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강의의 사례 연구

        프라스키니, 니콜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2 한국문화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한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론 강의의 사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취하고자 하는 문화의 개념은 ‘한 공동체의 습관’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강의의 바탕이 되는 이론은 문화 충격이론, 사회 거리 이론과 정체성 이론이다. 둘째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강사가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이다. 강의의 목적은 위의 이론을 바탕으로 설계된 과제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 사회와 문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목적을 어떻게 달성했는지를 보여 주기 위해 교수요목을 제시하고 교사 일지와 학습자의 수기, 인터뷰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a course in Korean as a foreign culture pedagogy for undergraduate Korean students. In this study I will use the term culture to express the habits of a community and therefore the dynamic habits of a society(Hall, 2002).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case study are two. The first one is that the course was theoretically based on culture shock theory, social distance theory and identity theory. The second is that the instructor of the course was not a Korean but a foreigner. The main goal of the course was to enable the Korean students to observe and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foreigner. This case study illustrat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structor diary and two sets of written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how this goal was achieved.

      • KCI등재

        1960년대 중화권 대중문화의 한국 내 유행과 현지화에 관한 일고찰 : 무협영화와 소설을 중심으로

        노상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0 No.-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amine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in the 1960s. In the postwar era, ‘Free’ Asia of anti-communist states such as South Korea and Hong Kong shared human networks and similar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connect ed them beyond national borders. From the late 1950s, the two countries tested a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s. A movie Love with an Alien co-produced by a South Korean company and Hong Kong’s Shaw Brothers shows us the close distance of the two countries from an angle of an oversea Chinese woman who evacuated perhaps during the Korean War from South Korea to Hong Kong. Entering the 1960s, the Hong Kong Wave started in South Korea with surprising popularity of Wuxia films and novels. The Wuxia (Martial Arts) culture successfully appealed to South Korean popular audience who could easily understand moral heroism based on Confucian ethics. Especially, Shaw Brothers and ‘New Wuxia Culture’ of Hong Kong and Taiwan imagined transnational cultural identity of the Chinese at their Wuxia culture. Although South Koreans did not regard themselves as one of such imagined community, South Korean audience unexpectedly welcomed the Wuxia culture as universal stories, not as “Chinese” stories. As the 1960s came to an end, South Korea began to have its first Wuxia fandom which not only consumed the culture, but also tried to make their own local Wuxia culture. Many South Korean novels which claimed the authorship of Wolung Sheng appeared at the turn of the decade, and the phenomenon of the fake novels proved the rapid localization of Wuxia culture as a new sub culture in South Korea. Especially, the South Korean Wuxia culture took its root among male audience which embraced it as their new world of male fantasia. Thus, the popularity of Hong Kong Wave and hybridity of Wuxia culture in South Korea strongly indicates that South Korea was experiencing the dynamic growth of pop culture and the diversification of its cultural consumption and production. 본고에서 필자는 196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를 초국가적인 문화교류와 중화권 대중문화의 현지화 과정을 통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계속된 동아시아의 전쟁과 이산(離散), 냉전은 전후 새로운 민족국가의 틀을 뛰어넘는 트랜스내셔널한 문화망의 기반을 만들어놓았다. 한국과 홍콩은 반공과 이산이라는 유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1950년대 말부터 상호간의 문화교류를 추진한다. 최근 발굴된 한국과 홍콩 합작영화인 <이국정원(異國情鴛)>은 한국출신 화교여인의 경험을 소재로 하고 한국인과 홍콩인이 서로를 잃어버린 가족으로 인식할 수도 있는 판타지에 기반한 멜로드라마이다. 특히 홍콩 대중문화는 1960년대에 들어서 무협소설과 무협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한국사회에 침투한다. 마침 한국사회에서는 1960년대 소비문화의 성장과 함께 액션의 스펙터클에 열광하는 대중문화가 성장하고 있었다. 대중들은 고난을 극복하고 도덕적 목표를 성취해 가는 무협의 입신출세담에 쉽게 빠져들었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월경(越境)은 신무협의 보편적 문화주의에 기인하는 면도 있지만 한국 내에서 이러한 문화를 수용하고자 하는 구심력이 작용했음을 간과할 수 없다. 한국대중의 욕망은 이런 문화적 수용과정을 이해할 때 핵심적인 부분을 이루는데, 중화권 문화가 한국에서 현지화(現地化)되어가는 현상은 1960년대가 끝나갈 무렵부터 등장하는 무협소설의 위작(僞作)들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960년대 말부터 와룡생의 이름을 내세운 수많은 위작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한국형 무협문화는 욕망하는 남성의 판타지물로서, 심지어 포르노적 요소를 가미한 채 한국 대중문화에서 하위문화적인 위치를 점하기 시작한다. 즉, 1960년대 말, 70년대 초부터 소위 ‘색협지’의 초기적 형태가 발견된다. 본고에서 필자는 선우인이라는 번역가(들)의 작품에 초점을 맞추어서 대내외적 문화적 역학관계 속에서 한국 대중문화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었는가를 고찰한다.

