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광수의 미술비평문 연구

        강정화(Kang, Jung-Hw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이 글은 이광수가 남긴 세 편의 미술비평문을 분석하여, 이광수의 예술의식을 들여다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광수는 근대 문학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그의 글은 다양한 시각과 각도로 연구되었다. 그럼에도 유독 그의 ‘미술비평문’은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는데, 이는 문인들이 작성한 미술비평문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광수는 최초의 현장비평문을 작성해 근대적인 의미의 미술비평의 문을 열었으며, 전람회라는 문물을 조선에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무엇보다 이광수의 미술비평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그의 미술비평문에서 그가 가진 예술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미술감상안을 문명인이 되는 일대요건으로 꼽았던 이광수는 새로운 문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예술의 필요성을 역설했기에, 그의 미술비평문을 독해하는 일은 그가 이룩하고자 했던 근대의 세계와 문명인의 요건을 확인하는 일이 된다. 미술비평문에는 그가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예술의 구체적인 형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광수의 주목받지 못했던 미술비평문을 예술과 관련된 글들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의 예술 의식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그의 예술세계의 외연을 넓힐 수 있을 것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 본다. This study explores the three art reviews left by Lee Kwang-soo and looks into Lee Kwang-soo"s artistic consciousness. Lee Kwang-so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modern literary history and his writings have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ngles. Nevertheless, his "art criticism" has not been particularly subject to research, which can be caused by distrust in art criticism written by writers. Lee Kwang-soo wrote the first on-site criticism, opening the door to modern art criticism, and introducing the culture of exhibition to Joseon. Above all, the reason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Lee Kwang-soo"s art criticism is that you can see his artistic consciousness in his art criticism. Lee Kwang-soo, who claimed that art appreciation was a requirement to become a civilized person, emphasized the need for art to move toward a new civilization. Studying his art criticism, thus, allows you to understand the modern world and the requirements of civilized people he wanted to achieve.

      • KCI등재

        해외 한민족 디아스포라 예술집단에 관한 연구

        김보희(Gim Bohi),엄경희(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4 No.-

        본 논문은 고려인 문화예술단체에서 활동한 고려인들의 음악활동을 중심으로 전문예술단체인 ‘고려극장’과 비전문예술단체인 ‘소인예술단’의 음악활동에 나타난 음악사회조직의 역할과 두 단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고려인의 예술활동은 ‘소인예술단’이라는 비전문집단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여 높은 수준의 아마추어 예술집단인 ‘인민예술단’을 거쳐 전문적인 집단으로 발전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932년 러시아 연해주 원동에서 ‘원동변강 조선극장’ 이라는 명칭으로 설립된 이후 역사와 정치적인 이유로 극장명칭이 다양하게 변해왔다. 특히 1990년 개방개혁정책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 ‘고려극장’ 으로 바뀐 것은 ‘조선’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남한과의 교류를 의식하고 남북한에 거주하는 한민족과 상대적으로 다른 자신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고려사람’, ‘고려신문’, ‘고려극장’ 등의 용어를 사용했다. 1937년 이전 원동 연해주시절의 고려인들의 음악활동은 1935년 ‘춘향전’ 공연을 중심으로 민족예술에 관심을 갖고 모국의 문화를 전승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이후에 카자흐스탄공화국 크즐오르다에 자리를 잡은 ’고려극장‘은 1년에 3개월 연습을 하고 9개월씩 순회공연을 다니며 고려인들의 문화적 향수를 달래주었고, 비전문예술집단인 ’소인예술단‘에게 한국 전통적인 노래, 민요, 잡가 등의 노래와 춤을 전수해 주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고려인 문화예술단체들은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문화를 발전시키고 후손들에게 문화를 전수하는 교육기관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cultural activities of Soviet Koreans through the musical activities of the former Soviet-Koreans and to compare the social structure and roles between the professional art group ‘Koryo theatre’ and the amateur art group ‘soin yesuldan’. Soviet-Koreans musicians often start their career as a member of the amateur art group ‘soin yesuldan.’ After developing and demonstrating mastery of various musical techniques within this art group, they will receive certification from the Soviet government as an ‘Inmin yesuldal’. After receiving this certification or through recommended by fine artists, can the musician become an artist of the professional art group ‘Koryo theatre’. In 1932, a Soviet-Korean’s theatre was started in the Far East Russian city of Vladivostok called the ‘Wondong Byungang Chosun Gukjang’. But the Soviet Koreans theatre name has been changed several times through the years due to various political or historical events. After 1990s, the Soviet-Korean theatre changed their name to ‘Koryo theatre’ due to closer relations with the South Korean’s art group ‘Gukrip Geukjang’ (Korean National theatre). Especially after Perestroika, the Soviet Koreans identified themselves as ‘koryoin’, ‘koryo theatre’ ‘koyro sinmun’ or ‘koryo saram’. In 1935, the Koryo theatre had performed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drama “The Chunghyang”. These performances were quite influential among Soviet Korean peoples who were often eager to transmit the culture of their homeland to their descendents. In particular after 1937, when the Soviet Koreans were deported from the Far East and some were moved to the Kzulorda city of the Kazakhstan Republic the Koryo theatre visited many different collective farms which placed in the republics of central Asia to comfort the many Soviet-Korean who were displaced . At this time, the theatre brought many Korean songs and dance to the Koryoin and also educated many in the the amateur art group ‘soinyesuldan’. These Koryoin groups made many contributions as a center of cultural education maintaining not only the musical culture but in the transmission of their cultural identities to their descendents.

