화하는 학문으로서 무용이론연구의 기초적 토대를 마련해 준 데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ance research of North Korea in three areas: research on dance history, research on dance theory, and the transmission and research of the cultural dance heritage. We investigate comprehensively by looking into the history of North Korean dance by identifying the artistic purpose of North Korea and the ways dance history books organize its history, and the research trend.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correctly on condition that the ideology contained in the dance, the social-cultural context, and the dance as a comprehensive art must be studied in paralleled with various theoretical systems, aesthetic characteristics, principles, and methods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The history and culture of dance that could not be explained with old materials alone have been identified scientifically, newly established, and systematized in North Korea, and based on this, North Korean dance scholarship focused on the study of theory and method on the issues regarding transmission of the excellent traditions and dance heritage of the nation. This focus become an important guideline to the development of dance art in North Korea. In addition, more systematic theoret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including Korean dance history, basic dance theory, and dance notation. These studies are significant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ic and scientific study of dance theory. That would support the basics of dance, dance creation,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 KCI등재

        「무의」를 통한 일제강점기 <장생보연지무> 연구: 『정재무도홀기』와 비교를 중심으로

        위송이,윤명화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무용역사기록학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Mu-ui (舞義, ritual of dance) by Seong Gyeong-rin in dance history and its value as Holgi (笏記, scroll document).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ngsaengboyeonjimu (長生寶宴之舞, Dance of longevity) by comparing the record in Mu-ui to that in Jeongjaemudogholgi (呈才舞蹈笏記, scroll document of court dances). First, the costumes of dancers were five colors, and second, the song Changsha expresses simplification and degraded expression. Third,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composition at the end. Fourth, in the dance, the order of the nine-sided dance was all the same, so there was no big change, but dance details were added to Mu-ui or little details were recorded. Fifth, there was a change in notation, but most of them had the same meaning or dancing.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Mu-ui by Seong Gyeong-rin has the following values and significance in the dance history. First, it holds its value as a Holgi of Yiwangjikaakbu (李王 職雅樂部, the downgrated insitution of Jangakwon). Second, it offers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of court dance by Yiwangjikaakbu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Finally, it enables the reproduction of Yiwangjikaakbu’s court dance by Mu-ui. 궁중무용에 있어 일제강점기는 침체기면서도 조선시대와 현시대를 연결해 주는 시기이다. 이러한시기에 이왕직아악부는 미약하지만 궁중의 음악과 무용을 계승한 기관이었다. 그러나 이왕직아악부의궁중무용에 관한 공식적인 문헌은 전해지지 않고 간단히 작성한 기록물이나 개인 기록물들이 남아있을뿐이다. 자료를 통해 일제강점기 <장생보연지무>가 여러 공연에서 추어지고, 궁중무용에서 중요한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장생보연지무>를 성경린 무의 와 계사년 『정재무도홀기』를비교 연구하여 일제강점기에 추어진 <장생보연지무>의 특징을 분석하고, 무의 의 사료적 가치와 무용사적 의의를 연구하였다. 무의 와 『정재무도홀기』 비교를 통해 알아본 일제강점기 <장생보연지무>의 특징은 첫째, 무원의복식은 오방색이며, 둘째, 창사는 간소화와 격하된 표현을 하였다. 셋째, 종결부에서 약간의 구성 차이는 있었다. 넷째, 춤사위는 9변 춤의 순서가 모두 같아 춤사위에 있어 큰 틀의 변화는 없었지만, 세부적인 춤사위에 있어 무의 에 춤사위가 추가되거나 자세히 기록된 춤사위가 있었다. 다섯째, 표기에 있어변화는 있었지만 대부분 같은 의미이거나 춤사위였다. 이러한 점은 이왕직아악부에서 조선시대의 궁중무용의 맥을 이어가기 위해 노력했음을 느낄 수 있는 면이다. 무의 의 사료적 가치와 무용사적 의의는 첫째, 성경린의 무의 는 홀기로서의 가치가 있다. 성경린무의 는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의 궁중무용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사료로, 조선시대의 홀기와 같은틀로 기록되어 홀기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둘째, 무의 를 통해 이왕직아악부의 궁중무용 재현이가능하다. 일제강점기에는 궁중무용에 관한 공식적인 홀기나 문헌이 전해지지 않아 일제강점기의 궁중무용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무의 는 조선시대의 홀기와 같은 구성을 갖추고 있어 궁중무용의 구성과전개를 알 수 있고, 한문 서술 외에 한글로 춤사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궁중무용의 춤사위 재현에서중요한 사료이며 무용사적 의의가 있다. 앞으로 무의 를 지속적으로 연구한다면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에서 추어졌던 궁중무용 재현작업에 큰 사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