      • 현대 한국 대중문화에 관한 교육자료 : 현황, 분석, 개발

        마이클 페티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7 한국문화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almaterials on contemporary Korean popular culture and to suggest methods fordeveloping textbooks. There have been only a few textbooks on Korean studieswritten in English, and no comprehensive book about contemporary Koreanpopular culture. Popular culture rapidly changes with the times. So in order todevelop English textbooks on contemporary Korean popular culture, it will beefficient to write a textbook by selecting and introducing some representativepieces of the mainstream popular culture of each period. For example, anintroduction of popular culture with periodic subdivisions of the golden age ofKorean movies after liberation, the people's culture and movement(1980s-1990s), the World Cup held in Korea 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culture (after the millenium) will give an idea of the social roles and functionsof Korean popular culture. Also, it is important to start by compiling anintroductory textbook, considering that the reader of the English textbook mayhave no foundation on Korean studies. 이 글의 목적은 현대 한국 대중문화에 관한 교육자료의 현황을 제시하고 교재개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현재 영어로 쓰여진 한국학 교재는 많지 않으며 현대 한국 대중문화를 포괄적으로 다룬 책도 거의 없다. 대중문화는시대와 함께 급변하므로 현대 한국 대중문화 영문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시대를 상징하는 주요 대중문화의 단편들을 선별하여 소개하는 교재를 저술하는것이 효과적이라 생각한다. 예컨대 해방 후 한국영화 황금기, 민중문화와 민중운동(1980~1990년대), 한국월드컵과 한국문화의 세계화(2000년대 이후)로 나누어 대중문화를 소개하면 한국 대중문화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생각해 볼 수있을 것이다. 또한 영문교재의 이용자가 한국학에 대한 기초가 없을 수도 있음을 충분히 고려하여 읽기 쉬운 입문 교재 편찬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민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7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South -Korean culture and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was started from the Post-Soviet times. Furthermore, when they contact and accept South-Korean culture, they can reproduce new korean culture. In this process, the glocalizaton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has occurred. This phenomenon can regard as one of the global model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o vitalize studies on Korean dance activities in the Korean diaspora’s cultur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mbers of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urg, Russia, who learn South-Korean culture(Korean, Korean traditional dance, Samulnori etc.). Including 9 adult dancers, who learn and perform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1 year to 10 years at the dance company <SOUN>, which was founded in 2003.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literature research, 2 questionnaire polls(2008, 2011) and 2 semi-structured interviews(2008, 2011).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한인들의 러시아로의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그리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의 특징을 통해 한국문화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한국문화 향유방식을 센터 <난>에서 한국문화(한국어, 전통무용, 사물놀이 등)를 배우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2회(2008, 2011)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2003년에 창단된 한국전통무용단 소운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한인 및 러시아인들과의 반 구조화된 면담 2회(2008, 2011)를 통해 한국 전통춤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 전통춤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그들만의 문화로 재생산 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전통춤 활동의 현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현지화 모델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 전통춤의 중요성을 되집어 보고, 한국문화 연구에 있어서 재외한인들의 전통춤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민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7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Korean’s migration processes to Russia from the mid-19th Century, thei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 St. Petersburg, Russia. And then,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Russian’s attitude to the South-Korean culture with the acceptance of South-Korean culture and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which was started from the Post-Soviettimes. Furthermore, when they contact and accept South-Korean culture, they can reproduce new korean culture. In this process, the glocalizaton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has occurred. This phenomenon can regard as one of the global model of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to vitalize studies on Korean dance activities in the Korean diaspora’s culture. Objects of this study are members of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NAN> in St.Petersburg, Russia, who learn South-Korean culture(Korean, Korean traditional dance, Samulnori etc.). Including 9 adult dancers, who learn and perform South-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1 year to 10 years at the dance company <SOUN>, which was founded in 2003.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 literature research, 2 questionnaire polls(2008, 2011) and 2 semi-structured interviews(2008, 2011).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 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 및 한국 전통춤의 수용과정과 향유방식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재한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한인들의 러시아로의 이주과정과 그들의 문화 그리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인들의 특징을 통해 한국문화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들의 한국문화 향유방식을 센터 <난>에서 한국문화(한국어, 전통무용, 사물놀이 등)를 배우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2회(2008, 2011)를 통해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2003년에 창단된 한국전통무용단 소운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한인 및 러시아인들과의 반 구조화된 면담 2회(2008, 2011)를 통해 한국 전통춤이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 전통춤을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뿐만 아니라, 이를 그들만의 문화로 재생산 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전통춤 활동의 현지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한국 전통춤의 세계화 현지화 모델의 한예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 전통춤의 중요성을 되집어 보고, 한국문화 연구에 있어서 재외한인들의 전통춤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 방향 연구-한국어 교사 대상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배재원 ( Bae Jaewon ),이승연 ( I Seungyeo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한국어 교사들의 한국 문화 교육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사 교육과정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의 하나인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 것은, 첫째, 교사들이 석사 학위 과정에서 수강한 문화 교육 관련 과목의 내용 및 수업 방법, 둘째, 한국어 교사로서 겪은 문화 교육 관련 경험과 그에 따른 요구이다. 인터뷰 결과 교사 교육과정의 문화교육론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교사가 문화 교육이 언어 교육에서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고 문화 교육의 범위를 인식하게 한다. 둘째, 문화에 대한 이론 교육과 실습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가 문화 교육의 목표를 명확히 인식하고 문화 중심 수업을 구성해 보게 한다. 넷째, 다양한 문화 이론과 문화 교육 모델을 접하게 하고, 교수·학습 상황과 학습자 변인에 맞는 교육 모형을 발견하게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행 한국어 교사 교육과정, 특히 석사 학위 과정 중의 문화 관련 과목의 교육 내용과 방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suggesting ways in which the education of teachers can be improved, his research aims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o educate their students on topics related to Korean cultur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his research hopes to shed light on, first, the content of courses related to cultural education that teachers took while earning their master`s degrees, and second, the experiences related to cultural education that the interview participants have had as teachers, as well as what those experiences demand.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the following content needs to be included in the cultural education theories used to educate teachers: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meaning that cultural education has within language education, and they need to be aware of the scope of cultural education. Second,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related to culture need to coincide. Third,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goal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y need to attempt to construct a course with a cultural focus. Fourth, teachers need to be exposed to a variety of cultural theories and cultural education models, and they need to be made to discover the kind of educational models that fit teaching-learning situations and learner variables.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diagnose the problems with education for Korean teachers, specifically the content problems found in culture related courses taken by teachers as graduate students, and it can be used to improve the education of Korean teachers.