      • KCI등재

        유라시아 춤 문화 교류의 시원(始原) - 1920년대 경성의 〈예술학원(藝術學院)〉 을 중심으로

        양민아(Yang, Min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3 No.-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서양의 무도 열풍의 시원이라고 할 수 있는 1920년대 〈예술학원(藝術學院)〉의 강습활동과 무도회 및 공연 활동을 통해 1920∼30년대 대표적인 유럽 문화인 무도문화의 근대 경성으로의 유입경로와 그 향유공간이자 유흥공간이었던 카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경성에서 유라시아 춤문화의 교류현황과 대중화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당시 우리사회에서 유행하던 카페와 경성의 신세대들의 유라시아 춤문화의 소비패턴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근대시기 우리사회에서 유라시아 춤문화의 현황과 위치 그리고 그 내재된 의미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1920∼30년대 발행된 신문『동아일보』, 『매일신보』, 『조선일보』 및 잡지 『개벽』, 『삼천리』, 『조광』 그리고 당시 문화를 연구한 논문과 저서 등의 관련 학술연구물들의 문헌분석을 사용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ow of European ballroom dance culture, the situations of cafes as commercial entertainment venues and the role of popularization in modern ballroom dance and the process of Eurasian dance and cultural interchange through the activities of Yesulhakwon (the Academy of Arts) in Seoul in 1920s-30s. The author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ltural consumption pattern of Seoul’s new modern generations and the culture of modern cafe which was enjoyed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and understand the implicit meaning of ballroom culture in Korean culture.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and library research including academic works and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daily newspapers (Donga Ilbo, Maeil Shinbo, Chosun Ilbo) and magazines (Gaebeok, Samchulli, Jogwang) in 1920s-30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인문정신문화와 무용교육의 융합적 접근 모색

        김은혜(Kim, Eun-Hye),윤정옥(Yoon, Jeong-Ok),이지영(Lee, Ji-Yo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인문정신문화와 무용교육의 융합적 접근을 모색하고 앞으로 무용인문학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문학과 예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무용인문학의 개념을 고찰하고 그동안 수행되었던 인문학과 문화예술 융합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무용인문학은 사람들이 문화예술로서 무용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돕고 더 나아가 다른 문화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무용의 인문학적 지식 습득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무용과 인문학을 융합한 프로그램은 무용교육과 인문정신문화의 상호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사회문화예술교육 맥락에서의 전 생애를 위한 무용인문학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dance humanities education of the humanities and culture and dance education in the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concept of dance humanities was considered to develop dance-orien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and arts is emphasized, and the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nd culture and arts convergence that has been carried out in the meantime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suggested that many dance humanities can acquire humanistic knowledge of dance so that many people can enjoy dance as a culture and arts, and that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it is necessary. Secondly, the necessity of danc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was suggested for adults. Thirdly, it propose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academic concepts and models, not simply providing dance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humanities.

