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전략과 포트폴리오 평가

        심윤희 (Sim, Yun Hee)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3 실천유아교육 Vol.18 No.1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습 전략과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실제를 소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에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는 사랑어린이집을 선정하여 질적 단일 사례연구의 구조 하에서 체계적인자료 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누리반의 유아교육프로그램은 지능의 실제성을 두는 다중지능이론에서 강조되는 ‘실천적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고 생산적인 ‘콩, 디자이너 되어보기, 돈, 지구를 살려라, 직업’ 주제를 선정하였고 유아들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의미 있는 학습과 창의적 경험을 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도입전략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으로 유아들은 다름과 차이를 인정받으면서 다중지능을 발달시켜 나갔다. 무엇보다도 유아, 부모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과정폴리오 평가 과정을 통해 다중지능을 강화하여 유아의 사고와 학습의 확장을 살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and portfolio assessment to be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real-placed. To this end, pre-schoolers in Nuri class at Sarang Day Care Center were chosen for applying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o the project approach, were studied in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analyzing the project-based education curriculum of Nuri class and interpreting the implementation of an early childhood program that applie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he Nuri class program focused on practical knowledge emphasized i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on productive themes: Beans, Experience What it`s like to be a Designer, Money, Save the Earth and Occupations. The preschoolers engaged in meaningful learning and creative experiences. Through a project that adopted a strategy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hey were able to develop multiple intelligences while having their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recognized. More than anything, the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which incorporates the children and parents, helped to build multiple intelligences to expand the children`s reasoning and learning.

      • KCI등재

        부모 참여에 대한 취업모의 인식,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심윤희(Sim, Yun-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 부모 중 취업모가 생각하는 부모 참여의 의미와 어려움 그리고 해결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누리시청어린이집 부모 중 어머니 6명으로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취업모가 이야기하는 부모 참여의 의미는 내 아이 진단하기, 관심 가지기, 아이 성장의 보조제, 부모 일깨워주기로 아동의 발달과 부모교육의 두 가지 측면에서 기회라는 의미를 가진다. 둘째, 부모 참여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공동체에 내재된 인식, 사회에 내재된 인식, 방관자적 조언자 vs 주도적 양육자로 분류되며 이는 직장어린이집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고 사회적 인식에서 오는 성역할 갈등이다. 셋째, 부모 참여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방안은 사회적으로 내재된 인식의 사고전환과 육아문화형성이고 실제적인 실천방안은 공무원 직무교육에 부모 참여를 교육 시수화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loyed mothers who enroll their children for the child care facility for employees in public institution, towards their interpretation of parents' involvement and its difficulties, including the solutions to i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gathered as six mothers who have been observed and interviewed in-depth from child care facility in Nuri Municipal. Firstly, the opinions of employed mothers are that their interpretation of parents' involvement is a chance in child development and upbringing, such as diagnosing, concerning, supporting and making their children aware of parents. Secondl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parents are the awareness in a community and the public and being a spectating adviser or a leading raiser. These only occur in the child care facility for employees and are conflicts of sexual role from societal awareness. Thirdly, the solutions for these difficulties in parent involvement are changing the way of thinking that are fixed from societal awareness, and the cultural evolution of childcare. The realistic plan will be making parent involvement educational by employees' dutiful education.

      • KCI등재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체제와 실행의 특징

        심윤희(Sim, Yu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서 다중지능이론을 유아의 발달 평가에 적용시켜 대안적 평가인 포트폴리오 평가 체제를 살펴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의 개념적 틀을 만들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에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는 사랑어린이집 누리반을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의 구조 하에서 총 1년 7개월 동안 만 4, 5세 누리반 유아 26명을 참여 관찰하였고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를 내용 분석하였으며 2명의 담임교사와 부모와의 심층면담 그리고 문서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제화 된 누리반의 포트폴리오 평가방법은 교사, 부모, 유아 모두가 책임을 갖고 선택과 공유하는 힘의 변화에 대한 균형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를 활용하면 유아 평가의 목적에 부합한 교사, 부모, 유아 모두의 성장을 가져옴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쉽게 활용가능한 대안적 평가 틀은 ‘흥미를 확인하는 도구’, ‘발달 수준에서 강점을 파악하는 도구’, ‘자기반성을 반영하는 도구’, ‘의미 있는 타인과 공유하는 도구’로 구분 지었다. 결론적으로 누리반의 포트폴리오 평가는 관계 속 일원으로서 조화로운 학습공동체를 구축하여 평가 동반자인 유아의 반성을 통해 다름을 이해하고 유아가 가진 강점에 초점을 맞춰 계획하고 반영하여 성장을 도울 수 있음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대안적 평가 틀을 제공한 것이다. This study, operating in a project-based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on the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and applies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o asses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t aims to build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effects of an alternative assessment. This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selected 26 preschoolers, aged 4 to 5, from Nuri class at Sarang Day Care Center and over a 19-month period observed them, while apply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as they participated in class. The portfolio assessment data was analyzed;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made possible by document analysi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wo teachers and six parents. The study found that the portfolio assessment system emphasized a balance of power shifts and choices shared responsibly by the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This system could be used to bring about the growth of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corresponding to the objectives of early childhood assessment. Such an alternative assessment framework, one that is amenable to the early education field, can be classified as a tool to recognize interests, determine developmental level, reflect introspection, or share meaning with others. The study found that the Nuri class’s portfolio assessment provided a usable alternative assessment framework; participants were able to stimulate growth by building a harmonious learning community, by understanding differences through children’s self-examinations, and by focusing on each child’s strengths.