      • KCI등재후보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권경미 ( Kyong Mi Kwo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6 No.-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은 의사소통의 언어 중심적 교육관이나 한국의 문화를 담지하고 있다는 반영론적 사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한국문학교육 이 보다 더 명징하게 문학교육을 담지하지 못한 채 언어와 문화적 차원에서 머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명확한 문학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의 목표를 언어 능력, 문화 능력, 문학능력은 물론 더 나아가 세계시민 양성으로 상정하고자 한다. 문학은 인간과 사회(세계)와의 대결과 해결, 갈등과 화해를 그리는 언어 예술이다. 따라서 문학 본연의 의의를 교육적으로 확대 적용시키기 위해 한국어에 대한 의사소통적 접근(언어능력), 한국 사회와 역사를 표징하고 있다는 문화적 접근(문화능력), 문학이 갖는 상징적 체계와 개성적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문학적 접근(문학능력)은 물론 세계 안의 ‘나’를 인식하며 세계시민적 자질을 갖출 수 있는 세계시민을 위한 접근(세계시민성)까지를 모두 아울러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초중고급 학습자 각각에 맞는 언어문화문학능력과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 목표를 설정한 후 그에 합당한 문학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초급 학습자들에게는 문학을 통해 다양한 한국문학과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게‘체험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문화상대주의 태도와 상호문화 교류를 이해할 수 있다. 중급 학습자들에게는 문학만의 개성을 접할 수 있는 작품 중심을 선택하는 한편 문학 안에서 세계가 공통으로 겪고 있는 문제의식을 발견하고 해결하도록 ‘리터러시’ 중심의 교육을 하고자 한다. 고급 학습자 들을 위해서는 문학적 언어와 일상의 언어를 횡단할 수 있는 이용후생 언어를 바탕으로 인간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갖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스토리텔링’ 중심의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Korean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ers has not much deviated from both the view on the language-centered education for communication and the reflection theory that it is allegedly impregnated with the Korean culture. The reason why the Korean literary education could not but stay at the level of language and culture, while not clearly keeping itself, is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definite goals of literary education did not become serious.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advance the proposition that the Korean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ers is aimed at further training them as world citizens as well as developing their linguistic, cultural and literary competence. Literature is linguistic arts depicting confrontation and settlement, and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world.For its true meaning to be applied educationally in an expanded manner, literature thus should encompass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the Korean language, the cultural approach,which is alleged to symbolize the Korean society and history, and the literary approach,which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literature’s inherent symbolic system and personal language. At the same time, it also should include the global citizenship approach, which makes ‘self’ recognized and allows the personal qualities necessary to be a world citizen to be possessed. To this end, learners in the general-purpos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their respective goals should be set to be well suited to the education for language, culture, literature, and world citizen. Then, literary works enabling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For beginners to get access to cultural diversity via literature, they should be placed at a level to personally enjoy various genres of Korean literary works through an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Intermediary learners should have works (helping taste literature’s unique characteristics) chosen primarily, and concurrently they should get a ‘literacy-centered education’ to discover and solve a questioning awareness that the world undergoes in common within the literature. Advanced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a ‘storytelling-centered education’ to steer the course toward a resonabl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ased on utilization-welfare language by which cultural and daily languages can be traversed.