      • KCI등재

        미디어 아트 창작에 대한 범위설정 문제 연구

        최선영(Choi, sun-yo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미디어 아트 창작물” 이라는 대상 자체를 예술과 과학 분야 사이에 상호보완관계로 설명하고 새로운 관점에 예술 비평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전통 예술 분야는 특수한 사고의 영역이 강조되어 예술가와 예술작품이 일원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현대에 이르러 “미디어아트 (media art)”는 미술사나 미디어연구에서 아직도 다양한 시각에서 논쟁을 지속하고 있다. 현대에 다매체를 활용한 각종 예술 영역은 "학문간 융합" 또는 "상호 학문간 연구"라는 교환을 통해서 제도적 간격을 와해하고 있는 것이다. 2장에서는 미디어 기술과 미디어 예술 사이에 제도적 간격의 개념과 의미의 구분을 통해 예술과 과학의 교환 현상과 두 분야의 착종 양상을 설명한다. 다양한 착종형태의 현대미디어 아트는 예술가의 사고영역과 기술자의 표현기술들로 만들어진다. 3장은 기술과 예술이 착종된 창작물과 창작형태의 의미를 분석하고 현대 예술의 일반론으로 설명한다. 미디어 아트의 창작물은 작품의 탄생과정에서 예술가와 기술자 사이에 협업과정 중 누구나 작품 창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과학과 예술의 상보적 관계를 다양한 유형의 과학적 연구들과 예술적 실험들을 통하여 두 문화의 통섭을 설명하고 기존 연구 영역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논문은 현재 미디어 시대의 ‘예술(art)’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making the base for new perspectives on art criticism. Contemporary media arts creates between arts and sciences what are described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ut the modern world is "art media (media art)" and still continue to debate various perspectives in art history and media studies. Up to now, special emphasis thinking has been being in the area of traditional arts. The tendency is also the artists and artworks unification. However, contemporary art area to utilize multimedia has collapsed the institutional gap through the exchange of "interdisciplinary fusion" or "mutual-interlaboratory research". In the Chapter 2 is the description of exchange between the arts and the sciences based on phenomena aspect of entangling. Distin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the mean of institutional separation between media technologies and media arts. Contemporary media art in a variety of entangling form is interpreted as a variety of factors, specific think of artists or technicians o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and then communicate to audiences. The scope depends on point of view of the active creator of interpreting the creative work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possibility of debris between artists and technicians. Chapter 3 is the analysis of technologies and arts entangling with the creations and meaning of creative forms. That is to explain the generalities of contemporary art. Creations of media arts influent (to) the creative works of all, artists and technicians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in the birth of the work. In conclusion, contemporary art has a distinctiveness of structural similarity of arts and sciences. This similarity emphasizes that the reductive interpretation that does meaningless. Various types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s and arts describe the consilience of two cultures through scientific researches and artistic experimentations and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areas. Thus this paper i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art (art) " of the media age .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미학적 죽음에 관한 연구