      • KCI등재

        영유아 음악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담론 분석

        여선옥(Sun Ok Yeo),심윤희(Yun Hee Sim)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음악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담론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H대학 아동보육복지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은 아직 전문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이르다고 느끼고 있었고, 교사의 전문성은 학교교육의 배움과 현장에서의 경험과 경력이 더해져야 갖추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영유아 음악수업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전문성에 대해 첫째, 영유아의 발달과 개인차, 흥미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하며, 둘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준수하고, 영유아들의 흥미를 반영하여 주제중심으로 통합적인 교육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 가르치는 교수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가 음악을 즐거워해야하고, 음악적 능력을 기르기 위해 악기를 배우며,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문성이 갖추어지지 않을 경우, 영유아들과의 음악수업을 포기하기보다는 동료들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음악교육에 실질적인 방안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discourse on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classes infants and children.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secon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care and welfare at the H university in S city. Methods: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Bogdan and Biklen (2006). Results: The results of interviews showed,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felt that it was too soon to talk about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needed further education and experience in the field. Additionally, regarding the professional music classes,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were suggested to require the knowledge of infants’ individual development, difference and interest. Secondly, to be able to comply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build an integrated education plan based on the themes that of infants and children’ interests. Thirdly, to be familiar with the teaching methods guiding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And in order to possess such expertise, the discourse suggested that the teachers should enjoy music themselves, learn musical instruments to develop their musical abilities, and have a variety of artistic experiences. In spite of their efforts, if they do not meet the needs, they should overcome by co-operating with their colleagues rather than giving up the music class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al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후보

        부모가 바라보는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와 평가참여

        김명희(Kim Myoung Hee),심윤희(Sim Yun 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평가의 의미와 그들이 평가에 참여함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그들이 직접 평가과정에 참여하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랑어린이집 교사 2명과 어머니 6명을 관찰, 심층 면담하는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가 지각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는 객관적 성장발달자료, 근거 타당한 유아평가에 대한 새로운 발견, 유아 발달수준에 근거한 측정도구로 의미 짓고 있다. 둘째, 유아 평가참여에 대한 부모의 의미 부여는 아이발달에 대한 조화로움을 위해, 아이 성찰 그리고 부모의 자기반성으로, 가정연계학습의 강화로, 부모바람의 통로로, 심리적 부담감으로의 두 가지 엇갈린 반응으로 의미 지었다. 셋째, 포트폴리오 평가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부모들의 참여양상은 부모의 개입정도에 따른 가정연계활동의 적극성과 부모의 프로젝트 흥미, 마음가짐에 따라 관련성이 있었고 유아의 반성적 사고에 따른 학습 및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알게 된 유아의 흥미여부 그리고 유아의 발달상황에 대한 확인에 따라 주도성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는 교사평가의 객관적 준거에 대한 일치와 다름에 근거하여 부모의 바램을 전달하는 교사와의 소통의 기회로 평가에 참여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의미 있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해서 교사는 가족참여 방법을 변화시켜 부모가 유아의 평가와 교수를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로써 교사와 부모 모두 유아의 흥미와 관심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는 동반자로 자리매김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meaning of children’s assessment about the recognition of parents and the meaning of aspect from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have got three major part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gathered as two teachers and six mothers who have been observed and interviewed in-depth from sarang-daycare center. Firstly, the meaning of portfolio from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collected the data of objective and new development discovery about the growing up of early children and to compare by using the measuring instrument according to development of early children. Secondly, the reason for this study are to find the harmony of early children’s development of the reflection parents the learning of the life and the parental hope and the burden of mind. Thirdly parental attitude have shown many different type aspects as the following below.; We have known the positive of coordinate activity from between daycare center and home. Consequently, teachers will change the method of family’s participation and modify, parents have to understand that how to teach for early children for portfolio assessment. Above all, parents have to participate and support actively. And teachers and parents should have concerned about being a companion for early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 throughout portfolio assess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 탐색

        여선옥(Yeo, Sun-Ok),심윤희(Sim, Yun-Hee)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자료수집은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주간 계획안, 유아관찰일지, 교사저널을 수집하여 Bogdan과 Biklen(2007)이제시한 방법에 따라 심층 면담한 전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의범주와 내용을 분석하여 최종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하면서유아중심의 의미를 재고하게 되었다. 그동안 알고 있었던 유아중심의 교육을 실천하였고, 촉진자가 되었으며유아와 협력관계를 이루었다. 둘째, 놀이의 정체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유아들에게 놀이는 다른 영역 간연계가 가능하게 하고, 소통의 매체가 되며, 또래 학습이 강화되었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에 책임을 느꼈다. 편하지 않은 자율성을 경험하며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계기가 되었고, 동료와 협력을 이루게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자율성을 지지하고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tiliz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ekly plans, child observation notes, and teachers’ journals were collected. The transcribed in-depth interviews were repeatedly read and emerging themes were categrized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by Bogdan and Biklen(2007). As results, first, teachers were able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child-centeredness by practicing the revised curriculum. Teachers had opportunities to practice what they know about play and child-centeredness, become facilitators to support children’s play, and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young children. Second, teachers started to identify what play really means for children. They learned that play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children with other areas,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and reinforce children’s learning. Third, teachers were able to feel more responsible for their autonomy as educators.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develop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upport teacher autonomy and improve professionalism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