      • KCI등재후보

        베트남 북부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 국립하노이 인문사회대·외국어대, 하노이대학을 중심으로

        남미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한국문화연구 Vol.19 No.-

        본고는 베트남 북부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학 교육 현황을 점검하고 발전 방안 및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1992년 12월 한국과 베트남 두 나라의 국교가 정상화된 이후 해가 갈수록 양국관계는 점점 더 긴밀해지고 있다. 더욱이 베트남에 한국기업이 많이 진출함에 따라 한국어와 한국학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노이 소재 대학에 한국어학과가 설치된 시기는 1993년으로 한국학 보급의 역사가 17년이 되었다. 그동안의 한국학 보급은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어서 한국어 관련 교과목의 개발이나 교재 개발 등에 있어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에 치중한 나머지 문화·역사·문학 등과 같은 한국학교육은 거의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과 한국인,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문화·문학·사상 등과 같은 한국학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어교육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어학과에서는 지금부터라도 한국학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베트남에 한국학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정부 각 기관에서도 한국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국학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교원 양성 및 교재 개발, 교과목 개발 등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report is intended for presen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further development for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by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the Hanoi universities in Vietnam. Ever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formalized between Korea and Vietnam on December 1992, the foreign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has been getting closer as time goes by. Many Korean companies have been entering into Vietnam, thereby the demand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tends to increase rapidly. For the spread of Korean studies, the first Korean language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Hanoi universities in 1993, and thereafter almost seventeen years have passed. Up to now, as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have been focused on Korean language learning, some achievements are shown in the developments of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curriculums for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 present Korean studies is biased too much in educating Korean language, which gives the least consideration to itself. The Korean studies could be considered as an intensive cours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 language i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culture an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a natio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the Hanoi universities that have successively risen above the ordinary lev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highly recommended to intensify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from now on. Also, the institutions of Korean government helping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 and should make every effort to support the relating education, such as by training teachers who can take exclusive charge of the Korean studies, by developing the relevant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subjects, and so on.

      • KCI등재후보

        한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강의의 사례 연구

        니콜라프라스키니 ( Nicola Fraschini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2 한국문화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한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론 강의의 사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취하고자 하는 문화의 개념은 ``한 공동체의 습관``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강의의 바탕이 되는 이론은 문화 충격이론, 사회 거리 이론과 정체성 이론이다. 둘째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강사가 한국인이아닌 외국인이다. 강의의 목적은 위의 이론을 바탕으로 설계된 과제를 통해 외국인학습자가 한국 사회와 문화를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목적을 어떻게 달성했는지를 보여 주기 위해 교수요목을 제시하고 교사 일지와 학습자의 수기, 인터뷰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a course in Korean as a foreign culture pedagogy for undergraduate Korean students. In this study I will use the term culture to express the habits of a community and therefore the dynamic habits of a society(Hall, 2002).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case study are two. The first one is that the course was theoretically based on culture shock theory, social distance theory and identity theory. The second is that the instructor of the course was not a Korean but a foreigner. The main goal of the course was to enable the Korean students to observe and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foreigner. This case study illustrat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structor diary and two sets of written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how this goal was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