        최호빈(Choi, Ho-Bi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김종삼 시에는 전쟁의 비극성, 종교적 가치관, 문학적 영향으로 해명할 수 없는, 죽음에 관한 특별한 성격의 갈등들이 내재되어 있다. 그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갈등은 예술과 죽음이 맺고 있는 강한 결속력에 대한 것이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예술가 대부분은 자신이 이룬 높은 예술적 성취와 대조적으로 삶 또는 죽음이 비참했던 자들이다. 김종삼은 예술가의 삶을 살피면서 예술/예술가와 죽음의 관계, 즉 미학적 죽음에 천착했다. 이와 관련하여 김종삼의 죽음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전봉래이다. 그는 1950년 전후에 활동하며 문단의 신진시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었지만 한국전쟁의 발발로 자신의 시적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채 1951년 부산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전봉래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던 김종삼은 그의 죽음을 시인이자 예술가의 죽음으로 받아들였고, 이 때문에 ‘시인의 자살’이 지닌 특수한 의미에 주목하게 된다. 예술가의 자살은 일종의 예술적 행위로 간주되는데, 김종삼은 전봉래의 자살을 “유작”, “죽음이라는 작품”으로 표현하면서 자살의 미학적인 특성을 스스로에게 납득시키려고 했다. 김종삼은 시작 활동 전반에 걸쳐 전봉래와 그의 죽음을 다룬 시를 지속적으로 발표했다. 초기의 「G 마이나」(54년)와 「하나의죽음」(56년)에서김종삼은 친우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그 죽음을 자신의 죽음과 관련지으려는 태도를 보인다. 「地」(69년)와 「올페」(75년)에서는 자신의 죽음에 대한 최종적 동의를 전봉래에게 구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시인학교」(73년)에서 그는 전봉래의 자살을 재현함으로써 자신의 죽음에 대한 열망을 직접적으로 내비친다. 한국시사詩史에서 시작활동 전반에 걸쳐 죽음을 미학적으로 접근한 시인은 김종삼이 유일하다. 이런 김종삼에게 전봉래는 ‘심우心友’이자 ‘시우詩友’ 그리고 미학적 죽음에 대한 성찰적 의식을 구성하게 한 구체적인 계기였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며 김종삼 시를 살펴보는 일은 그간 논의되지 못했던 미학적 죽음과 관련된 사항들을 해명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death in Kim Jong-Sam’s poems. About the image of death appeared to Kim Jong-Sam’s poems, previous studies had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the original sin, Rilke’s poetry. However, there is a conflict unusual for death in his poems. It is for the strong unity between art and death. As is generally known, Kim Jong-Sam wrote the names of many artists in his poems. In contrast to the wonderful artistic achievements, most of them lived or died miserably. What he had an interest in the late style of artist, it means that h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death or between artist and death, aesthetic death. Jeon Bong-Rae, who is the elder brother of Jeon Bong-Geon, was a poet and translator who work at around 1950. He was in the spotlight as the rising young poets, but he committed suicide in Busan during the war. Kim Jong-Sam knew that Jeon Bong-Rae had a great literary, especially in french literature, and poetic talent. For that reason, he thought about Jeon Bong-Rae’s death as an artist’s death, not his friend’s death. On the one hand, suicide is considered as an act of artistic form. Because death is the last object that artist want to complete aesthetically. Kim Jong-Sam wrote about Jeon Bong-Rae’s suicide that it was the work of ‘death’, which was the noblest and latest posthumous work. Also Kim Jong-Sam convinced himself to understand a aesthetics of ‘artist’s suicide’, and he actually had tried to commit suicide. Although the overall explanation of death consciousness is not available, it is certain that Kim Jong-Sam inspired in Jeon Bong-rae’s suicide. It is confirmed in his poems. Above all things, he has described his own image to wait for die, in school of poets (1973), reenacting the process Jeon Bong-Rae committing suicide. Therefore, to review the work associated with Jeon Bong-Rae provide a new foundation to clarify an aesthetic death in Kim Jong-Sam’s poem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과 인문학적 바탕

        전선자(Cheon, Seon-J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1 한국문학과 예술 Vol.8 No.-

        지금은 과학기술의 시대이다. 이 시대에 ‘우리를 자유롭게’ 혹은 ‘인간답게’ 하는 ‘인문학의 전형은 무엇인가’라는 명제를 갖고, 문화예술교육에서 인문학적 바탕을 문화예술의 현장에서 명확히 반영되는 새로운 지식의 활용을 통해 고찰한 연구논문이다. 이 연구방법을 택한 것은 현장은 살아남기 위해 항상 앞서가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또 현장의 문화예술인들은 끊임없는 노력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지식을 생산하며 또 그 지식을 확산해 사회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들이 창출한 지식은 자신을 성찰하고 정신적 성장만을 도와주는 전통적 의미의 지식이 아니라, 상상력으로 기존의 틀을 깨고 창의적이고 새로운 실용성을 입증하는 새로운 시대의 지식을 창출한 것이다. 사회 현상 속에서 이 같이 꼭 필요한 지식은 교육의 장에서 반드시 가르쳐야 할 학습대상이다. 그 이유는 교육의 장에서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화예술의 현장 속에서 과학시대의 인문학적 소양이 어떻게 변화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과학기술의 시대의 ‘인문학’과 ‘과학’은 인류문명의 두 축이다. 이 관계는 대립이나 경쟁관계가 아니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이다. 바로 인간과 인간적 삶의 가치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가 전제된 가운데 자연과 인간에 관한 과학적 탐구와 그 의미도 소용이 된다. 문화예술분야도 이제 과학기술의 활용 없이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은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지만, 그럼에도 현장 속의 문화예술인들의 전문지식활용을 통해 보면, 과학과 인문학과 문화예술의 창조적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하는 인문학적 바탕을 여전히 필수전제조건으로 갖는다. 따라서 우리 문화예술교육의 혁신과 발전은 인문학의 중요성을 새로운 지식창출과 활용능력과 함께 교육목표로 삼았을 때 가능할 것이다. 자동차디자인, 광고디자인, 미디어아트라는 문화예술의 실상이 이제는 우리 공교육현장이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 asked the question "what is the typical model for humanities that "set us free" or make us "humanly"?" and looked up the study of arts educations with humanities in the very field that arts education is being applied. What is the necessary in the field of society is the targets that must be learn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is the study that indicates knowledge of humanities are strongly essential in the field where arts education is applied, through several cases. In the era of technology, "Humanities" and "Science" are the two axe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se two axes are not antagonistic nor competitive but rather compatible, and need each other. It is useless of scientific study of nature and human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which includes comprehension of human and the value of human lives. Also, nowadays arts education needs the scientific technology. Therefore, "the merge of Humanities and science" is undetachable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However, I found the appropriateness of humanities being prerequisites in arts education, for the creative evolution of science,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This work looks up "humanities" in 3 cases of arts educational field: Car Design, Advertisement Design, and Media Art. I hope this work be a help to the internal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arts education.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예술의 자율성’과 임노월의 예술지상주의 선언

        김명훈(Kim, Myong-h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3 No.-

        1920년대는 조선에서 예술(문학)의 자율성이 본격적으로 개진된 시기로 문예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 예술(문학)의 자율성이란 현실(인생)의 개조라는 역사적 사명을 실천하기 위한 부문운동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고(이광수, 카프), 근대의 합리성 체계를 거부하고 예술을 특권화하기 위한 미학적 신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동인지 문인). 1920년대 조선에서 ‘예술지상주의’는 예술의 자율성에 대해 전자의 입장을 가진 문인들이 후자를 비판하기 위해 활용한 용어이다. 본고는 형식논리상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공백을 임노월의 예술지상주의론을 통해 미흡하게나마 채워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임노월은 오스카 와일드 번역을 바탕으로 예술지상주의의 3단계 테제를 정식화한다. 첫째, 임노월은 ‘현실=실재’를 거부하고 ‘감각-지각’을 초월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전회를 요청한다. 둘째, 인식론적 전회를 위해 임노월은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이때 상상력은 단지 이미지를 변형시킬 수 있는 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초감각적인 정신의 능력으로 재규정되며, 이능력을 통해 예술은 ‘현실=인생’과 분리된다. 셋째, 초감각적인 정신의 능력을 통해 구성된 예술의 세계는 ‘현실=인생’으로 하여금 자신을 모방하도록 만든다. 임노월은 이 3단계 테제를 단지 비평 수준에서만 개진한 것이 아니라 창작과 삶의 지향을 결정하는 ‘사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 ‘사상’ 때문에 자신의 시대와 불화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임노월의 ‘삶=예술’이 예술지상주의라는 이름으로 잠시 도달했던 위치는 훗날 임화가 예술과 혁명을 인간의 유적 보편성 속에서 종합하고자 시도했을 때, 그리고 이상과 구인회 일부 문인들이 ‘미적 근대성’의 최대치에 도달하고자 분투할때, 그들이 보았을 환상 속에서 끊임없이 재생되었던 어떤 경지였을지도 모른다. The 1920s was recorded in History of Literary, a time when the autonomy of art in Joseon was presented in earnest. It also means that the autonomy of the arts (Literature) is meant to as a section movement to practice the historical mission of reality(life), and also to demonstrate that it is an aesthetic belief to deny the modern legitimacy of the past, and to privileged the art. In the 1920s’s Joseon, ‘Art for Art’s Sake’ was coined by writers with the former opinions about the autonomy of art to criticized the latter. This article written to fill this blank, which seems to exist only in formal format, with Lim No-wol’s argument about Art for Art’s Sake. Lim No-wol embodies Three-stage these of Art for Art’s Sake based on Oscar Wilde’s translation. First, Lim No-wol rejected the ‘reality=real’ and asked Epistemological turn that could transcend ‘Sensation-Perception’. Second, He argued that we needed imagination for an Epistemological turn, then, Imagination is not merely limited to the ability to transform images, but rather to the ability of a super-sensitive psychic. Through this ability, art separates from ‘reality=life’. Third, the world of art, which consists of the ability of a super-sensitive psychic, force the ‘reality=life’ to mimic art. Lim No-wol did not only state this Three-stage at critical levels but also made to Thought decide on direction of the creation and the life. And because of this Thought, it had to be a conflict with his own age. However, the position that Lim No-wol’s ‘life=art’ arrived briefly, it might have been a rebirth in the fantasy era when Im Hwa attempted to merge art and revolution into the universality of mankind, and when Lee Sang and some of the Guinhoe’s writers and poets struggled to reach the maximum value of aesthetic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